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39B1 -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39B1
KR102616939B1 KR1020230029998A KR20230029998A KR102616939B1 KR 102616939 B1 KR102616939 B1 KR 102616939B1 KR 1020230029998 A KR1020230029998 A KR 1020230029998A KR 20230029998 A KR20230029998 A KR 20230029998A KR 102616939 B1 KR102616939 B1 KR 10261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application
application area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욱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욱 filed Critical 정상욱
Priority to KR102023002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01N21/6456Spatial resolved fluorescence measurements;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대상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피부의 대상 영역에 도포한 후 촬영한 영상과 대상 영역 증류수 또는 세정제로 세정한 후 촬영한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의 정보를 분석하여 세정제 종류의 제품에 대한 피부 잔여물과 세정 후 메이크업(색조)제품의 잔여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Cosmetic Resid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인 피부상태 측정장치는 피부장벽지표, 피부미용지표, 피부노화지표 등을 측정한다. 피부상태 측정장치는 피부장벽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수분도 또는 경피수분손실도를 감지하여 피부장벽기능의 수준을 측정한다. 피부상태 측정장치는 피부미용지표, 피부노화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소정의 피부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모공, 피지, 주름, 색소 등의 피부상태를 측정한다.
사람들은 병원이나 업체를 직접 방문한 후 피부상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피부상태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피부관리를 받고 있다. 피부상태 측정장치들 각각은 고가의 개별장치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사람들은 자신의 피부장벽지표, 피부미용지표 또는 피부노화지표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치를 이용해야 한다.
종래의 피부상태 측정장치는 피부장벽지표, 피부미용지표, 피부노화지표를 측정할 수 있으나, 피부상에 화장품을 세정했을 때, 피부에 잔여물로 존재하는 화장품의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대상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피부의 대상 영역에 도포한 후 촬영한 영상과 대상 영역 증류수 또는 세정제로 세정한 후 촬영한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의 정보를 분석하여 세정제 종류의 제품에 대한 피부 잔여물과 세정 후 메이크업(색조)제품의 잔여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형광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대상 화장품과 상기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과정; 인체의 특정 부위에 도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에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을 증류수로 세정한 후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레퍼런스 영상,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각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기반으로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형광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대상 화장품과 상기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과정; 인체의 특정 부위에 도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에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을 세정제로 세정하는 과정; 상기 세정제로 세정한 상기 도포 영역을 다시 증류수로 세정한 후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3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레퍼런스 영상,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3 영상 각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기반으로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혼합한 혼합용액을 피부의 대상 영역에 도포한 후 촬영한 영상과 대상 영역 증류수 또는 세정제로 세정한 후 촬영한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의 정보를 분석하여 세정제 종류의 제품에 대한 피부 잔여물과 세정 후 메이크업(색조)제품의 잔여물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바디 워시와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샤워 젤과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클랜징 스크럽과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포밍 페이셜 워시와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액체 비누와 샤워 젤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액의 도포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액의 도포 전후의 형광 세기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을 위한 도포 영역 분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시스템은 제1 도포 영역(110), 제2 도포 영역(120), UV 조명(130), 카메라(140),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를 포함한다. 화장품 잔여물 측정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도포 영역(110)은 인체에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한 혼합용액을 도포할 영역을 의미한다. 제1 도포 영역(110)은 전박의 일측에 점 형태(선, 면 형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박(前膊)은 신체부위로서, 팔뚝, 팔꿈치에서 손목까지의 부위를 의미한다.
제2 도포 영역(120)은 인체에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한 혼합용액을 도포할 영역을 의미한다. 제2 도포 영역(120)은 전박의 타측에 점 형태(선, 면 형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V 조명(130)은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으로 UV(ultraviolet)를 조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한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를 의미한다.
카메라(140)는 UV 조명(130)에 의해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이 도포하기 전에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하여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을 생성한다. 카메라(140)는 UV 조명(130)에 의해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카메라(140)는 UV 조명(130)에 의해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증류수로 세정한 후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카메라(140)는 UV 조명(130)에 의해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세정제로 세정한 후 다시 증류수로 세정한 후 촬영한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카메라(140)로부터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이 도포하기 전에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하여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을 획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카메라(140)로부터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하여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획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카메라(140)로부터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증류수로 세정한 후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획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카메라(140)로부터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제1 도포 영역(110) 및 제2 도포 영역(120)을 세정제로 세정한 후 다시 증류수로 세정한 후 촬영한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을 획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각각을 복수의 격자로 구분한 분할 영역으로 인식하고, 분할 영역별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기준으로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1110)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을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 간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평균치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밝기 임계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가장 밝은 영역(1110)을 제외하고, 기 설정된 밝기 임계치 이상의 밝기값을 갖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으로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을 확장 영역(1140)으로 인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확장 영역(1140) 이외의 나머지 영역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후보 영역에서 제외시킨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밝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분할 영역의 격자 크기를 조절할 때,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격자 크기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격자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절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인접한 주변을 확장할 때, 제1 도포 영역(120)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의 면적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 면적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에 대응하는 면적의 기 설정된 비율(예컨대, 30%)까지만 확장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각각을 복수의 격자로 구분한 분할 영역으로 인식하고, 분할 영역별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기준으로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1110)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을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 간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평균치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밝기 임계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가장 밝은 영역(1110)을 제외하고, 기 설정된 밝기 임계치 이상의 밝기값을 갖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으로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을 확장 영역(1140)으로 인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확장 영역(1140) 이외의 나머지 영역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후보 영역에서 제외시킨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밝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분할 영역의 격자 크기를 조절할 때,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격자 크기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격자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절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인접한 주변을 확장할 때, 제2 도포 영역(120)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의 면적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전체 면적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에 대응하는 면적의 기 설정된 비율(예컨대, 30%)까지만 확장되도록 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의 형광 용액을 준비한다(S210). 단계 S210에서, 형광물질은 376.28의 분자량을 갖는다. 형광물질은 1 mg/ml in water의 용해도를 갖는다.
형광물질은 C.I. 45350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광물질은 C.I. 45350,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resorcinolphthalein, solvent yellow 94, D & C yellow no. 7, angiofluor, Japan yellow 201, soap yellow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대상 화장품(샤워액, 오일, 젤, 밤 & 클렌징 폼, 오일, 밤 & 샴푸, 비누 등) 20 ml와 0.33 g 1%의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한다(S220).
단계 S220에서, 대상 화장품이 거품 형태인 경우 10 ml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거품 형태의 대상 화장품 10 ml와 0.33 g 1%의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한다.
대상자(예컨대, 20명 이상)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S230).
단계 S230에서, 화장품 잔여물 측정 목적에 따라 도포 영역을 한 개 내지 복수로 구획한다. 혼합용액이 1개인 경우, 도포 영역 1개를 구획하고, 혼합용액이 2개인 경우, 도포 영역 2개를 구획하고, 혼합용액이 4개인 경우, 도포 영역 4개를 구획한다. 단계 S230에서, 카메라(140)는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썩은 혼합용액을 0.15 g을 각각 도포한다(S240). 단계 S240에서,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혼합용액을 0.15 g씩 도포할 때, 피펫을 이용하여 고르게 분포되도록 한다.
UV 조명(130)은 UV를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으로 조사한다. 카메라(140)는 세정 전(Pre-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S250).
전박의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S260).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S270).
단계 S270에서,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도 2에서는 단계 S210 내지 단계 S27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2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바디 워시와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바디 워시(Body Wash)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바디 워시 혼합용액(310)을 생성한다. 제1 액체 비누(Liquid Soap)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1 액체 비누 혼합용액(320)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1 도포 영역(110)에 바디 워시 혼합용액(31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2 도포 영역(120)에 제1 액체 비누 혼합용액(32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샤워 젤과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샤워 젤(Shower Gel)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1 샤워 젤 혼합용액(410)을 생성한다. 제1 액체 비누(Liquid Soap)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2 액체 비누 혼합용액(420)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1 도포 영역(110)에 제1 샤워 젤 혼합용액(41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2 도포 영역(120)에 제2 액체 비누 혼합용액(42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클랜징 스크럽과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클렌징 스크럽(Cleansing Scrub)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클렌징 스크럽 혼합용액(510)을 생성한다. 제3 액체 비누(Liquid Soap)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3 액체 비누 혼합용액(520)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1 도포 영역(110)에 클렌징 스크럽 혼합용액(51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2 도포 영역(120)에 제3 액체 비누 혼합용액(52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포밍 페이셜 워시와 액체 비누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포밍 페이셜 워시(Foaming Facial Wash)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포밍 페이셜 워시 혼합용액(610)을 생성한다. 제4 액체 비누(50 %) 1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4 액체 비누 혼합용액(620)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4 액체 비누(50 %)가 거품형태이므로 10 ml을 사용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1 도포 영역(110)에 포밍 페이셜 워시 혼합용액(61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2 도포 영역(120)에 제4 액체 비누 혼합용액(62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정 전후의 액체 비누와 샤워 젤의 도포 영역을 비교한 도면이다.
제5 액체 비누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5 액체 비누 혼합용액(610)을 생성한다. 제2 샤워 젤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제2 샤워 젤 혼합용액(620)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1 도포 영역(110)에 제5 액체 비누 혼합용액(61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제2 도포 영역(120)에 제2 샤워 젤 혼합용액(620)을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한다.
카메라(140)는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의 형광 용액을 준비한다(S810).
단계 S810에서, 형광물질은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드로메트리졸,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대상 화장품(메이크업 제품, 자외선 제품 등) 20 ml와 0.33 g 1% 형광 용액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한다(S820). 단계 S220에서, 대상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혼합할 때, 경우에 따라 형광 용액을 제형에 미리 넣고 유화 제조한다.
대상자(예컨대, 20명 이상)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1인치)로 혼합용액을 도포할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표시한다(S830).
단계 S830에서, 화장품 잔여물 측정 목적에 따라 도포 영역을 한 개 내지 복수로 구획한다. 혼합용액이 1개인 경우, 도포 영역 1개를 구획하고, 혼합용액이 2개인 경우, 도포 영역 2개를 구획하고, 혼합용액이 4개인 경우, 도포 영역 4개를 구획한다.
단계 S830에서, 카메라(140)는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을 생성한다.
인체의 전박 부위에 표시된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화장품과 형광 용액을 썩은 혼합용액을 0.15 g을 각각 도포한다(S840). 단계 S840에서,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혼합용액을 0.15 g씩 도포할 때, 피펫을 이용하여 고르게 분포되도록 한다.
UV 조명(130)은 UV를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으로 조사한다. 카메라(140)는 세정 전(Pre-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S850).
전박의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세정제를 이용하여 씻어낸다(S860).
세정제로 세정한 전박의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다시 증류수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S870).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S880).
단계 S880에서,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도 8에서는 단계 S810 내지 단계 S8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8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액의 도포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140)는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을 생성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의 이미지 내의 도포 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한다.
카메라(140)는 세정 전(Pre-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을 생성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1 영상(세정 전 영상)의 이미지 내의 세정 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한다.
카메라(140)는 세정 후(Post-Wash)에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에 UV가 조사된 상태에서 혼합용액에 포함된 형광물질이 발광한 상태를 촬영한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을 생성한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의 이미지 내의 세정 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용액의 도포 전후의 형광 세기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피부 잔여물 정도에 대한 형광 세기(intensity)값을 이용하여 피부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형광 잔여물을 측정 결과한 결과, 제1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형광 세기값이 161.441이고, 제1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 형광 세기값이 83.889이고, 제1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세정한 후 형광 세기값이 121.494로 확인된다.
형광 잔여물을 측정 결과한 결과, 제2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형광 세기값이 164.274이고, 제2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 형광 세기값이 85.158이고, 제2 도포 영역에 혼합용액을 세정한 후 형광 세기값이 155.926로 확인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잔여물 측정을 위한 도포 영역 분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2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이용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과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을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에 대한 형광 세기값으로 나눈 값을 기반으로 도포 영역의 형광 잔여물 세정율을 산출한다.
전박의 도포 영역(제1 도포 영역(110)과 제2 도포 영역(120))을 10 ml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정할 때, 도포 영역(110, 120) 중 상대적으로 깨끗하게 세정이 이루어진 영역과 세정이 미진하게 이루어진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도포 영역(110, 120)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 영역을 기준으로 도포 영역(110, 120) 중 세정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영역과 상대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구분한다.
다시 말해,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내의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각 영역별로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한다.
도포 영역(110, 120)을 증류수(10 ml)로 세정할 때, 증류수가 지나가는 영역에 따라 세정률이 영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도포 영역(110, 120)을 증류수(10 ml )로 세정한 후 세정률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단되는 상대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지지 영역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 내 형광물질 함량(형광 세기값)을 산출할 때, 상대적으로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을 제외시킬 수 있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각각을 동일한 기준으로 복수의 격자로 구분한 분할 영역을 생성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제3 영상(세정 후 영상)을 격자 단위로 구분할 때, 반드시 동일한 격자 사이즈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도포 영역(110, 120)의 사이즈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격자 사이즈로 구분이 가능하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격자 사이즈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도포 영역(110, 120)의 중앙의 격자 사이즈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하고, 도포 영역(110, 120)의 주변의 격자 사이즈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레퍼런스 영상(도포 전 영상), 제1 영상(세정 전 영상), 제2 영상(세정 후 영상), 제3 영상(세정 후 영상)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한 밝기값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분할 영역의 밝기값을 기준으로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1110)(가장 세정이 잘된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가장 세정이 안된 영역)을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과 가장 어두운 영역(1120)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평균치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밝기 임계치를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밝기 임계치를 기준으로 전체 분할 영역의 격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체 분할 영역의 격자 크기가 커지도록 조절하고, 밝기 임계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전체 분할 영역의 격자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전체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1110)을 제외하고, 기 설정된 밝기 임계치 이상의 밝기값을 갖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으로 선별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을 확장 영역(1140)으로 인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의 세정률이 90%라고 가정할 때,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의 세정률이 80~50%일 것으로 추정하여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인접한 주변 영역까지를 확장 영역(1140)으로 인식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을 기준으로 인접한 주변을 확장할 때, 도포 영역(110, 120)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의 면적을 산출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전체 분할 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면적 중 가장 밝은 영역(1110),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1130)에 대응하는 면적의 기 설정된 비율(예컨대, 30%)까지만 확장되도록 한다.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150)는 전체 분할 영역 중 확장 영역(1140) 이외의 나머지 영역은 형광 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후보 영역에서 제외시킨다.
UV 조명(130)은 UV를 도포 영역(110, 120)으로 조사할 때, 분할 영역에 따라 UV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UV 조명(130)은 전제 분할 영역 중 밝기값이 주변 영역에 비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낮은 경우, UV 세기를 높여서 조사하면서, 카메라(140)가 해당 영역을 다시 촬영하도록 한다.
UV 조명(130)은 전제 분할 영역 중 밝기값이 주변 영역에 비해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높은 경우, UV 세기를 낮춰서 조사하면서, 카메라(140)가 해당 영역을 다시 촬영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도포 영역
120: 제2 도포 영역
130: UV 조명
140: 카메라
150: 피부 잔여물 측정장치

Claims (5)

  1. C.I. 45350,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 resorcinolphthalein, solvent yellow 94, D & C yellow no. 7, angiofluor, Japan yellow 201, soap yellow 중 어느 하나의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형광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대상 화장품 20 ml와 상기 형광 용액 0.33 g 1%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하거나, 상기 대상 화장품이 거품 형태인 경우 거품 형태의 상기 대상 화장품 10 ml와 상기 형광 용액 0.33 g 1%을 섞어서 상기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과정;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할 도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혼합용액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에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을 증류수로 세정한 후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2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레퍼런스 영상,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각각을 복수의 격자로 구분한 분할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분할 영역별 형광물질 함량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할 때, 상기 제2 영상에 대한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산출하고, 상기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을 선별하고, 상기 가장 밝은 영역과 상기 가장 어두운 영역 간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밝기 임계치를 산출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가장 밝은 영역을 제외하고, 기 설정된 밝기 임계치 이상의 밝기값을 갖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으로 선별하고, 상기 가장 밝은 영역, 상기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 밝은 영역, 상기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확장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후보 영역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영역을 상기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 내에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5.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드로메트리졸,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중 어느 하나의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형광 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대상 화장품 20 ml와 상기 형광 용액 0.33 g 1%을 섞어서 혼합용액을 생성할 때, 상기 형광 용액을 제형에 미리 넣고 유화 제조하는 과정;
    인체의 전박 부위에 기 설정된 사이즈로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할 도포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하기 전에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레퍼런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혼합용액 0.15 g을 피펫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과정;
    상기 혼합용액을 도포한 후에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1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도포 영역을 세정제로 세정하는 과정;
    상기 세정제로 세정한 상기 도포 영역을 다시 증류수로 세정한 후 상기 UV가 조사된 상기 도포 영역을 촬영한 제3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레퍼런스 영상,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3 영상 각각을 복수의 격자로 구분한 분할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분할 영역별 형광물질 함량을 서로 비교하여 피부 잔여물 정도를 산출할 때, 상기 제3 영상에 대한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산출하고, 상기 분할 영역별 밝기값을 기준으로 상기 분할 영역 중 가장 밝은 영역과 가장 어두운 영역을 선별하고, 상기 가장 밝은 영역과 상기 가장 어두운 영역 간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치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밝기 임계치를 산출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가장 밝은 영역을 제외하고, 기 설정된 밝기 임계치 이상의 밝기값을 갖는 영역을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으로 선별하고, 상기 가장 밝은 영역, 상기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 밝은 영역, 상기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는 영역 각각에 인접한 주변 영역을 포함하여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분할 영역의 전체를 대상으로 상기 확장 영역 이외의 나머지 영역을 형광 세기값을 측정하기 위한 후보 영역에서 제외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KR1020230029998A 2023-03-07 2023-03-07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KR10261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998A KR102616939B1 (ko) 2023-03-07 2023-03-07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998A KR102616939B1 (ko) 2023-03-07 2023-03-07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939B1 true KR102616939B1 (ko) 2023-12-21

Family

ID=8932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998A KR102616939B1 (ko) 2023-03-07 2023-03-07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3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160A (ko) * 2012-11-21 2014-05-29 아이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 효과를 정량화하는 방법
KR20160129170A (ko) * 2015-04-29 2016-11-09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광분석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력 평가방법
KR20190023226A (ko) * 2017-08-28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특성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2020027076A (ja) * 2018-08-16 2020-02-20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汚染除去実施範囲の可視化方法
KR102368056B1 (ko) * 2021-03-16 2022-02-25 우외조 손소독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2022553184A (ja) * 2019-10-18 2022-12-22 ユニリーバー・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すすぎ特性を確認する方法
JP2023500349A (ja) * 2019-11-06 2023-01-05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着色粒子
KR20230008368A (ko) * 2021-07-07 2023-01-16 경기도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160A (ko) * 2012-11-21 2014-05-29 아이이씨코리아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 효과를 정량화하는 방법
KR20160129170A (ko) * 2015-04-29 2016-11-09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광분석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력 평가방법
KR20190023226A (ko) * 2017-08-28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제의 도포 특성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2020027076A (ja) * 2018-08-16 2020-02-20 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汚染除去実施範囲の可視化方法
JP2022553184A (ja) * 2019-10-18 2022-12-22 ユニリーバー・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すすぎ特性を確認する方法
JP2023500349A (ja) * 2019-11-06 2023-01-05 シムライズ アーゲー 着色粒子
KR102368056B1 (ko) * 2021-03-16 2022-02-25 우외조 손소독 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30008368A (ko) * 2021-07-07 2023-01-16 경기도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5344B2 (ja) 皮膚又は外皮の色調を特徴付けるための方法
Forrester et al. Comparison of laser speckle and 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 measurement in human skin and rabbit articular tissue
Gorpas et al. Real-time visualization of tissue surface biochemical features derived from fluorescence lifetime measurements
Ford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intact hair follicles and pilosebaceous units by volumetric multispectral optoacoustic tomography
Voegeli et al. Facial skin mapping: from single point bio‐instrumental evaluation to continuous visualization of skin hydration, barrier function, skin surface pH, and sebum in different ethnic skin types
DE60121704T2 (de) Verfahren zur Diagnose des Zustandes von äusseren Körperteilen und Merkmalen von darauf aufgebrachten Produkten
CN104873197B (zh) 皮肤评价方法以及护肤品或化妆品的推荐方法
JP6086573B2 (ja) 色素斑を特性化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化粧製品、皮膚製品又は薬剤製品の着色効果又は脱色効果を評価する方法におけるその応用
JP5797921B2 (ja) 体表評価方法および体表評価装置
JP200719036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024956B1 (ko) 생체 조직에서의 멜라닌과 같은 내생적 형광단의 특정 3d 검출, 시각화 및/또는 정량화를 위한 비침습적 방법
CN105324068A (zh) 用于评估美容产品在皮肤上的美容效果的方法
CN116829057A (zh) 用于组织的多光谱3d成像和诊断的系统和装置及其方法
JP5977408B2 (ja) 体表評価方法および体表評価装置
KR102616939B1 (ko) 화장품 잔여물 측정 방법
KR20160129170A (ko) 형광분석을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력 평가방법
KR101437931B1 (ko)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클렌징 조성물의 클렌징 효과를 정량화하는 방법
JP4714228B2 (ja) 脳組織内毛細血管の血流動態に関するインデックス演算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JP2017113140A (ja) 肌状態評価方法
CN115916045A (zh) 用于确定用户的头皮类型的方法
JP65217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7252892A (ja) 皮膚表面の立体形状の目視評価値の推定方法
Abookasis et al. Reconstruction enhancement of hidden objects using multiple speckle contrast projections and optical clearing agents
Nugroho et al. Melanin type and concentration determination using inverse model
CN115699113A (zh) 用于皮肤测试、定制配方和化妆品生产的智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