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737B1 -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737B1
KR102615737B1 KR1020180080746A KR20180080746A KR102615737B1 KR 102615737 B1 KR102615737 B1 KR 102615737B1 KR 1020180080746 A KR1020180080746 A KR 1020180080746A KR 20180080746 A KR20180080746 A KR 20180080746A KR 102615737 B1 KR102615737 B1 KR 10261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nel
binding
pai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862A (ko
Inventor
이진옥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7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로고 클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은 표시부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후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본체와 함께 대상물의 장착패널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클립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클립패널과, 한 쌍의 클립패널은 각각 클립홈이 장착패널에 끼워질 때 장착패널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결속후크와, 후면에 가압 지지되어 클립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탭을 포함하고,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장착패널에 클립홈이 삽입 완료될 때 대상물에 가압 지지됨에 따라 결속홈에 삽입된 결속후크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결속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LOGO CLIP AND CALIPER BRAK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고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로고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캘리퍼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다.
이러한 캘리퍼 브레이크는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와, 차체에 결합되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습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로 압박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캘리퍼 하우징을 구비한다.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되고, 전방부에는 하측으로 굽어져 성형된 핑거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캘리퍼 브레이크는 실린더에 마련된 피스톤이 일측의 패드플레이트를 밀게 되며, 그 반력에 의해 캘리퍼 하우징이 이동하며 캘리퍼 하우징의 전방부에 마련된 핑거부가 타측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디스크를 양쪽에서 압박하여 제동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수주 시 고객의 요청에 따라 스타일링(Styling)을 위한 여러 옵션 사항들을 요구하고 있다. 방법이나 형식에는 구애받지 않으나, 스타일링을 위한 추가 부품 추가(로고가 각인된 플레이트 또는 클립 등) 또는 마킹 등이 대다수가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외부에서 식별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제품의 상표나 광고 효과를 위하여 로고가 새겨진 플레이트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로고가 새겨진 플레이트의 경우 캘리퍼 전체를 감싸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간 소모가 크며,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따른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캘리퍼 하우징의 이동 범위를 고려하여 로고가 새겨진 플레이트와 캐리어 사이에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캘리퍼 브레이크의 정비 시 볼트 가이드 로드를 분리시키는 경우 로고가 새겨진 플레이트도 다시 교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조립 작업 증가에 따른 비용 및 생산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7318호(2017.12.13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조립성이 용이하면서 조립 후 로고 클립이 대상물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표시부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후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대상물의 장착패널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클립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클립패널 및 상기 한 쌍의 클립패널은 각각 상기 클립홈이 상기 장착패널에 끼워질 때 상기 장착패널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결속후크와, 상기 후면에 가압 지지되어 상기 클립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장착패널에 상기 클립홈이 삽입 완료될 때 상기 대상물에 가압 지지됨에 따라 상기 결속홈에 삽입된 상기 결속후크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결속탭을 포함하는 로고 클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패널은 상기 후면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부에서 한쪽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이 절개되어 상기 후면을 향해 벤딩 형성되고, 상기 결속후크의 자유단부에는 상방으로 구부러진 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패널은 상기 후면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격 방지탭은 한 쌍의 상기 패널부가 서로 마주하는 자유단부의 인접부에서 상기 패널부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소정길이 절개된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널부의 일부가 상기 후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결속탭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된 측방패널의 상단에서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탄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에 형성된 절개홈의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면을 향해 벤딩되며 상기 후크부를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크 결속탭은 상기 측방패널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하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향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하향 경사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립패널에는 상기 후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원형 오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캐리어의 제1 면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면과, 한 쌍의 결속홈을 갖는 장착패널 및 상기 장착패널이 끼워지는 클립홈을 구비하며, 전면에 표시부를 갖는 로고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클립은 상기 클립홈이 상기 장착패널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한 쌍의 결속후크와, 상기 장착패널의 상기 수직면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장착패널에 대해 제1 방향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격 방지탭과,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 면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후크 결속탭을 포함하는 캘리퍼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클립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클립은 상기 표시부를 갖는 평판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좌우 양측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방패널과,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본체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마주하여 위치되는 패널부를 갖는 한 쌍의 클립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홈은 상기 패널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패널부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격 방지탭은 상기 패널부의 다른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패널부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크 결속탭은 상기 한 쌍의 측방패널의 각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로고 클립을 대상물에 장착 시에는 작업자가 장착여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대상물에 장착 후에는 주변 구조물의 진동 및 충격에 강건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로고 클립은 단품 자체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프론트 액슬 또는 리어 액슬에 무관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로고 클립은 대상물에 끼워 넣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장착이 가능하여 로고 클립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로고 클립은 대상물에 결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표시부 부분만을 고객사가 원하는대로 변경 가능하여 범용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이 캐리어의 장착패널에 장착 전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장착패널에 로고 클립이 장착된 상태들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속후크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고 클립이 캐리어의 장착패널에 장착 전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의 장착패널에 로고 클립이 장착된 상태들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속후크가 결속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로고 클립(10)은 대상물에 결합되어, 대상물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의 로고 클립(10)은 캘리퍼 브레이크(9)에 구비된 캐리어(1)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캘리퍼 브레이크(9)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D)를 가압하도록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1)와, 캐리어(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가 마련된 캘리퍼 하우징(8)을 구비한다.
로고 클립(10)은 외부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캐리어(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캐리어(1)에는 도 4와 같이 로고 클립(10)의 설치를 위한 장착패널(3)이 구비될 수 있다.
장착패널(3)은 캐리어(1)의 제1 면(2)(예로서, 상면)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패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장착패널(3)의 수직면(4)에는 한 쌍의 결속홈(5)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로고 클립(10)은 본체(20), 한 쌍의 클립패널(30), 한 쌍의 유격 방지탭(40) 및 한 쌍의 후크 결속탭(50)을 포함한다.
본체(20)는 제조업자, 제조업자의 로고, 또는 다른 식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11)를 형성하는 전면(21)과, 전면(21)과 반대편 후면(22)을 갖는 금속 재질의 얇은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방패널(2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본체(2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후방으로 벤딩된 림부(2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림부(24)는 본체(20)의 상단, 좌우 테두리 및 측방패널(23)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의 후방에는 한 쌍의 클립패널(30)이 소정간격을 두고 본체(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패널(30)은 본체(20)의 후면(22)과 함께 장착패널(3)에 끼워질 수 있는 클립홈(15)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패널(30)은 각각 본체(20)의 좌우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서 본체(20)의 후면(22)과 마주하여 위치되도록 본체(20)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패널(30)은 본체(20)의 좌우 측면에 구비된 림부(24)와 각각 연결되어 본체(20)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측면부(31)와, 측면부(31)의 단부에서 본체(20)의 후면(22)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본체(20)의 후면(22)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패널부(33)와, 측면부(31)와 패널부(33)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립패널(30)의 측면부(31)는 림부(24)가 없는 경우에는 본체(20)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패널(30)의 각 패널부(33) 자유단부(34)는 그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클립패널(30)의 각 패널부(33)에는 각각 결속후크(60), 유격 방지탭(40) 및 오목홈(70)이 구비될 수 있다.
결속후크(60)는 패널부(33)의 중간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패널부(33)의 중간 영역을 절개하여 패널부(33)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결속후크(60)는 도 4와 같이 로고 클립(10)의 클립홈(15)에 장착패널(3)이 끼워지도록 로고 클립(10)을 장착패널(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 장착패널(3)에 형성된 결속홈(5)에 결속후크(60)가 삽입되어 걸리면서 결속되게 된다.
이때 결속후크(60)가 결속홈(5)에 삽입될 때 딸깍 소리가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장착 여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속후크(60)는 패널부(33) 중앙 영역에서 한쪽 변(상단 쪽)을 제외한 나머지 변이 절개되어 본체(20)의 후면(22)을 향해 벤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자유단부에는 상방으로 구부러진 후크부(64)(도 6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후크(60)는 패널부(33)에서 절개 형성된 절개홈(35)의 상단과 연결되는 수직부(61)와, 수직부(61)의 단부에서 본체(20)의 후면(22)을 향해 벤딩되어 수직부(61)에 대해 둔각을 갖도록 기울어지며 그 자유단부에 후크부(64)를 갖는 경사부(63)와, 수직부(61)와 경사부(63)를 연결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62)를 포함한 탄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부(64)는 경사부(63)의 자유단부에서 하부가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상방으로 구부러져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홈(15)에 장착패널(3)이 삽입되는 경우, 장착패널(3)과 접촉하는 후크부(6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벤딩부(62)는 외력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형되고, 후크부(64)가 장착패널(3)에 형성된 결속홈(5)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벤딩부(62)는 후크부(6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킴에 의해 딸깍 소리와 함께 후크부(64)가 결속홈(5) 내측에 삽입 결속되게 된다.
오목홈(70)은 패널부(33)의 일측에서 본체(20)의 후면(22)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원형 오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70)은 로고 클립(10)의 장착 시 장착패널(3)에 접하는 구형 면을 형성한다.
유격 방지탭(40)은 한 쌍의 패널부(33)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유격 방지탭(40)은 로고 클립(10)이 대상물의 장착패널(3)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 장착패널(3)의 일측을 가압 지지함에 따라 장착패널(3)에서 로고 클립(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격 방지탭(40)은 좌우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되어, 장착패널(3)의 서로 다른 두 지점을 가압 지지함에 따라 안정적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유격 방지탭(40)은 패널부(33)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격 방지탭(40)은 한 쌍의 패널부(33)가 서로 마주하는 각 자유단부(34)의 인접부에서 패널부(33)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소정길이 절개된 슬릿(36)에 의해 형성되는 패널부(33)의 일부가 본체(20)의 후면(22)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벤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격 방지탭(40)은 패널부(33)와 연결되며 패널부(33)와 둔각을 갖도록 본체(20)의 후면(22)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부(41)와, 패널부(33)와 경사부(41)를 연결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벤딩부(42)를 포함한 탄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유격 방지탭(40)은 장착패널(3)이 클립홈(15)에 끼워지게 될 때 경사부(41)가 장착패널(3)의 수직면(4)과 접촉하면서 후방으로 밀려 벤딩부(42)를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벤딩부(42)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경사부(41)가 장착패널(3)을 가압 지지함에 따라 로고 클립(10)이 장착패널(3)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히 지지시킨다.
후크 결속탭(50)은 본체(20)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외측방향을 향해 연장된 측방패널(23)에 구비될 수 있다.
후크 결속탭(50)은 측방패널(23)의 상단에서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탄성을 갖는 얇은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속탭(50)은 측방패널(23)의 상단에 구비된 림부(24)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 결속탭(50)은 림부(24)가 없는 경우에는 측방패널(23)의 상단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후크 결속탭(50)은 측방패널(23)의 상단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1)와, 수평부(51)의 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둔각을 갖도록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하향 경사부(53)와, 수평부(51)와 하향 경사부(53)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52)를 포함한다.
하향 경사부(53)는 로고 클립(10)이 장착패널(3)에 장착된 경우 도 5와 같이 캐리어(1)의 제1 면(2)(예로서, 캐리어 상면)에 가압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 결속탭(50)은 벤딩부(52)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부(53)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고, 벤딩부(52)가 원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로고 클립(10)의 본체(2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반력은 로고 클립(10)이 장착패널(3)에 장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조립 공차에 의해 결속홈(5)에 삽입되어 걸리는 후크부(64)가 정확히 결속되지 않더라도 후크부(64)를 결속홈(5)의 상방에 걸릴 수 있도록 유도함에 따라 로고 클립(1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와 같이 캐리어(1)에 구비된 장착패널(3)에 로고 클립(10)이 끼워져 결합이 완료되게 되면, 한 쌍의 결속후크(60)는 장착패널(3)에 형성된 한 쌍의 결속홈(5)에 삽입되어 걸림에 따라 장착패널(3)에서 로고 클립(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유격 방지탭(40)은 장착패널(3)의 수직면(4)을 가압 지지하는 제1 방향의 가압력을 제공하여 로고 클립(10)의 본체(20)를 장착패널(3)에 밀착시킴에 의해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하여 로고 클립(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후크 결속탭(50)은 캐리어(1)의 제1 면(2)을 가압 지지하여 로고 클립(10)의 본체(2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방향(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캐리어(1)에 가압력을 제공함에 의해 결속후크(60)가 결속홈(5)에 걸릴 때 발생할 수 있는 단품 공차에 따른 조립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캐리어, 3: 장착패널,
5: 결속홈, 10: 로고 클립,
11: 표시부, 15: 클립홈,
20: 본체, 30: 클립패널,
33: 패널부, 35: 절개홈,
36: 슬릿, 40: 유격 방지탭,
50: 후크 결속탭, 60: 결속후크.

Claims (10)

  1. 표시부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후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대상물의 장착패널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클립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클립패널; 및
    상기 한 쌍의 클립패널은 각각 상기 클립홈이 상기 장착패널에 끼워질 때 상기 장착패널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결속후크와, 상기 후면에 가압 지지되어 상기 클립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장착패널에 상기 클립홈이 삽입 완료될 때 상기 대상물에 가압 지지됨에 따라 상기 결속홈에 삽입된 상기 결속후크를 캐리어의 상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결속탭;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패널은 상기 후면과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격 방지탭은 한 쌍의 상기 패널부가 서로 마주하는 자유단부의 인접부에서 상기 패널부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소정길이 절개된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패널부의 일부가 상기 후면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벤딩되어 형성되는 로고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부에서 한쪽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이 절개되어 상기 후면을 향해 벤딩 형성되고, 상기 결속후크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크부가 구비되는 로고 클립.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에 형성된 절개홈에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과 먼 모서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후면을 향해 벤딩되며 상기 후크부를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로고 클립.
  6. 표시부를 형성하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후면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대상물의 장착패널에 끼움 결합되기 위한 클립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클립패널; 및
    상기 한 쌍의 클립패널은 각각 상기 클립홈이 상기 장착패널에 끼워질 때 상기 장착패널에 형성된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결속후크와, 상기 후면에 가압 지지되어 상기 클립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격 방지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장착패널에 상기 클립홈이 삽입 완료될 때 상기 대상물에 가압 지지됨에 따라 상기 결속홈에 삽입된 상기 결속후크를 캐리어의 상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후크 결속탭;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속탭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외측을 향해 연장된 측방패널에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과 먼 모서리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측방패널의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로고 클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패널에는 상기 후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원형 오목홈이 구비되는 로고 클립.
  8. 캐리어의 제1 면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수직면과, 한 쌍의 결속홈을 갖는 장착패널; 및
    상기 장착패널이 끼워지는 클립홈을 구비하며, 전면에 표시부를 갖는 로고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클립은 상기 클립홈이 상기 장착패널에 끼워져 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결속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한 쌍의 결속후크와, 상기 장착패널의 상기 수직면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장착패널에 대해 제1 방향의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격 방지탭과,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1 면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후크 결속탭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클립은 상기 표시부를 갖는 평판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 좌우 양측에서 각각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방패널과,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상기 본체로부터 벤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과 마주하여 위치되는 패널부를 갖는 한 쌍의 클립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 결속탭은 상기 측방패널의 상단에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과 먼 모서리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측방패널의 후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클립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캘리퍼 브레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홈은 상기 패널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속후크는 상기 패널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패널부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격 방지탭은 상기 패널부의 다른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패널부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후크 결속탭은 상기 한 쌍의 측방패널의 각각에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과 먼 모서리로부터 일체로 벤딩 형성되는 캘리퍼 브레이크.
KR1020180080746A 2018-07-11 2018-07-11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KR10261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46A KR102615737B1 (ko) 2018-07-11 2018-07-11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46A KR102615737B1 (ko) 2018-07-11 2018-07-11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62A KR20200006862A (ko) 2020-01-21
KR102615737B1 true KR102615737B1 (ko) 2023-12-19

Family

ID=6936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46A KR102615737B1 (ko) 2018-07-11 2018-07-11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7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737A (ja) 2006-08-16 2008-02-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発光装置を有する車輪ブレーキ
JP2014503765A (ja) * 2010-12-09 2014-02-13 ルーカス・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ブレーキにマーキングするためのマーキングキャリア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5304A1 (de) * 2006-05-12 2007-11-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cheibenbremse mit Schutzblende
KR102528347B1 (ko) 2016-06-03 2023-05-0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139879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5737A (ja) 2006-08-16 2008-02-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発光装置を有する車輪ブレーキ
JP2014503765A (ja) * 2010-12-09 2014-02-13 ルーカス・オートモーティブ・ゲーエムベーハー フローティング・キャリパ・ブレーキにマーキングするためのマーキングキャ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62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736B2 (en) Laminated shim for disc brake and pad unit having the laminated shim
US4276965A (en) Floating caliper spot type disc brake
US4056174A (en) Friction pad assemblies for sliding caliper disc brakes
US10767714B2 (en) Disk brake having a pad-retaining clip and a securing device, and brake pad set
KR20150056836A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에서의 패드 유지 클립의 배치 및 브레이크 패드
US20190226539A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US20080006490A1 (en) Retention spring for brake pressure pads
KR102494459B1 (ko) 캘리퍼 브레이크 장치
KR102440006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캘리퍼 장치
KR102615737B1 (ko) 로고 클립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KR2017001054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08011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2017013976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283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19833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11746842B2 (en) Pad spring for vehicle brake
KR2017008328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200130933A (ko) 캘리퍼 하우징용 로고 플레이트 및 이를 갖는 캘리퍼 브레이크
CN114110053B (zh) 用于制动装置的衬垫
KR20230138982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GB2316725A (en) Friction pad assembly
KR102576316B1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KR20210121689A (ko) 브레이크 장치
KR101958797B1 (ko) 패드 스프링
KR20030006156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