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637B1 -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637B1 KR102614637B1 KR1020220139149A KR20220139149A KR102614637B1 KR 102614637 B1 KR102614637 B1 KR 102614637B1 KR 1020220139149 A KR1020220139149 A KR 1020220139149A KR 20220139149 A KR20220139149 A KR 20220139149A KR 102614637 B1 KR102614637 B1 KR 102614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ing
- fire
- vehicle
- blocking wal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이동하여 차량을 주변과 격리시켜 화재 등의 사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통해 배터리를 침수시켜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이동하여 차량을 주변과 격리시켜 화재 등의 사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통해 배터리를 침수시켜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인버터)와 모터로 구성되며,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장치이고 전력변환장치는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이며 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을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가 내장되는 자동차는 크게 EV(Electric Vehicle), HEV(Hybrid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등 전력을 구동원 또는 구동원 중의 하나로 사용하는 차량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친환경, 연비 등의 장점을 통해 국내 판매가 증가함에 따라 화재 등의 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때,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전압 배터리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적층되어 배터리 팩을 구성하고 있으나 치명적인 단점으로 과전류, 외부 충격, 압력, 쇼트, 과충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가 완전 연소할 때 까지 전소하게 되어 쉽게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면, 수천~수만도의 온도로 치솟은 열폭주 현상이 동반되어 배터리가 완전 전소될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아 진압에 큰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운반 또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 과정에서 배터리에서 발생된 초기화재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전기자동차의 사고 등에 따른 화재 발생 및 배터리를 통한 재 발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사고 전기자동차를 화재진압장치인 간이수조 내에 적어도 배터리가 침수되게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고현장에서 전기자동차를 바닥부재에 이동시키고, 상기 전기자동차를 감싸는 수조구조체를 설치하여 상기 수조구조체의 내측공간에 물을 공급하고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침수시켜 배터리의 재 발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바닥부재를 지면에 설치한 후, 화재가 발생한 차량을 이동하고 차량의 주변에 수조구조체를 설치하여 화재 진압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된 차량은 주행을 통해 바닥부재의 위로 운반하기 어려워 별도의 렉카차가 필요함에 따라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필요한 요소가 증가하여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바닥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며, 지하주차장 등 건물 내부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화재 및 사고 발생시 사방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주변으로 부터 격리시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되어 충전소,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비치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고, 지면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분사된 물을 저장하여 배터리를 침수시켜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재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축 및 확장되는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위치 및 자동차의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등에 설치하여 화재 및 사고 등의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신속하게 화재 및 사고가 발생된 자동차를 신속하게 격리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가 발생된 자동차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차단벽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자동차를 격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화재, 열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단벽을 다양한 방향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자동차의 사고 현장의 공간 및 환경에 맞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이동부재를 통해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 차단벽; 상기 차단판의 하단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밀착부; 상기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 상기 차단벽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차단판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제1힌지와, 상기 차단판의 타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차단판의 내면에서 양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레일과, 상기 차단판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밀착부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판에 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측단에서 상기 차단벽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판의 하단면에는 지면에 밀착되어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이동부재를 통해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 차단벽; 상기 차단판의 하단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밀착부; 상기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 상기 차단벽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차단벽의 상단면과 연결되어 상기 차단벽을 지지하며 자동차의 사방으로 펼쳐 격리시키는 포트장치; 상기 포트장치와 상기 차단벽을 보관하는 보관함이 형성된 운반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장치는, 상기 보관함에 안착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이 설치된 제1연결로드와, 상기 제1연결로드의 끝단과 중단에서 상기 동력부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이 설치된 제2연결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로드 및 상기 제2연결로드는, 메인붐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다수의 보조붐으로 형성된 붐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트장치 및 상기 운반장치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보관함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소화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저장부, 상기 포트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공급하는 공급호스와, 상기 포트장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을 상기 차단벽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따르면, 자동차의 화재 및 사고 발생시 차단벽을 사방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주변으로부터 격리시켜 화재 및 사고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벽은 다수개의 차단판을 통해 양측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되어 충전소, 지하주차장 등 다양한 장소에 협소한 상태로 간편하게 비치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장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고, 지면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된 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의 수위가 증가하면서 배터리를 침수시켜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재 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벽의 확장 및 수축을 통해 펼쳐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위치, 공간 및 자동차의 크기에 맞춰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트장치 및 운잔장치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화재 및 사고 등의 발생한 자동차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신속하게 화재 및 사고가 발생된 자동차를 신속하게 격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된 자동차와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포트장치를 통해 차단벽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자동차를 격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화재, 열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벽을 다양한 방향에서 이동시킬 수 있어 화재가 발생한 자동차의 사고 현장의 공간 및 환경에 맞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통한 차단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인입 및 인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을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통한 차단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인입 및 인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을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를 통한 차단판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기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등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이동하여 차량을 주변과 격리시켜 화재 등의 사고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며, 내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통해 배터리를 침수시켜 안정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차단벽(10), 바닥밀착부(20), 기밀부재(30) 및 연결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의 차단판(11)이 중첩되어 이동부재(12)를 통해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상기 차단판(11)의 하단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밀착된다.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차단벽(10)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을 통해 확장 및 축소시켜 용이하게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 사이는 상기 기밀부재(30)를 통해 기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10)의 하단에는 상기 바닥밀착부(20)를 설치하여 지면과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자동차의 사방에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되도록 상기 차단벽(10)을 설치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10) 내에 소화액을 분사하여 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을 중첩시킨 후, 측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10)은 일정한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되, 화재, 충격에 의한 내화성,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차단벽(10)은 자동차의 화재 진압을 위해 분사된 물, 소화액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방수성이 높은 있는 재질이 혼합되거나, 차단벽의 외면에 천, 방수판 등이 설치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가 중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2)를 통해 측면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예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차단판(11)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제1힌지(13)와, 상기 차단판(11)의 타측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1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힌지(13)와 상기 제2힌지(14)는 상호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11)을 회전시켜 확장 및 축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11)은 다수개가 중첩된 상태에서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기 제1힌지(13)와 상기 제2힌지(14)가 상호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판(11)은 상기 제1 및 제2 힌지(13, 14)를 통해 회전시켜 측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접어 수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차단판(11)의 내면에서 양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레일(15)과, 상기 차단판(11)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레일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돌기(1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레일(15)은 상기 차단판(11)의 내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단일 또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돌기(16)는 상기 차단판(11)의 외면에서 상기 이동레일(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15)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판(11)은 상기 이동레일(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차단판(11)을 확장 및 수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이 중첩된 상태에서 회전 또는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양측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어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상기 차단벽(1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지면과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지면에 밀착되어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의 하단면에 끼움, 고정 구조를 통해 설치하여 탈착 또는 고정되너 상기 차단벽(10)의 내부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닥밀착부(20)의 하단면은 지면과 밀착되는 면적을 확장시켜, 상기 차단벽(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지면과 용이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켜 물 및 소화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 및 소화액을 저장하여 배터리를 침수키여 화재의 완전진압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저장된 물 및 소화액의 하중에 의해 지면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고정판(21)과 밀착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1)은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판(11)에 탈착된다.
즉, 상기 고정판(21)은 각각의 상기 차단판(11)의 하단 내측,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21)은 볼트결합, 끼움결합 등의 결합 구성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고정판(21)은 접착제, 리벳 등의 다양한 고정구성을 통해 고정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밀착판(22)은 상기 고정판(21)의 하측단에서 상기 차단벽(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지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22)은 상기 고정판(21)과 "ㄴ"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판(22)은 물 및 소화액의 하중에 의해 지면과 용이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벽(10)의 확장시 내부에 분사된 물 및 소화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틈을 기밀시킨다.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의 밀착 시, 가압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차단벽(10)의 확장 및 수축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예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사이의 공간을 기밀하는 실링,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져, 물 및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일예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중첩된 차단판(11)의 일측면 및 하단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30)는 물 및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차단벽(10)의 확장시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사이의 공간을 기밀을 유지하여 분사된 물 및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차단벽(10)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이 힌지결합, 축결합 및 끼움결합 등을 통해 상호 체결한다.
여기서 힌지결합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이 양측단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의 힌지부(41)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을 결합한다.
또한, 축결합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의 양측에 연결홈(42a)이 형성된 돌출돌기(42)가 형성되며, 연결축(43)을 삽입하여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을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끼움결합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의 양측에서 상호 결합되는 끼움돌기(44)가 돌출되어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의 양측단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자동차의 사방에 각각 배치된 상기 차단벽(10)을 상호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의 밀착시 상기 기밀부재(30)에 의해 밀착된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여 물 및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10)의 상단에는 물 및 소화액을 분사하는 호스가 안착되는 거치대(17)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거치대(17)는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호스를 고정하여 물 및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차단벽(10)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판(11)을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바닥밀착부(20), 상기 기밀부재(30) 및 상기 연결부재(40)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차단벽(10)은 축소된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동차의 화재가 발생하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을 측면으로 확장하여 자동차의 주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벽(10)의 설치 시, 상기 바닥밀착부(20)를 통해 지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지면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는 힌지, 축결합 및 끼움결합 등의 구성을 통해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은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이 맞닿는 측면에는 상기 기밀부재(30)가 배치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화재진압을 위해 분사된 물 및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은 수축된 상태에서 부피를 줄여 자동차충전소, 주차장, 트렁크 등 다양한 위치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화재, 폭파 등의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상기 차단벽(10)을 확장시켜 자동차의 주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을 통해 자동차의 사방을 구획하여 화재, 폭파 등에 의한 피해가 주변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10)의 내부에 물 및 소화액을 분사하여 차량의 화재를 진압하고, 저장된 물 및 소화액을 통해 배터리를 침수시켜 열폭주에 현상에 의한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인입 및 인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포트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벽을 보관, 운반 및 작동시킬 수 있는 포트장치(50) 및 운반장치(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포트장치(50)는 상기 차단벽(10)의 상단면과 연결되어 상기 차단벽(10)을 지지하며 자동차의 사방으로 펼쳐 격리시킨다.
상기 운반장치(60)는 상기 포트장치(50)와 상기 차단벽(10)을 보관하는 보관함(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장치(50)는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과 연결되며, 상기 운반장치(6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운반장치(60)를 통해 자동차 화재, 사고가 발생한 지점으로 신속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후, 상기 운반장치(6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자동차와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단벽(10)을 자동차의 주변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포트장치(50)는 상기 차단벽(10)을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할 수 있도록 동력부(51), 제1연결로드(52), 제2연결로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부(51)는 상기 보관함(61)에 안착되며, 동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동력부(51)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연결로드(52)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력부(51)는 동력에 의해 상기 보관함(61)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동력부(51)는 상기 제1연결로드(52)를 상,하, 좌,우 방향 회전 가능하게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로드(52)는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로드(5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로드(53)는 상기 제1연결로드(52)의 끝단과 중단에서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1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연결로드(53)는 상기 제1연결로드(52)에 자동차의 전장에 맞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끝단과 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52, 53)에 결합되어 확장 및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로드(52) 및 상기 제2연결로드(53)는, 메인붐(55)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다수의 보조붐(56)으로 형성된 붐구조체(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붐구조체(54)는 상기 메인붐(55)과 다수개의 보조붐(56)을 체결하여 상기 메인붐(55)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 및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붐(56)은 상기 메인붐(55)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직경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실린더, 동력 등에 의해 상기 메인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52, 53)는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을 통해 상기 차단벽을 확장 및 수축시켜 화재 자동차와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단벽을 통해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장치(50)에 설치된 상기 차단벽(10)은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먼저, 상기 제1연결로드(52) 및 상기 제2연결로드(53)에는 상기 메인붐(55)과 다수개의 상기 보조붐(56)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벽(10)의 일측은 상기 메인붐(55)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차단벽(10)의 타측은 외측에 위치한 상기 보조붐(56)의 끝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붐(56)의 인입 및 인출 시 상기 차단벽(10)은 회전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확장 및 수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벽(10)은 중간부분은 상기 보조붐(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벽(10)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이동레일(15)과 상기 이동돌기(16)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방식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연결로드(52) 및 상기 제2연결로드(53)를 통해 자동차의 삼면을 격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제2연결로드(53)의 끝단에 상기 차단벽(10)을 설치하여 개방된 일면을 격리한다.
즉, 상기 차단벽(10)의 양측 끝단은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2연결로드(53)의 상기 보조붐(56) 끝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로드(53)가 상기 제1연결로드(52)의 측면으로 회전하면 상기 차단벽(10)이 확장 및 수축된다.
아울러, 상기 차단벽(10)과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기밀부재(30)를 통해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포트장치(50)에 맞춰 4개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상기 포트장치(5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차단벽(10)이 확장되어 자동차의 사면을 격리하거나 상기 차단벽을 수축시켜 상기 보관함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운반장치(60)는 상기 포트장치(50) 및 상기 차단벽(10)이 수납되어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운반장치(60)는 상기 보관함(61)이 구비된 트럭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단벽(10)을 운반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발생한 화재 자동차를 신속하게 격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트장치(50) 및 상기 운반장치(60)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분사수단(70)은 물, 소화액을 외부에서 공급받거나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벽(10)의 내부로 분사하여 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저장부(71), 공급호스(72) 및 분사노즐(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부(71)는 상기 보관함(61)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소화액을 공급받거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71)는 물, 소화액을 저장하는 용기로 이루어지되, 외부의 소화호스와 연결되는 포트가 구비되어 저장된 물, 소화액 또는 공급되는 물, 소화액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호스(72)는 상기 포트장치(50)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71)에 저장된 소화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공급호스(72)는 상기 저장부(71)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로드(52)에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로드(53)를 향해 분기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호스(72)는 상기 저장부(71)를 통해 공급된 물, 소화액을 상기 차단벽(10)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동시킨다.
상기 분사노즐(73)은 상기 포트장치(5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공급호스(72)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을 상기 차단벽(10) 내부로 분사한다.
이러한 상기 분사노즐(73)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로드(52, 53) 및 상기 차단벽(10)에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공급호스(72)를 통해 공급된 물 및 소화액을 화재 자동차를 향해 분사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벽(10)을 통해 격리된 자동차에 물 및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73)은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하여, 자동차의 배터리를 침수시켜 화재를 완전진압할 수 있고, 화재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장치(50)에 연결된 상기 차단벽(10)은 이동방향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차단벽(10)이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사방에 위치한 상기 차단벽(10) 중 이동방향의 전면에 위치한 차단벽(10)은 상기 이동부재(12)를 통해 다수개의 차단벽을 연결하되 이중 어느 하나에는 스토퍼(80)가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이루진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80)는 상호 탈착 가능한 끼움구조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차량의 사방을 격리하기 위해, 전면에 위치한 상기 차단벽(10)을 개폐한 후, 상기 포트장치(50)의 이동을 통해 자동차의 삼면을 격리한 후, 개방된 상기 차단벽(10)을 상호 체결하여 사방을 격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10)은 자동차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서 수평이동을 통해 간편하게 자동차를 감싸 격리할 수 있다.
아울러 넓은 공간에서는 상기 차단벽(10)의 전면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트장치(50)의 조작을 통해 신속하게 자동차 격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차단벽(10)을 상기 포트장치(50)에 설치한 후, 상기 운반장치(60)에 수납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된 자동차가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한 후, 상기 포트장치(50)를 통해 상기 차단벽(10)을 설치하여 격리시킨다.
이때, 상기 포트장치(50)는 상기 제1연결로드(52) 및 상기 제2연결로드(53)를 인출 및 회전시켜 보관된 상기 차단벽(10)을 확장시킨다.
이렇게 상기 차단벽(10)이 확장되면, 상기 동력부(51)를 통해 상기 제1연결로드(52)를 좌,우 회전 및 상,하 회전시켜 자동차의 위치에 맞춰 상기 차단벽(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포트장치(50)는 상기 차단벽(10)이 사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상부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상기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시킬 수 있다.
즉, 자동차가 개방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벽(10)의 이동공간이 충분하여 상기 포트장치(50)의 작동을 통해 신속하게 자동차를 격리시켜 피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장치(50)의 진행방향에 맞춰 상기 스토퍼(80)를 통해 상기 차단벽(10)을 개방시킨 후, 개방된 방향을 통해 자동차를 향해 이동하여 삼면을 격리한다.
그리고 개방된 차단벽(10)을 결합하여 자동차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즉, 자동차가 주차장, 지하 등 협소한 공간에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벽(10)은 협소한 공간에서 효율적인 작동을 통해 자동차를 격리시켜 피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차단벽(10)을 통해 자동차를 격리한 후, 상기 분사수단(70)을 통해 물 및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분사된 물 및 소화액은 상기 차단벽(10)에 저장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를 침수시켜 완전진압이 가능하며, 화재가 재 발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 등의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 후, 차량을 격리시켜 화재 등의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자동차를 격리한 상기 차단벽(10)의 내부에 분사된 물 및 소화액을 저장하여 자동차 배터리 등을 침수시켜 열폭주 등에 의한 배터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차단벽 11: 차단판 12: 이동부재
13: 제1힌지 14: 제2힌지
15: 이동레일 16: 이동돌기
17: 거치대
20: 바닥밀착부 21: 고정판 22: 밀착판
23: 패드
30: 기밀부재
40: 연결부재 41: 힌지부 42: 돌출돌기
42a: 연결홈 43: 연결축
44: 끼움돌기
50: 포트장치 51: 동력부 52: 제1연결로드
53: 제2연결로드 54: 붐구조체
55: 메인붐 56: 보조붐
60: 운반장치 61: 보관함
70: 분사수단 71: 저장부 72: 공급호스
73: 분사노즐
13: 제1힌지 14: 제2힌지
15: 이동레일 16: 이동돌기
17: 거치대
20: 바닥밀착부 21: 고정판 22: 밀착판
23: 패드
30: 기밀부재
40: 연결부재 41: 힌지부 42: 돌출돌기
42a: 연결홈 43: 연결축
44: 끼움돌기
50: 포트장치 51: 동력부 52: 제1연결로드
53: 제2연결로드 54: 붐구조체
55: 메인붐 56: 보조붐
60: 운반장치 61: 보관함
70: 분사수단 71: 저장부 72: 공급호스
73: 분사노즐
Claims (8)
-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차단판(11)이 중첩되어 이동부재(12)를 통해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 차단벽(10);
상기 차단판(11)의 하단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밀착부(20);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30);
상기 차단벽(10)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재(12)는,
상기 차단판(11)의 내면에서 양측면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동레일(15)과,
상기 차단판(11)의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이동레일(15)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돌기(16)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판(11)에 탈착되는 고정판(21)과, 상기 고정판(21)의 하측단에서 상기 차단벽(1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30)는 상기 차단판(11)의 일측면 및 하단면에 형성되어 중첩된 차단판(11)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밀착부(20)는 지면에 밀착되어 소화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 자동차의 사방을 격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차단판(11)이 중첩되어 이동부재(12)를 통해 측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형성된 차단벽(10);
상기 차단판(11)의 하단면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밀착부(20);
상기 차단판(11)과 상기 차단판(11) 사이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기밀부재(30);
상기 차단벽(10)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차단벽(10)이 자동차의 사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40);
상기 차단벽(10)의 상단면과 연결되어 상기 차단벽(10)을 지지하며 자동차의 사방으로 펼쳐 격리시키는 포트장치(50);
상기 포트장치(50)와 상기 차단벽(10)을 보관하는 보관함(61)이 형성된 운반장치(60);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트장치(50)는,
상기 보관함(61)에 안착된 동력부(51)와,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상,하 및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이 설치된 제1연결로드(52)와,
상기 제1연결로드(52)의 끝단과 중단에서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차단벽이 설치된 제2연결로드(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가 포함된 구난차량. - 삭제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로드(52) 및 상기 제2연결로드(53)는, 메인붐(55)에 삽입되어 상기 동력부(51)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및 인출되는 다수의 보조붐(56)으로 형성된 붐구조체(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가 포함된 구난차량.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장치(50) 및 상기 운반장치(60)에 설치되어 자동차를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70)이 더 포함되되,
상기 분사수단(70)은,
상기 보관함(61)에 안착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소화액을 저장 및 공급하는 저장부(71)와,
상기 포트장치(50)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화액을 공급하는 공급호스(72)와,
상기 포트장치(5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공급호스(72)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을 상기 차단벽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가 포함된 구난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149A KR102614637B1 (ko) | 2022-10-26 | 2022-10-26 |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149A KR102614637B1 (ko) | 2022-10-26 | 2022-10-26 |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4637B1 true KR102614637B1 (ko) | 2023-12-14 |
Family
ID=8916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9149A KR102614637B1 (ko) | 2022-10-26 | 2022-10-26 |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46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99365A (zh) * | 2024-01-22 | 2024-02-27 |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应急消防墙及其搭建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4069A (ko) * | 2008-11-13 | 2010-05-24 | 정욱철 | 휴대용 독서칸막이 |
JP2020080953A (ja) * | 2018-11-16 | 2020-06-04 | ホーチキ株式会社 | 防災設備 |
KR102339405B1 (ko) * | 2021-04-14 | 2021-12-14 | 이온어스(주) |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
KR102416107B1 (ko) * | 2021-07-23 | 2022-07-06 | (주)테크원팩토리 |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
KR20220130440A (ko) | 2021-03-18 | 2022-09-27 |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
-
2022
- 2022-10-26 KR KR1020220139149A patent/KR1026146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54069A (ko) * | 2008-11-13 | 2010-05-24 | 정욱철 | 휴대용 독서칸막이 |
JP2020080953A (ja) * | 2018-11-16 | 2020-06-04 | ホーチキ株式会社 | 防災設備 |
KR20220130440A (ko) | 2021-03-18 | 2022-09-27 |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
KR102339405B1 (ko) * | 2021-04-14 | 2021-12-14 | 이온어스(주) |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
KR102416107B1 (ko) * | 2021-07-23 | 2022-07-06 | (주)테크원팩토리 |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99365A (zh) * | 2024-01-22 | 2024-02-27 |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应急消防墙及其搭建方法 |
CN117599365B (zh) * | 2024-01-22 | 2024-04-02 |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 一种应急消防墙及其搭建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4637B1 (ko) |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 |
KR102416107B1 (ko) |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 |
KR102675662B1 (ko) | 걸림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차를 위한 하부살수장치 | |
US20240252861A1 (en) | Extinguishing Assembly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on or Cooling a Parked Vehicle | |
KR20210112163A (ko) |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 |
KR102573296B1 (ko)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이동 바스켓 | |
KR102452851B1 (ko) |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 |
KR102410804B1 (ko) | 다방향 분사장치 | |
CN215351670U (zh) | 一种用于储能集装箱的消防系统 | |
KR102626312B1 (ko) |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 |
KR102539154B1 (ko) |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 |
KR102529404B1 (ko) |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 |
KR102604574B1 (ko) | 차량 화재 진압용 특장차 | |
KR102696679B1 (ko) | 차량저부 화재진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화재 진압 장치 | |
KR102514985B1 (ko) |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 |
KR102577392B1 (ko) |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 |
KR102682291B1 (ko) | 전기자동차의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소화 방법 | |
KR102672448B1 (ko) | 전기차량의 배터리 화재 진압 장치 | |
KR102722023B1 (ko) |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화재 진압모듈 | |
KR102632003B1 (ko) | 전기차 충전 구역의 화재 확산 방지 설비 | |
KR102632578B1 (ko) | 소화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소화장치 | |
KR102699652B1 (ko) | 전기차 화재 진화를 위한 비접촉 밀폐 시스템 | |
KR102681104B1 (ko) | 화재진압용 조립식수조 | |
KR20240087082A (ko) | 차량 화재 진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화재 진압 장치 | |
KR102684923B1 (ko)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소화 수조 튜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