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006B1 - 자동 광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광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006B1
KR102618006B1 KR1020180071355A KR20180071355A KR102618006B1 KR 102618006 B1 KR102618006 B1 KR 102618006B1 KR 1020180071355 A KR1020180071355 A KR 1020180071355A KR 20180071355 A KR20180071355 A KR 20180071355A KR 102618006 B1 KR102618006 B1 KR 10261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module
optical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633A (ko
Inventor
나상완
김기두
김대명
오호석
강왕규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한국엔지니어링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한국엔지니어링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7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0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 광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 각 선반 모듈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 상기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을 포함하는 랙 장비; 상기 랙 장비의 전면에 장착되어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또는 운용과 관련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자동화 장비; 및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광 분배 장치{AUTO FIBER DISTRIBUTION FRAME}
본 발명은 자동 광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 광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전화 및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은 음성이나 문자 데이터를 교환하는 수준의 통신을 넘어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전송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초고속 정보 통신 기술에 대한 요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회 전 분야에 있어서 통신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광케이블 통신망의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FDF(Fiber Distribution Frame) 또는 OFD(Optical Fiber Distribution) 등과 같은 광 분배 장치는, 광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되며 광 케이블을 수용하고 분배하는 설비이다. 통신 사업자들은 이러한 광 분배 장치를 이용하여 국사 및 지사의 통신 회선을 관리 및 운용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의 회선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이벤트 발생 등으로 인해 회선 작업이 필요한 경우, 회선 작업 내용이 현장 작업자에게 지시된다. 그러면, 현장 작업자는 작업 지시 내용을 확인하고, 작업 지시 내용에 따라 회선의 이동/체결/교체/제거 등의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현장 작업자는 회선 작업이 필요한 랙 장비(즉, 회선을 포함하고 있는 기구)를 찾은 후, 해당 장비에서 작업이 필요한 회선 및 포트를 확인한다. 이때, 회선 정보는 회선에 붙어 있는 라벨(label)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회선 작업이 완료되면, 현장 작업자는 회선 작업 결과를 서버에 기록(보고)한다.
한편, 최근에는 회선을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라벨 대신 QR 코드 또는 반도체 칩을 이용하여 회선에 ID를 부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회선의 이동/체결/교체/제거 등의 작업은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들이 발생한다. 예컨대,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회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이한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장 작업자가 회선을 잘못 연결하거나 혹은 올바른 회선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통신사에서 사용하는 랙 장비의 경우 5U 기준 144 포트를 수용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포트 및 회선의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포트 및 회선의 고밀도화가 진행될수록, 회선의 식별 및 관리는 점점 더 어려워 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무인 자동화 장비 등을 활용하여 회선 관리 및 운용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랙 장비에 장착된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랙 장비의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와, 상기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 정보 등을 획득하여 운용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 각 선반 모듈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 상기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을 포함하는 랙 장비; 상기 랙 장비의 전면에 장착되어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또는 운용과 관련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자동화 장비; 및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무인 자동화 장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3축 이동 모듈, 광 케이블을 잡기 위한 케이블 그립 모듈, 광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한 케이블 회수 모듈,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한 케이블 청소 모듈 및 특정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3축 이동 모듈은, 무인 자동화 장비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와,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 및 와이어를 잡을 수 있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를 구동하기 위한 그립 구동부, 상기 그립부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 상기 광 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하는 케이블 정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이동 시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외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그립 몸체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기 위한 와이어 그립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기 위한 커넥터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가 선반 모듈의 포트 위치로 정확히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정리부는, 그립 구동부의 일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며,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고리 모양의 브래킷(bracket)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케이블 회수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 및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실장하는 원통형 가이드부와 상기 원통형 가이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위치 판별부는, 커넥터 고정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청소 모듈은, 광 케이블 커넥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클리닝 부재를 보관하는 수납부, 상기 클리닝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클리닝 부재의 회전 길이를 감지하여 교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은, 선반 모듈의 측정 대상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와 상기 측정 대상 포트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검사용 케이블 및 상기 검사용 케이블을 보관하는 케이블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랙 장비의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미리 결정된 동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선 교체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선 정리 부재들 각각은, 프레임 조립체의 플레이트 부재 상에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 단에 스프링 타입으로 장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선반 모듈들은,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선반 모듈들과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선반 모듈들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선반 모듈들의 포트들은 입력 포트(input port)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선반 모듈들의 포트들은 출력 포트(output por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회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회선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의 작업 지시자가 다수의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상기 랙 장비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의 품질 상태 및 특성 변화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랙 장비의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 등을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를 수작업으로 관리할 때 발생되었던 휴면 에러를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른 데이터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회선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측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그립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Z축 이동부의 구동에 따라 케이블 그립 모듈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리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회수 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부의 상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회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정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교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랙 장비에 장착된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랙 장비의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와 상기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 정보 등을 획득하여 운용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선 관리 시스템(200)은 자동 광 분배 장치(210), 계측 장치(220), 운용 플랫폼(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되며 광 케이블을 수용하고 분배하는 장치이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운용 플랫폼(23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회선 관리 및 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운영 플랫폼(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및/또는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광 케이블 교체 작업, 광 케이블 여장 정리 작업, 광 케이블 청소 작업, 광 케이블 선로 품질 측정 작업 등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랙 장비의 시설 정보, 회선 연결 정보 및 회선 작업 정보 등을 자동으로 획득하여 운영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계측 장치(220)는 자동 광 분배 장치(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220)에서 측정하는 품질 데이터에는, 광 신호의 세기 정보, 케이블 선로의 거리에 따른 손실 정보(dB), 케이블 선로의 단락 여부에 관한 정보, 접속 부분의 불량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이 있다.
계측 장치(220)는 운용 플랫폼(23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해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 측정 데이터를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장치(220)로는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장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계측 장치(220)가 회선 관리 시스템(200) 상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계측 장치(220)가 자동 광 분배 장치(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운용 플랫폼(230)은 회선 관리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운용 플랫폼(130)은 자동 광 분배 장치(210), 계측 장치(220) 및 데이터베이스(24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디바이스들(210, 220, 240)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플랫폼(130)은 자동 광 분배 장치(210) 및 계측 장치(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하고,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운용 플랫폼(230)은 자동 광 분배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랙 장비의 시설 정보, 회선 연결 정보, 회선 작업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용 플랫폼(230)은 계측 장치(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랙 장비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운용 플랫폼(230)에서 생성 및 가공되는 데이터, 자동 광 분배 장치(210)에서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계측 장치(220)에서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40)는 자동 광 분배 장치(210) 및/또는 운용 플랫폼(23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운용 플랫폼(230)의 외부에 위치하는 DB 서버의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40)는 운용 플랫폼(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 장치의 형태로 구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용 플랫폼(230)은, 미리 결정된 이벤트 발생 시, 작업 명령 신호를 자동 광 분배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S310). 이때, 상기 작업 명령 신호는 고장 위치 정보, 고장 내용에 관한 정보, 회선 작업 내용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작업 명령 신호 수신 시, 운용 플랫폼(230)의 작업 지시 내용에 따라 회선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S320). 즉,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랙 장비에 연결된 회선의 이동/체결/교체/제거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회선 작업 완료 시, 회선 작업 내용 및 회선 작업 결과에 관한 정보를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운용 플랫폼(230)은 자동 광 분배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회선 작업 내용 및 회선 작업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할 수 있다(S34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회선 관리 프로세스는 자동 광 분배 장치의 도입을 통해 현장 작업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으며, 무인 자동화 장비(즉, 무인 로봇)가 현장 작업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회선 작업(이동/체결/교체/제거)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광 분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수의 작업 지시자가 다수 지역(국사 및 지사)의 회선을 관리할 수 있어 회선 관리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400)는 랙 장비(410), 무인 자동화 장비(420) 및 제어 장비(430)를 포함할 수 있다.
랙 장비(또는 광 분배함, 410)는 옥외 또는 옥내용 광 케이블로부터 네트워크 장비로 각각 분기되는 광 파이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랙 장비(410)는 프레임 조립체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과, 각 선반 모듈의 포트들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들(즉, 회선들)과, 상기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회선 정리 부재(또는 케이블 거치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자동화 장비(420)는 랙 장비(410)의 전면에 장착되어 3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장비(4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랙 장비(420)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 자동화 장비(420)는 3축 이동 모듈(421), 케이블 그립 모듈(422), 케이블 회수 모듈(423), 케이블 청소 모듈(424) 및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4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3축 이동 모듈(421)은 랙 장비(410)의 전면에 장착된 무인 자동화 장비(420)를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422)은 그립 수단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아서 선반 모듈의 각 포트에 탈/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그립 모듈(422)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 탈/부착 시, 그립 수단이 선반 모듈의 포트 위치로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422)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간의 케이블 연결 작업을 진행한 후 케이블 정리 수단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이 서로 꼬이지 않도록 광 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회수 모듈(423)은 하부 선반 모듈의 포트에서 탈착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 당겨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고정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회수 모듈(423)은, 커넥터 이동 완료 시, 고정 수단을 회전시켜 방향성을 갖는 커넥터의 위치를 올바른 위치로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청소 모듈(424)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연결하기 전에 상기 커넥터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425)은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정상적인 신호가 측정되는지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425)은 검사 장치(OTDR) 및 검사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타겟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 장비(430)는 무인 자동화 장비(420)의 인접 영역에 설치되어, 운용 플랫폼(230)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4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비(430)는 무인 자동화 장비(42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회선 관리 및 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비(430)는 무인 자동화 장비(4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무인 자동화 장비(4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비(430)는 랙 장비의 시설 정보, 회선 연결 정보 및 회선 작업 정보 등을 무인 자동화 장비(4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비(430)는 운용 플랫폼(23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회선 관리 및 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장비(430)는 무인 자동화 장비(42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운용 플랫폼(2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비(430)는 랙 장비의 시설 정보, 회선 연결 정보 및 회선 작업 정보 등을 획득하여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정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측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500)는 랙 장비(510), 무인 자동화 장비(520), 상기 랙 장비(510)에 무인 자동화 장비(520)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랙 장비(510)는 프레임 조립체(511)와, 상기 프레임 조립체(511)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과, 각 선반 모듈(512)의 포트들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들(513)과, 상기 광 케이블들(513)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5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조립체(511)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부재, 플레이트 부재, 체결 부재 및 이동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511)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적용된 판넬(panel) 구조로서, 표준 19인치 랙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 조립체(511)에 장착되는 선반 모듈들(512)의 너비는, 나사로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모서리를 포함해서 총 19인치(482.6mm)이다.
프레임 조립체(511)는, 무인 자동화 장비(520)의 이동을 위해,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조립체(511)는 복수의 체결 부재를 통해 무인 자동화 장비(520)와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선반 모듈들과, 프레임 조립체(511)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선반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선반 모듈의 포트들은 입력 포트(input port)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 선반 모듈의 포트들은 출력 포트(output port)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상부 선반 모듈의 포트들은 출력 포트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 선반 모듈의 포트들은 입력 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선반 모듈(512)은 함체, 트레이, 커넥터 접속부(또는 포트), 체결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선반 모듈(512)은 프레임 조립체(5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반 모듈(512)은 미리 결정된 개수의 포트들(ports)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선반 모듈(512)의 표준 높이는 1.75 인치(44.45 mm, 1 랙유닛/1U)의 배수로 정해진다.
광 케이블(513)은 미리 결정된 길이를 갖는 와이어(wire)와, 상기 와이어의 양 단에 설치된 커넥터(connector)와, 상기 와이어와 커넥터를 접속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케이블들(513)은 상부 선반 모듈의 입력 포트와 하부 선반 모듈의 출력 포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514)은 각 선반 모듈(512)의 포트들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들(513)의 꼬임을 방지하거나 혹은 광 케이블들(513)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회선 정리 부재들(514)은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며, 프레임 조립체(511)의 플레이트 부재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조립체(511)에 장착되는 회선 정리 부재들(514)의 개수는, 랙 장비(520)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포트 열의 총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프레임 조립체에 8개의 선반 모듈이 장착되고, 각 선반 모듈에 4개의 포트 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반 모듈들의 인접 영역에는 총 32개의 회선 정리 부재들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프레임 조립체(511)에 장착되는 회선 정리 부재들(514)의 개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프레임 조립체에 8개의 선반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선반 모듈들의 인접 영역에는 총 8개의 회선 정리 부재들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514)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플레이트 부재 상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선반 모듈(512)에 대응하는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514)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상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1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2 상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2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3 상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3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4 상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4 회선 정리 부재들은 사선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1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2 하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2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3 하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3 회선 정리 부재들과 제4 하부 선반 모듈에 대응하는 제4 회선 정리 부재들은 사선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회선 정리 부재(514)는 샤프트(Shaft)부, 원통부 및 커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선 정리 부재(514)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530)은 랙 장비(510)의 내측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랙 장비(510)에 장착된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530)은 복수의 체결 부재를 통해 프레임 조립체(51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무인 자동화 장비(520)는 3축 이동 모듈(521), 케이블 그립 모듈(522), 케이블 회수 모듈(523), 케이블 청소 모듈(524),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 및 스페어 포트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자동화 장비(520)는 지지 프레임(530) 상에 장착되며, 상기 랙 장비(510)에 장착된 복수의 선반 모듈들(512)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인 자동화 장비(520)는 미리 결정된 모양의 몸체(body)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는 무인 자동화 장비(52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521~525)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3축 이동 모듈(521)은 서보 모터, 볼 스크류, 가이드 레일 등을 이용하여 랙 장비(51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무인 자동화 장비(520)를 3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축 이동 모듈(521)은 무인 자동화 장비(520)의 몸체가 랙 장비(510)의 선반 모듈들(512)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3축 이동 모듈(521)은, 랙 장비(510)의 전면을 기준으로, 무인 자동화 장비(520)를 수직(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521a)와 무인 자동화 장비(520)를 수평(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521b)와 무인 자동화 장비(5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이동부(521c)를 포함할 수 있다.
Y축 이동부(521a)는 지지 프레임(530)의 상부 프레임 부재와 하부 프레임 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프레임 조립체(511)의 바닥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Y축 이동부(521a)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X축 이동부(521b)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X축 이동부(521b)는 Y축 이동부(521a)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 조립체(511)의 바닥 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X축 이동부(521b)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Z축 이동부(521c), 케이블 그립 모듈(522) 및 케이블 회수 모듈(52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Z축 이동부(521c)는 X축 이동부(521b)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며, 선반 모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Z축 이동부(521c)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522)을 전후 방향(즉, 선반 모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3축 이동 모듈(521)은 Y축 이동부(521a), X축 이동부(521b) 및 Z축 이동부(521c)를 이용하여 무인 자동화 장비(52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522)은 Z축 이동부(521c)의 일 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522)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전면을 기준으로 Y축 이동부(521a)의 구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X축 이동부(521b)의 구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Z축 이동부(521c)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즉, 선반 모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522)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 및 와이어를 잡을 수 있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를 구동하기 위한 그립 구동부, 상기 그립부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 광 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하는 케이블 정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이동 시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외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522)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케이블 회수 모듈(523)은 X축 이동부(521b)의 일 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523)은 케이블 그립 모듈(5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회수 모듈(523)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케이블 회수부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와, 카메라로 커넥터를 촬영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와, 케이블 회수 모듈(523)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523)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케이블 청소 모듈(524)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측면 플레이트 부재의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케이블 청소 모듈(524)은 커넥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클리닝 부재를 보관하는 수납부와, 상기 클리닝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클리닝 부재의 회전 길이를 감지하여 교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케이블 청소 모듈(524)은 브러시(brush), 에어 펌프(air pump) 및 세척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522)이 광 케이블(513)의 커넥터를 그립한 후 미리 결정된 위치로 가져오면, 케이블 청소 모듈(524)은 클리닝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의 앞 단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측면 플레이트 부재의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은 케이블 청소 모듈(524)의 인접 영역(즉,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은 선반 모듈(512)의 측정 대상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와 상기 선반 모듈(512)의 측정 대상 포트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검사용 케이블, 상기 검사용 케이블을 보관하는 케이블 수납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로는 OTDR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522)이 검사용 케이블의 커넥터를 그립한 후 선반 모듈(512)의 측정 대상 포트로 이동하여 장착하면,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은 검사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525)은 측정 데이터를 제어 장비(430)를 통해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제어 장비(430)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페어 포트 모듈은, 프레임 조립체(511)의 측면 플레이트 부재의 일 영역에 장착되거나 혹은 케이블 청소 모듈(524)의 일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스페어 포트 모듈은, 회선 작업 시,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임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그립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그립 모듈(600)은 Z축 이동부(521c)의 일 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Z축 이동부(521c)는 X축 이동부(521b)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고, X축 이동부(521b)는 Y축 이동부(521a)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600)은, 랙 장비의 전면을 기준으로, Y축 이동부(521a)의 구동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X축 이동부(521b)의 구동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600)은, 랙 장비의 전면을 기준으로, Z축 이동부(521c)의 구동에 따라 전후(앞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령,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이동부(521c)는,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600)을 전방(즉, 선반 모듈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후방(즉, 선반 모듈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600)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 및 와이어를 잡을 수 있는 그립부(610), 상기 그립부(610)를 구동하기 위한 그립 구동부(620), 상기 그립부(610)를 360도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630), 광 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하는 케이블 정리부(640) 및 상기 그립부(6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61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그립 몸체부(611, 612),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기 위한 와이어 그립부(613), 그립부(610)가 선반 모듈의 포트 위치로 정확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614) 및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기 위한 커넥터 그립부(6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 몸체부(611, 612)의 일 단은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 단은 그립 구동부(6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 몸체부(611, 612)의 일 단에 형성된 절곡부의 내 측면에는 와이어 그립부(6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 몸체(611, 612)부의 일 단에 형성된 절곡부의 외 측면에는 가이드부(614)가 수직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614)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선반 모듈의 포트에 연결시킬 때 위치 보정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614)의 일 단에는 커넥터 그립부(6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그립부(615)는 커넥터가 잘 빠지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 구동부(620)는, 제어 장비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그립 몸체부(611)와 제2 그립 몸체부(6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광 케이블의 커넥터 또는 와이어를 잡고자 하는 경우, 그립 구동부(620)는 제1 그립 몸체부(611)와 제2 그립 몸체부(6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미리 결정된 이격 거리로 줄일 수 있다. 반대로, 광 케이블의 커넥터 또는 와이어를 놓고자 하는 경우, 그립 구동부(620)는 제1 그립 몸체부(611)와 제2 그립 몸체부(612) 사이의 이격 거리를 미리 결정된 이격 거리로 늘릴 수 있다.
회전 구동부(630)는, 제어 장비의 제어 명령에 따라, 그립부(610) 및 그립 구동부(620)를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630)는 그립 구동부(620)와 Z축 이동부(52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정리부(640)는 그립 구동부(620)의 일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며, X축 이동부(521b)의 구동에 따라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회선 정리 부재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정리부(6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걸 수 있는 V자 모양(또는 고리 모양)의 브래킷(bracke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선반 모듈의 입력 포트와 하부 선반 모듈의 출력 포트에 광 케이블이 장착되면, 상기 광 케이블은 선반 모듈들의 정면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를 방치할 경우, 여러 광 케이블들이 서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입력 포트 및 출력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그립 모듈(600)은 케이블 정리부(640)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랙 장비의 일 측에 배치된 회선 정리 부재로 이동한 후 광 케이블을 회선 정리 부재 위에 거치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그립 구동부(620)의 내부에 장착되어, 그립부(610)의 이동 시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외력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그립부(6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의 존재로 인해, 그립부(610)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탈/부착할 선반 모듈의 포트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회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X축 이동부의 일 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케이블 그립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케이블 회수부(910)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고정하고, 커넥터를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조정하는 커넥터 고정부(920)와, 카메라로 커넥터를 촬영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와, 케이블 회수 모듈(90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940)와, 케이블 회수 모듈(900)을 X축 이동부에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회수부(91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두 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이격 거리는 광 케이블의 와이어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가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놓으면, 케이블 회수부(910)는 롤러 구동부를 통해 제1 및 제2 롤러를 구동하여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당길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920)는 케이블 회수부(910)의 전방에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고정하고,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올바른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9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의 개방 영역에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가 배치되고, 상부의 개방 영역에는 광 케이블의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920)는 내 측면에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한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 고정부(920)는 커넥터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고정부(920)는 커넥터를 실장하는 원통형 가이드부(921)와 상기 원통형 가이드부(921)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922)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는 커넥터 고정부(920)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방향성을 갖는 커넥터의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분석부는 무인 자동화 장비가 아닌 제어 장비에 구현될 수 있다.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커넥터 영상과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커넥터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커넥터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Y축 구동부(940)는 케이블 회수부(9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케이블 회수 모듈(900)을 케이블 그립 모듈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부(950)는 체결 부재를 통해 케이블 회수 모듈(900)을 X축 이동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X축 이동부의 구동에 따라,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회수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가 광 케이블(1100)의 와이어(1110)를 케이블 회수부(910) 및 커넥터 고정부(920) 상에 올려 놓으면,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케이블 회수부(910)를 통해 광 케이블(1100)의 와이어(1110)를 잡아당겨 광 케이블(1100)의 커넥터(1120)를 커넥터 고정부(920)에 위치시킨다.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를 통해 방향성을 갖는 커넥터(1120)가 커넥터 고정부(920) 상에 올바르게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커넥터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는 경우,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커넥터 고정부(920)를 90도씩 회전하면서 커넥터(112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20)가 커넥터 고정부(920)에 잘못 들어와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을 경우,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에서 성공 판단을 내리지 못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커넥터 위치 판별부(930)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실패 판정을 내리면,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케이블 회수부(910)의 롤러들을 일정 시간 동안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광 케이블(1100)의 와이어(1110)를 반대 방향으로 빼낸다. 이후, 케이블 회수 모듈(900)은 케이블 회수부(910)의 롤러들을 다시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광 케이블(1100)의 와이어(1110)를 끌어 올려 커넥터 고정부(920)에 커넥터(112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셀프 힐링(Self-Healing)이라고 한다. 상기 셀프 힐링 과정은 초기 단계에서 작업자가 일정 횟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셀프 힐링 과정을 통해 커넥터의 위치가 올바르게 보정된 경우, 케이블 그립 모듈은 그립부를 통해 커넥터를 잡은 후 미리 결정된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정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선 정리 부재(1200)는 선반 모듈들의 인접 영역에 위치하는 프레임 조립체의 플레이트 부재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선 정리 부재(1210)는 랙 장비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회선 정리 부재(1210)는 샤프트부(1210), 원통부(1220) 및 커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1210)는 체결 부재를 통해 프레임 조립체의 플레이트 부재 상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1210)는 원통형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부(1220)는 사프트부(121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중심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20)는 샤프트부(1210)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22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합성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30)는 체결 부재를 통해 샤프트부(1210)의 일 단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30)는 스프링 타입으로 결합되어 광 케이블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1230)는 한 방향으로만 접히는 구조로서, 시계 방향(광 케이블이 들어오는 방향)으로는 용이하게 회전되지만, 반 시계 방향(즉, 광 케이블이 빠져나가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선 정리 부재에 수많은 광 케이블이 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선 작업을 진행하는데, 케이블 회수 모듈을 통해 하부의 광 케이블을 끌어올릴 때 해당 케이블이 다른 케이블과 엉켜 같이 끌려 나오게 되고, 끌려 나온 케이블은 작업 진행 시 에러 요인이 되어 회선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회선 정리 부재의 끝 단에 장착된 커버부(1230)는 같이 끌려 나오는 광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선 교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미리 결정된 동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선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운용 플랫폼(230)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회선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운용 플랫폼(230)으로부터 광 케이블 교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305).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 교체 전에 선반 모듈의 작업 대상 포트(즉, 타겟 포트)에 정상적인 신호가 측정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310). 이를 위해,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OTDR 장비에 연결된 검사용 케이블의 커넥터를 그립한 후 타겟 포트로 이동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해당 커넥터를 타겟 포트에 장착한 후 OTDR 장비를 통해 타겟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검사용 케이블의 커넥터를 작업 대상 포트에서 탈착한 후 검사용 케이블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운용 플랫폼(230)은 OTDR 장비로부터 수신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겟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타겟 포트의 선로가 정상인 경우,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 교체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타겟 포트의 선로가 비 정상인 경우,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 교체 작업을 중지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 교체 시,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교체 대상 케이블이 존재하는 하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S1315). 이때,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그립 모듈을 좌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하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하부 선반 모듈 도착 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우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이 해당 선반 모듈을 바라보도록 하고,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를 하부 선반 모듈의 맨 좌측 포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케이블 그립 모듈의 가이드부가 아래 방향으로 쳐진 광 케이블을 들어올리면서 옆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광 케이블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그립부를 통해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X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우측 방향에 존재하는 작업 대상 포트(즉, 교체 대상 케이블이 연결된 포트)로 이동시키고, Z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작업 대상 포트의 일정 위치까지 전진시킬 수 있다. 광 케이블 사이로 전진한 커넥터 그립부는 가이드부를 통한 위치 보정으로 작업 대상 포트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그립부로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은 상태에서 뒤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작업 대상 포트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S1320). 이후,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부로 잡고 있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놓아서 아래 방향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교체 대상 케이블이 존재하는 상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S1325). 이때,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그립 모듈을 좌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상부 선반 모듈 도착 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우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이 해당 선반 모듈을 바라보도록 하고,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를 상부 선반 모듈의 맨 좌측 포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X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우측 방향에 존재하는 작업 대상 포트로 이동시키고, Z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작업 대상 포트의 일정 위치까지 전진시킬 수 있다. 광 케이블 사이로 전진한 커넥터 그립부는 가이드부를 통한 위치 보정으로 작업 대상 포트의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그립부로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은 상태에서 뒤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작업 대상 포트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S1330).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부가 커넥터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좌측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X축 이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을 상부 선반 모듈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스페어 포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스페어 포트 도달 시, Z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전진시켜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스페어 포트에 장착시킬 수 있다(S1335). 커넥터가 스페어 포트에 장착되면,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부로 잡고 있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놓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와이어 그립부를 통해 스페어 포트에 장착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스페어 포트의 반대 방향으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다(S1340). 이에 따라,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스페어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직선으로 평평하게 펼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회수 모듈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케이블 회수부의 두 롤러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 구동부를 통해 와이어 그립부를 제어하여 케이블의 와이어를 놓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두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 거리만큼 좁힌 후 두 롤러를 구동하여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당기고, 해당 와이어의 일 단에 형성된 커넥터를 커넥터 고정부에 위치시킨다(S1345).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를 이용하여 방향성을 갖는 커넥터가 커넥터 고정부에 올바르게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커넥터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고정부를 90도씩 회전하면서 커넥터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S1350).
커넥터의 위치가 올바르게 보정된 경우,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고정부에 놓인 커넥터를 커넥터 그립부로 잡은 후 케이블 그립 모듈을 케이블 청소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청소 모듈에 구비된 클리닝 부재를 이용하여 커넥터에 묻은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S1355).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청소 완료 시,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타겟 포트가 존재하는 하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S1360).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하부 선반 모듈 도착 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우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를 하부 선반 모듈의 맨 좌측 포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X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우측 방향에 존재하는 타겟 포트로 이동시키고, Z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를 하부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장착시킬 수 있다(S1365). 이후,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 구동부를 통해 커넥터 그립부를 제어하여 커넥터를 놓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상부 선반 모듈의 인접 영역에 위치한 스페어 포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S1370).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커넥터 그립부로 스페어 포트에 장착된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은 후 뒤로 이동하여 스페어 포트로부터 커넥터를 탈착시킬 수 있다(S1375).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타겟 포트가 존재하는 상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S1380).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상부 선반 모듈 도착 시, 케이블 그립 모듈을 우측 방향으로 90도 회전하고, 케이블 그립 모듈의 그립부를 상부 선반 모듈의 맨 좌측 포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X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우측 방향에 존재하는 타겟 포트로 이동시키고, Z축 이동부를 통해 그립부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를 상부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장착시킬 수 있다(S1385).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그립 구동부를 통해 커넥터 그립부를 제어하여 커넥터를 놓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그립 모듈의 일 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정리부를 이용하여 상부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랙 장비의 우측에 배치된 회선 정리 부재로 이동한 후 광 케이블을 회선 정리 부재에 거치할 수 있다(S1390).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3축 이동 모듈을 이용하여 케이블 그립 모듈을 하부 선반 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케이블 그립 모듈의 일 측면에 배치된 케이블 정리부를 이용하여 하부 선반 모듈의 타겟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랙 장비의 우측에 배치된 회선 정리 부재로 이동한 후 광 케이블을 회선 정리 부재에 거치할 수 있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광 케이블의 여장 정리를 통해 광 케이블 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동 광 분배 장치(210)는 회선 교체 작업을 통해 변경된 시설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변경된 시설 정보와 회선 교체 작업 결과에 관한 정보를 운용 플랫폼(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광 분배 장치는, 무인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회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회선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의 작업 지시자가 다수의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회선 관리 시스템 210: 자동 광 분배 장치
220: 계측 장치 230: 운용 플랫폼
240: 데이터베이스 400: 자동 광 분배 장치
410: 랙 장비 420: 무인 자동화 장비
430: 제어 장비

Claims (15)

  1.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 각 선반 모듈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 상기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을 포함하는 랙 장비;
    상기 랙 장비의 전면에 장착되어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또는 운용과 관련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자동화 장비; 및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되,
    상기 회선 정리 부재들 각각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 단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3축 이동 모듈, 광 케이블을 잡기 위한 케이블 그립 모듈, 광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한 케이블 회수 모듈,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청소하기 위한 케이블 청소 모듈 및 특정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축 이동 모듈은,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Y축 이동부와,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이동부와,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Z축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그립 모듈은, 광 케이블의 커넥터 및 와이어를 잡을 수 있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를 구동하기 위한 그립 구동부, 상기 그립부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구동부, 상기 광 케이블의 여장을 정리하는 케이블 정리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이동 시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한 외력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그립 몸체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기 위한 와이어 그립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잡기 위한 커넥터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가 선반 모듈의 포트 위치로 정확히 들어갈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정리부는, 상기 그립 구동부의 일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며,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걸 수 있는 고리 모양의 브래킷(bracket)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케이블 회수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 및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8. 프레임 조립체, 상기 프레임 조립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 모듈들, 각 선반 모듈의 포트들에 연결된 광 케이블들, 상기 광 케이블들의 여장을 정리하기 위한 복수의 회선 정리 부재들을 포함하는 랙 장비;
    상기 랙 장비의 전면에 장착되어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사업자의 회선 관리 또는 운용과 관련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무인 자동화 장비; 및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비를 포함하되,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광 케이블을 회수하기 위한 케이블 회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은, 광 케이블의 와이어를 잡아 당기는 케이블 회수부, 상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로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 상기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커넥터 위치 판별부 및 상기 케이블 회수 모듈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고정부는,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실장하는 원통형 가이드부와 상기 원통형 가이드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위치 판별부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광 케이블의 커넥터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커넥터의 위치를 판별하는 영상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청소 모듈은, 광 케이블 커넥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클리닝 부재를 보관하는 수납부, 상기 클리닝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클리닝 부재의 회전 길이를 감지하여 교체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선로 검사 모듈은, 선반 모듈의 측정 대상 포트에 연결된 광 케이블 선로의 품질을 측정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와 상기 측정 대상 포트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검사용 케이블 및 상기 검사용 케이블을 보관하는 케이블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반 모듈들은,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선반 모듈들과, 상기 프레임 조립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선반 모듈들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선반 모듈들의 포트들은 입력 포트(input port)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선반 모듈들의 포트들은 출력 포트(output por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상기 랙 장비의 시설 정보 및 회선 연결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어 장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자동화 장비는, 미리 결정된 동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회선 교체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광 분배 장치.
KR1020180071355A 2018-06-21 2018-06-21 자동 광 분배 장치 KR10261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55A KR102618006B1 (ko) 2018-06-21 2018-06-21 자동 광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355A KR102618006B1 (ko) 2018-06-21 2018-06-21 자동 광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33A KR20190143633A (ko) 2019-12-31
KR102618006B1 true KR102618006B1 (ko) 2023-12-26

Family

ID=6905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55A KR102618006B1 (ko) 2018-06-21 2018-06-21 자동 광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0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6334A1 (en) 2007-10-15 2010-12-16 Dr. Anthony Kewitsch Scalable and modular automated fiber optic cross-connect systems
US20150029495A1 (en) * 2012-03-08 2015-01-29 Kevin B. Leigh Diagnostic module
US20160202424A1 (en) * 2014-12-14 2016-07-14 Telescent Inc. High reliability robotic cross-connect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130B1 (ko) * 1995-08-19 1998-12-15 권문구 광컨넥터 자동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6334A1 (en) 2007-10-15 2010-12-16 Dr. Anthony Kewitsch Scalable and modular automated fiber optic cross-connect systems
US20150029495A1 (en) * 2012-03-08 2015-01-29 Kevin B. Leigh Diagnostic module
US20160202424A1 (en) * 2014-12-14 2016-07-14 Telescent Inc. High reliability robotic cross-connect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33A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2594B2 (en) Diagnostic module
CN108388194A (zh) 铁路机房智能机器人巡检系统及其方法
US20170302046A1 (en) Fiber laser oscillator and clean bench mountable to the same
CN111399136A (zh) 一种网络配线装置及其配线方法
KR102618006B1 (ko) 자동 광 분배 장치
CN208044380U (zh) 一种铁路机房智能机器人巡检系统
CN105650425A (zh) 一种可适应不同相机尺寸的多用云台
CN101379663B (zh) 网络线缆的永久终端
EP2677357A1 (en) Optical cabling cassette for a data rack system
CN110962128B (zh) 一种变电站巡检布点方法及巡检机器人控制方法
CN104067153B (zh) 连接器标记
CN108873777B (zh) 一种地面测试发射控制系统监控平台及监控方法
KR101989461B1 (ko)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로봇 작업장 안전강화 시스템 및 방법
JP2019179134A (ja) 光成端箱及び光配線接続状態管理システム
CN216527959U (zh) 显示屏检测装置
US9904028B2 (en) Ultra-high density splice systems
CN113703113A (zh) 一种快速装配的模块化光纤配线架及其装配方法
KR20190091953A (ko) 자동 광 분배 장치
TWI641884B (zh) Automated fiber network scheduling method
CN215268432U (zh) 一种彩色可视楼宇对讲分机安装保护装置
CN117811667A (zh) 光纤自动化切换设备及控制方法
CN115755297A (zh) 排障辅助装置
WO2013004488A1 (en) A device for handling a connectorized fiber cable
JP5539548B1 (ja) 光配線盤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光配線盤作業方法
EP3742879B1 (en) Work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