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606B1 -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606B1
KR102617606B1 KR1020220107523A KR20220107523A KR102617606B1 KR 102617606 B1 KR102617606 B1 KR 102617606B1 KR 1020220107523 A KR1020220107523 A KR 1020220107523A KR 20220107523 A KR20220107523 A KR 20220107523A KR 102617606 B1 KR102617606 B1 KR 102617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cleaning
ho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헌
김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7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립된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도록 된 상수도관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상수도관을 세척할 용수를 공급하는 세척장치의 세척호스에 부상노즐을 연결하는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밸브들을 차단한 후 상기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용수를 배출시키는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상기 세척호스와 상기 부상노즐을 투입하는 세척호스 투입단계와,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는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와, 상기 부상노즐에 마련되는 감시카메라로 상기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잔여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상기 배출호스를 인입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처리용수 배출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배출호스를 분리한 후 상기 관통홀을 덮으면서 마감커버를 부착하는 상수도관 관통홀 마감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모니터링 하면서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상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도록 되어, 매립된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해 세척호스 및 부상노즐을 투입하여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수도관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슬러지를 제거함과 아울러 모니터링수단에 의해 모니터링하면서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 How to clean and manage the water supply pipe using the camera mounted on the floating nozzle at the end of the washing hose }
본 발명은 세척호스 끝단 부분에 연결 설치된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립된 상수도관에 새들분수전을 설치하여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해 세척호스 및 부상노즐을 투입하여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용 용수에 의해 상수도관 내면벽에 달라붙은 슬라임 또는 슬러지 또는 오니로 이루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모니터링수단에 의해 모니터링하면서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지하에 매설시키면서 형성된 관로로 식수용 상수를 이동시켜 각 가정과 수요처와 해당 시설물 등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할 수록 파이프 자체에서 발생하는 녹과 함께 상수에 용해되어 있는 구리, 철, 아연 등의 금속성 영양물질 및 미네랄 등이 소독약품인 염소와 상수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생되는 이물질 및 슬라임, 슬러지, 오니가 침적되어 상수도관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상수의 이동(이송)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공급되는 상수의 수질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상수도관의 내부에 슬라임 또는 슬러지나 이물질에 의해 상수도관이 막히거나 이송되는 용수의 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상수도관을 분리하여 다른 상수도관으로 교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방식은 상수도관이 배설된 부분을 따라 굴착한 후 상수도관을 교체해야하므로 시공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수도관의 교체에 따른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08475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된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해 세척호스 및 부상노즐을 투입하여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수도관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슬러지(슬라임)를 제거함과 아울러 모니터링수단에 의해 모니터링하면서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립된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도록 된 상수도관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상수도관을 세척할 용수를 공급하는 세척장치의 세척호스에 부상노즐을 연결하는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밸브들을 차단한 후 상기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용수를 배출시키는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상기 세척호스와 상기 부상노즐을 투입하는 세척호스 투입단계와,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는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와, 상기 부상노즐에 마련되는 감시카메라로 상기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와,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잔여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상기 배출호스를 인입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처리용수 배출단계와,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배출호스를 분리한 후 상기 관통홀을 덮으면서 마감커버를 부착하는 상수도관 관통홀 마감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모니터링 하면서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상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상노즐은, 상기 세척호스에 연결되도록 일단에 끼움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된 노즐하우징과,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의 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공들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의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세척하게 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에는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모니터링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되는 체결홈들과,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감시카메라와, 상기 노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되는 발광램프로 이루어져,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를 통해 관리자단말로 수신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세척호스 끝단에 연결 설치된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은 지하에 매립된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해 세척호스 및 부상노즐을 투입하여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수도관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슬라임, 슬러지, 오니를 제거함과 아울러 모니터링수단에 의해 모니터링하면서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모니터링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부상노즐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의 모니터링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배출호스와 세척호스는 같은 구성과 의미이고 또한, 배출펌프와 공급펌프는 같은 구성과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고 이해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이라 명명함)는 지중에 매립된 상수도관(1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도록 된 상수도관(100) 세척방법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상수도관(100) 세척방법은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S1)와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S2)와 세척호스 투입단계(S3)와 세척하는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4)와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S5)와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6)와 처리용수 배출단계(S7)와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진다.
상수도관(100)의 내부에 퇴적(침적)된 슬러지, 슬라임, 스케일, 오니가 포함되는 이물질 제거에 사용되는 물을 용수 또는 세척수라 하고, 용수와 세척수는 같은 의미이며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S1)는 상기 상수도관(100)을 세척할 용수를 공급하는 세척장치의 세척호스(200)에 부상노즐(10)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S1)에서는 상기 부상노즐(10)은 상기 세척호스(200)의 일측 단부에 수밀 상태로 끼움된 후 접착 고정설치되거나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척호스(200)로부터 이송되어 전달되는 세척용 용수를 공급받아 상수도관(100)의 세척구간 내부의 벽면으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상노즐(10)은 상기 세척호스(200)의 일단에 끼움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된 노즐하우징(20)과,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하우징(20)의 외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의 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공(3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공(30)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면의 벽에 달라붙은(침적, 퇴적)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공(30)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부상노즐(10)이 부상하여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내면의 벽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 분리시킴과 아울러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세척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세척호스(200)를 상기 관통공에 지속적으로 인입시켜, 상기 상수도관(100)의 세척구간을 따라 상기 부상노즐(10)이 이동시키게 된다.
부상노즐(30)의 막혀진 끝단 일 부분에 고리를 형성하고 로프를 연결하며 진행하는 방향의 해당 관통공으로 인출되도록 연결시킨 후 인양하는 방식으로 세척구간 내에서의 부상노즐(30)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분사공(30)은 세척수가 배출되는 분사경로를 따라 곡선지게 형성하여, 분사공(32)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가 소용돌이 형태로 와류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탈거효율 및 세척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상노즐(30)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세척호스(200)와의 연결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또한, 상기 분사공(30)의 내면에는 분사경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의 와류홈 또는 와류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분사공(3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 용수가 상기 와류홈 또는 와류돌기에 안내되어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되면서 배출되어, 상하수도관에 달라붙은 이물질의 탈거효율 및 세척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S2)는 상기 상수도관(100)의 지정된 세척구간 일측끝단에 설치된 제 1 제수밸브(201)의 순방향 다음 단에 제 1 새들분수전(301)을 설치하고 세척구간의 타측끝단에 설치된 제 2 제수밸브(202)의 앞 단에 제 2 새들분수전(302)를 각각 설치하며, 제 1 새들분수전(301) 위치에 제 1 관통홀을 형성하고 제 2 새들분수전(302) 위치에 제 2 관통홀을 각각 드릴이나 천공기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다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100)의 세척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용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S2)에서는 상기 관통홀에 배출호스의 일단을 인입시킨 후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에 연결된 배출펌프로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의 용수를 펌핑하여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배출펌프는 세척을 위한 용수 또는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수관(100)에 유입 또는 공급시키는 공급펌프가 포함되고 하나의 펌프로 공급과 배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상기 세척호스 투입단계(S3)는 상기 상수도관(100)의 관통홀에 상기 세척호스(200)와 상기 부상노즐(10)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호스 투입단계(S3)에서는 세척호스(200)와 상기 부상노즐(10)을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부에 투입하게 된다.
상기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4)는 상기 세척호스(200)에 세척을 위한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상노즐(10)의 분사공(30)을 통해 세척 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의 벽면에 달라붙은(퇴적, 침적) 이물질을 탈거(분리)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4)에서는 공급펌프(300)로 상기 세척호스(200)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상노즐(10)의 분사공(30)을 통해 세척을 위한 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도록 된다.
즉,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상노즐(10)의 분사공(30)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의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부상노즐(10)에는 세척호스(200)가 연결된 반대방향 끝단 일부분에 견인로프의 일단을 고정시킴으로써, 세척구간에서 부상노즐(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세척과정에서 상기 부상노즐(10)이 상기 세척호스(200)와 분리되는 경우 상기 부상노즐(10)을 이동시켜 상기 상수도관(100)으로부터 회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노즐(10)의 외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부력재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세척을 위해 분사되는 용수가 상기 상수도관(100)에 점차 충진시 상기 부력재에 의해 상기 부상노즐(10)이 물에 뜬 상태로 용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재의 외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핀들의 일단을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핀이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과 마찰되면서 이물질의 탈거효율 및 세척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S5)는 상기 부상노즐(10)에 마련되는 감시카메라(42)로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S5)에서는 상기 노즐하우징(20)에 마련된 모니터링수단(40)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수단(40)은 상기 노즐하우징(20)에 형성되는 체결홈(41)들과, 상기 체결홈(41)에 일단이 끼움된 후 접착 고정되며,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감시카메라(42)와, 상기 노즐하우징(20)의 외면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42)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43)와, 상기 노즐하우징(20)에 형성되는 발광램프(44)로 이루어져, 상기 감시카메라(42)를 통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기(43)를 통해 관리자단말로 수신받아 모니터링하게 된다. 송,수신기(43)는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정보의 우수한 칼라 화질 확보를 위하여는 유선 연결 방식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감시카메라(42)는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나 필요에 의하여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고,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상기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6)는 상기 세척호스(200)에 연결된 부상노즐(10)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상수도관(100) 내부에 달라붙은 잔여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S6)에서는 1차 세척 후 상기 상수도관(100)의 내면 또는 내부 벽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모니터링 과정에서 확인 한 다음 잔여 이물질이 잔존하는 위치로 재 이동시킨 부상노즐(10)을 통해 세척을 위한 용수를 분사하에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잔존하는 잔여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용수 배출단계(S7)는 상기 상수도관(100)에서 세척호스(200) 및 부상노즐(10)을 분리한 후 상기 상수도관(100)의 관통홀에 상기 배출호스를 인입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배출호스와 세척호스는 같은 구성과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한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상기 처리용수 배출단계(S7)에서는 상기 상수도관(100)의 관통홀에 상기 배출호스를 인입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처리용수 배출단계(S7)에서는 상기 배출호스의 단부를 상기 상수도관(100)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출펌프를 구동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호스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용수는 여과장치(50)를 통해 여과하여 재활용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단계(S8)는 상기 상수도관(100)에서 상기 배출호스를 분리한 후 상기 관통홀을 덮으면서 마감커버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단계(S8)에서는 상기 상수도관(100)에서 상기 배출호스를 분리한 후 상기 관통홀을 덮으면서 마감커버를 부착하는 상수도관(100) 관통홀을 마감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커버를 상기 관통홀을 감싸면서 부착하거나 용접하여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부상노즐 20 : 노즐하우징
30 : 분사공 40 : 모니터링수단
41 : 체결홈 42 : 감시카메라
43 : 송,수신기 44 : 발광램프
100 : 상수도관 200 : 세척호스
300 : 공급펌프 S1 :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
S2 :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 S3 : 세척호스 투입단계
S4 : 세척하는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
S5 :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 S6 :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
S7 : 처리용수 배출단계 S8 : 마감단계

Claims (2)

  1. 지중에 매립된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도록 된 상수도관 세척방법으로서,
    상기 상수도관을 세척할 용수를 공급하는 세척장치의 세척호스에 부상노즐을 연결하는 세척호스 부상노즐 연결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밸브들을 차단한 후 상기 상수도관에 관통홀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용수를 배출시키는 상수도관 세척 준비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상기 세척호스와 상기 부상노즐을 투입하는 세척호스 투입단계;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부상노즐의 분사공을 통해 용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는 1차 상수도관 세척단계;
    상기 부상노즐에 마련되는 감시카메라로 상기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상수도관 모니터링 단계;
    상기 세척호스에 용수를 공급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에 달라붙은 잔여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2차 상수도관 세척단계;
    상기 상수도관의 관통홀에 배출호스를 인입시켜,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처리용수 배출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배출호스를 분리한 후 상기 관통홀을 덮으면서 마감커버를 부착하는 상수도관 관통홀 마감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모니터링 하면서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상노즐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상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세척하도록 된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상노즐은,
    상기 세척호스에 연결되도록 일단에 끼움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공간이 형성된 노즐하우징과,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간의 용수를 분사하는 분사공들로 이루어져,
    상기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의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세척하게 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에는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모니터링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모니터링수단은,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되는 체결홈들과,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수도관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된 감시카메라와,
    상기 노즐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되는 발광램프로 이루어져, 상기 감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촬영정보를 상기 송,수신를 통해 관리자단말로 수신받도록 되며,
    상기 부상노즐의 외면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부력재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세척을 위해 분사되는 용수가 상기 상수도관에 점차 충진시 상기 부력재에 의해 상기 부상노즐이 물에 뜬 상태로 용수를 분사하도록 되고,
    상기 부력재의 외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핀들의 일단을 더 부착하여 상기 탄성핀이 상기 상수도관의 내면에 달라붙은 이물질과 마찰되면서 이물질의 탈거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2. 삭제
KR1020220107523A 2022-08-26 2022-08-26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KR102617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23A KR102617606B1 (ko) 2022-08-26 2022-08-26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523A KR102617606B1 (ko) 2022-08-26 2022-08-26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606B1 true KR102617606B1 (ko) 2023-12-28

Family

ID=8938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523A KR102617606B1 (ko) 2022-08-26 2022-08-26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6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334A (ja) * 1993-12-27 1995-07-28 Kantsuule:Kk 下水道管等の管内洗浄・調査方法
JP2001054771A (ja) * 1999-08-18 2001-02-27 Sugino Mach Ltd 管路内水中清掃装置
KR100847514B1 (ko) 2007-06-08 2008-07-21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상수도관의 내부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33739B1 (ko) *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334A (ja) * 1993-12-27 1995-07-28 Kantsuule:Kk 下水道管等の管内洗浄・調査方法
JP2001054771A (ja) * 1999-08-18 2001-02-27 Sugino Mach Ltd 管路内水中清掃装置
KR100847514B1 (ko) 2007-06-08 2008-07-21 주식회사 건영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상수도관의 내부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033739B1 (ko) *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588B1 (ko)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2033739B1 (ko) 수도관 세척 방법
KR100847514B1 (ko) 상수도관의 내부관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645701B1 (ko)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CN206924491U (zh) 清洗系统及具有该清洗系统的湿法刻蚀设备
CN105308245A (zh) 具有注水的混合存水弯
KR102617606B1 (ko) 세척호스 끝단의 부상노즐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관리방법
JP5716124B1 (ja) 汚水排出システム
KR20220065477A (ko) 해수취수시설의 수문청소장치
CN207702026U (zh) 一种应用于水利工程的自动清渣水利管道
EP1282474B1 (en) Cleaning equipment for the cleaning of tanks
KR100531470B1 (ko) 평면 분사 및 진공 흡입을 통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및 그청소방법
KR100692710B1 (ko) 가공기계용 쿨런트 순환시스템
US10982881B2 (en) Water heater fitting for draining a water heater
KR102645407B1 (ko) 세척배출호스 끝단에 연결된 부상노즐을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방법
US20090044936A1 (en) Horizontal Filter We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753949B1 (ko) 고압수에 의한 파이프 내부 세정장치
DE102004017709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lokalen und temporären Grundwasserabsenkung mittels neuartiger Filterlanzen
KR100802442B1 (ko) 코크스오븐가스 배관 관통 소제방법
KR101453299B1 (ko) 사출금형의 냉각수로 세정장치
KR101109208B1 (ko) 수평집수관의 세정방법 및 장치
KR101081507B1 (ko) 수영장 청소 시스템
KR200351612Y1 (ko) 평면 분사 및 진공 흡입을 통한 지하수공 청소장치
CN217400851U (zh) 一种清砂装置及钻井液净化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