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60B1 -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60B1
KR102615860B1 KR1020200178039A KR20200178039A KR102615860B1 KR 102615860 B1 KR102615860 B1 KR 102615860B1 KR 1020200178039 A KR1020200178039 A KR 1020200178039A KR 20200178039 A KR20200178039 A KR 20200178039A KR 102615860 B1 KR102615860 B1 KR 10261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licorice extract
present
skin whiten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716A (ko
Inventor
김형돈
장귀영
강민혜
박정용
서경혜
최수지
이정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초를 고온 처리하고 초음파 에탄올 추출하는 방법으로 감초 추출물을 제조 시 멜라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감초 추출물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Licorice extract with increased skin whitening functional ingredients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거나 방어하는 1차적 기관으로 신체표면을 전체에 걸쳐 덮고 있는 가장 넓은 기관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된다. 이중에서도 표피 부분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는 각질층은 각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유해물질 침투나,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박테리아나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 한다. 각질층은 4주(28일)를 주기로 탈피되어 새로 형성된다. 또한 진피 윗부분에 주로 많이 분포하는 섬유아세포는 피부탄력 기능과 보호기능을 갖는 섬유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만들어 내는 모세포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아시아인들은 남녀 구분 없이 미백에 대한 욕구가 그 어느 대륙보다도 높은데, 미백에 대한 갈망은 곧 자신감을 갖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속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는 색소 세포에서 합성하는 멜라닌(melanin)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농도와 분포역에 따라서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중요하나,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태양의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임신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 등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멜라닌은 몸 전체에 걸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태양의 가시광선을 흡수해 햇빛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검은 피부에 가까울수록 햇빛에 대한 노출 뿐 아니라 빛에 의한 피부 손상에도 저항력이 강한 편이다.
미백은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의 환원을 촉진하여 유도된다. 피부표면인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생성되는 티로신은 멜라닌의 전구체에 해당되며, 도파퀴논(DOPA-quinone)을 거쳐 멜라닌으로 합성된다. 이러한 중간과정에서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작용하는데, 이처럼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dopachrome)으로 산화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게 되면,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피부톤이 밝아지는 미백 효과가 나타난다.
감초는 예로부터 식품의 조미료나 약용으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주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은 자당의 150배의 감도가 있으며, 감미료로서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으로, 감초 추출물에는 항궤양 작용(Takagi, K., Ishii, Y. : Arzein Forsch, 17, 1544 (1967)) 이나 간 장해 보호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감초의 이와 같은 다양한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피부 미백 효과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질에 치명적인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 미백 효과가 뚜렷한 천연소재를 찾던 중 감초 추출물이 이러한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38510호 한국등록특허 제053587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를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 증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원감 또는 만주 감초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온은 110 ~ 14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초음파 추출은 5배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감초를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 증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온은 110 ~ 14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초음파 추출은 5배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초를 고온 처리하고 초음파 에탄올 추출하는 방법으로 감초 추출물을 제조 시 멜라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음을 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감초 추출물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피부 흑색종 세포에서 감초 추출물 처리군 별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피부 흑색종 세포에서 감초 추출물 처리군 별 멜라닌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감초추출물 처리군 별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원감 또는 만주 감초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온 처리하고, 초음파 에탄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온은 110 ~ 140℃에서 0.5 ~ 2시간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 130℃에서 1시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에탄올 추출은 5배 70%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30분씩 4회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초 추출물의 효능을 실험한 결과, 멜라닌 생성 세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서 미백 효과가 있으며(실시예 3),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따라서,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세포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사용이 가능하며, 비경구 사용시 피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바람직한 사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으로서,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하여 화장용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목적한 제형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thickening agent),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viscosity stabilizer),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 당 0.001 내지 50 중량%가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로는 수소화 식물성유, 파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고,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코올로는 세틸 알코올,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판텐올, 라놀린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소듐 스테아레이트, 소듐 세틸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포스페이트, 소듐 N-아실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아미노에틸글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레시틴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코코넛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르니드(monoethaolarnide),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유,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된다.
흡습제에는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이 이용 가능하다. 증점제의 예에는 알긴산 나트륨, 카제인산 나트륨, 젤라틴 한천, 크산탄 고무, 전분, 셀룰로오스 에테르 (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항산화제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아니솔, 프로필 갈레이트, 시트르산, 에톡시퀸(ethoxyquin)이 이용 가능하고, 킬레이팅제로는 디소듐 에데테이트, 에탄하이드록시 디포스페이트가 이용 가능하며, 완충제로는 시트르산, 소듐 시트레이트, 붕산, 보랙스(borax), 디소듐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가 이용 가능하고, 방부제로는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디하이드로아세트산, 살리실산, 벤조산이 이용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감초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감초 추출물의 함량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2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초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피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감초 추출물을 사용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감초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100 ㎎/㎏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기준으로 1.0 내지 3.0 ㎖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으나,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피부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감초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초 추출물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감초 추출물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류,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음료수로 제형화할 경우에 감초 추출물 이외에 첨가되는 액체 성분으로는 이제 한정되지는 않으나,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 알코올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예,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과일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01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온은 110 ~ 14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초음파 추출은 5배 7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할 수 있다.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는 기존 감초 내 존재한다고 알려져있는 항산화와 관련된 기능성분이며, 본 발명의 감초를 고온 처리하고, 7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 시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을 월등히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감초 추출물 제조방법
만주감초는 2018년 제천 송학면에서 재배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원감(농촌진흥청 육성품종)은 2018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시험포장에서 재배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수확한 시료는 액체질소로 급속동결 후 가정용 믹서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분쇄한 시료를 120℃, 130℃에서 1시간 열처리를 하였으며, 5배 70%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하였다(powersonic 520, 40 KHz, 700 W, Hwashin tech Co., Korea).
<실시예 2>
본 발명 감초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평가
<2-1> 세포주 배양
멜라노마(B16F10)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VA, USA)에서 구입하였다. B16F10 세포의 생육배지로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Gibco, Grand Island, NY, USA)과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Grand Island, NY, USA))가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Grand Island, NY, USA)을 사용하였고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2-2> 본 발명 감초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 평가
B16F10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104 cell/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만주감초 및 원감 추출물을 25-20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다.
48 시간 후 3-(4,5-dimethylthiazol-2-yl)- 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MTS; Promega, Madison, WI, USA) assay를 수행하여 multimode microplate reader (Biotek Inc., Winooski, USA)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피부 흑색종 세포에서 본 발명 감초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만주 감초와 원감을 주재료로한 감초 추출물 모두에서 200 μg/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시예 3>
본 발명 감초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측정
멜라닌 함량 측정은 Hosoi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B16F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105 cell/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만주감초 및 원감 추출물을 2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멜라닌생성호르몬(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1 μM 농도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Gibco, Grand Island, NY, USA)로 세포를 회수하고 1N sodium hydroxide (NaOH)로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세포를 용해하였다. Multimode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피부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멜라닌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고온과 초음파 처리를 한 감초 추출물(WH120, WH130, MH120, MH130 처리군)에서는 확연한 멜라닌 저해 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감초 추출물은 멜라닌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실시예 4>
본 발명 감초추출물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 변화 확인
본 발명 고온고압처리 조건에 따른 감초추출물의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HPLC-UVD에서 C-18컬럼을 고정상으로, 이동상은 0.1% 포름산-물:아세토나이트릴 기울기 용리 조건으로 분석하였으며, 검출파장은 UV 254 nm으로 하였다.
확인 결과, 만주 품종을 사용한 감초추출물인 MC 처리군에서는 약 2.4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였고, 원감 품종을 사용한 감초추출물인 WC 처리군에서는 약 1.4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였다.
또한, 만주품종을 대상으로 120℃의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한 처리군인 MH120 처리군에서는 약 2.8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였고, 만주품종을 대상으로 130℃의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한 처리군인 MH130 처리군에서는 약 3.3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였다.
원감 품종을 대상으로 120℃의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한 처리군인 WH120 처리군에서는 약 2.1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였고, 원감 품종을 대상으로 130℃의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한 처리군인 WH130 처리군에서는 약 2.5mg/g의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따라서, 감초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이소리퀴리티제닌이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고온과 70% 에탄올로 4회 초음파 추출을 한 처리군에서는 훨씬 높은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120℃의 온도로 고온처리한 군보다 130℃의 온도로 고온처리한 군에서 더 높은 이소리퀴리티제닌 함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은 감초를 120 ~ 13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감초 중량의 5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 추출물은 원감 또는 만주 감초 품종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은 감초를 120 ~ 13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감초 중량의 5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9. 삭제
  10. 감초를 120 ~ 13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및
    상기 감초 중량의 5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시험관 내(in vitro)에서, 멜라닌 생성 호르몬(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이 처리된 피부세포에,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세포 멜라닌 합성 억제 방법으로서,
    상기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함량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은 감초를 120 ~ 130℃에서 0.5 ~ 2시간 처리하고, 감초 중량의 5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씩 4회 초음파 추출하여 수득되는 것인, 방법.
KR1020200178039A 2020-12-18 2020-12-18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39A KR102615860B1 (ko) 2020-12-18 2020-12-18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039A KR102615860B1 (ko) 2020-12-18 2020-12-18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16A KR20220087716A (ko) 2022-06-27
KR102615860B1 true KR102615860B1 (ko) 2023-12-21

Family

ID=8224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039A KR102615860B1 (ko) 2020-12-18 2020-12-18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872B1 (ko) 2005-07-28 2005-12-0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감초 추출물 또는 리퀴리티게닌을 포함하는 중금속중독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38510B1 (ko) 2009-01-15 2011-06-01 김희자 감초 및 그 복합생약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내복용의 농축시럽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진 외 4명. 감초 물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효과 및 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과피부과학회지, 2003
문연자 외 6명. 감초 물추출물의 멜라닌 형성 억제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16권, 2002
박종훈 외 2명. 감초 에탄올 추출물이 인체 간 마이크로좀에서 사이토크롬 P450 약물대사효소에 대한 억제효과: 물추출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본초학회, 2004
박지선 외 8명. 멜라닌 합성 및 기전에 미치는 감초의 효과.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1
이윤경 외 1명.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의한 상처치료 가능성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제25권, 2016.08.20.
이혜미. 국내산 감초 유효성분의 UVB로 유도된 광노화에 대한 저해 메커니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정밀화학과 이학석사 학위논문, 2015년 2월
임덕우 외 2명. 감초추출액이 멜라닌세포의 증식과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16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802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80153A (ko)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1414B1 (ko) 과나바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289813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188682B1 (ko) 베로니카 론기폴리아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용 조성물
KR101203504B1 (ko) 비단나무 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15860B1 (ko)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 미백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932B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15863B1 (ko) 고온 처리에 의한 피부노화 방지 효과 및 주름 개선 기능성분이 증가된 감초 추출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03983B1 (ko) 금강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15709B1 (ko) 로베티올린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9713B1 (ko) 탈리늄 크랏시톨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88113B1 (ko) 브라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59291B1 (ko) 이소스쿠텔라레인 7,8-다이메틸에테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068808B1 (ko) 봉황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15649B1 (ko) 층층갈고리둥굴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717A (ko) 익소라 콕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40645B1 (ko) 글라디올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079712B1 (ko) 카스카타 시낸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조성물
KR101055653B1 (ko) 티베티아 페루비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