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799B1 -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799B1
KR102613799B1 KR1020230104748A KR20230104748A KR102613799B1 KR 102613799 B1 KR102613799 B1 KR 102613799B1 KR 1020230104748 A KR1020230104748 A KR 1020230104748A KR 20230104748 A KR20230104748 A KR 20230104748A KR 102613799 B1 KR102613799 B1 KR 10261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block
grip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디에스
Priority to KR102023010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난연재(예: 스티로폼)가 채워지는 소위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이 화재 대비하여 불연소재로 커버됨과 아울러 냉동창고의 특성상 내외부 온도차 문제, 결로 문제 등을 해소시키는 샌드위치 패널의 마감 기술로서, 샌드위치 패널의 각 블록 간 연결 부분에서 난연재를 커버하는 패널을 모두 금속재질의 불연소재로 채택함과 아울러 그 연결 부분의 불연소재에서 열전도 차단영역을 구비함에 따라 화재로부터 내구성이 강한 샌드위치 패널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불연소재를 통해 냉동창고의 외부의 높은 온도가 냉동창고의 내부의 낮은 온도 영역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의 내측에 난연재의 발포 작업이 유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closure device of sandwich panels for cold storage}
본 발명은 내측에 난연재(예: 스티로폼)가 채워지는 소위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이 화재 대비하여 불연소재로 커버됨과 아울러 냉동창고의 특성상 내외부 온도차 문제, 결로 문제 등을 해소시키는 샌드위치 패널의 마감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의 각 블록 간 연결 부분에서 난연재를 커버하는 패널을 모두 금속재질의 불연소재로 채택함과 아울러 그 연결 부분의 불연소재에서 열전도 차단영역을 구비함에 따라 화재로부터 내구성이 강한 샌드위치 패널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불연소재를 통해 냉동창고의 외부의 높은 온도가 냉동창고의 내부의 낮은 온도 영역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창고용 벽체는 냉동창고 내외부의 열전달이 최대한 차단될 수 있는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은 그 내측에 발포로 이루어진 난연재가 패널 형태로 배치되고 그 난연재를 커버하는 내부패널과 외부패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샌드위치 패널은 복수 개의 블록이 상호 연결되면서 냉동창고용 벽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연결 부분에서도 냉동창고의 내외부 간 열전도가 차단되도록 보통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불연소재가 아니기 때문에 건축법이나 건축법 시행령 및 건축물의 피단,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에 따르면 샌드위치 패널의 난연재를 커버하는 소재를 모두 불연소재(예: 금속재질)나 준불연소재를 채택하여야만 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각 블록을 연결 부분까지 금속재질의 불연소재를 채택하는 경우 냉동창고의 외부 열이 내측으로 쉽게 전도됨에 따라 냉동창고의 열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그 블록의 연결부분에서 여러가지 문제(예: 결로, 곰팡이 등)를 야기시키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특허출원 제10-2022-0082168호 "냉동 창고용 벽체 패널 연결형 샌드위치 패널 장치"
2. 특허출원 제10-2015-0099422호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3. 특허출원 제10-2014-0133091호 "설치편리성과 패널간 이음부분에 대한 열손실 방지용 이음부를 겸비한 냉장 및 냉동시설물용 난연성 샌드위치 우레탄패널 및 그 설치방법"
4. 특허출원 제10-2005-0133773호 "내화 성능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용 연결부재"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에 내구성이 강한 불연소재를 샌드위치 패널의 표면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냉동창고 외부의 높은 열이 그 불연소재를 거쳐 냉동창고 내부의 낮은 온도 영역으로 열전달되는 것은 차단시킬 수 있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포 패널 형태의 난연재(11)와, 난연재의 내측벽을 커버하는 내측패널(12)과, 내측패널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난연재의 외측벽을 커버하는 외측패널(13)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의 단부를 마감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로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난연재의 일단부 중 내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110', 110");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서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이격 배치되어 난연재의 일단부 중 외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120', 120"); 및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정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조인트 부재(130, 130',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패널로부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패널로부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가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패널로부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패널로부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패널로부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패널로부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비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화재에 내구성이 강한 불연소재를 샌드위치 패널의 표면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냉동창고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인트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패널 안쪽에 대해 난연재의 발포 작업이 유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가 냉동창고의 벽체에 채용된 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조인트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가 냉동창고의 벽체에 채용된 예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조인트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3)의 단부를 마감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로서,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조인트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발포 패널 형태의 난연재(11)와, 난연재(11)의 내측벽을 커버하는 내측패널(12)과, 내측패널(12)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난연재(11)의 외측벽을 커버하는 외측패널(13)을 구비한다.
그리고,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은 냉동창고 벽체의 코너 부분을 도시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샌드위치 패널블록(10,20,30,40)이 서로 연접하여 연결됨으로써 냉동창고의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1]과 [도 2]에서는 냉동창고용 벽체는 각 샌드위치 패널블록(10,20,30,40)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나타내기 위하여 각 샌드위치 패널블록(10,20,30,40)을 소정 거리 이격되게 표시하였다.
이때, 예컨대 냉동창고용 벽체를 위한 하나의 제 1 샌드위치 패널블록(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조인트 부재(130)가 서로 이격 배치된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를 연결한 상태로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3)이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난연재(11)를 발포 성형하게 된다.
이어서,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로부터 조인트 부재(130)를 분리함으로써 난연재(11)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가 그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조인트 부재(130)를 독특하게 제작하였다.
먼저,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예: 알루미늄)로 이루어지고,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3) 사이에 배치되어 난연재(11)의 일단부 중 내측패널(12)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예: 알루미늄)로 이루어지고,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3) 사이에서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와 이격 배치되어 난연재(11)의 일단부 중 외측패널(13)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게 된다.
조인트 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와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정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조인트 부재(130)가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및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사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발포 충진된 난연재(11)가 경화되면 [도 2]와 [도 4]에서와 같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및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조인트 부재(130)를 분리 제거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샌드위치 패널블록(10,20,30,40)을 연결함으로써 냉동창고 내외부의 열전달은 차단하면서도 화재에 내구성이 강한 불연소재 표면의 냉동창고용 벽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그립부재(112),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하고,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그립부재(122),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측 몸체부재(111)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패널(12)로부터 외측패널(13)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그립부재(112)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 몸체부재(111)의 일단부에 내측패널(12)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걸림부재(113)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측 그립부재(112)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11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몸체부재(121)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측패널(13)로부터 내측패널(12)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그립부재(122)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측 몸체부재(121)의 일단부에 외측패널(13)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112)와 상호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걸림부재(123)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측 그립부재(122)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12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부재(13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내측 걸림부재(11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외측 걸림부재(12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그립부재(112'),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하고,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그립부재(122'),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측 몸체부재(111')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내측패널(12)로부터 외측패널(13)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그립부재(112')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내측 몸체부재(111')의 일단부에 내측패널(12)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걸림부재(113')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내측 그립부재(112')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11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몸체부재(121')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외측패널(13)로부터 내측패널(12)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그립부재(122')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외측 몸체부재(121')의 일단부에 외측패널(13)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112')와 상호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걸림부재(123')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외측 그립부재(122')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12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부재(130')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내측 걸림부재(11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외측 걸림부재(12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도 1]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조인트 부재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내측 몸체부재(111"), 내측 그립부재(112"), 내측 걸림부재(113")를 구비하고,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외측 몸체부재(121"), 외측 그립부재(122"), 외측 걸림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측 몸체부재(111")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측패널(12)로부터 외측패널(13)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그립부재(112")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측 몸체부재(111")의 일단부에 내측패널(12)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걸림부재(113")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측 그립부재(112")와 대향하는 내측 몸체부재(11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몸체부재(121")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외측패널(13)로부터 내측패널(12)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그립부재(122")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외측 몸체부재(121")의 일단부에 외측패널(13)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그립부재(112")와 상호 비대칭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걸림부재(123")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외측 그립부재(122")와 대향하는 외측 몸체부재(121")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부재(130")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내측 걸림부재(11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외측 걸림부재(123")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할 수 있다.
10 : 샌드위치 패널블록
11 : 난연재
12 : 내측패널
13 : 외측패널
20, 30, 40 : 샌드위치 패널블록
110, 110', 110" :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
111, 111', 111" : 내측 몸체부재
112, 112', 112" : 내측 그립부재
113, 113', 113" : 내측 걸림부재
120, 120', 120" :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
121, 121', 121" : 외측 몸체부재
122, 122', 122" : 외측 그립부재
123, 123', 123" : 외측 걸림부재
130, 130', 130" : 조인트 부재

Claims (4)

  1. 발포 패널 형태의 난연재(11)와, 상기 난연재의 내측벽을 커버하는 내측패널(12)과, 상기 내측패널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난연재의 외측벽을 커버하는 외측패널(13)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단부를 마감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로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내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서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외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및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정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조인트 부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상기 내측패널로부터 상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
    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상기 외측패널로부터 상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상기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
    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가 상기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가 상기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집게 형태로 다단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2. 삭제
  3. 발포 패널 형태의 난연재(11)와, 상기 난연재의 내측벽을 커버하는 내측패널(12)과, 상기 내측패널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난연재의 외측벽을 커버하는 외측패널(13)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단부를 마감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로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내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서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외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및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정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조인트 부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상기 내측패널로부터 상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
    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상기 외측패널로부터 상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상기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
    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4. 발포 패널 형태의 난연재(11)와, 상기 난연재의 내측벽을 커버하는 내측패널(12)과, 상기 내측패널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난연재의 외측벽을 커버하는 외측패널(13)을 구비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단부를 마감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로서,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내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
    상기 내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서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난연재의 일단부 중 상기 외측패널 쪽의 소정 부분을 마감하는 금속재질의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 및
    자신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는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와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을 고정 유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조인트 부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널블록 내측 마감부재(110")는,
    상기 내측패널로부터 상기 외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몸체부재(111");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내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된 내측 그립부재(112"); 및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내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내측 걸림부재(113");
    를 구비하고,
    상기 패널블록 외측 마감부재(120")는,
    상기 외측패널로부터 상기 내측패널 쪽으로 갈수록 복수 회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외측 몸체부재(121");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외측패널의 일단부를 그립하여 연결되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그립부재와 상호 비대칭 형성되는 외측 그립부재(122"); 및
    상기 외측 그립부재와 대향하는 상기 외측 몸체부재의 타단부에 인접 구성과 연결 가능한 형태로 절곡 형성된 외측 걸림부재(123");
    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130")는,
    자신 몸체의 일단부에 상기 내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 슬릿부를 구비하고, 자신 몸체의 타단부에 상기 외측 걸림부재의 절곡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 슬릿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KR1020230104748A 2023-08-10 2023-08-10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KR10261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748A KR102613799B1 (ko) 2023-08-10 2023-08-10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748A KR102613799B1 (ko) 2023-08-10 2023-08-10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799B1 true KR102613799B1 (ko) 2023-12-14

Family

ID=8916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748A KR102613799B1 (ko) 2023-08-10 2023-08-10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7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7618A1 (en) * 2003-07-23 2005-01-27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KR102002257B1 (ko) * 2018-07-20 2019-07-23 주식회사 성강 단열패널 및 이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2165674B1 (ko) * 2019-08-14 2020-10-14 (주)이화폴리텍 냉동냉장창고용 단열패널의 마감프레임
KR102310762B1 (ko) * 2021-03-04 2021-10-08 (주)용성시스템 냉동창고용 단열패널
KR102492013B1 (ko) * 2022-07-04 2023-01-26 주식회사 피디에스 냉동 창고용 벽체 패널 연결형 샌드위치 패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7618A1 (en) * 2003-07-23 2005-01-27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KR102002257B1 (ko) * 2018-07-20 2019-07-23 주식회사 성강 단열패널 및 이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2165674B1 (ko) * 2019-08-14 2020-10-14 (주)이화폴리텍 냉동냉장창고용 단열패널의 마감프레임
KR102310762B1 (ko) * 2021-03-04 2021-10-08 (주)용성시스템 냉동창고용 단열패널
KR102492013B1 (ko) * 2022-07-04 2023-01-26 주식회사 피디에스 냉동 창고용 벽체 패널 연결형 샌드위치 패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873B1 (en)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for insulated panel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20190145101A1 (en) Insulated Structural Members for Insulated Panels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US4551959A (en) Building block
US2976969A (en) Curtain wall mullion
US20100281806A1 (en) Heat insulating panel and heat insulating structure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808504B1 (ko)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US2281524A (en) Glass building block
KR102613799B1 (ko) 냉동창고용 샌드위치 패널을 위한 마감 장치
US2845150A (en) Light gauge metal building construction
US2127111A (en) Insulated structure
KR102349022B1 (ko) 열교 방지 구조를 갖는 조립식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013B1 (ko) 냉동 창고용 벽체 패널 연결형 샌드위치 패널 장치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102002257B1 (ko) 단열패널 및 이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1743634B1 (ko) 단열용 조립식 패널
KR101884846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2134510B1 (ko) 냉동 및 냉장고 벽체용 샌드위치패널의 코너연결패널
EP2400072B1 (en) Profile system for fitting insulation panels
JP2017160611A (ja) 壁面パネル
EP0595777A2 (en) Enhanced thermal resistance antifire panel
KR100398672B1 (ko) 조립식 단열판넬의 상단부 마감구조
KR200449124Y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1486044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