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611B1 -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611B1
KR102613611B1 KR1020220165485A KR20220165485A KR102613611B1 KR 102613611 B1 KR102613611 B1 KR 102613611B1 KR 1020220165485 A KR1020220165485 A KR 1020220165485A KR 20220165485 A KR20220165485 A KR 20220165485A KR 102613611 B1 KR102613611 B1 KR 10261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unit
internal
external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애
Original Assignee
홍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애 filed Critical 홍정애
Priority to KR102022016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는 절연재인 SF6 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DRY- AIR가스, N2가스, 불소계 혼합가스 등을 채용한 전기철도용 내외장 듀얼부분방전 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로기와 차단기를 축소 모듈화함에 따라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켜 전기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였고, 조작기와의 거리를 좁혀 조작기의 조작 동작이 정확하게 단로기와 차단기에 전달되게 하여 오동작을 줄였으며, 효율적이 배치를 통해 작업자에 의한 불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원격예방진단용으로 내장 UHF센서와 외장 UHF센서를 일체화하여 차단부, 단로부, 주모선에 대한 내/외장 겸용으로 개발하여 듀얼부분방전 센서에 의한 예방진단시스템을 갖춤으로써, 2개의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제거 기능을 강화하여, 엑티브 부분방전신호를 검출하고, 외부 전자파 및 광대역 모바일 노이즈 증가에 의한 부분방전신호의 교란현상을 제거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29㎸ Eco-friendly insulated switchgear for modular railways with dual internal and external discharge sensors}
본 발명은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4차산업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 트윈 기반 경년변화 예방진단 시스템에서 현장의 전기설비의 직관적이고 시각화된 설비관리로 획기적인 시스템의 신뢰성을 제고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단로부, 차단부, 모선부, 및 제어부는 일체형 단로기 및 차단기의 채용으로 축소 모듈화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격예방진단용으로 내장 UHF센서와 외장 UHF를 모듈로 일체화시켜 내/외장 겸용으로 개발하여 2개의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외부 전자파에 의한 교란을 막는 플랜지 타입 쉴딩구조의 부분방전을 광대역으로 진단하는 전기철도용 29㎸ 친환경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폐장치는 발전소나 변전소에 설치되는 전력 설비에서 주 보호 장치로 사용하여 정상 개폐는 물론 고장 발생 시에도 과도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시켜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개폐장치는 회로를 개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단로기, 차단기, 주모선(AF, TF)등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개폐장치의 하나로 절연개폐장치가 있으며, 이는 절연을 필요로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절연을 이루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가스절연개폐장치와 관련된 기술에는 특허문헌 1 내지 2가 있다.
또한 절연개폐장치의 부분방전 센서와 관련된 기술에는 특허문헌 3 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모선(A)이 수납되는 제 1 탱크(201); 제 1 탱크(20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며, 제 1 모선(A)과 접속되는 3-way 스위치(210)가 수납되는 제 2 탱크(202); 제 2 탱크(202)의 측면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며, 3-way 스위치(210)의 후단과 접속되는 단로기(220)가 수납되는 제 4 탱크(204); 제 4 탱크(204)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부에 위치되며, 제 2 탱크(202)와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면서 단로기(220)와 접속되는 제 2 모선(B)이 수납되는 제 3 탱크(203); 제 2 탱크(202)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며, 3-way 스위치(210) 및 단로기(220)와 공통접속되는 차단기(230)가 수납되고 변류기(240)가 설치되는 제 5 탱크(205); 제 5 탱크(205)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위치되며, 차단기(230)와 접속되는 단로기(250)가 수납되는 제 6 탱크(206); 제 6 탱크(206)의 측면에서 연결되어 동일한 높이위치를 가지며, 단로기(250)의 후단과 접속되는 3-way 스위치(260)가 수납되는 제 8 탱크(208); 및 제 8 탱크(208)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3-way 스위치(260)의 전단과 접속되는 제 3 모선(C)이 수납되는 제 7 탱크(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절연가스가 충진된 탱크의 내부에 절연프레임을 설치하고, 해당 절연프레임에 차단기와 단로기를 설치하여 차단기와 단로기를 직접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개폐장치이고,
특허문헌 3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구비하고, 상호 연결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제1 탱크 및 제2 탱크의 연결부에 구비되되, 제1 탱크 및 제2 탱크에 접촉하는 연결링유닛; 및 연결링유닛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센싱유닛을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로, 복수개의 센싱유닛(140)은 연결링부재의 결합구멍(도 2의 132)에 삽입될 수 있고, 센싱유닛(140)에는 복수개의 제2 볼트구멍(14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4는 정면 패널, 측면 패널 및 후면 패널로 이루어지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에 있어서, 부분 방전 센서와 동축 케이블로 연결되는 집합반이 후면 패널의 하부판에 설치되고, 하부판의 내면에는 제 1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2 플레이트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집합반의 도어 정면에는 다수개의 커넥터 취부 단자가 설치되는 내장형 부분방전 집합반을 갖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절연개폐장치가 개발되어 있고, 이들은 절연수단으로 SF6 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SF6 가스는 6개 감축 대상 온실가스 중 온난화지수가 23,900 (CO2 : 1기준)으로 지구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스로 판명되었다. 이에 세계 각 나라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온실가스의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철도차량의 경우에도 2023부터 29kV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를 철도에도 적용하기로 했으며, 전압레벨에 따라 72.5kV, 170kV 2 종류의 설비는 2025년부터 전면 적용할 계획이다.
이러한 시류에 반하여 절연개폐장치에는 아직 가스를 이용하는 한계가 있어 이러한 시류에 동승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절연개폐장치는 단로부와 차단부들이 각각 분리되어 제어부의 후면을 중심으로 SF6 가스 사용을 위하여 8개의 탱크를 전후로 직렬 연결하는 배치 구조 이거나, 하나의 탱크내에 단로기와 차단기를 절연프레임을 통하여 직접 직렬로 배치하는 구조이므로 절연개폐장치의 축소 모듈화에 한계가 있고, 이들이 많은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전기실의 공간 확보가 어렵고, 이들과 조작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 작동시 오동작의 위험이 있으며, 비효율적으로 배열(전후 배열)됨에 따라 이들을 작동시키는 작업자가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오작동시키는 문제가 있다.
기존 절연개폐장치의 문제점인 단로부, 차단부 및 모선부가 제어기(조작기)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이 많는 공간을 차지하고, 이들이 일체화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수리할 때 다른 구성요소까지 분해하여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어렵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또한 종래의 절연개폐장치의 센싱 유닛은 탱크 내부 이거나 혹은 외부에 하나만 설치되어 있어 외부 전자파에 의한 교란을 막는 쉴딩구조와 내외부의 부분방전 예방진단 기능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08935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452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38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443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단로기와 차단기를 축소 모듈화함에 따라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켜 전기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였고, 조작기와의 거리를 좁혀 조작기의 조작 동작이 정확하게 단로기와 차단기에 전달되게 하여 오동작을 줄였으며, 효율적이 배치를 통해 작업자에 의한 불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예방진단용으로 내장 UHF센서와 외장 UHF센서를 일체화하여 차단부, 단로부, 주모선에 대한 내/외장 겸용으로 개발하여 플랜지 타입 듀얼부분방전센서에 의한 예방진단시스템을 갖춤으로써, 2개의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강화하여, 엑티브 부분방전신호를 검출하고, 외부 전자파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며, 광대역 모바일 노이즈 증가에 의한 부분방전신호의 교란현상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타입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부하전류를 제거한 후 회로를 격리하는 단로부, 선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모선이 연결되는 모선부, 및 상기 단로부와 차단부의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의 배면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40)와 직접 연결되도록 단로기가 내장되어 축소 모듈화구조의 일체화된 두 개의 단로부(10)와,
상기 제어부(40)의 배면에는 상기 두 개의 단로부 사이에 단로부를 연결하고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제어부(40)와 직접 연결되도록 차단기가 내장된 축소 모듈화구조의 일체화된 차단부(20)의 배치로 절연개폐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휴먼 에러를 줄이고, 절연개폐장치의 주모선과 차단부의 작동로드의 길이를 짧게하는 배열구조로 상호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특히 상기 차단부, 단로부, 모선부 각각의 탱크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부착되는 일체화된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60)는 차단부, 단로부, 모선부의 내부에 UHF센서를 외부에 UHF센서를 일체화하여 쉴드하는 플랜지 타입으로 하였으며, 내외장 UHF센서에 의한 이상신호를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겸용 단자인 외부통신용단자와 상기 몰드형의 내외장듀얼부분방전센서를 일체화하여 쉴드하기 위해 듀얼센서 고정용 에폭시절연물과 내부 GAS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O-링을 체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였다.
상기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내장 UHF센서 및 외장 UHF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엑티브 부분방전신호 검출부와 광대역 모바일 노이즈 증가에 의한 부분방전신호 교란현상을 제거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에 의한 예방진단시스템(도면 미표시)을 더 포함하였다.
상기 예방진시스템은 PD 검출데이터 경년 예방진단, 온도 변화 DB화, 습도 변화 DB화, 변화되는 이미지를 분석 관리 DB화, DB 그룹 관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축소 모듈화함으로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및 설치, 시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의 절연개폐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단로부, 차단부 및 모선부가 제어기(조작기)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이 많는 공간을 차지하고, 이들이 일체화되어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를 수리할 때 다른 구성요소까지 분해하여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어렵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축소 모듈화되고, 좌우로 배열함에 따라 수리할 구성요소만을 분해하여 수리할 수 있어 휴먼 에러를 줄임과 동시에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유지 보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격예방진단용으로 내장 UHF센서와 외장 UHF를 모듈화로 일체화시켜 내/외장 겸용으로 개발함으로써 2개의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외부 전자파에 의한 교란을 막는 쉴딩구조의 부분방전을 광대역으로 진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배면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의 듀얼부분방전센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듀얼부분방전센서 내부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의 단로기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전류를 제거한 후 회로를 격리하는 단로부(10), 선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20), 모선이 연결되는 모선부(30), 및 상기 단로부와 차단부의 작동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전기철도용 친환경 모듈형 절연개폐장치로, 상기 단로부, 차단부, 모선부, 및 제어부는 일체형 단로기 및 차단기의 채용으로 축소 모듈화되어 개폐장치의 주모선과 차단부의 배열구조를 변경하여 상호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하였다.
종래의 절연개폐장치는 단로부, 차단부, 모선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면 장치 전체를 분해하여 수리하여야 하는 데 반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로부, 차단부, 모선부가 각각 축소 모듈화되어 서로 분해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구성요소만을 분해하여 수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를 기준으로 단로부, 차단부, 모선부가 좌우로 적접 배치되어 제어부와 각각의 단로부 및 차단부 사이의 거리와 공간을 줄임에 따라 제어부에 연결되는 단로부와 차단부의 스위치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의 길이가 줄어 제어부에 의한 제어동작이 단로부, 차단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아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제어부(조작부)의 제어에 의해 단로부, 차단부의 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은 긴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작동로드의 길이가 길어지면 작동 중 휘거나 뒤틀림이 발생하여 원하는 정도로 단로부와 차단부를 작동시킬 수 없으나, 본 발명은 제어부와 단로부 및 차단부 사이의 거리가 줄어 작동수단의 길이가 줄고, 이에 따라 작동과정에서 작동수단의 변형이 덜 발생함에 따라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도 5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 단로부, 모선부 각각의 탱크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부착되는 일체화된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6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60)는 원격예방진단용으로 내장된 UHF센서(60-1)와 외장된 UHF센서(60-2)가 에폭시절연물(60-4)에 의해 보호되면서 일체화되었다.
여기서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60)는 내외장 UHF센서에 의한 이상신호를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겸용 단자(60-3)를 더 포함하였으며, 듀얼부분방전센서의 고정 쉴드화를 위하여 에폭시절연물(60-4)과 내부 GAS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O-링(60-5)에 의해 듀얼부분방전센서를 일체화하여 고정 쉴드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부, 단로부, 모선부에 대한 내/외장 겸용으로 개발된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듀얼부분방전센서는 예방진단시스템(도면에 미표시)과 연결되어 2개의 센서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강화하여, 엑티브 부분방전신호를 검출하고, 외부 전자파에 의한 교란을 방지하며, 광대역 모바일 노이즈 증가에 의한 부분방전신호 교란현상을 제거하는 고신뢰성 부분방전 진단기능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예방진단시스템은 PD 검출데이터 경년 예방진단 적용, 온도 변화 DB화, 습도 변화 DB화, 변화되는 이미지를 분석 관리 DB화, DB 그룹 관리 및 트랜드 데이터 관리를 포함하여 예방진단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상기 단로부(10)의 접속단자(10t)는 제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하는 스크류축(40s)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이동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상기 단로부, 차단부 및 모선부들 사이에는 절연SPACER(CS)가 더 설치되어 구성요소들 사이의 분해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접속부로 누수가 발생하거나 공기가 통과하여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절연SPACER(CS)은 절연 소재로 만들어지고,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구성요소들의 단부에 밀착되는 플랜지부(CS-1)를 포함하고, 이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 구성요소들의 내부로 끼워져 내벽에 밀착되는 통형 날개(CS-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로부(10) 중 하부 단로부의 하단에 케이블접속부(50)를 구성하되, 상기한 바와 같이 단로부를 좌우로 배열하여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에 케이블 처리를 위한 여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단로부(10), 차단부(20), 모선부(30), 및 제어부(40)의 외형 SIZE에 의한 전기실 전후면의 면적확보 및 특히 하단부 단말 CABLE 처리 공간확보로 유지보수작업에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
10: 단로부
10t: 접속단자
20: 차단부
30: 모선부
40: 제어부
40s: 스크류축
50: 케이블접속부
60: 듀얼부분방전센서(일체화된 내외장 UHF/UHF센서)
60-1: 내장 UHF센서, 60-2: 외장 UHF센서, 60-3: 외부통신용단자,
60-4: 에폭시 절연물, 60-5: O-링
CS: 절연SPACER
CS-1: 플랜지부, CS-2: 통형 날개

Claims (6)

  1. 부하전류를 제거한 후 회로를 격리하는 단로부, 선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차단부, 모선이 연결되는 모선부와 상기 단로부 및 차단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의 배면에는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40)와 직접 연결되도록 단로기가 내장되어 축소 모듈화된 두 개의 단로부(10);
    상기 제어부(40)의 배면에는 상기 두 개의 단로부 사이에 단로부를 연결하고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40)와 직접 연결되도록 차단기가 내장되어 축소 모듈화구된 차단부(20);
    상기 차단부, 단로부, 모선부 각각의 탱크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부착되어 상기 차단부, 단로부 및 모선부 각각의 내부에 내장 UHF센서(60-1)를 외부에 외장 UHF센서(60-2)를 일체화하여 듀얼 고정용 에폭시절연물(60-4)과 내부 GAS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O-링(60-5)으로 쉴드하고, 상기 쉴드된 내장 UHF센서(60-1) 및 외장 UHF센서(60-2)에 의한 이상신호를 원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겸용 단자(60-3)를 갖는 일체화된 플랜지 타입 몰드형의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60);
    상기 단로부, 차단부 및 모선부들 사이에는 상호간 밀착되는 플랜지부(CS-1)와 내벽이 밀착되는 통형 날개(CS-2)가 부착된 절연SPACER(C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는 상기 내장 UHF센서(60-1) 및 외장 UHF센서(60-2)에 의한 출력값을 비교하여 노이즈 제거 기능을 구비한 엑티브 부분방전신호 검출부와 광대역 모바일 노이즈 증가에 의한 부분방전신호 교란현상을 제거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에 의한 예방진단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예방진단시스템은 PD 검출데이터 경년 예방진단 적용, 온도 변화 DB화, 습도 변화 DB화, 변화되는 이미지를 분석 관리 DB화, DB 그룹 관리를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KR1020220165485A 2022-12-01 2022-12-01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KR10261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485A KR102613611B1 (ko) 2022-12-01 2022-12-01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485A KR102613611B1 (ko) 2022-12-01 2022-12-01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611B1 true KR102613611B1 (ko) 2023-12-15

Family

ID=8912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485A KR102613611B1 (ko) 2022-12-01 2022-12-01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093B1 (ko) * 2023-11-03 2024-05-24 (주)금강콘트롤 내외측 듀얼 부분방전 감지센서가 부착된 컴팩트형 29kV급 전기철도용 친환경 개폐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220A (ja) 1999-11-19 2001-05-25 Meidensh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50034217A (ko) * 2003-10-08 2005-04-14 (주) 피에스디테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방전 진단 시스템
KR100893534B1 (ko) 2009-01-02 2009-04-17 주식회사 광명전기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11237235A (ja) * 2010-05-10 2011-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KR101496588B1 (ko) * 2013-12-27 2015-02-26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JP2020085675A (ja)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東芝 劣化診断システム、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123821A (ko) 2020-04-06 2021-10-14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210144313A (ko) 2020-05-22 2021-11-30 한국전력공사 내장형 부분방전 집합반을 갖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220A (ja) 1999-11-19 2001-05-25 Meidensh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50034217A (ko) * 2003-10-08 2005-04-14 (주) 피에스디테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방전 진단 시스템
KR100893534B1 (ko) 2009-01-02 2009-04-17 주식회사 광명전기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JP2011237235A (ja) * 2010-05-10 2011-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機器の部分放電検出装置
KR101496588B1 (ko) * 2013-12-27 2015-02-26 주식회사 효성 가스 절연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 장치
JP2020085675A (ja)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東芝 劣化診断システム、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10123821A (ko) 2020-04-06 2021-10-14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210144313A (ko) 2020-05-22 2021-11-30 한국전력공사 내장형 부분방전 집합반을 갖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093B1 (ko) * 2023-11-03 2024-05-24 (주)금강콘트롤 내외측 듀얼 부분방전 감지센서가 부착된 컴팩트형 29kV급 전기철도용 친환경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394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JP4979687B2 (ja) ガス絶縁電力機器
US8754327B2 (en) Gas insulated device
US8481881B2 (en) Electric circuit breaker and switchgear panel with circuit breaker
JP2010017051A (ja) 固体絶縁母線スイッチギヤ
WO2020198875A1 (en) Sheath-bonding link box
KR102367798B1 (ko) 내장형 부분방전 집합반을 갖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
KR100588769B1 (ko) 가스로 충전된 컨테이너를 구비하고 금속으로 둘러싸인 가스 절연 스위치 기어
KR102613611B1 (ko) 내외장 듀얼부분방전센서가 부착된 모듈형 철도용 29㎸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US6560091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WO2007097491A1 (en) Partial discharge detecting device of gas insulated switchgear
KR102504416B1 (ko) 전기철도용 친환경 절연개폐장치
JP2008043181A (ja) 配電用開閉装置
RU2426210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щит и подстанция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щит
US6556428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CN214707025U (zh) 用于开关柜的套管和开关柜
KR101631560B1 (ko) 영상변류기 통합 단자대
KR20190011967A (ko) 결로 예방 기능을 갖는 배전반 관리 시스템
KR200484705Y1 (ko) 배출 수단을 갖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KR20170117764A (ko) 플렉서블 부스바를 적용한 내진형 수배전반
KR101898962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100438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위한 전자파차폐수단 및 이를 구비한방전 진단시스템
KR102669093B1 (ko) 내외측 듀얼 부분방전 감지센서가 부착된 컴팩트형 29kV급 전기철도용 친환경 개폐장치
KR102334422B1 (ko) 배전 전력계통의 배전선로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