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101B1 -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101B1
KR102617101B1 KR1020220158846A KR20220158846A KR102617101B1 KR 102617101 B1 KR102617101 B1 KR 102617101B1 KR 1020220158846 A KR1020220158846 A KR 1020220158846A KR 20220158846 A KR20220158846 A KR 20220158846A KR 102617101 B1 KR102617101 B1 KR 10261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cierge service
concierge
nearby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희
박서린
Original Assignee
예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주산업(주) filed Critical 예주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15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고객 선호가 반영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주자 단말장치, 및 제공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cierge Service of Apartment House Reflecting Customer Preference}
본 발명은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 등의 상권에서 고객의 서비스 이용횟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을 통계화하여 주변 상권 입점과 외부 상권 연계의 최적화에 따라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모든 입주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스카이라운지나 카페와 같은 식음료 시설, 수영장이나 골프 연습장 등의 피트니스 시설, 도서관, 키즈카페, 독서실, 비즈니스 룸 등 종류와 개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택 시장을 바라보는 소비자(즉, 입주자)의 인식과 트렌드 변화에 따른 것이기도 하며, 눈높이가 높아짐을 입증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다양하고 고급화된 커뮤니티 시설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커뮤니티 시설은 건설사가 시공하나, 이를 운용하는 주체는 입주 후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관리사이며, 이를 이용하는 주체는 입주자이다. 시공사와 관리사와 입주자 사이의 간극이 있는 경우, 특정 시설은 필요함에도 시공이 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특정 시설은 시공이 되어도 적극 사용자가 적을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커뮤니티 시설은 각 공간마다 상주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식음료 시설에는 서비스 직원이 필요하고, 도서관이나 독서실에도 이를 관리하여야 하는 직원의 상주가 필요하다. 관리 직원이 많아짐은 입주자의 관리비 상승을 의미한다.
물론 커뮤니티 시설은 일부 전문 업체에 위탁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 공동주택의 관리사가 운용한다. 공동주택의 관리사는 건물 운용 등에 특화된 업체이기에 커뮤니티 시설 관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커뮤니티 시설은 통합 운용되거나 호텔과 같은 원스탑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는 공동주택 입주자가 호텔 손님에 비하여 다수인 점에 기인하기도 하나, 서비스 고급화에 따른 관리비 상승의 문제, 컨시어지와 같은 전문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문제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에게 생활 편의를 위한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 공동주택 인근의 상인들도 공동주택의 입주자들과 상생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4291호(2000.09.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0561호(2013.05.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8344호(2011.10.2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24254호(2021.03.02)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 등의 상권에서 고객의 서비스 이용횟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을 통계화하여 주변 상권 입점과 외부 상권 연계의 최적화에 따라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concierge)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고객 선호가 반영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주자 단말장치, 및 상기 제공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상기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나 불편사항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업주의 매장 이용횟수, 선호 물품 및 필요서비스를 통계화하고, 통계 결과에 더 근거하여 상기 매장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연령, 메뉴 종류 및 선호하는 맛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의 상권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AI)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해 매출 상승 방안의 정확도를 증가시켜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은, 입주자 단말장치가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고객 선호가 반영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컨시어지 서비스장치가 상기 제공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상기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나 불편사항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업주의 매장 이용횟수, 선호 물품 및 필요서비스를 통계화하고, 통계 결과에 더 근거하여 상기 매장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연령, 메뉴 종류 및 선호하는 맛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의 상권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AI)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해 매출 상승 방안의 정확도를 증가시켜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공동주택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고객 이용횟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을 통계화하여 주변 상권 입점과 외부 상권의 연계의 최적화에 따른 매출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주민들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 불편사항 등을 피드백받아 공동주택 인근의 주변 상권 또는 매장에 대한 매출을 예상할 수 있고, 또 자주찾는 물품이나 서비스 등을 체크하여 주변 상권과 연계해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한 매출을 극대화하고 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90)은 입주자 단말장치(100), 업주 단말장치(105), 통신망(110),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도 1의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입주자 단말장치(100)는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이나 방문자들이 소지하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등 PC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태블릿PC, 스마트폰, 입주자들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주자 단말장치(100)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컨시어지는 호텔에서 호텔 안내는 물론 여행과 쇼핑까지 투숙객의 다양한 요구를 들어주는 서비스를 의미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동주택의 특성을 반영하여 입주민들이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 등에서 온라인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는 입주민들이 도서관이나 수영장과 같은 편의시설 등의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는 조금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시어지 서비스로는 입주민들에게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조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업주들의 매장 마감시간에 맞춰 음식을 마감떨이를 할 수 있는 서비스, 나아가 인근 상가의 매장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결제할 때 관리비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하는 것 등도 특별히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다.
입주자 단말장치(100)는 공동주택의 인근 업주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또는 정보들을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근 상가의 업주가 단말장치(105)를 통해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식메뉴를 등록하는 경우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입주자들은 조식 예약을 신청할 때 해당 조식메뉴를 확인하여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입주자 단말장치(100)에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를 통해 공동주택의 인근 매장들의 결제를 직접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해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비를 통해서도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물론 관리비에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주자들이 사전에 비밀번호를 기설정하거나 지문 정보를 기등록하여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인식 등의 본인인증을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입주자 단말장치(100)는 공동주택의 인근 매장을 입장하게 될 때, 해당 매장에 설치되는 무선공유기 등을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매장에 얼마나 머무르는지 등이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들, 가령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은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서비스 이용 만족도, 또 불편사항 등을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로 피드백할 수 있다. 물론 입주민들의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외부로 공개되는 것은 아닐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업주의 조식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떨이음식 판매에 대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 이용 후기의 성격을 가질 수 있지만, 댓글과 같이 외부에 공개되지는 않는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해당 정보를 업주의 매장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위해서만 활용할 수 있다.
업주 단말장치(105)는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에 입점하고 있는 업주들이 소지하는 단말장치를 의미한다. 업주 단말장치(105)의 경우에도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POS(Point-of-Sale)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근 상가의 업주들은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에게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에 접속하여 판매하려는 조식메뉴를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주자들의 가령 조식 예약 정보는 주단위 또는 월단위로 POS 단말기로 제공되어 컨시어지 서비스에 따른 예약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업주 단말장치(105)의 업주들은 하루를 마감하면서 마감 1 ~ 2시간 전에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해 남은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입주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다. 해당 마감떨이를 위한 음식 정보가 등록되면,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그 정보가 등록될 때 입주자들의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알림을 전송하여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업주 단말장치(105)의 업주들은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매출을 예상하고 또 안정된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이 자신의 매장 판매 음식이나 서비스 등에 대하여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가 궁금할 수 있으며, 이는 매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주민들에게 인기가 없거나 하는 경우 안정된 매출을 보장받을 수 없다. 따라서, 업주 단말장치(105)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를 통해 입주민들이 자신의 매장이나 업주와 관련해 평가한 평가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무엇보다 어떠한 부분을 개선하여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업주의 경우 그러한 매출 극대화를 위한 해결 방안을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로부터 제안받을 때 외부 상권과의 비교 분석에 따라 음식 메뉴를 변경하도록 제안받을 수도 있다. 물론 외부 상권과의 비교 분석시 공동주택의 규모, 또 입주시기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을 만족할 때 참고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데이터의 분석 정확도를 높여 적절한 방안이 제안되도록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업주 단말장치(105)의 업주는 맛을 변경하거나 가격을 조절하도록 제안받을 수도 있다. 또는 업종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업주 단말장치(105)는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에 입점할 때 입점 당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를 통해 입점과 관련한 유익한 방안을 제안받을 수 있지만, 실제 영업을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입주민들과 상생하면서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아파트 단지 내의 인트라넷망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입주자 단말장치(100)나 업주 단말장치(105)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입주자 단말장치(100)나 업주 단말장치(105)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에게 조식 서비스나 음식 마감떨이 서비스 등의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는 조식 서비스를 위해 조식 예약을 수행하고, 또 결제를 진행할 때 해당 결제비용을 관리비에 반영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인근상가 매장의 이용횟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을 통계화하여 주변 상권 입점을 판단 또는 분석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상권과 연계에 따른 최적화를 통해 매출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물론 도 1의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해 입주자들의 서비스 이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매장에 설치되는 무선공유기 등을 통해서도 오프라인상에서의 입주자들의 이용 실태를 분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컨시어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설치하는 경우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와 매장의 무선공유기에 대한 장치식별정보가 자동으로 취득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시간 정보도 취득될 수 있다. 이외에도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의 고객 이용 정보, 평가 정보, 니즈(needs) 정보를 수집하고, 또 주요 연령층, 메뉴 종류, 선호하는 맛 정보 등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해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에 대한 상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입주자들로부터 서비스 이용 만족도, 불편사항 등을 피드백받을 수 있으며, 해당 피드백 내용을 반영하여 인근 상가에 입점하는 매장의 서비스 매출 등을 예상할 수 있으며, 또 자주찾는 물품이나 서비스 등을 체크하여 주변 상권과 연계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의 매출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공동주택에 입주하고 있는 입주민들이 소지하는 도 1의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조식 서비스 등의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분석에 따라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상권에 대한 활성화 정도, 매출 예측 등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권 분석과 관련해서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뿐 아니라, 오프라인상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오프라인상의 데이터를 종합 평가하여 인근 상가의 상권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인근 상가의 상권에 대한 상태를 판단 또는 평가할 때 기준이 없으므로, 인근 상가의 상권 이외의, 더 정확하게는 인접하는 공동주택 단지의 상권과 비교하여 인근 상가에 입점할 때 매출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물론, 이미 입점한 업주의 경우에는 매출 극대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외부 상권의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에 연계하여 가령 전문업체나 전문가들이 분석한 상권 분석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서드파티장치(130)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와 연계하여 동작하며, 연계를 통해 특정 상가의 상권 이외의 상권에 대한 상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권 정보는 상권에 대한 분석 데이터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서드파티장치(130)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에 의해 DB(130a)를 서로 공유하여 분석 데이터를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상권 분석 데이터에 근거해 볼 때 특정 상가의 상권에 대한 문제점이 파악되면,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그에 대한 해결책을 해당 상가에 입점하는 업주에게 제공하거나 기입점해 있는 업주의 업주 단말장치(105)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는 유료로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서드파티장치(130)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를 통해 결제를 진행시키기 위한 PG사나 통신사의 결제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외에도 서드파티장치(130)는 입주자들이 관리비에 반영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관리비를 통한 결제와 관련해서는 자체적으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은행들과 연계해 입주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컨시어지 서비스부(220) 및 저장부(2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입주자 단말장치(100), 업주 단말장치(105) 및 서드파티장치(13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업주 단말장치(105)와 통신하여 컨시어지 서비스 중 가령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업주 단말장치(105)에서 조식 서비스를 위한 조식메뉴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정보를 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조식메뉴 정보에는 음식메뉴 정보뿐 아니라, 조식을 제공하는 요일 등의 요일정보, 또 배달가능 여부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업주 단말장치(105)로부터 음식의 마감떨이를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입주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의 요청이 있을 때 가령 조식 서비스를 통해 조식 예약을 수행하고자 할 때 업주 단말장치(105)에서 제공한 조식메뉴 정보를 근거로 조식 예약을 진행시킬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그러한 동작에 관여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배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달을 신청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업주 단말장치(105)에서 마감떨이를 위한 음식 정보를 등록할 때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관련 사실을 앱의 푸시 메시지 등을 통해 전송하며, 그에 따라 입주자 단말장치(100)에서 해당 마감떨이 음식을 주문하고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해당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가령, 결제를 진행하면서 관리비에 포함되도록 요청하는 경우 기설정된 비밀번호나 기등록된 지문정보를 근거로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인식을 수행해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컨시어지 서비스부(220) 및 저장부(23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도 1의 입주자 단말장치(100)나 업주 단말장치(105)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를 제어하여 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령 화면 형성을 위한 GUI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여 컨시어지 서비스를 위한 메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 이외에도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저장부(2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로 데이터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컨시어지 서비스부(220)의 데이터 분석 결과를 도 1의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키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부(200)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210)는 서드파티장치(130)로부터 외부 상권에 대한 분석 데이터가 제공되면 이를 컨시어지 서비스부(220)에 제공하여 특정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상권에 대한 분석 결과와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입주민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매장이나 업주들에 대한 고객 선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여 인근 상가에 입점하려는 업주들의 입점을 돕고, 또 이미 입점한 업주들에게 매출 극대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입주자들이 입주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할 때 고객의 인근상가 매장 이용횟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통계화하고, 이를 근거로 공동주택 인근 상가의 상권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고객 이용 정보뿐 아니라, 평가 정보, 입주자들이 매장이나 상가와 관련해 원하는 바에 대한 니즈 정보, 주요 연령층과 관련한 정보, 메뉴종류 정보, 선호하는 맛 정보 등을 더 활용하여 상권의 상태를 정밀 분석할 수 있다. 물론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밀 분석을 위하여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도 있다.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서비스 가령 컨시어지 서비스 내의 여러 서비스를 이용하는 입주민들의 컨시어지 서비스뿐 아니라 매장이나 인근 상가에 대한 만족도, 또 불편사항 등을 입주자 단말장치(100)로부터 피드백받아 이를 근거로 인근 상가의 상권이나 특정 매장의 예상 매출을 산출할 수 있으며, 물론 인근 상가에 입주한 매장의 매출을 예측할 수 있으며, 입주민들이 자주찾는 물품이나 서비스 등을 체크해 주변 상권과 연계하여 컨시어지 서비스 또는 컨시어지 서비스를 통한 매출도 극대화하고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오프라인상에서도 매장에 설치되는 공유기, 또는 매장에 설치되는 POS 단말기와 연계하거나 POS 단말기가 연계하는 PG사 서버 등을 포함하는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를 통해 입주민들의 물품이나 서비스 이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추적이나 매장 이용 상태 등을 통해 입주자들의 동선을 분석하거나 또는 특정 매장을 방문한 입주자의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매장에 대한 불편사항 등을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해당 매장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입주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시어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등록을 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를 통해 입주자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입주자가 입주자 단말장치(100)를 소유하여 매장을 방문할 때 해당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또 매장에 설치된 무선공유기나 POS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이를 통해 어떠한 입주자가 매장을 방문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 어떠한 물품을 구입했는지를 알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들의 상권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해당 상가에 입주한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105)로 입주민들이 바라는 개선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뉴 개량을 원하거나, 또 업주가 불친절한 경우 친절도를 높이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는 업종을 변환하도록 권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종 전환을 위해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와 현재 업주가 속해 있는 상가의 상권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업종 전환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가의 입점 시점에서 업주들에게 상권 입점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만큼 입점 이후에는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음식의 맛이나, 업주나 직원의 친절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저장부(230)는 도 2의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입주자 단말장치(100)의 컨시어지 서비스의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저장한 후 데이터 분석을 위해 컨시어지 서비스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도 1의 업주 단말장치(105)로부터 컨시어지 서비스 중 가령 조식 서비스를 위한 조식메뉴 정보가 제공될 때 이를 저장한 후 컨시어지 서비스부(220)에 제공하여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업주별 조식메뉴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식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컨시어지 서비스부(220)에서 데이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 포맷의 조식 예약 화면에 데이터를 포함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캘린더 형태의 예약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 날짜가 선택되는 경우 업주의 매장에서 제공하는 조식 메뉴 내용이 열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조식 메뉴의 내용은 인기메뉴별로 열거되거나 입주자의 음식 취향별(예: 한식, 빵 등)로 열거될 수 있으며, 제공가능한 음식 메뉴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입주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 선별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컨시어지 서비스부(220) 및 저장부(2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컨시어지 서비스부(220) 및 저장부(2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컨시어지 서비스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주 단말장치(105)는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에게 조식 서비스 등의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등록한다(S105). 여기서, 컨시어지 서비스는 공동주택의 특성을 반영해 입주민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로서, 조식 서비스 이외에도 음식마감떨이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식 서비스는 일정한 규모의 인원이 충족되어야만 가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공동 주택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상권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수도 있으며,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에서 업주가 운영하는 매장에 일정한 매출을 보장할 수 있다. 물론 예약을 진행하므로 공동주택이 아닌 경우에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업주 단말장치(105)로부터 컨시어지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등록되면 이를 근거로 입주자 단말장치(100)로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S310). 예를 들어, 조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조식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식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요 연령층과 같이 고객 이용 정보, 또 평가를 통한 평가 정보, 또 입주민들이 바라는 바를 기재하도록 하여 니즈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조식 예약에 따라 메뉴 종류나 선호하는 맛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입주민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또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에서 서비스 이용 후에는 평가를 요청하여 서비스 이용 만족도나 불편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해 내부적으로만 활용하고 댓글과 같이 외부로 공개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댓글과 같이 외부로 공개되는 경우에는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매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서비스의 이용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업주 단말장치(105)로 매출 상승 또는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S320).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메뉴를 수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또 맛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입주자들이 이용하는 물품이나 서비스의 이용 횟수, 선호 물품, 필요 서비스 등을 분석하여 통계화하고, 이를 다른 공동주택의 외부 상권과 연계하여 현재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에 입점한 업주의 매장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여 매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상권에서 현재 입점한 업주의 매장과 동일한 음식을 취급하는 매장이 있는 경우, 해당 외부 상권의 전략이 반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 등을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분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업주 단말장치(105)로 매출 극대화 방안을 제안하는 경우에는 외부 상권의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여 제안을 하므로 그만큼 제안 방안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음식 메뉴를 취급한다 하더라도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2개의 매장은 많은 면에서 다를 수 있다. 다만 맛과, 친절도, 그리고 매장의 청결도나 분위기 등은 매출에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매출에 기본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나아가 각 매장의 특성을 찾아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매장을 지나는 유동 인구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매장 홍보를 위한 입간판을 설치하도록 하거나 광고를 넣어보라는 등의 방안을 제안할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입주자 단말장치(100), 업주 단말장치(105) 및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입주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수신한다(S400). 여기서 서비스 이용 데이터는 조식 서비스의 예약 등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고 서비스 이용 후 평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 입주자들이 바라는 희망사항과 같이 니즈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인근상가 내 매장의 이용 횟수나 선호 물품, 필요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105)로 제공할 수 있다(S410). 물론 인근 상가에 입점해 있는 업주의 매장과 관련한 입주민들의 서비스 만족도나 불편사항 등을 통해 해당 매장에 대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는 있다. 다만, 그 해결 방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 상권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영업을 하는 매장의 노하우를 참고함으로써 공동주택의 입주민들의 성향에 따른 보다 경험이 반영된 데이터를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출 상승 및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컨시어지 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입주자 단말장치 105: 업주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컨시어지 서비스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2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제어부 220: 컨시어지 서비스부
230: 저장부

Claims (10)

  1.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에게 생활 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컨시어지(concierge) 서비스 및 상기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고객 선호가 반영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주자 단말장치; 및
    상기 제공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상기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로서 입주자들에게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업주들의 매장 마감시간에 맞춰 음식을 마감떨이하는 서비스 및 상기 인근 상가의 매장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결제할 때 관리비를 통해 결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연령, 메뉴 종류 및 선호하는 맛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AI)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해 매출 상승 방안의 정확도를 증가시켜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과의 비교 분석시 공동주택의 규모, 입주시기의 변수를 고려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을 만족할 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방안을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고,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외부 상권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영업을 하는 매장의 노하우를 참고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의 성향에 따른 경험이 반영된 데이터를 적용해 상기 방안을 제안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나 불편사항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매출을 예측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는, 상기 업주의 매장 이용횟수, 선호 물품 및 필요서비스를 통계화하고, 통계 결과에 더 근거하여 상기 매장의 매출을 예측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입주자 단말장치가,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에게 생활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 및 상기 공동주택의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고객 선호가 반영된 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컨시어지 서비스장치가, 상기 제공한 서비스 이용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을 제외한 외부 상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매출을 상승하기 위한 방안을 상기 업주들의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연령, 메뉴 종류 및 선호하는 맛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이용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때 인공지능(AI)의 딥러닝 프로그램을 적용해 매출 상승 방안의 정확도를 증가시켜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가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로서 입주자들에게 인근 상가의 업주들과 연계하여 조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업주들의 매장 마감시간에 맞춰 음식을 마감떨이하는 서비스 및 상기 인근 상가의 매장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결제할 때 관리비를 통해 결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가 상기 인근 상가의 상권과 상기 외부 상권과의 비교 분석시 공동주택의 규모, 입주시기의 변수를 고려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을 만족할 때의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방안을 상기 업주 단말장치로 제안하는 단계; 및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장치가 상기 외부 상권에서 동일한 조건에서 영업을 하는 매장의 노하우를 참고하여 상기 공동주택의 입주자들의 성향에 따른 경험이 반영된 데이터를 적용해 상기 방안을 제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입주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시어지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상기 인근 상가에서의 서비스 이용 만족도나 불편사항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근 상가에 입점한 매장의 매출을 예측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안하는 단계는,
    상기 업주의 매장 이용횟수, 선호 물품 및 필요서비스를 통계화하고, 통계 결과에 더 근거하여 상기 매장의 매출을 예측하는,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58846A 2022-11-24 2022-11-24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46A KR102617101B1 (ko) 2022-11-24 2022-11-24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46A KR102617101B1 (ko) 2022-11-24 2022-11-24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101B1 true KR102617101B1 (ko) 2023-12-27

Family

ID=8937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846A KR102617101B1 (ko) 2022-11-24 2022-11-24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1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291A (ko) 2000-05-31 2000-09-05 김계학 공동주택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6624B1 (ko) * 2009-04-28 2010-10-08 (주)오픈메이트 셀 통계 기법을 이용한 매출 예측 및 예측 상권 생성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78344B1 (ko) 2009-05-15 2011-10-31 (주)지디에스케이 상권 내에서의 업종별 매출 추정 방법
KR20130050561A (ko) 2011-11-08 2013-05-16 송도도시개발유한회사 대단위 주상복합형 상가에 대한 상권 활성화 및 관리방법
KR102224254B1 (ko) 2020-10-20 2021-03-08 디인벤터스 주식회사 아파트 주변 상가와 주민들의 거래 시스템
KR20210046571A (ko) * 2019-10-18 2021-04-28 김효정 복수 매장 관리용 비즈니스 모델 생성 방법
KR20220055205A (ko) * 2020-10-26 2022-05-0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지역상권 데이터 기반 협업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291A (ko) 2000-05-31 2000-09-05 김계학 공동주택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6624B1 (ko) * 2009-04-28 2010-10-08 (주)오픈메이트 셀 통계 기법을 이용한 매출 예측 및 예측 상권 생성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78344B1 (ko) 2009-05-15 2011-10-31 (주)지디에스케이 상권 내에서의 업종별 매출 추정 방법
KR20130050561A (ko) 2011-11-08 2013-05-16 송도도시개발유한회사 대단위 주상복합형 상가에 대한 상권 활성화 및 관리방법
KR20210046571A (ko) * 2019-10-18 2021-04-28 김효정 복수 매장 관리용 비즈니스 모델 생성 방법
KR102224254B1 (ko) 2020-10-20 2021-03-08 디인벤터스 주식회사 아파트 주변 상가와 주민들의 거래 시스템
KR20220055205A (ko) * 2020-10-26 2022-05-03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지역상권 데이터 기반 협업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es Marketing intelligence and big data: Digital marketing techniques on their way to becoming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in marketing
US10773389B2 (en) Robotic systems and methods in prediction and presentation of resource availability
CN104509137B (zh) 用于在预定位置进行通信的方法及系统
CN102129638B (zh) 可量测虚拟现实自助选房系统及方法
US20200342421A1 (en) Home maintenance and repair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s and systems
KR101706889B1 (ko) 숙박 상품의 가격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648962B1 (ko) 복수 이용자의 위치와 취향을 반영하여 모임 장소를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Makki et al. HotelTonight usage and hotel profitability
US11120370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8141708A (zh) 使用信标提供内容信息的服务方法以及确定用户是否进入和离开商店的方法
KR102617101B1 (ko) 고객 선호를 반영한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ousttchi et al. Enabling evidence-based retail marketing with the use of payment data–the Mobile Payment Reference Model 2.0
US202301862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including predictive service
KR20210044974A (ko)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WO2023081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vering cost of delivering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s to premises of subscribers
Thakur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y
KR102617100B1 (ko) 공동주택의 컨시어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JP201500510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386708A (zh) 一种门店客流量的预测方法和系统
KR20200104597A (ko) 지능형 정보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28894A (ko) 설문조사를 이용한 점포 개설 컨설팅 제공 시스템
Offutt et al. Travel Innovation & Technology Trends: 2012 & Beyond
KR102645801B1 (ko) 전문영업마케팅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7302556A (zh) 对象交互方法及装置
KR102576545B1 (ko) 중장비를 사용하는 건설사와 공동전산망 구축을 통한 중장비 임대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