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437B1 -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437B1 KR102614437B1 KR1020210015637A KR20210015637A KR102614437B1 KR 102614437 B1 KR102614437 B1 KR 102614437B1 KR 1020210015637 A KR1020210015637 A KR 1020210015637A KR 20210015637 A KR20210015637 A KR 20210015637A KR 102614437 B1 KR102614437 B1 KR 102614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pk38
- aged
- obesity
- metabolic diseases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5—Transferases (2)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2—Transferases (2.) transferring phosphorus containing groups, e.g. kinases (2.7)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7/00—Transferases transferring phosphorus-containing groups (2.7)
- C12Y207/11—Protein-serine/threonine kinases (2.7.11)
- C12Y207/11001—Non-specific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2.7.11.1), i.e. casein kinase or checkpoint kina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MPK38 결손 마우스의 제조과정 및 지질대사의 이상을 확인한 결과로서, A는 유전자 트랩 배아줄기(ES) 세포주 AR081(미국 UC 데이비스의 돌연변이 마우스 지역 리소스 센터)를 이용하여 MPK38-/- 마우스를 제조한 과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정상식이를 섭취한 7개월령의 MPK38+/+, MPK38+/-, MPK38-/- 수컷 마우스 군의 간을 헤마토크실렌-에오신으로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C는 AST 및 ALT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며, D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조절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MPK38+/+ 및 MPK38-/- 수컷 마우스를 빛과 암흑 조건에서 사육하면서 에너지 소비정도를 분석한 결과로서, A는 체중 및 에너지 소비정도를, B는 산소 소비 프로파일, C는 이산화탄소 생성 프로파일, D는 RER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이며, E는 BAT에서 열발생 조절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중년 수컷 마우스에서 MPK38 결손에 의한 식이 유도 대사장애의 악화현상을 확인한 것으로, A는 7개월령의 MPK38+/+, MPK38+/-, MPK38-/- 수컷 마우스에 대한 외형, 체중 및 각 기관의 크기를 확인한 것이고, B는 유리지방산, 중성지방, AST, ALT, 글루코스, 인슐린, 렙틴 및 아디포넥틴의 혈청 내 농도를 측정한 것이며, C는 간 및 부고환 WAT 조직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왼쪽)와 간의 중성지방 농도(오른쪽)를 나타낸 것이며, D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조절자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것이며, E는 식이 섭취 및 금식 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와 인슐린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F는 글루코스 및 인슐린 저항성 결과를, G는 부고환 WAT 및 근육에서의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 및 하대정맥에 인슐린 주입 후 IRS-PI3K의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발현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결과이며, H는 간에서의 글루코스 생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I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합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위) 및 지방세포에서 지방 생성능(아래)을 측정한 것이고, J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의 산화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위) 및 지방세포를 이소프로테레놀- 자극에 의한 지방분해 반응(아래)을 확인한 것이다. K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L은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며, M은 식이섭취 및 금식 상태에서 혈액 내 총 케톤체 농도를, N은 무제한 식이 공급군, 금식 처리군 및 고지방식이 섭취군 유래의 간 용해물에 대한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왼쪽) 및 mTORC1 신호경로의 활성화(오른쪽)를 측정한 것이고, O는 간에서 케톤생성 유전자(PPARα, CPT1 및 3-hydroxy-3-methylglutaryl-CoA synthase 2(HMGCS2))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것이며, P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며, Q는 7개월령의 MPK38+/+ 및 MPK38-/- 수컷 마우스 유래 지방 기질혈관분획(SVF)에서의 대식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로 확인한 결과이며, M1 및 M2의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여기서 M1 표면마커는 F4/80+CD11c+CD206*?*이고, M2 표면마커는F4/80+CD11c-CD206+이다.
도 5는 MPK38이 고지방식이 암컷 마우스에서는 식이 유도 대사장애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한 것으로, A는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MPK38+/+, MPK38+/-, MPK38-/- 암컷 마우스에 대한 지방세포 크기 분포(왼쪽) 및 부고환 WAT 조직의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오른쪽), B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조절자들의 mRNA 수준을 나타낸 것이고, C 및 D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 농도 측정결과 및 글루코스와 인슐린 저항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E는 인간 인슐린(100 nM)의 처리 유무에 따른 시험관 내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를 확인한 것이며(왼쪽), 인슐린 처리에 따른 IRS-PI3K의 신호전달 관련 인자들의 발현 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고(오른쪽), F는 간에서 글로코스 생성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G는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H는 간 및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및 유리 지방산, 간 중성지방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능을 분석한 결과이고, I는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며, J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K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 중성지방 농도 및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분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고, L은 간 조직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이며, M은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액 내 총 케톤체 농도를, N은 간에서 케톤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O는 MPK38+/+, MPK38+/-, MPK38-/- 암컷 마우스를 대상으로 무제한 식이 섭취군, 금식 처리군 및 고지방식이 섭취군 유래의 간 용해물에 대한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 및 mTORC1 신호경로의 활성화를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MPK38의 식이 유도 비만 수컷 마우스에서 비만 관련 장애의 개선을 확인한 것으로, A는 7개월령의 MPK38-/- 수컷 마우스 유래의 부고환 WAT에서 ASK1/TGF-β/p53 신호전달의 하향 조절을 확인한 것이고, B는 지방세포의 크기 분포(위) 및 Ad-MPK38 바이러스를 주입한 7개월령의 고지방식이 C57BL/6N 수컷 마우스의 부고환 WAT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C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합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D 및 E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왼쪽), 글루코스 및 인슐린 저항성(중간), GTT 동안의 글루코스 AUC(area under the curve)(D 오른쪽), ITT 동안의 글루코스 AAC(area above the curve)를 나타낸 것이다. F는 부고환 WAT 및 근육에서 시험관 내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의 확인 및 하대정맥으로 인슐린 주입 후 IRS-PI3K의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발현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고, G는 간에서 글루코스 생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 및 글루코스 농도를 확인한 것이다.
도 7은 정상식이 또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수컷 마우스에서 ASK1/TGF-β/p53 신호와 MPK38 키나아제 활성 및 발현수준을 비교한 것으로, A는 정상식이 또는 고지방식이를 섭취시킨 수컷 C57BL/6N 마우스 유래의 간세포에서 ASK1/TGF-β/p53 자극제인 H2O2(2mM, 30 min), TGF-β1 (100 pM, 20 h) 또는 5FU (0.38 mM, 30 h)의 처리 유무에 따른 ASK1/TGF-β/p53 신호경로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수준을 각 항체를 이용한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고, B는 간 또는 WAT의 용해물에 대하여 각 항체로 면역침전시킨 다음 ZPR9 Thr252에 대한 인산화 특이적 항체 또는 시험관 내 키나아제 분석을 이용한 면역블롯팅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아데노바이러스 매개의 WT MPK38 및 카이네이즈-데드(kinase-dead) (K40R) MPK38의 발현을 간 및 WAT에서 확인한 것으로, 6~7개월령의 중년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의 꼬리 및 부고환 지방패드에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WT MPK38 및 K40R MPK38을 각각 주입 후, 16일 후에 간 및 WAT에서 WT MPK38 및 K40R MPK38의 발현을 면역블롯팅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9는 식이 유도 비만 수컷 마우스에서 MPK38 발현 유도에 따른 비만 관련 지질대사의 장애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A는 부고환 WAT에서 혈중 유리지방산의 농도 및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며, B는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세포의 지방분해 정도(왼쪽) 및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며, C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D는 혈액 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며, E는 간 조직의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의 총 케톤체의 농도를, G는 간에서 케톤 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다. H는 아데노바이러스의 비감염 또는 감염된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를 무제한 급식처리, 금식처리, 금식 후 다시 2시간 동안 급식처리한 군으로부터 수득한 간 용해물을 대상으로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왼쪽) 및 mTORC1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MPK38의 발현을 유도시킨 고지방식이 섭취 7개월령의 암컷 마우스에서는 MPK38 매개의 대사장애 개선 효과가 없음을 확인한 것으로, A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주입한 고지방식이 섭취 암컷 마우스에서 지방세포의 크기 분포(위) 및 부고환 WAT 조직의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아래), B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조절자들의 mRNA 수준을 나타낸 것이며, C 및 D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 농도 측정결과 및 글루코스와 인슐린 저항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E는 부고환 WAT 및 근육으로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를 확인한 것이며(왼쪽), 인슐린 처리에 따른 IRS-PI3K의 신호전달 관련 인자들의 발현 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다(오른쪽). F는 간에서 글로코스 생성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G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합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 및 유리지방산의 농도를 확인한 것이고, H는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정도(위) 및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며(아래), I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J는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고, K는 간 조직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이며, L은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액 내 총 케톤체 농도를, M은 간에서 케톤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N은 각각의 아데노바이러스로 감염된 암컷 마우스를 무제한 급식처리, 금식처리, 금식 후 다시 2시간 동안 급식처리한 군으로부터 각각 수득한 간 용해물을 대상으로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왼쪽) 및 mTORC1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수준(오른쪽)을 분석한 결과이다. O는 혈중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함량(위)을 나타낸 것이고, 부고환 WAT에서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확인한 결과(아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중년 MPK38-/- 수컷 마우스에서 거세에 의한 글루코스의 대사 변화의 부족 현상을 확인한 것으로, A는 거세한 MPK38+/+ 수컷 마우스, MPK38-/- 수컷 마우스 및 가짜 수술한 수컷 마우스의 각 실험군(4.5개월령 및 7개월령)에서 지방세포 크기 분포(위) 및 부고환 WAT 조직의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아래)를 나타낸 것이며, B는 지방생성 유전자들의 mRNA 수준을 나타낸 것이고, C 및 D는 글루코스와 인슐린 저항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E는 부고환 WAT 및 근육으로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를 확인한 것이며(왼쪽), 인슐린 처리에 따른 IRS-PI3K의 신호전달 관련 인자들의 발현 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다(오른쪽). F는 간 글루코스 생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중년 MPK38-/- 수컷 마우스에서 거세에 의한 대사 변화의 부족 현상을 확인한 것으로, A 및 B는 식이 섭취군과 금식 처리군에서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C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위), 혈중 유리지방산의 농도(아래 왼쪽) 및 간에서의 중성지방 함량(아래 오른쪽)을 나타낸 것이며, D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확인한 것이다. E는 간 조직의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이며, F는 거세 마우스 및 가짜 수술 마우스를 무제한 급식처리, 금식처리, 금식 후 다시 2시간 동안 급식처리한 군으로부터 각각 간 용해물을 수득한 후,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을 분석한 결과(왼쪽) 및 mTORC1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수준(오른쪽)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3은 중년 MPK38-/- 수컷 마우스에서 거세에 의한 지질대사 변화의 부족 현상을 확인한 것으로, A는 간에서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왼쪽) 및 간세포에서 지방생성능(오른쪽)을 분석한 결과이고, B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분석한 것이며, C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D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왼쪽), 혈중 중성지방 농도(중간) 및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정도(오른쪽)를 분석한 것이고, E는 식이 섭취군과 금식 처리군에서 혈중 총 케톤체의 농도를, F는 간에서 케톤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도 14는 테스토스테론의 대체요법이 중년 MPK38-/- 수컷 마우스(7개월령)에서 글루코스 및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것으로, A는 글루코스 및 인슐린 저항성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인간 인슐린(100 nM) 처리 유무에 따른 시험관 내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를 확인한 것이며(왼쪽) 인슐린 처리에 따른 IRS-PI3K의 신호전달 관련 인자들의 발현 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고(오른쪽), C는 간에서 글로코스 생성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D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왼쪽)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능(오른쪽)을 확인한 것이며, E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왼쪽) 및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고(오른쪽), F는 지방 분해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며, G는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H는 혈청 내 테스토스테론 및 황체형성호르몬(LH)의 수준을 ELISA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5는 MPK38이 중년 암컷 마우스에서 중성화로 유도된 대사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한 것으로, A는 난소절제술 시행 및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암컷 마우스(MPK38+/+ 또는 MPK38-/- 암컷 마우스)에서 지방세포의 크기 분포(왼쪽) 및 부고환 WAT 조직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오른쪽)를 나타낸 것이며, B는 부고환 WAT에서 지방생성 조절자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것이고, C 및 D는 글루코스와 인슐린의 저항성 분석 결과를, E 및 F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중 글루코스와 인슐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G는 인슐린 처리에 따른 부고환 WAT 및 근육으로의 14C-2-deoxy-glucose 흡수 정도를 확인한 결과 및 인슐린 처리에 따른 IRS-PI3K의 신호전달 관련 인자들의 발현 수준을 면역블롯팅으로 확인한 것이다. H는 간에서의 글루코스 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왼쪽) 및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오른쪽)를 측정한 것이며, I는 간 및 부고환 WAT에서 지방합성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 유리지방산, 간 중성지방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능을 분석한 결과이고, J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농도를 분석한 것이고, K는 지방분해 효소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L은 14C 표지 팔미테이트를 이용한 간의 β-산화를 측정한 것이고, M은 부고환 WAT에서 지방산 산화 유전자의 발현수준(위 왼쪽), 혈중 중성지방(위 오른쪽) 및 이소프로테레놀로 자극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정도를 측정한 것이며(아래), N은 난소절제술 시행 및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암컷 마우스(MPK38+/+ 또는 MPK38-/- 암컷 마우스)의 간 조직에 대한 헤마토크실렌-에오신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O는 식이섭취 및 금식상태에서 혈액 내 총 케톤체 농도를, P는 간에서 케톤생성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Q는 난소절제술 시행 및 난소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암컷 마우스(MPK38+/+ 또는 MPK38-/- 암컷 마우스)를 무제한 급식처리, 금식처리, 금식 후 다시 2시간 동안 급식처리한 군으로부터 간세포 용해물을 각각 수득하고, 간세포 용해물에서의 S6(Ser240/244)의 인산화 수준을 측정한 결과 및 mTORC1 신호경로 관련 인자들의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6은 수컷 마우스에서 테스토스테론 생성에 미치는 MPK38의 역할을 확인한 것으로, A 및 B는 거세 또는 난소 제거한 MPK38+/+ 및 MPK38-/- 마우스(4.5개월령 및 7개월령)에서의 혈중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로겐의 농도를 LC-MS/MS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것이고, C~F는 정상 식이를 공급한 MPK38+/+ 및 MPK38-/- 마우스의 고환(C, D) 및 난소(E, F)에서 스테로이드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MPK38 결핍은 성숙한 수컷 마우스에서 스테로이드의 생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정상 식이를 공급한 MPK38+/+ 및 MPK38-/- 마우스의 고환(위) 및 난소(아래)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mRNA 발현수준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이 MPK38 활성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A는 수컷 및 암컷 마우스의 일차 지방세포를 24 시간 동안 DHT 또는 E2(각각 10nM)을 처리한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20μg/ml 시클로헥시미드(CHX)를 단독처리 또는 10μM MG132로 처리한 후, anti-MPK38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블롯팅을 수행한 결과이고, B는 DHT, E2 또는 vehicle을 각각 처리한 수컷 및 암컷 마우스의 지방세포에 내재된 MPK38의 유비퀴틴화된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며, C는 DHT, E2 또는 vehicle이 처리된 각 실험군의 지방세포 용해물을 anti-MPK38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강을 수행한 후(IP: α-MPK38), anti-Mdm2 항체를 이용한 면역블롯팅을 통해 내재된 MPK38-Mdm2 복합체 형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고, D는 DHT, E2 또는 vehicle이 처리된 각 실험군의 지방세포 용해물을 anti-MPK38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침강을 수행한 후, anti-ZPR9 및 anti-Trx 항체를 각각 이용하여 MPK38와 ZPR9의 복합체 형성(왼쪽) 및 MPK38와 Trx의 복합체 형성(오른쪽) 정도를 확인한 것이다. E는 H2O2(2 mM, 30 min), TGF-β1 (100 pM, 20 h) 및 5FU (0.38 mM, 30 h)의 처리 유무에서 DHT, E2 또는 vehicle이 처리된 각 실험군(4.5개월령의 암컷 및 수컷 마우스)의 지방세포 용해물을 각 항체를 이용한 면역블롯팅을 수행하여 MPK38 의존적 ASK1/TGF-β/p53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
도 19는 성숙한 마우스의 간세포를 사용하여 간 지질 대사 및 MPK38 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A는 4.5개월령 및 7개월령의 암컷 마우스 및 수컷 마우스로부터 각각 간세포를 수득한 후, DHT 또는 E2(각각 10nM)의 처리 유무에 따른 지방생성 유전자(FAS, SCD1, SREBP1c), 지방산 산화 유전자(PPARα, CPT1, ACO) 및 지방분해 유전자(HSL, ATGL, ADRB3)의 mRNA 발현수준을 확인한 것이고, B는 간 추출물을 14C-표지된 팔미테이트와 함께 DHT 또는 E2를 처리한 군 및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의 간세포의 β-산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 및 B에서 왼쪽 도면은 미처리군을 오른쪽 도면은 처리군을 나타낸 것이다. C는 4.5개월령의 마우스에서 수득한 간세포에 DHT 또는 E2를 처리한 후, 각 항체를 이용한 면역블롯팅으로 MPK38 카이네이즈 활성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MPK38의 결핍이 성숙한 수컷 마우스에서 테스토스테론과 황체형성 호르몬(LH)의 생산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정상 식이를 섭취시킨 4.5개월령 및 7개월령의 MPK38+/+ 및 MPK38-/- 수컷 마우스에서 혈중 테스토스테론(왼쪽) 및 LH(오른쪽)의 농도를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MPK38 또는 K40R-MPK38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한 WT-MPK38 재조합 벡터맵 및 K40R-MPK38 재조합 벡터맵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5)
- MPK38(Murine protein serine-threonine kinase 38)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PK38 유전자가 발현벡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K38은 중년 남성 특이적으로,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방합성 유전자인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및 FABP4(fatty acid binding protein 4)의 발현을 억제하며;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을 감소키시고;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케톤체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K38은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삭제
- MPK38(Murine protein serine-threonine kinase 38)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PK38 유전자가 발현벡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PK38은 중년 남성 특이적으로,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지방합성 유전자인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및 FABP4(fatty acid binding protein 4)의 발현을 억제하며;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혈중 글루코스 및 인슐린을 감소키시고;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케톤체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PK38은 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에 따른 중년 남성 비만; 또는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및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삭제
- MPK38(Murine protein serine-threonine kinase 38)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스토스테론 결핍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637A KR102614437B1 (ko) | 2021-02-03 | 2021-02-03 |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
US17/346,057 US20220241382A1 (en) | 2021-02-03 | 2021-06-11 | Novel use of mpk38/melk as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specific to middle-aged men |
US18/217,935 US20240100131A1 (en) | 2021-02-03 | 2023-07-03 | Novel use of mpk38/melk as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specific to middle-aged m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637A KR102614437B1 (ko) | 2021-02-03 | 2021-02-03 |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089A KR20220112089A (ko) | 2022-08-10 |
KR102614437B1 true KR102614437B1 (ko) | 2023-12-14 |
Family
ID=8261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637A Active KR102614437B1 (ko) | 2021-02-03 | 2021-02-03 |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20220241382A1 (ko) |
KR (1) | KR102614437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66680B (zh) * | 2008-08-01 | 2015-01-01 | Oncotherapy Science Inc | Melk抗原決定位胜肽及含此胜肽的疫苗 |
KR101682083B1 (ko) | 2014-12-24 | 2016-12-05 | 한국화학연구원 | MELK 발현을 억제하는 신규 MELK shRNA 및 이의 용도 |
KR102170090B1 (ko) | 2017-11-09 | 2020-10-26 | 유의순 |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
-
2021
- 2021-02-03 KR KR1020210015637A patent/KR102614437B1/ko active Active
- 2021-06-11 US US17/346,057 patent/US2022024138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3
- 2023-07-03 US US18/217,935 patent/US20240100131A1/en active Pending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eong and Ha Cell Death and Disease (2019) 10, 38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41382A1 (en) | 2022-08-04 |
US20240100131A1 (en) | 2024-03-28 |
KR20220112089A (ko) | 2022-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rbould | Effects of androgens on insulin action in women: is androgen excess a component of female metabolic syndrome? | |
Carmina | Obesity, adipokines and metabolic syndrom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 |
Corona et al. | Risks and benefits of late onset hypogonadism treatment: an expert opinion | |
Gopalakrishnan et al. | Influence of maternal pre-pregnancy body composition and diet during early–mid pregnancy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nephron number in juvenile sheep | |
Sha et al. | Mangiferin ameliorates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induced placental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improves fetal outcomes in mice | |
Li et al. | Sildenafil induces browning of 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 in overweight adults | |
Liu et al. | Apelin/Apelin receptor: A new therapeutic target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 |
Hiramatsu et al. | Diacylglycerol production and protein kinase C activity are increased in a mouse model of diabetic embryopathy | |
Cappelli et al. | Natural molecules for the therapy of hyperandrogenism and metabolic disorders in PCOS. | |
Khan et al. | Mechanisms of ageing: growth hormone, dietary restriction, and metformin | |
Temkin et al. | Increased adiposity, inflammation, metabolic disruption and dyslipidemia in adult male offspring of DOSS treated C57BL/6 dams | |
Raoofi et al. | Therapeutic potentials of the caffein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a rat model: Via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 |
He et al. | Postweaning low-calcium diet promotes later-life obesity induced by a high-fat diet | |
EP3361250B1 (en) | Midodrine for inducing exercise-like effects | |
Zaib et al. | Analyzing the challenges, consequences, and possible treatments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 |
KR102614437B1 (ko) | 중년 남성 특이적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치료제로서 mpk38/melk의 신규 용도 | |
KR20190016938A (ko) | Paris의 파네실화에 의해 파킨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 | |
KR101232872B1 (ko) |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Taniguchi et al. | The antiobesity effect of dehydroepiandrosterone in castrated or noncastrated obese Zucker male rats | |
Genazzani et al. | PCOS from Lifestyle to the Use of Inositol and Insulin Sensitizers | |
KR102118953B1 (ko) | 골손실의 완화,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
US20200046658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ducing exercise mimetic effect | |
KR102710033B1 (ko) | 디니트라민을 포함하는 남성 생식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Cho et al. | Danshen extracts prevents obesity and activates mitochondrial function in brown adipose tissue | |
Delbari et al. | Therapeutic potentials of the caffein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a rat model: via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ntioxidant activity Running title: The effects of caffeine on ra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