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579B1 -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 Google Patents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579B1
KR102615579B1 KR1020210122925A KR20210122925A KR102615579B1 KR 102615579 B1 KR102615579 B1 KR 102615579B1 KR 1020210122925 A KR1020210122925 A KR 1020210122925A KR 20210122925 A KR20210122925 A KR 20210122925A KR 102615579 B1 KR102615579 B1 KR 10261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tex
parts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948A (ko
Inventor
전종진
안두성
양건호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79B1/ko
Priority to CN202280057988.8A priority patent/CN117980361A/zh
Priority to PCT/KR2022/013397 priority patent/WO2023043115A1/ko
Priority to TW111134080A priority patent/TW202317653A/zh
Publication of KR2023003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2Direct processing of dispersions, e.g. latex, to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및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275 ㎲/cm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이로부터 중합된 딥 성형용 라텍스와 이를 이용한 딥 성형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COMPOSITION FOR LATEX POLYMERIZATION, LATEX FOR DIP MOLDING AND DIP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이를 중합한 딥 성형용 라텍스와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용, 식품용, 검사용, 실험용으로 사용되는 장갑이나 콘돔 등의 딥 성형품은 천연고무 라텍스(natural rubber latex)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고무 라텍스 성형품은 내부에 단백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접촉성 알러지 반응을 일으켜 발진, 가려움, 감기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단백질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합성고무 라텍스를 주원료로 제조된 딥 성형품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딥 성형용 라텍스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품질향상의 필요성이 있으며, 최근 딥 성형용 라텍스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 신율 등의 내구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적 물성의 개선 시도에도 불구하고, 딥 성형품의 파손으로 인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하거나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사례가 지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성형품의 실사용 시 약산성인 인체의 피부 또는 땀 등의 체액과 접촉하여 물성이 열화되기 때문으로, 종래의 기계적 물성인 인장강도와 신율은 상온의 공기 하에서 측정되어 이들 특성이 우수하면 딥 성형품의 사용 전 내구성은 담보할 수 있으나, 실사용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불량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사용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우수한 딥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고고형분의 딥 성형용 라텍스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딥 성형용 라텍스는 농축 등으로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입자 안정성의 저하로 인하여 일정 함량 이상에서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딥 성형용 라텍스는 일반적으로 800 Å 내외의 평균 입경을 가지는 입자상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를 농축시키거나, 화학적 처리 등으로 비대화시켜 품질이 우수한 대입경의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라텍스의 제조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라텍스의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안정성이 우수하여 대입경, 고고형분 및 저점도 특성을 갖는 딥 성형용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를 이용하여 품질이 우수한 딥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및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275 ㎲/cm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2-페닐-1,3-부타디엔, 3-메틸-1,3-펜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및 옥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스티렌술폰산, 푸마르산모노부틸, 말레인산모노부틸 및 말레인산모노-2-히드록시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칼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중아황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삼칼륨,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일수소칼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에틸렌글리콜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이미노디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및 퀴놀린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액 디엔계 단량체 30~90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5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0.001~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 유화제, 중합개시제 및 분자량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유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1,000~3,000Å인, 딥 성형용 라텍스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의 25℃ 점도가 50~2,500 cp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의 고형분 함량이 50~65중량%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로 제조된, 딥 성형품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품은 수술용 장갑,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 콘돔, 화장용 소재, 카테터 또는 건강관리용 성형품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라텍스의 중합 시 중합체의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트레이드오프 관계인 고고형분, 대입경 및 저점도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바탕으로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기재사항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일 측면에 따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은,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및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275 ㎲/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은 목적하는 이온전도도를 달성하기 위해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절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이온전도도는 275 ㎲/cm 이상, 예를 들어, 275 ㎲/cm, 277.5 ㎲/cm, 280 ㎲/cm, 282.5 ㎲/cm, 285 ㎲/cm, 287.5 ㎲/cm, 290 ㎲/cm, 292.5 ㎲/cm, 295 ㎲/cm, 297.5 ㎲/cm, 300 ㎲/cm, 302.5 ㎲/cm, 305 ㎲/cm, 307.5 ㎲/cm, 310 ㎲/cm, 312.5 ㎲/cm, 315 ㎲/cm, 317.5 ㎲/cm, 320 ㎲/cm, 322.5 ㎲/cm, 325 ㎲/cm, 327.5 ㎲/cm, 330 ㎲/cm, 332.5 ㎲/cm, 335 ㎲/cm, 337.5 ㎲/cm, 340 ㎲/cm, 342.5 ㎲/cm, 345 ㎲/cm, 347.5 ㎲/cm, 350 ㎲/cm, 352.5 ㎲/cm, 355 ㎲/cm, 357.5 ㎲/cm, 360 ㎲/cm, 362.5 ㎲/cm, 365 ㎲/cm, 367.5 ㎲/cm, 370 ㎲/cm, 372.5 ㎲/cm, 375 ㎲/cm, 377.5 ㎲/cm, 380 ㎲/cm, 382.5 ㎲/cm, 385 ㎲/cm, 387.5 ㎲/cm, 390 ㎲/cm, 392.5 ㎲/cm, 395 ㎲/cm, 397.5 ㎲/cm, 400 ㎲/cm,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 또는 이들 중 하나의 값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의 이온전도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중합된 라텍스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특히 고형분을 절반 이상 농축 시 점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이온전도도는 10 ms/cm 이하, 5 ms/cm 이하 또는 1 ms/c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의 이온전도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중합에 불필요한 성분이 증가하여 라텍스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유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라텍스의 중합 시의 이온전도도를 조절하여 라텍스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50중량% 이상의 높은 고형분 함량에서도 낮은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정성을 유지하며 1,000 Å 이상의 대입경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2-페닐-1,3-부타디엔, 3-메틸-1,3-펜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및 옥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딥 성형용 라텍스의 공중합체에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 유래의 구조는 딥 성형품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딥 성형용 라텍스의 공중합체에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유래의 구조는 딥 성형품의 강도와 내약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스티렌술폰산, 푸마르산모노부틸, 말레인산모노부틸 및 말레인산모노-2-히드록시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딥 성형용 라텍스의 공중합체에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구조는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딥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질산나트륨(NaNO3), 질산칼륨(KNO3), 질산칼슘(Ca(NO3)2), 질산마그네슘(Mg(NO3)2),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륨(K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수소나트륨(NaHCO3), 탄산수소칼륨(KHCO3), 탄산나트륨(Na2CO3), 탄산칼륨(K2CO3), 아황산수소나트륨(NaHSO4), 중아황산칼륨(KHSO4),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피로인산칼륨(K4P2O7), 인산삼나트륨(Na3PO4), 인산삼칼륨(K3PO4), 인산일수소나트륨(Na2HPO4), 인산일수소칼륨(K2HPO4),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또는 이의 나트륨염, 에틸렌글리콜테트라아세트산(EGTA) 또는 이의 나트륨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NTA) 또는 이의 나트륨염, 이미노디아세트산(IDA) 또는 이의 나트륨염 및 퀴놀린산(QNA) 또는 이의 나트륨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딥 성형용 라텍스의 공중합체 중합 시 반응이 진행 중인 공중합체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중합 이후에도 라텍스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공액 디엔계 단량체 30~90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5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0.001~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상기 조성물의 공액 디엔계 단량체 함량은 30중량부, 32.5중량부, 35중량부, 37.5중량부, 40중량부, 42.5중량부, 45중량부, 47.5중량부, 50중량부, 52.5중량부, 55중량부, 57.5중량부, 60중량부, 62.5중량부, 65중량부, 67.5중량부, 70중량부, 72.5중량부, 75중량부, 77.5중량부, 80중량부, 82.5중량부, 85중량부, 87.5중량부, 9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딥 성형품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착용감이 불량할 수 있고, 90중량부 초과이면 딥 성형품의 내구성 또는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함량은 1중량부, 2.5중량부, 5중량부, 7.5중량부, 10중량부, 12.5중량부, 15중량부, 17.5중량부, 20중량부, 22.5중량부, 25중량부, 27.5중량부, 30중량부, 32.5중량부, 35중량부, 37.5중량부, 40중량부, 42.5중량부, 45중량부, 47.5중량부, 50중량부 52.5중량부, 55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1중량부 미만이면 딥 성형품의 내약품성 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55중량부를 초과하면 딥 성형품의 신율이 저하되어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함량은 0.001중량부, 0.5중량부, 1중량부, 1.5중량부, 2중량부, 2.5중량부, 3중량부, 3.5중량부, 4중량부, 4.5중량부, 5중량부, 5.5중량부, 6중량부, 6.5중량부, 7중량부, 7.5중량부, 8중량부, 8.5중량부, 9중량부, 9.5중량부, 10중량부, 10.5중량부, 11중량부, 11.5중량부, 12중량부, 12.5중량부, 13중량부, 13.5중량부, 14중량부, 14.5중량부, 15중량부, 15.5중량부, 16중량부, 16.5중량부, 17중량부, 17.5중량부, 18중량부, 18.5중량부, 19중량부, 19.5중량부, 2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가 0.001중량부 미만이면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딥 성형품이 과도하게 경화하여 착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 총합"이란,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합한 것을 의미하나, 상기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은 내구성 시험 결과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전술한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외의 중합성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단량체 총합"은 상기 중합성 단량체를 더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일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단량체는 전술한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3종의 단량체를 공중합 시 전술한 이온성 화합물을 통해 이온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라텍스의 안정성을 개선하며 평균 입경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별도의 단량체를 추가 시 이러한 작용효과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은 단량체 조성비, 이온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은 전술한 이온전도도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서 단량체 총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5중량부, 예를 들어, 0.1중량부, 0.5중량부, 1중량부, 1.5중량부, 2중량부, 2.5중량부, 3중량부, 3.5중량부, 4중량부, 4.5중량부, 5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이온전도도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거나, 이온전도도를 만족시키더라도 안정성 개선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은 물, 유화제, 중합개시제 및 분자량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단량체 총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75~150중량부, 예를 들어, 75중량부, 77.5중량부, 80중량부, 82.5중량부, 85중량부, 87.5중량부, 90중량부, 92.5중량부, 95중량부, 97.5중량부, 100중량부, 102.5중량부, 105중량부, 107.5중량부, 110중량부, 112.5중량부, 115중량부, 117.5중량부, 120중량부, 122.5중량부, 125중량부, 127.5중량부, 130중량부, 132.5중량부, 135중량부, 137.5중량부, 140중량부, 142.5중량부, 145중량부, 147.5중량부, 150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물의 함량이 75중량부 미만이면 중합 시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성형품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고, 150중량부 초과이면 고형분 함량이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물은 이온전도도가 5 ㎲/cm 이하, 2.5 ㎲/cm 이하 또는 1 ㎲/c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은 이온교환수, 초순수 또는 정제수일 수 있다. 이온전도도가 높은 물을 사용하면 중합안정성 내지 라텍스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주는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알킬벤젠술폰산염, 지방족술폰산염,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α-올레핀술폰산염 및 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단량체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8~8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에 따라 전술한 이온전도도 달성을 위해 이온성 화합물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예를 들어,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인산칼륨, 및 과산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무기과산화물; t-부틸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이소부틸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산올퍼옥사이드, 및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및 아조비스이소낙산(부틸산)메틸로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조계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1.5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α-메틸스티렌다이머(dimer), t-도데실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옥틸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브롬화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테트라에틸티우람디설파이드, 디펜타메틸렌티우람디설파이드, 디이소프로필키산토겐디설파이드 등의 함유황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자량조절제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라텍스의 단량체 총합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1중량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0.1중량부, 0.15중량부, 0.2중량부, 0.25중량부, 0.3중량부, 0.35중량부, 0.4중량부, 0.45중량부, 0.5중량부, 0.55중량부, 0.6중량부, 0.65중량부, 0.7중량부, 0.75중량부, 0.8중량부, 0.85중량부, 0.9중량부, 0.95중량부, 1중량부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조절제가 0.1중량부 미만이면 겔이 생성되어 라텍스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1중량부 초과이면 인장강도가 불량하거나, 응력유지율이 저하되는 것 외에도 실사용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딥 성형용 라텍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는, 전술한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유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1,000~3,000Å, 예를 들어, 1,000 Å, 1,050 Å, 1,100 Å, 1,150 Å, 1,200 Å, 1,250 Å, 1,300 Å, 1,350 Å, 1,400 Å, 1,450 Å, 1,500 Å, 1,550 Å, 1,600 Å, 1,650 Å, 1,700 Å, 1,750 Å, 1,800 Å, 1,850 Å, 1,900 Å, 1,950 Å, 2,000 Å, 2,050 Å, 2,100 Å, 2,150 Å, 2,200 Å, 2,250 Å, 2,300 Å, 2,350 Å, 2,400 Å, 2,450 Å, 2,500 Å, 2,550 Å, 2,600 Å, 2,650 Å, 2,700 Å, 2,750 Å, 2,800 Å, 2,850 Å, 2,900 Å, 2,950 Å, 3,000 Å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는 이온전도도를 제어하며 중합함으로써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며 공중합체 입경을 비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라텍스는 올리고머 함량이 적어 안정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는 제타전위의 크기(절댓값)가 60 mV 이상, 62.5 mV 이상, 65 mV 이상, 67.5 mV 이상 또는 70 mV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라텍스는 안정성이 우수하여 50중량% 이상의 높은 고형분으로 농축 시에도 점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의 25℃ 점도는 50~2,500 cps, 예를 들어, 50 cps, 75 cps, 100 cps, 125 cps, 150 cps, 175 cps, 200 cps, 225 cps, 250 cps, 275 cps, 300 cps, 325 cps, 350 cps, 375 cps, 400 cps, 425 cps, 450 cps, 475 cps, 500 cps, 525 cps, 550 cps, 575 cps, 600 cps, 625 cps, 650 cps, 675 cps, 700 cps, 725 cps, 750 cps, 775 cps, 800 cps, 825 cps, 850 cps, 875 cps, 900 cps, 925 cps, 950 cps, 975 cps, 1,000 cps, 1,100 cps, 1,200 cps, 1,300 cps, 1,400 cps, 1,500 cps, 1,600 cps, 1,700 cps, 1,800 cps, 1,900 cps, 2,000 cps, 2,100 cps, 2,200 cps, 2,300 cps, 2,400 cps, 2,500 cps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라텍스는 실질적으로 제조가 불가능하거나, 딥 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의 고형분 함량이 50~65중량%, 예를 들어, 50중량%, 52.5중량%, 55중량%, 57.5중량%, 60중량%, 62.5중량%, 65중량%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범위일 수 있다. 고형분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전술한 안정성 개선으로 인한 효과가 불필요하거나, 라텍스의 응집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의 특징은 pH 8.0~10.0, 예를 들어, pH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에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첨가제를 통해 라텍스의 pH 조절 시 고형분 함량과 평균 입경이 변화할 수 있으나,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는 상기 pH 범위에서 전술한 평균 입경, 고형분 함량 및 점도 요건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는 킬레이트제, 분산제, pH조절제, 탈산소제, 입경조절제, 노화방지제 및 산소포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로는 당 업계의 공지구성을 사용할 수 있고, 전술한 이온전도도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종류, 기능 및 첨가량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 이전 또는 중합 이후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는 저점도, 고고형분 및 대입경을 동시에 만족시켜 라텍스 자체의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장기간 보관 시에도 딥 성형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딥 성형용 라텍스의 제조방법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의 제조방법은 (a)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유화제 및 물을 투입하는 단계; (b) 이온성 화합물을 투입하여 이온전도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c)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여 딥 성형용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이온성 화합물은 이온전도도가 275 ㎲/cm 이상이 되도록 투입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인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및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준비하여 유화수에 투입하는 단계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 또는 (b) 단계에서 분자량조절제, 유화제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b) 단계는 이온성 화합물을 투입하여 전술한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중합에 필요한 성분을 모두 투입한 후 이온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전술한 안정성 개선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의 중합은 10~9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50 ℃, 55 ℃, 60 ℃, 65 ℃, 70 ℃, 75 ℃, 80 ℃, 85 ℃, 90 ℃ 또는 이들 중 두 온도의 사이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의 전환율이 90% 이상일 때 중합 정지제를 투입하여 중합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 정지제는 상기 중합 반응의 전환율이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9.9% 또는 이들 중 두 값의 사이 값일 때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합 정지제는 히드록실 아민, 히드록시 아민 황산염, 디에틸 히드록시 아민, 히드록시 아민 술폰산 및 그 알칼리 금속 이온, 소듐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히드록시 디에틸 벤젠 디티오 카르본산, 히드록시 디부틸 벤젠 디티오 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히드록시 디티오 카르본산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합 정지제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1.5 중량부일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된 원료, 함량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딥 성형품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딥 성형품은,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딥 성형용 라텍스에 상기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아연 0.1~1중량부, 황 1~2중량부 및 가황촉진제 0.3~1.5중량부를 첨가시킨 후 딥 성형하여 딥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은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으로부터 유래한 구조와 이온결합을 형성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술한 이온전도도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이온결합 강도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은, 예를 들어, 0.1중량부, 0.2중량부, 0.3중량부, 0.4중량부, 0.5중량부, 0.6중량부, 0.7중량부, 0.8중량부, 0.9중량부 또는 1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이 과도하게 적으면 실사용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과도하게 많으면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황은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구조와 반응하여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전술한 이온전도도 범위를 만족하면 가황 시 이장현상(syneresis)으로 인한 성형품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황은, 예를 들어, 1중량부, 1.1중량부, 1.2중량부, 1.3중량부, 1.4중량부, 1.5중량부, 1.6중량부, 1.7중량부, 1.8중량부, 1.9중량부 또는 2.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황이 1중량부 미만이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실사용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2중량부 초과이면 사용자의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품은 상기 딥 성형용 라텍스에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고형분을 조절한 후 딥 성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딥 성형품의 인장강도가 3 MPa 이상, 5 MPa 이상, 7 MPa 이상, 9 MPa 이상, 11 MPa 이상, 13 MPa 이상, 15 MPa 이상, 20 MPa 이상, 25 MPa 이상, 30 MPa 이상 또는 35 MPa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보관 시 내구성은 향상되나, 신율 등의 기타 기계적 물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품의 신율은 600% 이상, 650% 이상, 700% 이상, 750% 이상, 800% 이상, 850% 이상 또는 900%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율이 높을수록 착용감 등이 향상되나, 기타 기계적 물성과 트레이드오프 관계일 수 있다.
상기 딥 성형품은 내구성 시험 결과가 60분 이상이고, 인장강도가 10 MPa 이상이며, 신율이 600% 이상일 수 있다. 중합 시 이온전도도를 제어함으로써 최소한의 인장강도 및 신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내구성 시험으로 확인되는 실사용 내구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딥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내구성 시험 방법]
폭 30 mm, 길이 135 mm, 두께 0.06~0.08 mm의 딥 성형품을 길이 방향으로 20% 신장하여 35℃의 pH 4.0~4.3 용액에 침지하고, 상기 성형품을 10초간 길이 방향 신율이 50%가 되도록 신장시키고 2초간 고정한 후 10초간 길이 방향 신율이 20%가 되도록 이완시키는 공정을 반복하여 상기 성형품이 파손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내구성 시험 방법은 딥 성형품의 실사용 시 접촉 가능성이 높은 피부, 체액과 유사한 조건인 35℃, pH 4.0~4.3의 용액 중에서 신장 및 이완을 반복하여 시편의 파손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성형품이 장갑이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성형품이 신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상황을 모사하여, 실사용 조건에서의 딥 성형품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딥 성형품은 수술용 장갑,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 콘돔, 화장용 소재, 카테터 또는 건강관리용 성형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딥 성형품은 수술용 장갑, 또는 그 외 의료용 장갑이거나, 화학약품 취급용 장갑 등의 산업용 장갑이거나, 퍼프 등의 화장용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명세서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명세서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각 시험은 20℃, 1 atm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교반기, 온도계, 냉각기, 및 질소 가스의 인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단량체, 유화제, 중합 개시제 등의 각 구성요소를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장치된 1 L 고압 반응기를 준비하였다. 이온교환수로는 전도도가 1 ㎲/cm 이하인 것을 준비하였다. 상기 반응기를 질소로 치환한 후 이소프렌(IPM) 74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AN) 24중량부, 메타크릴산(MAA) 2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 후,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온성 화합물(IC), 분자량조절제로 t-도데실머캅탄 0.5중량부, 유화제로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2중량부 및 이온교환수 120 중량부를 상기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반응물의 이온전도도를 측정하고, 목적하는 이온전도도에 도달할 때까지 이온성 화합물을 투입하여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약 25℃까지 승온시킨 후, 과황산칼륨을 0.3 중량부 투입하였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이온성 화합물의 종류 및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의 이온전도도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전환율이 약 95%에 이르렀을 때, 소듐하이드록사이드를 0.9중량부 투입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후, 탈취 공정을 통하여 미반응 단량체 등을 제거하고, 암모니아수,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첨가하여 pH 8.5(단, 실시예 6, 비교예 6은 pH 9.6)의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얻었다. 상기 라텍스의 제타전위, 평균 입경, 고형분 함량 및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은 목적하는 이온전도도 달성을 위해 이온성 화합물을 투입하지 않고, 분자량조절제 및 유화제를 각각 0.05중량부, 0.1중량부를 투입하였으나 중합이 불가능하였다.
구분 IC 이온전도도
(㎲/cm)
제타전위
(mV)
평균 입경
(Å)
고형분 함량
(중량%)
25℃ 점도
(cps)
실시예 1 K2CO3 297.3 -74.7 1,160 53.2 230
실시예 2 Na2CO3 332.5 -81.2 1,200 54.5 420
실시예 3 K2SO4 298.5 -75.2 1,010 50.3 110
실시예 4 Na2SO4 292.5 -72 1,330 50.1 150
실시예 5 Na2HPO4 293 -71.3 1,520 54.9 250
실시예 6 EGTA 292.8 -73.1 1,950 57.7 150
실시예 7 EDTA 311.2 -78.4 1,130 52.5 170
실시예 8 NTA 296.5 -75.3 1,160 53.3 220
실시예 9 DTPA 325.7 -79.3 1,080 50.4 95
실시예 10 IDA 293.2 -75.9 1,210 54.7 480
비교예 1 K2CO3 274 -59.8 880 33.1 315
비교예 2 K2CO3 269 -59.3 880 54.9 5,300
비교예 3 EDTA 262 -59.7 1,180 55.5 8,800
비교예 4 - 243 -54 920 49.2 105
비교예 5 - 232.6 -53.9 970 55.6 >10,000
비교예 6 - 239.8 -54.1 990 57.3 >10,000
비교예 7 - 184.2 - - - -
-이온전도도(㎲/cm): 이온전도도는 2전극 방식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기(EIS)로 저항을 측정한 후 Nyquist 도시법으로 결정하였다. 저항은 진동수 60 Hz~1 kHz, 전류 10.0 mV, 전압범위 ±10 V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온전도도는 예상되는 범위의 표준용액으로 보정한 후 측정하였다. 전극으로는 흑연 전극을 사용하였다. 이온전도도는 25℃ 기준으로 보정된 값을 사용하였다.
-제타전위(mV): Malvern Zetasizer 기기를 이용하여 25℃에서의 제타전위를 측정하였다.
-평균 입경(Å): Nanotrac 150을 이용한 동적 광산란법(dynamic laser light scattering)으로 측정하였다.
-25℃ 점도(cps):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로 스핀들(spindle) 62, 100 rpm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의 이온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실시예의 경우 라텍스 입자의 전기적 안정성을 의미하는 제타전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었다. 그 결과 1,000 Å 이상의 대입경, 50중량% 이상의 고고형분을 달성하면서도 낮은 점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낮은 이온전도도의 조건 하에서 중합된 비교예의 라텍스는 제타전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안정성이 부족하여 대입경, 고고형분과 저점도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입경이 작은 비교예의 라텍스는 농축을 통해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점도가 급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온전도도를 제어하며 중합을 수행하는 경우 저분자량의 올리고머 생성이 감소하여 라텍스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라텍스 100중량부에 유황(S) 1.8중량부, 산화아연(ZnO) 0.7중량부, 가황촉진제로 아연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ZDBC) 1.2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후, 4% 수산화칼륨 수용액 및 2차 증류수를 투입하여 고형분 농도 20%, pH 10.0인 딥 성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딥 성형용 조성물로 가로 30 mm, 세로 135 mm, 두께 0.06~0.08 mm의 직사각형 시편을 제조하여 각 물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MPa) 신율 (%) S/R (%) 내구성 (분)
실시예 4 26.8 729 34.1 >180
실시예 5 34.2 722 31.4 >180
실시예 6 35.7 660 38.8 >180
비교예 1 28.9 575 27.0 153
비교예 4 25.7 608 28.4 164
-인장강도 및 신율: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를 이용하여 덤벨 형상의 시편을 500 mm/의 분의 속도로 신장시키며 시편의 파단이 발생한 때 가해진 인장하중과 신율을 측정하였다.
-응력유지율(stress retention, S/R):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500 mm/분의 속도로 신율 100%까지 신장시킨 후 초기 인장하중(σ0)을 측정하고, 6분 후의 인장하중(σ6)을 측정하여 하기 식에 따라 응력유지율을 계산하였다.
-내구성(durability):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pH 4의 용액을 제조하여 35℃의 조건으로 유지하였다. 직사각형 시편을 세로 방향으로 20% 신장시킨 상태로 상기 용액에 투입하였다. 상기 시편을 10초간 신율 50%까지 신장시키고, 2초간 고정한 후 10초간 신율 20%로 이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며 시편이 파손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의 라텍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시편은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모두 비교예 대비 우수하였다. 특히, 고형분 함량이 유사한 실시예 4와 비교예 4를 대비하면 상대적으로 평균 입자가 큰 실시예 4의 시편이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였다. 이는 딥 성형을 통한 시편 제조 시 평균 입경이 작은 비교예 4에서 필름의 수축 현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및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온전도도가 275 ㎲/cm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2-페닐-1,3-부타디엔, 3-메틸-1,3-펜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및 옥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후마로니트릴, α-클로로니트릴 및 α-시아노에틸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무수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스티렌술폰산, 푸마르산모노부틸, 말레인산모노부틸 및 말레인산모노-2-히드록시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질산칼슘, 질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중아황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인산삼나트륨, 인산삼칼륨, 인산일수소나트륨, 인산일수소칼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에틸렌글리콜테트라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이미노디아세트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및 퀴놀린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액 디엔계 단량체 30~90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1~55중량부, 에틸렌성 불포화산 단량체 0.001~20중량부를 포함하는,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물, 유화제, 중합개시제 및 분자량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유래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1,000~3,000Å인, 딥 성형용 라텍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의 25℃ 점도가 50~2,500 cps인, 딥 성형용 라텍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텍스의 고형분 함량이 50~65중량%인, 딥 성형용 라텍스.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딥 성형용 라텍스로 제조된, 딥 성형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딥 성형품은 수술용 장갑, 의료용 장갑, 농축산물 가공용 장갑, 산업용 장갑, 콘돔, 화장용 소재, 카테터 또는 건강관리용 성형품인, 딥 성형품.
KR1020210122925A 2021-09-15 2021-09-15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KR10261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25A KR102615579B1 (ko) 2021-09-15 2021-09-15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CN202280057988.8A CN117980361A (zh) 2021-09-15 2022-09-06 胶乳聚合用组合物、浸渍成型用胶乳及由其制造的浸渍成型品
PCT/KR2022/013397 WO2023043115A1 (ko) 2021-09-15 2022-09-06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TW111134080A TW202317653A (zh) 2021-09-15 2022-09-08 乳膠聚合用組合物、浸漬成型用乳膠及由其製造的浸漬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25A KR102615579B1 (ko) 2021-09-15 2021-09-15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48A KR20230039948A (ko) 2023-03-22
KR102615579B1 true KR102615579B1 (ko) 2023-12-20

Family

ID=8560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25A KR102615579B1 (ko) 2021-09-15 2021-09-15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15579B1 (ko)
CN (1) CN117980361A (ko)
TW (1) TW202317653A (ko)
WO (1) WO20230431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291B1 (ko) 1996-04-03 1999-08-02 성재갑 니트릴 고무 라텍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8883B1 (en) * 1999-01-14 2002-10-01 Jsr Corporation Conductive rubber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conductive rubber member thereof
KR100409073B1 (ko) * 2000-11-22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우수한 고무라텍스의 제조방법
JP6696433B2 (ja) * 2014-12-25 2020-05-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ディップ成形用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ディップ成形品
KR102492405B1 (ko) * 2019-10-07 2023-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KR102287668B1 (ko) * 2020-02-17 2021-08-1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딥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291B1 (ko) 1996-04-03 1999-08-02 성재갑 니트릴 고무 라텍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7653A (zh) 2023-05-01
CN117980361A (zh) 2024-05-03
WO2023043115A1 (ko) 2023-03-23
KR20230039948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009B1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US10858469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KR20100069621A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US10717851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KR20160076988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KR102601327B1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성형된 성형품
KR20170060793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29443B1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0669406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KR102615579B1 (ko) 라텍스 중합용 조성물, 딥 성형용 라텍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KR101573980B1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및 딥 성형용 조성물
KR101779295B1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US11708441B2 (en) Latex composition for dip molding and dip-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KR20120129367A (ko)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08026335B (zh) 用于浸渍成型的胶乳组合物和由其制备的浸渍成型制品
CN111788262B (zh) 羧酸改性的腈类共聚物胶乳组合物、包含它的用于浸渍模塑的胶乳组合物和它的模制品
KR20170062730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41011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CN116217840A (zh) 低克重高强度医疗手套用丁腈胶乳及其制备方法
KR20220058184A (ko)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KR20210049440A (ko)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딥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