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46B1 - 자동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46B1
KR102616146B1 KR1020230118473A KR20230118473A KR102616146B1 KR 102616146 B1 KR102616146 B1 KR 102616146B1 KR 1020230118473 A KR1020230118473 A KR 1020230118473A KR 20230118473 A KR20230118473 A KR 20230118473A KR 102616146 B1 KR102616146 B1 KR 10261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support
plate
loc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3011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46B1/ko
Priority to KR1020230183020A priority patent/KR2024000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8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using test structures on, or modifications of, the card under test, made for the purpose of testing, e.g. additional components or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3Electrical testing of internal connections or -isolation, e.g. latch-up or chip-to-lead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8Complete testing stations; systems; procedures; software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 컨트롤러, 케이블, 센서, 내장보드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검사대상물에 대한 제품 검사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의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 등을 위해 덮개판을 개방할 때, 개방된 덮개판이 잠금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덮개판이 닫히며 검사대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검사장치{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 컨트롤러, 케이블, 센서, 내장보드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검사대상물에 대한 제품 검사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의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 등을 위해 덮개판을 개방할 때, 개방된 덮개판이 잠금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덮개판이 닫히며 검사대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저항, 콘덴서, 코일,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IC회로 등의 전자부품이 초소형화, 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마더보드 또는 메인보드로 일컬어지는 하나의 기판 상에 해당 전자제품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각 전자부품을 버스 구조로 연결하여 내장시킨 전자제품들이 제조되고 있다.
전자부품 및 보드제작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해당 전자제품 또한 갈수록 소형화 및 집적화되어 가고 있고,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집적화 추세에 따라 메인보드상의 부품 구조도 갈수록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시 보드상에 쇼트 및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 측정기기나 테스트기로는 어느 부위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91749호(2018.09.28.)에는 '자동 검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검사장치는 개방된 테스터 브라켓이 잠금되지 않기 때문에 검사 대상 물품에 대한 교체시, 개방된 테스터 브라켓이 외력 등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개방된 테스터 브라켓을 잡고 있지 않을 경우, 외력 등에 의해 테스터 브라켓이 닫히면서 검사 대상 물품과 충돌하며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891749호(2018.09.28.) '자동 검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CB, 컨트롤러, 케이블, 센서, 내장보드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검사대상물에 대한 제품 검사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의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 등을 위해 덮개판을 개방할 때, 개방된 덮개판이 잠금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덮개판이 닫히며 검사대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대상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안착부가 배치되며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안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자동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방향을 향하는 상기 덮개판이 외력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잠금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로부터 상기 덮개판의 타측을 결속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수단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판의 타측 전면부에 접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덮개판이 상기 걸림바에 접하며 결속되도록 하거나 상기 덮개판이 상기 걸림바와 이격되면서 상기 덮개판의 닫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바를 상기 덮개판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성기 상판의 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이동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전단부가 상기 이동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을 통과하는 가압바; 및 상기 이동관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걸림바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한 쌍의 걸림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로 나사결합되는 가압조절부재; 및 상기 롤러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지주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수단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승강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방지수단은 상기 지주의 상부로 결합되는 고정캡; 상기 고정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CB, 컨트롤러, 케이블, 센서, 내장보드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검사대상물에 대한 제품 검사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의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대상물에 대한 교체 등을 위해 덮개판을 개방할 때, 개방된 덮개판이 잠금되면서 외력 등에 의해 덮개판이 닫히며 검사대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덮개판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에서 실린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에서 잠금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에서 잠금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에서 잠금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에서 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100)는 검사대상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부(140),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안착부(140)가 배치되며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120), 안착부(14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20)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구동에 따라 안착부(1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130) 및 일측이 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회전에 따라 하우징(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대상물은 PCB, 컨트롤러, 케이블, 센서, 내장보드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 검사장치(100)는 검사대상물의 크기나 높이 등에 따라 실린더(130)를 구동시켜 안착부(14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는 육안으로의 검사는 물론, 통전검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140)나 덮개판(110)에는 검사용 탐침, 전원인가용 핀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덮개판(110)에는 검사대상물을 별도 검사하기 위한 픽스춰(Fixture)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픽스춰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동 검사장치(100)는 안착부(140)의 높낮이 조절과 함께 덮개판(110)이 하우징(120)의 상부를 닫으면서 검사대상물에 대한 제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자동 검사장치(100)는 하우징(120)의 상부가 개방되면서 안칙부(140)에 안착된 검사대상물을 인출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검사대상물에 대한 파손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덮개판(11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검사장치(100)는 덮개판(110)을 개방하지 않고도 안착부(140)에 안착된 검사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덮개판(110)에는 검사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관통부(111,112)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판(110)은 힌지 연결부재(121)에 의해 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덮개판(110)은 하우징(120)의 상부로 닫힌 상태에서 타측이 일측 즉, 힌지 연결부재(121)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판(110)은 개방에 따라 타측이 상부를 향하면서 닫힌 상태에서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후면을 이루고, 하면이 전면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덮개판(110)은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힌지 연결부재(121)를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닫힐 수 있다.
하우징(120)은 상부 내측에 덮개판(110)이 하우징(120)의 상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덮개판(110)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22a, 122b, 122c, 122d)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일측에 하우징(126)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홀(126)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26)로는 하우징(120)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130) 등과 연결되는 유공압선이나 전원선 등이 통과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전면에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실린더(130)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28) 및 안착부(140)에 안착된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어질 수 있다.
하우징(120)은 전면에 검사대상물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표시하는 계기판(12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자동 검사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이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판(110)을 잠금하는 잠금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장치(200)는 하우징(120)이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방향을 향하는 덮개판(110)이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닫히지 않도록 잠금한다.
잠금장치(200)는 하우징(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210), 지지판(210)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220) 및 지주(220)로부터 덮개판(110)의 타측을 결속하면서 개방된 상태의 덮개판(110)이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10)은 사각판으로 이루면서 전단부가 하우징(12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주(220)는 원형바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지지판(21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된 덮개판(110)의 타측보다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덮개판(110)은 개방시, 일측이 하우징(120)의 상부 내측 후면에 접하면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지주(220)는 덮개판(110)이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판(110)의 타측과 이격되도록 지지판(2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수단(230)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231a)이 형성되면서 지주(220)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231) 및 상판(231)의 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판(110)의 타측 전면부에 접하는 걸림바(23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수단(230)은 상하 이동에 따라 걸림바(232)가 덮개판(110)에 접하면서 덮개판(110)의 타측을 결속하거나 걸림바(232)가 덮개판(110)과 이격되면서 덮개판(110)의 타측을 결속해제할 수 있다.
즉, 잠금수단(230)은 덮개판(110)의 개방시,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바(232)에 덮개판(232)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다 덮개판(110)의 개방이 완료되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바(232)가 덮개판(232)의 전면에 접하며 덮개판(110)을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판(110)은 잠금수단(230)의 결속에 따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잠금수단(230)의 결속해제에 따라 회전되면서 닫힐 수 있다.
걸림바(232)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잠금수단(230)은 한 쌍의 걸림바(2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233)는 덮개판(110)과의 접촉이 최소가 되면서 상호 접촉에 따른 파손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롤러(233)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장치(200)는 걸림바(232)를 덮개판(110)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수단(240)은 외력 등에 의해 잠금수단(2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덮개판(110)에 대한 잠금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압수단(240)은 상판(23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판(241), 상판(23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주(220)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242), 지주(220)로 나사결합되면서 이동관(24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43), 전단부가 이동관(242)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가압판(241)을 통과하는 가압바(244) 및 이동관(242)과 가압판(241) 사이에 위치되도록 가압바(244)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2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지부재(2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주(220)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가압판(241)은 상판(23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판(231)과 직교를 이룰 수 있다.
이동관(242)은 지주(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바(244)는 전단부가 이동관(242)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가압판(241)을 통과하면서 이동관(242)의 이동에 따라 고정수단(230)이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245)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러(233)가 덮개판(110)에 밀착되도록 이동관(242)으로부터 가압판(241)을 가압할 수 있다.
지지부재(243)는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이동관(242)과 함께 잠금수단(2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잠금수단(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가압수단(240)은 이동관(242)과 탄성부재(245) 사이에 위치되도록 가압바(244)로 나사결합되는 가압조절부재(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바(24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가압조절부재(24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가압바(244)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가압조절부재(245)는 회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덮개판(110)으로 가해지는 탄성부재(245)의 탄성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수단(240)은 롤러(233)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판(23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덮개판(110)이 지주(220)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패드(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방지패드(274)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방지패드(274)는 개방된 상태의 덮개판(110)의 타측과 지주(220) 사이에 위치되면서 덮개판(110)이 지주(220)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장치(200)는 잠금수단(23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승강방지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방지수단(250)은 지주(220)의 상부로 결합되는 고정캡(251), 고정캡(25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주(220)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252) 및 고정부재(252)와 상판(2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주(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25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캡(251)은 지주(220)의 상부로 결합되면서 지주(220)로부터 고정부재(25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25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주(220)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253)은 잠금수단(230)이 덮개판(110)을 결속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52)로부터 상판(231)을 가압하여 롤러(233)가 덮개판(110)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253)은 덮개판(110)을 닫고자 하는 경우, 잠금수단(23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축되면서 잠금수단(230)과 함께 이동관(242)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253)은 잠금수단(230)에 대한 상방향으로의 이동을 해제함에 따라 이완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고정부재(252)는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스프링(253)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장치(200)는 개방된 상태의 덮개판(110)을 잠금함으로써 외력 등에 의해 덮개판(110)이 닫히면서 검사대상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자동 검사장치 110 : 덮개판
120 : 하우징 130 : 실린더
149 : 안착부 200 : 잠금장치
210 : 지지판 220 : 지주
230 : 잠금수단 240 : 가압수단
250 : 승강방지수단

Claims (5)

  1. 검사대상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부; 상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안착부가 배치되며 검사대상물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안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자동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방향을 향하는 상기 덮개판이 외력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잠금하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 및
    상기 지주로부터 상기 덮개판의 타측을 결속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판의 타측 전면부에 접하는 걸림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은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덮개판이 상기 걸림바에 접하며 결속되도록 하거나 상기 덮개판이 상기 걸림바와 이격되면서 상기 덮개판의 닫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를 상기 덮개판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성기 상판의 후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이동관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전단부가 상기 이동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을 통과하는 가압바; 및
    상기 이동관과 상기 가압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바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한 쌍의 걸림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동관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압바로 나사결합되는 가압조절부재; 및
    상기 롤러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덮개판이 상기 지주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사장치.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잠금수단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승강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방지수단은
    상기 지주의 상부로 결합되는 고정캡;
    상기 고정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검사장치.
KR1020230118473A 2023-09-06 2023-09-06 자동 검사장치 KR10261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473A KR102616146B1 (ko) 2023-09-06 2023-09-06 자동 검사장치
KR1020230183020A KR20240001304A (ko) 2023-09-06 2023-12-15 안전성이 개선된 자동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473A KR102616146B1 (ko) 2023-09-06 2023-09-06 자동 검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3020A Division KR20240001304A (ko) 2023-09-06 2023-12-15 안전성이 개선된 자동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146B1 true KR102616146B1 (ko) 2023-12-21

Family

ID=893206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473A KR102616146B1 (ko) 2023-09-06 2023-09-06 자동 검사장치
KR1020230183020A KR20240001304A (ko) 2023-09-06 2023-12-15 안전성이 개선된 자동 검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3020A KR20240001304A (ko) 2023-09-06 2023-12-15 안전성이 개선된 자동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6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90B1 (ko) * 2012-07-23 2012-11-06 윤승차 벽돌과 벽돌 사이에 단열재가 성형되는 건축용 이중 단열벽돌 제조장치
KR101891749B1 (ko) 2017-03-31 2018-09-28 김병철 자동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90B1 (ko) * 2012-07-23 2012-11-06 윤승차 벽돌과 벽돌 사이에 단열재가 성형되는 건축용 이중 단열벽돌 제조장치
KR101891749B1 (ko) 2017-03-31 2018-09-28 김병철 자동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304A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667A (en) Substrate tester location clamping, sensing, and contacting method and apparatus
US7733081B2 (en) Automated test equipment interface
KR20070117870A (ko) Lcd 검사 장비
KR102616146B1 (ko) 자동 검사장치
CN106680542B (zh) 电路板夹持及拉伸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241130B1 (ko) 액정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오토 프로브 장치
JP3946822B2 (ja) 座標測定装置
KR20180109303A (ko) 슬라이드 수직형 테스트 소켓
AU2011213556B2 (en) A remotely operable vehicle compartment lock
KR100538860B1 (ko) 헤드 플레이트 개폐 기구 및 프로브 장치
KR200496335Y1 (ko) 솔레노이드 코일 동작 점검장치
KR102116017B1 (ko) 테스트 소켓 개폐장치
JP3095318B2 (ja) 被検査体のテスト装置
KR20070062239A (ko) 차량의 도어인너모듈 검사장치
US6710590B1 (en) Test head Hifix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apparatus
JP4831748B2 (ja) 電子部品試験装置
JPH10170580A (ja) 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およびユニバーサル型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の使用方法
KR101891749B1 (ko) 자동 검사장치
CN102066962A (zh) 测试头移动装置及电子元件测试装置
KR20070116539A (ko) Ic 테스터
JPH05306099A (ja) ストッパ装置
KR20140075091A (ko) 차량 슬라이딩도어용 와이어링의 내구성 검출장치
KR920008505A (ko) Ic 시험장치
CN111755370A (zh) 装载端口
JP6710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