KR102618164B1 -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 Google Patents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64B1
KR102618164B1 KR1020230145286A KR20230145286A KR102618164B1 KR 102618164 B1 KR102618164 B1 KR 102618164B1 KR 1020230145286 A KR1020230145286 A KR 1020230145286A KR 20230145286 A KR20230145286 A KR 20230145286A KR 102618164 B1 KR102618164 B1 KR 10261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boom
snowplow
rotation ang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묵
김유경
Original Assignee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설판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제설판의 회전각을 확장하여 진입이 어려웠던 좁은 도로에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제설기는 차량과 제설판 사이의 간격이 고정됨에 따라 제설판의 최대 회전각이 제한됨으로써 폭설이 내리면 제설판이 갓길로 눈을 더 밀어내지 못하고, 상기 제설판의 폭을 최소화하더라도 좁은 도로에는 진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차량의 프론트 범퍼에 설치된 붐 마운팅유닛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붐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설기를붐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위치 이동하면서 차량과 제설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Snowplow removal machine with expanded rotation angle by moving the snow removal plate back and forth}
본 발명은 제설판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제설판의 회전각을 확장하여 진입이 어려웠던 좁은 도로에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기는 밀어내기 방식의 제설작업으로 제설차량 전방에 부착된 제설기를 이용하여 차량이 전진하면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변 옆 가장자리로 밀어내며 제설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제설기는 제설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각을 변화시켜 기울어진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설판을 기울이는 이유는, 제설판이 제설차량의 진행방향에 완전히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제설작업시 제설기의 진행에 대한 눈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제설기 및 제설차량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고, 제설작업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설판을 제설차량의 전방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부하를 경감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설판이 일정 각도 기울어짐으로써 제설차량의 이동시 눈이 경사진 제설판에 의해 도로면 옆 가장자리로 밀리면서 제설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제설판이 기울어지는 회전각은 적설량이나 도로상태 등 여러 작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설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설기에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928252호, 명칭/ 제설차량의 속도에 따라 제설판의 회전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스마트형 제설기」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는 제설판의 회전각이 제설차량의 속도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제설차량 속도의 부하로 인한 제설기, 차량 및 노면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모든 제설기는 차량과 제설판 사이의 간격이 고정됨에 따라 제설판의 최대 회전각이 제한됨으로써 폭설이 내리면 제설판이 갓길로 눈을 더 밀어내지 못하고, 상기 제설판의 폭을 최소화하더라도 좁은 도로에는 진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차량과 제설판 사이의 간격을 너무 넓게 고정하는 경우 제설기에 하중 부하가 많이 걸려 제설기가 파손되는 문제점 야기된다.
본 발명을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의 프론트 범퍼에 설치된 붐 마운팅유닛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이너 붐의 선단에 장착되는 제설기를 붐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위치 이동하면서 차량과 제설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상기 붐 마운팅유닛에 설치된 안전센서는 이너 붐의 신축과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감지구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함을 감지하면 붐 실린더의 작동을 중지하여 제설기의 과도한 전방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너 붐의 신축에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제설판을 전방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차량과 제설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설판의 수평 회전각을 확장함으로써 폭설이 내려 제설작업을 할 경우에도 갓길로 눈을 더 빠르게 밀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설판의 폭을 최소화하여 좁은 도로에도 원활하게 진입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평상시에는 차량과 제설판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어 제설기에 걸리는 하중 부하를 줄여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고, 제설기의 낙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의 장착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의 장착상태를 확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너 붐의 신장상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이너 붐의 신장상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가이드 봉 및 감지구의 이동상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젠센서가 감지구를 감지한 상태의 정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붐 마운팅유닛(10), 아우터 붐(20), 이너 붐(30), 붐 실린더(40), 제설기(5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1)의 프론트 범퍼(2)에 설치된 장착프레임에 제설기(50)를 직접 장착하여 전후 위치이동이 불가하던 종래의 획일적인 구성을 벗어나 제설기(50)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지배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차량(1)의 프론트 범퍼(2)에는 붐 마운팅유닛(10)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이러한 붐 마운팅유닛(1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판(11)의 중앙에는 아우터 붐(20)이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아우터 붐(20)의 내부에는 전후로 이동하면서 신축하는 이너 붐(30)이 끼움 설치되고, 이너 붐(30)의 선단에는 제설기(50)의 후방에 연결된 마운팅 프레임(51)을 선택적으로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제설기 장착판(31)이 일체로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설기 장착판(31)은 마운팅 프레임(51)을 장착/탈착할 수 있는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이미 제설기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붐(30)의 내부에는 이너 붐(30)을 신축 작동하기 위한 1개 이상의 붐 실린더(40)가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 붐 실린더(40)는 이너 붐(30)의 내측, 제설기 장착판(31)의 후면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32) 및 전면판(11)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12)에 각각 전후 양측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설기 장착판(31)에는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설기(5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붐 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이너 붐(30)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신축되고, 이러한 이너 붐(30)의 신축과 함께 제설기 장착판(31)에 장착된 제설기(50)가 함께 전후로 위치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붐 실린더(40)가 도 4와 같이 신장하면 이너 붐(30)이 전방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설기(50)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국에는 차량(1)과 제설판(52)과의 간격을 벌려주고, 이로 이해 제설판(52)이 수평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확보함으로써 제설기(50)의 수평 회전각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폭설이 내려 제설작업을 할 경우에도 기존에 비해 제설판(52)을 갓길 쪽으로 더 기울여 제설기(50)의 진행에 대한 눈의 저항을 줄여주면서 갓길로 눈을 더 빠르게 밀어내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도로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수평 회전각의 확장을 통해 제설판(52)의 폭을 차량 폭과 최대한 근접하는 폭으로 최소화할 수 있어 좁은 도로에도 원활하게 진입하여 제설작업의 원활성을 제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이너 붐(30)의 신축시 원활한 직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하중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제설기 장착판(31)의 하부에는 후면 양측에 상기 전면판(11)을 관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이 설치되고, 이러한 가이드봉(60)은 이너 붐(3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부하 경감 및 원활한 직진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너 붐(30)의 신장시 과도한 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너 붐(30)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의 기술이 유기적으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60)은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후단에 감지구(71)가 일체로 부착되고, 이러한 감지구(71)가 부착된 가이드봉(60)의 하측 전면판(11)에는 감지구(71)와 대응하는 안전센서(70)가 후방을 향하도록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붐(30)의 신장시 가이드봉(6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는 감지구(71)는 안전센서(70)가 감지할 수 있는 설정된 위치에 도달함을 상기 안전센서(70)가 감지하면 자동으로 붐 실린더(40)의 작동을 중지함으로써 이너 붐(30) 및 제설기(50)의 과도한 전방 이동을 방지하여 제설기(50)의 하중에 의한 부하가 차량(1)에 전달되거나 제설기(50)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1: 차량 2: 프론트 범퍼
10: 마운팅유닛 11: 전면판
20: 아우터 붐 30: 이너 붐
31: 제설기 장착판 40: 붐 실린더
50: 제설기 51: 마운팅 프레임
52: 제설판 60: 가이드봉
70: 안전센서 71: 감지구

Claims (4)

  1. 차량(1)의 프론트 범퍼(2)에 일체로 설치된 붐 마운팅유닛(10)과;
    상기 붐 마운팅유닛(10)의 전면판(11)에 일체로 고정된 아우터 붐(20)과;
    상기 아우터 붐(20)의 내부에 전후로 신축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고, 전단에 제설기 장착판(31)이 부착된 이너 붐(30)과;
    상기 이너 붐(30)의 내부 제설기 장착판(31) 및 전면판(11)에 연결 설치된 붐 실린더(40)와;
    상기 제설기 장착판(3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설기(5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설기 장착판(31)의 하부 후면 양측에는 전면판(11)을 관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6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봉(60)은 이너 붐(3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봉(6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봉(60)은 후단에 감지구(71)가 부착되고, 상기 감지구(71)가 부착된 가이드봉(60)의 하측 전면판(11)에는 후방을 향하도록 안전센서(70)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구(7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함을 안전센서(70)가 감지하면 자동으로 붐 실린더(40)의 신장을 차단하여 제설기(50)의 과도한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실린더(40)의 신장시 이너 붐(30)의 전방 이동과 함께 제설기(50)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차량(1)과 제설판(52)과의 간격을 벌려주어 제설판(52)의 수평 회전각을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3. 삭제
  4. 삭제
KR1020230145286A 2023-10-27 2023-10-27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KR10261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286A KR102618164B1 (ko) 2023-10-27 2023-10-27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286A KR102618164B1 (ko) 2023-10-27 2023-10-27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164B1 true KR102618164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286A KR102618164B1 (ko) 2023-10-27 2023-10-27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397B1 (ko) * 2012-02-15 2012-07-12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노견토 제거기
US20160369463A1 (en) * 2015-06-19 2016-12-22 James Patrick Godwin, JR. Snow plow having a pneumatic lifting device for reducing the wear on the blade of the snow plow
KR20190097907A (ko) * 2018-02-13 2019-08-21 한국도로공사 차량용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397B1 (ko) * 2012-02-15 2012-07-12 이텍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노견토 제거기
US20160369463A1 (en) * 2015-06-19 2016-12-22 James Patrick Godwin, JR. Snow plow having a pneumatic lifting device for reducing the wear on the blade of the snow plow
KR20190097907A (ko) * 2018-02-13 2019-08-21 한국도로공사 차량용 제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200B1 (en) Retractable side wing assembly
US2943407A (en) Bulldozer blade mounting
US5067263A (en) Variable geometry tiller
US20150068780A1 (en) Expanding material box for equipment
JP2010540798A (ja) 伸張可能な除雪機ブレード
KR102053972B1 (ko) 출몰형 보조바퀴를 갖는 레이저 균평기
US3014289A (en) Snow plow
US2524329A (en) Hydraulic wing control
KR102618164B1 (ko) 제설판 전후 위치이동을 통한 회전각 확장형 제설기
KR101046258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제설차의 블레이드
US5468120A (en) Multiple-purpose utility vehicle
US20080276499A1 (en) Blade attachment device
US4154481A (en) Road planer with improved cutting drum suspension
JP2018043577A (ja) 作業車両のアウトリガジャッキ動作制御装置
KR200422656Y1 (ko) 연장식 제설판을 구비하는 제설기
CN217231376U (zh) 用于道路整修机的通道板装置及道路整修机
JP4027488B2 (ja) ドリルジャンボのブームリフティング装置
US4240216A (en) Land forming and/or farming apparatus
JPS6111294Y2 (ko)
KR101887849B1 (ko) 차체 연결용 그레이더
KR20090036200A (ko) 제설장치
JPH1088515A (ja) 舗装用建設機械におけるガード構造
JPH0419065Y2 (ko)
US4930589A (en) Operator guidebar for a walk-beside articulated machine
JPS61112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