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384B1 - 반려동물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384B1
KR102613384B1 KR1020210059231A KR20210059231A KR102613384B1 KR 102613384 B1 KR102613384 B1 KR 102613384B1 KR 1020210059231 A KR1020210059231 A KR 1020210059231A KR 20210059231 A KR20210059231 A KR 20210059231A KR 102613384 B1 KR102613384 B1 KR 10261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perating
fixing
coupl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1923A (ko
Inventor
신화용
Original Assignee
신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용 filed Critical 신화용
Priority to KR102021005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38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카시트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에 반려동물이 투입되는 함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차량내에서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반려동물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그 움직임으로 인해 운전자의 운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카시트{Car Seat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차량에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을 위한 차량 전용의 카시트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6824호와 같은 휴대용 반려동물용 캐리어를 사용하거나, 등록특허공보 제10-2136044호와 같이 반려동물용 카시트 방석에 반려동물을 넣은 상태로 차량에 탑승시키거나, 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634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44542호와 같이 반려동물 전용의 카시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반려동물용 캐리어와 카시트 방석은 단순히 차량 시트에 고정하지 않으므로 인해 차량 급출발이나 급정지 또는 차량 사고에 의해 캐리어 또는 방석이 쉽게 이동하거나 충격을 받게 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한편, 상기 반려동물 전용의 카시트는 차량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지만 카시트 베이스가 견고하지 못하는 관계로, 반려동물의 움직임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면서 차량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로인해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6824호(공개일 2019.04.05.) 등록특허공보 제10-2136044호(공고일 2020.07.2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634호(공고일 2005.04.22.) 등록특허공보 제10-2044542호(공고일 2019.11.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내에서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반려동물용 카시트는, 차량 시트를 이루는 좌석 부에 올려지며, 상기 차량 시트를 이루는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로드를 가지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며,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일단에는 결속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타단에는 한 쌍의 결합봉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함체부의 저면 일단에는 상기 결속구에 결속되는 결합편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는 상기 결합봉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이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시키거나 또는 상기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 1 잠금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면이 경사진 것으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고정로드가 결합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경사진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구와 상기 결합봉이 형성되는 제 2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금속재이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결속구와 상기 결합봉의 사출 성형을 위한 합성수지재인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로드는,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에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좌석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재 안착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에 대한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직선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잠금부는,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에 결합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누름 여부에 따라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쇠;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걸림쇠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결합봉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부의 상기 공간에는 수용되는 반려동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끝단에 결속고리를 가지는 고정띠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함체부의 양측부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잠금부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작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형의 레버; 및,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함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레버가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함체부가 분리되도록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가압 접촉이 해제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버에 축부 및 제 1 고정돌기로 결합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올려져 상기 레버의 작동돌기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되, 상기 레버가 회전시에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 이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를 잡아 당기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가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로드; 및, 상기 제 1 로드의 양단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로드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서 커버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에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카시트는, 차량 시트에 고정부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에 반려동물이 투입되는 함체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차량내에서 반려동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반려동물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그 움직임으로 인해 운전자의 운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용 카시트가 차량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용 카시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잠금부의 잠금 해제로부터 카시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용 카시트가 차량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려동물용 카시트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잠금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 잠금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2 잠금부의 잠금 해제로부터 카시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카시트는, 차량의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 시트의 좌석부(101)와 등받이부(102) 사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재(10), 함체부(20), 제 1 잠금부(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상기 좌석부(101)에 올려지며, 상기 좌석부(101)와 등받이부(102)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로드(11)를 가지는 한편, 상면 일단에는 결속구(12)가 형성되고, 상면 타단에는 한 쌍의 결합봉(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결합봉(13)에는 이탈 방지턱(1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0)는 제 1 및 제 2 몸체(T1, T2)의 결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 1 몸체(T1)는 금속재로서 상면이 경사진 것으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고정로드(11)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몸체(T2)는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제 1 몸체(T1)의 경사진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구(12)와 상기 결합봉(13)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로드(11)는 고정레일(111)과 이동레일(112) 및 제 2 잠금부(113)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레일(111)은 상기 좌석부(101)와 등받이부(102)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3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111a)를 가지는 한 쌍의 구조물인 것이다.
상기 이동레일(112)은 상기 제 1 몸체(T1)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111)에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좌석부(101)에서의 상기 제 1 몸체(T1) 안착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2 잠금부(113)는 상기 이동레일(112)의 일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레일(112)에 대한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직선 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잠금몸체(113a), 버튼부(113b), 걸림쇠(113c)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잠금몸체(113a)는 상기 이동레일(112)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버튼부(113b)는 상기 잠금몸체(113a)에 결합되는 누름형 버튼 구조물이며, 상기 걸림쇠(113b)는 상기 버튼부(113b)의 누름 여부에 따라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도록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물일 수 있고, 이에 상기 이동레일(112)에는 상기 걸림쇠(113c)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11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체부(20)는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공간(S)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일단에는 상기 결속구(12)에 결속되는 결합편(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는 상기 결합봉(1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2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함체부(20)의 상기 공간(S)에는 수용되는 반려동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끝단에 결속고리를 가지는 고정띠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함체부(20)의 양측부에는 반려동물에게 개방감을 제공하기 위한 개방구(2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잠금부(30)는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22)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13)이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시키거나 또는 상기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며, 레버(31)와 작동부(32) 및 커버부(3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31)는 회전형 구조물로서,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며, 이는 한 쌍의 작동돌기(31a)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32)는 상기 함체부(31)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상기 함체부(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22)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레버(31)가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상기 함체부(20)가 분리되도록 상기 결합봉(13)으로부터 가압 접촉이 해제되는 것이며, 회전몸체(321), 작동로드(322), 가압스프링(323)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몸체(321)는 상기 레버(31)에 축부(321a) 및 제 1 고정돌기(321b)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몸체(321)는 상기 레버(31)와 함께 회전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룬 것이다.
상기 작동로드(322)는 상기 회전몸체(321)에 올려져 상기 레버(31)의 작동돌기(31a)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13)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13)을 항상 가압하는 것이지만, 상기 레버(31)가 회전시에는 상기 작동돌기(31a)에 의해 상기 결합봉(13)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 이동하는 것이며, 제 1 로드(3221)와 제 2 로드(32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로드(3221)은 상기 작동돌기(31a)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스프링(32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322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로드(3222)는 상기 제 1 로드(3221)의 양단에 형성되면서,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하기 위한 홈(322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로드(3222)는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체결부재(200)로 체결되기 위한 홀(3222b)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홀(3222b)은 상기 체결부재(200)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로드(3222)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스프링(323)은 상기 작동로드(322)와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작동로드(322)가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322)를 잡아 당기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스프링(323)은 상기 제 1 로드(3221)의 제 2 고정돌기(3221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함체부(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로드(322)가 항상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322)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로드(3221)를 잡아 당기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33)는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서 상기 작동부(32)를 덮는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제 2 로드(3222)에는 상기 커버부(33)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3222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카시트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의 상면에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공간(S)을 가지는 함체부(20)를 올려 놓으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면 일단에 형성되는 결속구(12)에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편(21)을 끼움 결합시키고, 이어서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면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봉(13)을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구(22)에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함체부(20)의 1차적인 결합이 완료된다.
즉, 상기 함체부(20)의 저면에는 작동부(32)를 포함하는 제 1 잠금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동부(32)에 포함되는 작동로드(322)는 가압스프링(323)의 가압력에 의해 당김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봉(13)에 접촉하여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하는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작동부(32)에 포함되는 상기 작동로드(322)의 제 1 로드(3221)에는 상기 가압스프링(323)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스프링(323)의 타단은 상기 함체부(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스프링(323)의 압축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제 1 로드(3221)는 상기 제 1 잠금부(30)에 포함되는 회전형 레버(31)의 작동돌기(31a)를 밀면서 상기 함체부(20)의 후단 방향으로 당겨지는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로드(322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로드(3222)는 상기 제 1 로드(3221)의 직선 이동시 연동하는 것이며, 이는 장홀인 홀(3222b)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00)를 기준으로 상기 함체부(20)의 후단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 2 로드(3222)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3222a)이 상기 결합봉(13)에 접촉하면서, 상기 결합봉(13)을 가압함은 물론, 상기 결합봉(13)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13a)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3222)의 분리 이탈이 방지되므로, 상기 결합봉(13)은 상기 함체부(20)의 저면에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이에따라 상기 함체부(20)는 상기 고정부재(10)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10)에 함체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20)에 형성되는 고정로드(11)를 차량 시트를 이루는 좌석부(101)와 등받이부(102) 사이의 틈새에 삽입시켜, 상기 좌석부(101)와 등받이부(102)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300)에 상기 고정로드(11)에 포함되는 고정레일(111)의 커넥터(111a)를 체결한다.
이후, 상기 함체부(20)에 반려동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함체부(20)에 형성되는 고정띠를 결속고리로 결속시켜 수용된 반려동물을 고정하면, 차량 주행시 반려동물은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함체부(20)는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상부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미도시)를 더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 주행이 종료되면서 상기 함체부(20)를 상기 고정부재(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함체부(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 1 잠금부(30)의 회전형 레버(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레버(31)와 함께 작동부(32)에 포함되는 회전몸체(321)의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레버(31)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구조물인 작동돌기(31a)가 제 1 로드(3221)를 상기 가압스프링(323)의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로드(3221)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2 로드(3222) 또한 상기 제 1 로드(3221)와 함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로드(3222)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3222a)은 상기 결합봉(13)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며, 이에따라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구(22)에서 상기 결합봉(13)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함체부(20)의 저면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편(21)을 상기 고정부재(10)의 상면 일단에 형성되는 결속구(12)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함체부(20)는 상기 고정부재(10)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고,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10)를 잡아 당기면, 상기 고정부재(10) 또한 차량 시트로부터 쉽게 분리되면서,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함체부(2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카시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고정부재 11; 고정로드
111; 고정레일 111a; 커넥터
112; 이동레일 112a; 걸림홀
113; 제 2 잠금부 113a; 잠금몸체
113b; 버튼부 113c; 걸림쇠
12; 결속구 13; 결합봉
13a; 이탈 방지턱 20; 함체부
21; 결합편 22; 삽입구
23; 개방구 30; 제 1 잠금부
31; 회전형 레버 31a; 작동돌기
32; 작동부 321; 회전몸체
321a; 축부 321b; 제 1 고정돌기
322; 작동로드 3221; 제 1 로드
3221a; 제 2 고정돌기 3222; 제 2 로드
3222a; 홈 3222b; 홀
3222c; 가이드돌기 323; 가압스프링
33; 커버부 101; 좌석부
102; 등받이부 200; 체결부재
300; 앵커 S; 공간
T1; 제 1 몸체 T2; 제 2 몸체

Claims (10)

  1. 차량 시트의 좌석부에 올려지며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로드를 가지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며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상부 개방형의 함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일단에는 결속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타단에는 한 쌍의 결합봉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함체부의 저면 일단에는 상기 결속구에 결속되는 결합편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는 상기 결합봉이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이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시키거나 또는 상기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 1 잠금부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로드는,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틈새에 형성되는 앵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 양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에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좌석부에서의 상기 고정부재 안착 위치를 가변시키는 이동레일; 및,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레일에 대한 직선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직선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잠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잠금부는, 상기 이동레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에 결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누름 여부에 따라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쇠; 를 포함하면서,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걸림쇠가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결합봉에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상기 공간에는 수용되는 반려동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끝단에 결속고리를 가지는 고정띠를 형성하고,
    상기 함체부의 양측부에는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부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의 작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형의 레버; 및,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함체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접촉되고, 상기 레버가 회전시에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상기 함체부가 분리되도록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가압 접촉이 해제되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레버에 축부 및 제 1 고정돌기로 결합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올려져 상기 레버의 작동돌기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봉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되, 상기 레버가 회전시에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상기 결합봉으로부터 접촉에 따른 가압이 해제되도록 직선 이동하는 작동로드; 및,
    상기 작동로드와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작동로드가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도록 상기 작동로드를 잡아 당기는 가압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상기 작동돌기에 의해 직선 이동하며, 상기 가압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제 1 로드; 및,
    상기 제 1 로드의 양단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상기 결합봉을 가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제 2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로드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홀을 형성하되, 상기 홀은 상기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로드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함체부의 저면 타단에서 커버부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로드에는 상기 커버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카시트.
KR1020210059231A 2021-05-07 2021-05-07 반려동물용 카시트 KR10261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31A KR102613384B1 (ko) 2021-05-07 2021-05-07 반려동물용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31A KR102613384B1 (ko) 2021-05-07 2021-05-07 반려동물용 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923A KR20220151923A (ko) 2022-11-15
KR102613384B1 true KR102613384B1 (ko) 2023-12-13

Family

ID=8404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231A KR102613384B1 (ko) 2021-05-07 2021-05-07 반려동물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000B1 (ko) * 2014-06-17 2015-11-27 이지영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이소픽스 베이스
JP2018506469A (ja) 2015-01-23 2018-03-08 ウォルフガンク ニッケル 保持固定具
KR101989776B1 (ko) * 2017-12-22 2019-06-17 신화용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634Y1 (ko) 2004-12-17 2005-04-22 김태흥 애완동물용 카시트
MX2017013976A (es) * 2015-05-12 2018-03-14 Pidyon Controls Inc Asiento para automovil y sistema de conexion.
KR20190036824A (ko) 2017-09-28 2019-04-05 박정섭 애완동물용 캐리어
KR102044542B1 (ko) 2018-03-13 2019-11-13 박희규 애완동물용 카시트
KR20200141779A (ko) * 2019-06-11 2020-12-21 주식회사 폭스박스 모듈 서스펜션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카시트
KR102136044B1 (ko) 2020-01-14 2020-07-20 이정인 애완동물용 카시트 방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000B1 (ko) * 2014-06-17 2015-11-27 이지영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이소픽스 베이스
JP2018506469A (ja) 2015-01-23 2018-03-08 ウォルフガンク ニッケル 保持固定具
KR101989776B1 (ko) * 2017-12-22 2019-06-17 신화용 애완동물용 이동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923A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593B2 (en) Child carrier restraint system
CN102294966B (zh) 将儿童安全座椅连接在车座上的装置和方法
US7278684B2 (en) Retractable coupling apparatus
US3451720A (en) Vehicle passenger restraint harness
US10023079B2 (en) Child safety seat
US20070152487A1 (en) Foldable Headrest Assembly
US6837547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n end release buckle assembly
JP2015536874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プレゼンタ組立品
JP568097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ロック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US20120103278A1 (en) Locking pet lead system comprising a leash and collar to prevent the theft of pets.
DE102016109690A1 (de) Kinder-Sicherheitssitz
US871465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assembly
CN103072545A (zh) 安全带闩锁板组件
KR102613384B1 (ko) 반려동물용 카시트
JP2015202864A (ja) 車両用拘束システム
US7263749B2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
JP2008523916A (ja) 非慣性開放型安全拘束ベルトバックル
US5415491A (en) Coupling device
US7775558B2 (en) Webbing holding device
JP3844179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5184376A (en) Child-resistant safety belt buckle
US4707033A (en) Device for releasably connecting a seat portion to the vehicle body
KR101754877B1 (ko) 차량용 스마트키
JP3886087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