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108B1 -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108B1
KR102618108B1 KR1020220029103A KR20220029103A KR102618108B1 KR 102618108 B1 KR102618108 B1 KR 102618108B1 KR 1020220029103 A KR1020220029103 A KR 1020220029103A KR 20220029103 A KR20220029103 A KR 20220029103A KR 102618108 B1 KR102618108 B1 KR 10261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arding bridge
wind speed
control devic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2063A (ko
Inventor
이해찬
박찬동
이석범
임원래
도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22002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108B1/ko
Publication of KR2023013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64F1/305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with hinged head interface between aircraft and passenger b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탑승교 방풍 시스템은, 복수의 셔터가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로툰다를 포함하는 탑승교와, 상기 로툰다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셔터에 대해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압 유닛과, 상기 탑승교의 상부에 구비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PROTECTION AGAINST WIND SYSTEM FOR BOARDING BRIDGE AND CONTROL METHOD}
이하의 설명은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는 항공기가 이륙하기 전과, 착륙한 후에 공항 건물과 항공기의 출입구가 연결되도록 항공기에 접현되는 다리 형상의 연결 통로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2020-0087005 A1)를 참조하면, 탑승교는 슬레이트 셔터를 통해 로툰다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셔터가 와이어로 고정됨으로써, 강풍 또는 태풍에 대한 셔터의 저항력을 높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탑승교의 셔터 고정 방식은 와이어가 셔터의 하부에만 설치되고, 와이어의 장력만으로 고정되므로, 셔터에 대한 지지력이 부족하여 강풍 또는 태풍 발생 시 셔터의 진동 및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탑승교는 셔터가 이탈되는 경우 내부에 유입되는 바람에 의한 내부 손상과, 이탈된 셔터가 항공기나 다른 공항 시설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셔터의 이탈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강풍 또는 태풍에도 셔터가 이탈되지 않는 셔터 고정 기술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강풍 또는 태풍으로 로툰다의 셔터가 이탈되지 않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탑승교 방풍 시스템은, 복수의 셔터가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로툰다를 포함하는 탑승교와, 상기 로툰다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셔터에 대해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압 유닛과, 상기 탑승교의 상부에 구비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로툰다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캐빈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이 상기 캐빈의 회전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셔터에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한 제1조건과,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탑승교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에서 작동 신호가 입력됐는지에 대한 제2조건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한 상기 탑승교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제3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조건이 만족되면 캐빈의 회전장치의 작동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풍속 알람 표시를 소정 시간 동안 중단하고,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상기 탑승교의 조작 상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탑승교 방풍 시스템은 상기 탑승교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탑승교 방풍 시스템은 가압 유닛의 가압부재가 직선 운동하며 셔터를 가압하므로, 강풍 또는 태풍에 대한 셔터의 저항력을 높일 수 있고, 셔터의 진동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교 방풍 시스템은 제어장치가 입력부 또는 조작부에 입력되는 전진 신호에 따라 가압부재의 운동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방풍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이 회전장치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의 구성요소 사이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B)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1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유닛(100)이 회전장치(30)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10)의 구성요소 사이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탑승교 방풍 시스템(10)은 탑승교(B), 측정부(110), 가압 유닛(100), 측정부(110), 제어장치(120) 및 감시부(140)를 포함한다.
탑승교(B)는 공항에 설치되고, 캐빈(C) 및 복수의 셔터(21)가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로툰다(20)를 포함한다. 또한, 탑승교(B)는 항공기(미도시)에 접혐됨으로써, 공항 이용객에게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압 유닛(100)은 프레임(101), 가압부재(102), 완충부재(103) 및 구동부(104)를 포함하며, 캐빈(C)과 함께 회전하도록 프레임(101)이 캐빈(C)의 회전장치(30)와 결합되고, 로툰다(2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다.
캐빈(C)은 로툰다(20)와 복수의 회전장치(30)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장치(30)는 복수의 축(31)과 복수의 지지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장치(30)는 로툰다(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축(31)이 캐빈(C)과 복수의 지지대(32)로 연결되어, 캐빈(C)을 로툰다(20)에 대해서 피복 회전시키며 캐빈(C)의 출입구와 항공기(미도시)의 출입구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교(B)의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기술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101)은, 로툰다(2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며, 셔터(21)와 마주보도록 연장되고, 상부 프레임(101a)과 하부 프레임(10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1a)과 하부 프레임(101b)은 'ㄱ'자 형상을 갖고, 서로 수직하는 두 단부 중 하나가 회전장치(30)까지 연장됨으로써 지지대(32)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1a)과 하부 프레임(101b)은 설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01a)과 하부 프레임(101b)은 지지대(32)와 결합됨으로써, 회전하는 캐빈(C)과 함께 다른 위치로 이동되므로, 가압 유닛(100)과 회전하는 캐빈(C)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101)은 지지대(32)에 결합 장치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유닛(100)은 상부 프레임(101a)과 하부 프레임(101b)이 길이가 지지대(32)까지 연장되지 않고, 결합부(미도시)를 통해 지지대(32)와 결합되어서, 캐빈(C)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가압부재(102)는 프레임(101)에 구비되고, 셔터(21)를 가압한다.
구동부(104)는 가압부재(102)를 셔터(21)에 대해서 전후진시킨다.
가압부재(102)는 구동부(104)와 연결됨으로써 로툰다(20)를 향해 전진하며 셔터(21)를 가압한다. 가압부재(102)는 구동부(104)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는 방법이나, 구동부(104)에 의해 길이 조절되는 방법으로 전후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02)는 일체형의 부재로 형성되고, 실린더 형태의 구동부(104)에 연결되어서, 구동부(104)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전후진할 수 있다. 또는, 가압부재(102)는 볼 스크류로 형성되고, 모터 형태의 구동부(104)에 연결되어서 구동부(10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진할 수 있다. 또는, 가압부재(102)는 슬라이드 형태로 형성되고, 모터 또는 실린더 형태의 구동부(104)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서, 길이가 증가하면 전진하고, 길이가 감소하면 후진하는 형태일 수 있다. 가압부재(102)는 셔터(21)를 가압함으로써, 강풍 또는 태풍에 의해 진동하는 셔터(21)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과, 셔터(21)가 로툰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교(B) 내부로 들어오는 빗물과 극간풍을 차단하고, 셔터(21)의 이탈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설명에 불과하며, 상술한 가압부재(102)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102)는 셔터(21)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103)가 구비된다. 가압부재(102)는 완충부재(103)가 셔터(21)와의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셔터(21)가 가압부재(102)의 가압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102)는 완충부재(103)를 통해 셔터(21)에 대한 가압범위를 확장하며 방풍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02)는 직경 또는 단면의 넓이가 가압부재(102) 보다 큰 완충부재(103)가 구비됨으로써, 셔터(21)를 가압하는 범위를 늘릴 수 있다. 또는, 가압부재(102)는 직경 또는 단면의 넓이 조절이 가능한 완충부재(103)가 구비됨으로써, 셔터(21)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측정부(110)는 탑승교(B)의 상부에 구비되어 풍속을 측정한다. 상세하게는, 측정부(110)는 강풍 또는 태풍 발생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15m/s 이상의 풍속을 측정 가능한 풍속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설명에 불과하며, 측정부(110)는 풍속계 이외에도 풍속이 15m/s임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정부(110)는 탑승교(B)의 상부에 서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어, 복수의 풍속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입력부(122)와 표시부(121)를 포함하며,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정보에 따라 가압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입력부(122)는 가압 유닛(100)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표시부(121)는 측정 정보를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제어장치(120)는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한 제1조건(S2)이 만족되면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한다. 제어장치(120)는 표시부(121)와 조작부(130)로 이중 알람을 표시함으로써, 알람이 미확인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강풍 또는 태풍의 발생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조작부(130)는 탑승교(B)의 길이, 방향, 높이 등이 변경 가능한 장치일 수 있으며,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입력부(122) 또는 탑승교(B)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13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제2조건(S4a, S4b)과 조작부(130)를 통한 탑승교(B)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제3조건(S5)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 구동부(104)를 작동시킨다. 참고적으로,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2조건(S4a)은 제어장치(120)가 입력부(122) 또는 조작부(130)로부터 가압부재(102)의 전진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것이고, 제2조건(S4b)은 제어장치(120)가 입력부(122) 또는 조작부(130)로부터 가압부재(102)의 후진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제어장치(120)는 제2조건(S4a, S4b)과 제3조건(S5)이 만족되면 회전장치(30)의 작동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장치(120)는 가압부재(102)가 작동할 때 회전장치(30)의 작동을 잠금하고, 가압부재(102)가 작동을 중단하면 회전장치(30)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가압부재(102)를 전후진시키기 전에 회전장치(3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여, 가압부재(102)가 셔터(21)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회전하며 셔터(21)를 스크래칭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전진 신호에 대한 제2조건(S4a)이 만족되지 않으면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대한 풍속 알람 표시를 소정 시간 동안 중단한다. 제어장치(120)는 풍속 알람의 중단 시간이 경과되면, 2차 풍속 알람을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2조건(S4a)이 만족되면 입력부(122) 또는 조작부(13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2차 알람 표시를 중단하고, 제2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2차 풍속 알람을 소정 시간 동안 중단하고, 소정 시간이 지나면 3차 풍속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제3조건(S5)이 만족되지 않으면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탑승교(B)의 조작 상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한다. 제어장치(120)는, 제3조건(S5)을 만족하기 위해 조작부(130)를 탑승교(B) 조작 불가 상태로 전환할 것을 권고하는 알람을 표시할 수 있고, 권고 내용에 따른 조치가 이루어지면 구동부(104)를 작동시킬 수 있다.
감시부(140)는 탑승교(B)의 외부에 구비되고, 가압 유닛(100)의 작동을 감시한다. 예를 들어, 감시부(140)는 카메라, 적외선 센서 및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부재(102)가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상태를 감시하며 구동부(104)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감시부(140)는 상술한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가압 유닛(100)의 작동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탑승교 방풍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탑승교 방풍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기재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앞서 설명한 기재의 표현과 동일한 표현은 같은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도 5의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은 풍속 정보 수신 단계(S1), 풍속 알람 단계(S3),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S6),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S9) 및 가압 유닛 미작동 단계(S10)를 포함한다.
풍속 정보 수신 단계(S1)는 제어장치(120)가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풍속 정보를 수신한다. 풍속 정보 수신 단계(S1) 제어장치(120)를 통해 측정부(110)에 측정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풍속 알람 단계(S3)는 제어장치(120)가 측정부(110)로부터 수신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한 제1조건(S2)이 만족되면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한다. 풍속 알람 단계(S3)는 제어장치(120)를 통해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경보음, 문자 경보, 진동 경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풍속 알람 단계(S3)는 제어장치(120)로 풍속의 범위에 따라 복수의 알람이 결합된 형태의 알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속 알람 단계(S3)는 제1조건(S2)이 만족됐는지에 따라 형태가 다른 알람을 제어장치(120)로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풍속 알람 단계(S3)는 제어장치(120)가 제1조건(S2)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문자 알람 형태로 풍속 정보 만을 표시하고, 제1조건(S2)이 만족되는 경우 문자 알람에 경보음과 진동 알람을 결합한 형태를 통해 측정부(110)에 기준 풍속 이상이 측정됨을 표시할 수 있다.
풍속 알람 단계(S3)는 입력부(122)로부터 전진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제2조건(S4a)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어장치(120)가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소정 시간 동안 풍속에 대한 알람 표시를 중단하는 풍속 알람 중단 단계(S8)를 포함한다.
또한, 제2조건(S4a)이 만족되지 않으면 가압 유닛(100)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 유닛 미작동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S9)는 제3조건(S5)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어장치(120)가 표시부(121)와 조작부(130)에 탑승교(B)의 조작 상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S6)는 제어장치(120)가 제2조건(S4a, S4b)과 제3조건(S5)이 동시에 만족되면 캐빈(C)의 회전장치(30)의 작동을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는 회전장치(30)의 작동이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제어장치(120)가 가압 유닛(100)을 작동시킨다.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는 입력부(122)로부터 전진 신호를 수신하면 가압 유닛(100)의 가압부재(102)를 로툰다(20)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가압부재 전진 단계(S7a)와, 가압부재 전진 단계(S7a) 이후에, 입력부(122)로부터 후진 신호를 수신하면 가압부재(102)를 후진시키는 가압부재 후진 단계(S7b)를 포함한다.
도 6의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은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S6),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 및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S9)를 포함한다.
도 6의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은 측정부(110)를 사용하지 않고, 조작부(130)에 가압 유닛(100)의 작동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시작될 수 있으므로 도 5의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이 풍속 정보 수신 단계(S1), 풍속 알람 단계(S3) 및 풍속 알람 중단 단계(S8)를 포함하지 않은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조건(S4a, S4b)은 제어장치(120)의 작동 신호 수신 여부에 있어서, 입력부(122)에 더불어 조작부(130)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즉, 도 6의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S6),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 및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S9)에 대한 설명은 도 5의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S6) 가압 유닛 작동 단계(S7) 및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S9)에 입력부(122) 대신 조작부(130)를 사용하는 것과 내용이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교 방풍 시스템(10)은 셔터(21)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02)를 포함함으로써, 강풍 또는 태풍에 의한 셔터(21)의 진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교 방풍 시스템(10)은 가압부재(102)를 셔터(21)에 대해 전후진시키는 구동부(104)를 자동 제어하는 제어장치(1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B: 탑승교
C: 캐빈
10: 탑승교 방풍 시스템
20: 로툰다
21: 셔터
30: 회전장치
31: 축
32: 지지대
100: 가압 유닛
101: 프레임
101a: 상부 프레임
101b: 하부 프레임
102: 가압부재
103: 완충부재
104: 구동부
110: 측정부
120: 제어장치
121: 표시부
122: 입력부
130: 조작부
140: 감시부
S1: 풍속 정보 수신 단계
S2: 제1조건
S3: 풍속 알람 단계
S4a, S4b: 제2조건
S5: 제3조건
S6: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
S7: 가압 유닛 작동 단계
S7a: 가압부재 전진 단계
S7b: 가압부재 후진 단계
S8: 풍속 알람 중단 단계
S9: 탑승교 조작 상태 알람 단계
S10: 가압 유닛 미작동 단계

Claims (15)

  1. 복수의 셔터가 측면 둘레를 따라 구비된 로툰다를 포함하는 탑승교;
    상기 로툰다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와 마주보도록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셔터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셔터에 대해서 전후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압 유닛;
    상기 탑승교의 상부에 구비되어 풍속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정보에 따라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정보가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한 제1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탑승교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에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상기 로툰다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은 캐빈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이 상기 캐빈의 회전장치와 결합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셔터에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탑승교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로부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작동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제2조건과, 상기 조작부를 통한 상기 탑승교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제3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조건과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되면 캐빈의 회전장치의 작동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풍속 알람 표시를 소정 시간 동안 중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상기 탑승교의 조작 상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교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 유닛의 작동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12. 제어장치가 측정부에서 측정된 풍속 정보를 수신하는 풍속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풍속이 기준 풍속 이상인지에 대한 제1조건이 만족되면 표시부와 조작부에 풍속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풍속 알람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입력부 또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제2조건과, 상기 조작부를 통한 탑승교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제3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면 캐빈의 회전장치의 작동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회전장치 작동 잠금 단계; 및
    상기 회전장치의 작동이 잠금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가압 유닛을 작동시키는 가압 유닛 작동 단계;
    를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풍속 알람 단계는 상기 제2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소정 시간 동안 풍속에 대한 알람 표시를 중단하는 풍속 알람 중단 단계를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에 상기 탑승교의 조작 상태에 대한 알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닛 작동 단계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압 유닛의 가압부재를 로툰다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가압부재 전진 단계와, 상기 가압부재 전진 단계 이후에,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후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가압부재를 후진시키는 가압부재 후진 단계를 포함하는 탑승교 방풍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220029103A 2022-03-08 2022-03-08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61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03A KR102618108B1 (ko) 2022-03-08 2022-03-08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103A KR102618108B1 (ko) 2022-03-08 2022-03-08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063A KR20230132063A (ko) 2023-09-15
KR102618108B1 true KR102618108B1 (ko) 2023-12-29

Family

ID=8801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103A KR102618108B1 (ko) 2022-03-08 2022-03-08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1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4996A2 (en) * 2020-06-16 2021-12-23 Tk Airport Solutions, S.A. Passenger boarding bri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199Y2 (ko) * 1988-09-26 1992-08-10
KR102209264B1 (ko) * 2018-12-19 2021-01-29 한국공항공사 복수 탑승교 원격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4996A2 (en) * 2020-06-16 2021-12-23 Tk Airport Solutions, S.A. Passenger boarding b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063A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00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DK1931569T3 (en) A method of automatically docking a passenger bridge or godshåndteringsbro to a door in a plane
JP6219247B2 (ja) 映像監視装置
JPH10182050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移動歩道用の接近領域監視装置
LU101335B1 (en) Smart emergency evacuation indicating system and method for a metro station
US7093692B2 (en) Door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102618108B1 (ko) 탑승교 방풍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070277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ack fault condition of passenger boarding bridge lift columns
NO329212B1 (no) Menneske-maskin grensesnitt for flyplasstrafikkontroll
KR101741107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US20180105397A1 (en)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JP6999332B2 (ja) トンネル内投影装置
JP625737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09264B1 (ko) 복수 탑승교 원격 운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4836A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CN103318740B (zh) 自动扶梯和自动人行道出入口通道阻塞监测管理系统
US10093518B1 (en) Remote inspection of passenger conveyors
JP5380819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10236757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CN109573768B (zh) 一种电梯维保保护装置及电梯维保保护方法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5990114U (zh) 一种自动扶梯安全监测报警系统
US8141693B2 (en) Combined traffic flow and maintenance information display for a passenger conveyor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N220100855U (zh) 立体车库人车误入安全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