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00B1 - 헬멧용 버클 - Google Patents

헬멧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00B1
KR102616100B1 KR1020210134799A KR20210134799A KR102616100B1 KR 102616100 B1 KR102616100 B1 KR 102616100B1 KR 1020210134799 A KR1020210134799 A KR 1020210134799A KR 20210134799 A KR20210134799 A KR 20210134799A KR 102616100 B1 KR102616100 B1 KR 102616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elements
coupling portion
helmet
buckl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880A (ko
Inventor
박재흥
Original Assignee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2Safety buckles actuated by a rotatable element, e.g. combined with other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11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e.g. placed on the front face of the buck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2557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with strap length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용 버클이 개시된다. 헬멧용 버클은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쇠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림쇠가 구비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는 서로 결합되고 복수의 걸쇠부 내부에 복수의 걸림쇠가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자성소자를 활용하여 버클의 결합 동작이 용이하며, 해제시에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헬멧용 버클{BUCKLE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소자를 활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헬멧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주로 착용자의 머리, 안면 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착용하는데, 예컨데 바이크, 싸이클, 경주용 차량, 소방용, 군용 등 각종 야외 활동 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주로 헬멧 착용자가 운동을 하거나 위험 상황 등에서 착용하게 되어, 착용자는 항상 헬멧의 끈이나 스트랩을 꽉 조여매어 헬멧이 머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헬멧의 끈이나 스트랩을 조이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헬멧용 버클이며, 기존의 버클은 주로 플라스틱을 활용한 합성수지로 제작되었고, 이러한 플라스틱을 활용한 합성수지는 어느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버클을 구성하는 결합부가 결합시 탄성력을 이용하여 잠시 눌렸다가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서로 걸리게 되어 결합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결합상태를 해제시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부의 일부를 눌러서 해제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력을 이용한 버클은 버클에 먼지나 불순물이 끼게 될 경우 버클을 결합하거나 해제시에 작동이 잘 안될 수 있고, 탄성력이 점차 떨어지게 되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결합과 해제시에 반드시 착용자가 양손으로 버클을 파지한 채 눌러서 빼거나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성소자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결합이 되는 버클이 개발되고 있으며, 자성소자를 활용하여 좀더 견고하게 결합되되,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는 버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성소자를 활용한 헬멧용 버클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은,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쇠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림쇠가 구비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걸쇠부 내부에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위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복수의 걸쇠부 및 복수의 걸림쇠가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걸쇠부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상기 복수의 걸쇠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를 분리시키고 상기 복수의 걸쇠부 및 복수의 걸림쇠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탄성소자로 연결되어 회전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스트랩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게 되어 상기 스트랩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트랩이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소자에 의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성소자를 활용하여 버클의 결합 동작이 용이하며, 해제시에도 한손으로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의 자성소자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의 길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다" 또는 "이루어지는"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 이외의 다른 구성이 포함되어 있지 아니함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구성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100)은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헬멧용 버클(100)은 헬멧을 착용하는데 있어서 착용자의 머리에 헬멧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활용되는 부품이며, 합성수지, 플라스틱, 합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헬멧용 버클(100)은 사각형의 형태를 띄고 있으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각형, 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120)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130)를 포함하며, 누름부1a30)가 눌려지게 되면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헬멧용 버클(100)의 양측에는 턱끈 또는 스트랩이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100)은 턱끈 또는 스트랩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는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걸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는 복수의 걸쇠부(1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걸쇠부(112) 사이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갖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기설정된 간격을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쇠부(112)가 존재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120)는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및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회전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는 복수의 걸림쇠(122)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걸림쇠(122)는 제2 결합부(120)의 일면과 기설정된 간격을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및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회전부재(123)는 양방향(124)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부재(123)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및 복수의 걸림쇠(122)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120)의 일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되며, 복수의 걸림쇠(122)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가 부착된다.
또한, 제2 결합부(120)의 일부 영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130)가 포함된다.
도 3c는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및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면이 아닌 제2 결합부(120)의 타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가 결합된 상태의 헬멧용 버클(100)의 바깥면을 의미하며, 이러한 제2 결합부(120)의 타면의 가운데 영역에는 누름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으며,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면, 결합된 상태의 복수의 걸쇠부(112) 및 복수의 걸림쇠(122)가 서로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는 서로 다른 극성을 띄고 있어 서로 간에 끌어당기는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모두가 동일한 극성을 띌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중 왼쪽에 존재하는 제1 자성소자가 N극이고, 오른쪽에 존재하는 제1 자성소자가 S극을 띌 수 있으며, 이때 도 3a에 도시된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중 왼쪽에 존재하는 제2 자성소자는 N극이고, 오른쪽에 존재하는 제2 자성소자가 S극을 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가 서로 결합 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간의 자력에 의해 회전부재(123)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재(123)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걸쇠부(112) 내부에 복수의 걸림쇠(122)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23)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서, 복수의 걸쇠부(112)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사이에 존재하는 수용 공간에 복수의 걸림쇠(122)가 위치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하게 될 경우,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간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123)가 회전하게 되면서 복수의 걸쇠부(112)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및 복수의 걸림쇠(122)가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복수의 걸림쇠(122)는 복수의 걸쇠부(112)와 서로 결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간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면서 복수의 걸림쇠(122)와 복수의 걸쇠부(112)가 서로 결착될 경우,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걸쇠부(112)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12)와 복수의 걸림쇠(122)는 서로 회전에 의해 결합되었으므로, 제2 결합부(120)는 제1 결합부(110)로부터 상부 방향, 하부 방향 및 제1 결합부(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한편, 누름부(130)는 탄성소자를 통해 제2 결합부(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헬멧 착용자가 누름부(130)를 누르게 될 경우 누름부(130)에 의해 압력을 받은 탄성소자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23)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누름부(13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헬멧 착용자가 누름부(130)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터치 조작을 통해 회전부재(123)가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누름부(13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경우,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회전부재(1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123)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가 제2 결합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13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경우, 헬멧 착용자가 누름부(1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하고 있으면 프로세서(미도시)는 회전부재(123)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면 회전부재(123)가 회전하여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와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걸쇠부(112) 내부로부터 복수의 걸림쇠(122)가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면, 복수의 걸림쇠(122)가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를 분리시키고 복수의 걸쇠부(112) 및 복수의 걸림쇠(12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의 자성소자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면,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회전부재(123)가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510)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복수의 걸림쇠(122)가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520)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어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회전부재(123)가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510)으로 회전하게 되면,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간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복수의 걸쇠부(112)와 복수의 걸림쇠(122) 간의 결착도 해제되게 되어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어 복수의 걸림쇠(122)가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520)으로 벌어지게 되면,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간의 결합이 분리되면서 복수의 걸쇠부(112)와 복수의 걸림쇠(122) 간의 결착도 해제되게 되어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어 제2 결합부(120)의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걸림쇠(122)가 구비된 회전부재(123)가 제1 결합부(110)의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510)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간의 결합이 분리되고, 복수의 걸림쇠(122)도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누름부(130)가 눌려지게 되어 제2 결합부(120)의 복수의 걸림쇠(122)가 제1 결합부(110)의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520)으로 벌어지게 되어,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와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간의 결합이 분리되고, 복수의 걸림쇠(122)도 복수의 걸쇠부(112)로부터 빠져나와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도 6a 및 도 6b의 제1 결합부(110) 및 제2 결합부(120)의 결합이 해제되는 동작 과정은 누름부(130)가 눌려지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130)가 터치 패널로 구현될 경우, 헬멧 착용자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120)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장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결합부(120)는 제1 결합부(110)와 결합된 면이 아닌 타면에 즉, 눌림부(130)가 위치한 면에 대해 뚜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뚜껑부(140)의 일부 영역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있어, 개구부를 통해 누름부(130)를 누를 수 있다.
또한, 뚜껑부(140)는 스트랩(150)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며, 제2 결합부(120)와 탄성소자로 연결되어 회전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다시 제2 결합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40)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142)와 회전부(142)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141)로 구성되며, 이러한 회전부(142)의 회전을 통해 스트랩(150)에 연결된 와이어(151, 152)를 감게 되어 스트랩(150)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스트랩(150)이 조여진 상태에서 탄성소자에 의해 제2 결합부(1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뚜껑부(140)를 구성하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142)는 탄성소자를 통해 제2 결합부(120)와 연결되어 있어, 회전부(142)는 제2 결합부(120)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분리된채 회전이 가능하며, 이러한 회전에 따라 스트랩(150)과 연결된 와이어(151, 152)가 감기면서 스트랩(150)이 제2 결합부(120) 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스트랩(150)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142)가 회전을 통해 스트랩(150)이 조이게 되면 그 상태에서 회전부(142)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2 결합부(120)와 결합되되, 고정부(141)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트랩의 길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뚜껑부(140)의 회전에 의해 스트랩의 길이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뚜껑부(140)와 제2 결합부(120) 간에 탄성력이 있는 탄성소자(1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소자(160)는 제2 결합부(120)의 누름부(130) 주변을 감듯이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소자(160)에 의해 뚜껑부(140)는 제2 결합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뚜껑부(140)는 제2 결합부(120)로부터 분리되어 벌어진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뚜껑부(140)가 회전되면 뚜껑부(140)와 탄성소자(160)로 연결된 누름부(130)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누름부(130)와 연결된 와이어(152)도 누름부(130)에 감기게 되면서, 스트랩(150)이 제2 결합부(120)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조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헬멧용 버클(100)은 제1 결합부(110)의 복수의 제1 자성소자(111), 복수의 걸쇠부(112)와 제2 결합부(120)의 복수의 제2 자성소자(121), 복수의 걸림쇠(122) 간의 동작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도 8과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부(140)의 회전에 의해 스트랩(150)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하여 스트랩(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헬멧용 버클(100)의 동작 과정에 따라, 헬멧 착용자는 손쉽게 헬멧용 버클(100)을 결합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결합한 상태에서 손쉽게 스트랩(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헬멧용 버클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도면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헬멧용 버클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헬멧용 버클 110: 제1 결합부
120: 제2 결합부 130: 누름부

Claims (6)

  1.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쇠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복수의 제2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림쇠가 구비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걸쇠부 내부에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위치하여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쇠부는 기설정된 간격을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자성소자 및 복수의 걸림쇠는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복수의 걸쇠부 및 복수의 걸림쇠가 분리되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인, 헬멧용 버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걸쇠부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인, 헬멧용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복수의 걸림쇠가 상기 복수의 걸쇠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자성소자 및 제2 자성소자를 분리시키고 상기 복수의 걸쇠부 및 복수의 걸림쇠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인, 헬멧용 버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한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용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2 결합부와 탄성소자로 연결되어 회전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하며,
    회전을 통해 상기 스트랩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게 되어 상기 스트랩을 조이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트랩이 조여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소자에 의해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인, 헬멧용 버클.
KR1020210134799A 2021-10-12 2021-10-12 헬멧용 버클 KR102616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99A KR102616100B1 (ko) 2021-10-12 2021-10-12 헬멧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99A KR102616100B1 (ko) 2021-10-12 2021-10-12 헬멧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880A KR20230051880A (ko) 2023-04-19
KR102616100B1 true KR102616100B1 (ko) 2023-12-20

Family

ID=8614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99A KR102616100B1 (ko) 2021-10-12 2021-10-12 헬멧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1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605A1 (en) * 2008-01-27 2010-12-09 Fidlock Gmbh Locking Magnet Closure
US20190387845A1 (en) * 2018-06-21 2019-12-26 Taiwan Oasis Technology Co., Ltd. Magnetic assembl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1021A1 (de) * 2017-11-14 2019-05-16 Fidlock Gmbh 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m Wickelelement
US10874178B2 (en) * 2017-12-07 2020-12-29 Wonderland Switzerland Ag Magnetic buck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8605A1 (en) * 2008-01-27 2010-12-09 Fidlock Gmbh Locking Magnet Closure
US20190387845A1 (en) * 2018-06-21 2019-12-26 Taiwan Oasis Technology Co., Ltd. Magnetic assembl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880A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576B2 (en) Spring absorption technology (S.A.T.) helmet
TW200628083A (en) Head-mounted MP3 player
CN106029015B (zh) 护目镜呼吸系统
US8939332B2 (en) Device for conditioning a glove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US20170065016A1 (en) Head and neck protection apparatus
KR102616100B1 (ko) 헬멧용 버클
US9486030B2 (en) Audio pouch for helmet
US20160150843A1 (en) Attaching device for partial wig
US20120183168A1 (en) Removable Accessory Systems And Methods
TW202009633A (zh) 可調整束帶與頭戴式顯示裝置
US10517344B2 (en) Adjustable hat with removable adjustment straps
JP2009508204A (ja) リングに付けたufd
US20220339064A1 (en) Acupressure Headband Apparatus
JP2024512251A (ja) リリース可能な磁気スキーポールストラップシステム
TW200840505A (en) Cord lock
US11819082B2 (en) Breakaway clasp for headwear
CN108289522A (zh) 具有可释放发孔的头盔贴合调节系统
KR102075106B1 (ko) 하이브리드 버클이 포함된 안전모
US8848959B1 (en) Invisible retention device for hearing aids
US20150096094A1 (en) Device for conditioning a glove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US9743745B2 (en) Optimized cord clip
JP5558856B2 (ja) 締結具および締結具部品
CN207855188U (zh) 表带连接结构
KR101443259B1 (ko) 헬멧
CN209980033U (zh) 翻转智能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