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444B1 -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44B1
KR102612444B1 KR1020227023447A KR20227023447A KR102612444B1 KR 102612444 B1 KR102612444 B1 KR 102612444B1 KR 1020227023447 A KR1020227023447 A KR 1020227023447A KR 20227023447 A KR20227023447 A KR 20227023447A KR 102612444 B1 KR102612444 B1 KR 10261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antennas
signal transmiss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823A (ko
Inventor
빈 자오
즈 천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073880.0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29409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141581.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745145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one co-ordinate of the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2Systems for transmission between fixed stations via wavegui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6Circuits for coupling, blocking, or by-passing of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라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회전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회전 조립체에 의해 회전하게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동일한 회전 조립체에 탑재되어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2개의 안테나의 동시 회전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객 구내 장비(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는 무선 광대역 액세스를 위한 단말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CP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네트워크 신호를 와이어리스-파이델리티(Wi-Fi: wireless-fidelity) 신호로 변환한다. CPE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유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CPE는 농촌, 마을, 병원, 공장, 지역(district) 등과 같이 유선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5세대(5G) 모바일 통신 기술은 빠른 통신 속도 때문에 사용자들이 선호한다. 예를 들어, 5G 모바일 통신의 전송 속도는 4G 모바일 통신보다 데이터 전송에서 수백 배 더 빠르다. 밀리미터파 신호는 5G 모바일 통신을 실현하는 널리 퍼져 있는 수단이다. 그러나, 밀리미터파 안테나가 사용자 단말 장비에 적용될 때, 신호가 물체에 의해 쉽게 차단되어 수신 신호가 약하며, 이는 결국 사용자 단말 장비의 통신 효과를 열등하게 만든다.
모바일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낮은 통신 지연과 같은 요건이 제안되고 있다. 5세대(5G) 통신을 고객 구내 장비(CPE)에 적용하는 것이 산업계의 트렌드가 되었다. 5G 스펙트럼은 주로 서브-6 GHz 스펙트럼과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을 포함한다. 밀리미터파 통신을 지원하는 CPE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필요로 하며, 이는 CPE의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회전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조립체 상에 배치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조립체에 의해 회전하게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 장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동일한 회전 조립체에 탑재되어,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두 종류의 안테나의 동시 회전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 장비의 통신 품질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다.
사용자 단말 장비가 추가로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회전 조립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프론트-엔드(front-end) 모듈, 복수의 스위칭 모듈, 복수의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조립체 상에 배치되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 장비의 둘레에 고정되어 둘러싸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프론트-엔드 모듈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또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스위칭 모듈이 하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coupling)된다. 각각의 스위칭 모듈은 하나의 개별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스위칭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으로 분할된다.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하나의 스위칭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하나의 개별 스위칭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 각각은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의 각각에서,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 각각에 대해, 복수의 스위칭 모듈 각각은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고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다른 도전 경로를 형성하고 도전 경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회전 조립체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지원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또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사용자 단말 장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원에 제공된 기술 방식에 따르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서, 각각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을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경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을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다른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RF 프론트-엔드 모듈은 RF 프론트-엔드 모듈과 함께 다양한 각각의 경로를 각각 형성하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로/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RF 프론트-엔드 모듈이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로/안테나로부터 RF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때 다양한 각각의 경로의 독립성을 보장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하나의 경로로 결합된 RF 신호 전송 및 수신에 비해,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동안 신호 감쇠가 작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 장비의 통신 품질 개선에 유리하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서, 각각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각각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동일한 스위칭 모듈을 통해 동일한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동작할 수 있어, 동일한 안테나 그룹의 각각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각각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동시에 동일한 RF 프론트-엔드 모듈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없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스위칭 모듈이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사이에서 스위칭할 때,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에 큰 편차가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안테나 그룹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선택함으로써,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의 동작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안테나 선택을 위한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동일한 회전 조립체 상에 배열되고 회전 가능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의 품질,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의 품질, 또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의 품질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본 개시에 따른 안테나 선택을 위한 방법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 또는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 장비의 통신 품질 개선에 유리하다.
본 개시의 구현에서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구현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이하 간략히 소개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구현을 예시할 뿐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본원에 제공된 것에 기초하여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적용 환경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 6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구동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구동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감속기의 개략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감속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감속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위치 모니터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15는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구동기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구동기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구동기의 감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도 17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구동기의 감속기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구동기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A-A를 따른 도 19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 구조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홀더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의 일부가 제거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이 제거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0은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 7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분해도이다.
도 31은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7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33은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31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저면도이다.
도 34는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33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후면도이다.
도 35는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33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제1 안테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9는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 38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41은 사용자 단말 장비의 위치와 사용자 단말 장비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 사이의 룩-업 테이블이다.
도 4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로부터의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에서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45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에서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탑재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7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탑재 부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라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도 49에 예시된 구성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51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3은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 32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54는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53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의 평면도이다.
도 55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5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5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5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회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현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구현은 본 개시의 모든 구현이 아니라 단지 일부일 뿐이다.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개시의 구현에 기초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구현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본 개시의 명세서, 청구항 및 첨부 도면에서 사용된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특정한 순서를 설명하기보다는 상이한 객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또한, "포함하다(include)", "포함하다(comprise)" 및 "갖다(have)"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들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동작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나열된 동작 또는 유닛에 제한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동작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다른 동작 또는 유닛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제1 기지국"으로 명명된 기지국은 "제2 기지국"으로 개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기지국"으로 명명된 기지국이 "제1 기지국"으로 개명될 수 있다.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은 모두 기지국이지만, 동일한 기지국은 아니다.
본원에서 지칭된 "구현"이라는 용어는 구현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문구가 반드시 동일한 구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현과 상호 배타적인, 독립적이거나 대안적인 구현을 지칭하는 것도 아니다. 본원에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이 다른 구현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그리고 암시적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의 구현에 관련된 사용자 단말 장비는 통신 능력을 갖는 사용자 단말 장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휴대용 디바이스, 차량-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커플링된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모바일 스테이션(MS: mobile station), 단말 디바이스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비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구동기 및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
구동기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회전 구동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신호 전송 및 수신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이 구동기에 연결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에서, 구동기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신호 전송 및 수신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회전되어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가 수신한 밀리미터파 신호의 세기가 획득될 때, 사용자 단말 장비는 밀리미터파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그 후 구동기는 밀리미터파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구동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전 구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비가 복수의 방향으로 복수의 밀리미터파 안테나를 배열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검출 모듈의 도움으로 비교적 높은 제어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검출 모듈은 자기 인코더 또는 광학 인코더이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는 회로 기판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구동기는 각각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일 단부에 배치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2개 초과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2개 초과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타 단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2개의 대향 측면 각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안테나 구조체, 제2 안테나 구조체, 제3 안테나 구조체 및 제4 안테나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구조체와 제3 안테나 구조체는 이격되어 회로 기판의 일 측에 배치된다. 제2 안테나 구조체와 제4 안테나 구조체는 이격되어 회로 기판의 타 측에 배치된다. 제1 안테나 구조체, 제2 안테나 구조체, 제3 안테나 구조체 및 제4 안테나 구조체 각각에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안테나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의 신호 송수신 표면, 제3 안테나 구조체의 신호 송수신 표면, 제2 안테나 구조체의 신호 송수신 표면 및 제4 안테나 구조체의 신호 송수신 표면 중 임의의 2개의 인접 표면이 이들 사이의 각도를 정의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는 패널, 지지 부분, 및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패널은 반사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지지 부분은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다. 패널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반사 플레이트 일 측 상에 배치된다. 안테나는 패널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제3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2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제4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1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는 제4 안테나 구조체의 패널과 반사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는 제1 안테나 및 제6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2 안테나 구조체는 제2 안테나 및 제5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3 안테나 구조체는 제3 안테나 및 제7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4 안테나 구조체는 제4 안테나 및 제8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제3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는 각각 플러스(plus) 45도 편파 안테나이다. 제5 안테나, 제6 안테나, 제7 안테나 및 제8 안테나는 각각 마이너스(minus) 45도 편파 안테나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제3 안테나, 제4 안테나, 제5 안테나, 제6 안테나, 제7 안테나 및 제8 안테나로부터 4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일 단부에 배치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회로 기판은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타 단부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여,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신호 전송 및 수신 방향을 변경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2개 초과의 서브-6 GHz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6 GHz 무지향성 안테나는 회로 기판의 2개의 대향 측면 각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신호 송수신 표면에 대향하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의 일 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조립체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와 제2 플레이트 조립체는 이들 사이의 각도를 정의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 각각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안테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제3 안테나 및 제4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는 제5 안테나 및 제5 안테나와 격리된 제6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조립체는 제7 안테나 및 제7 안테나와 격리된 제8 안테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5 안테나, 제6 안테나, 제7 안테나 및 제8 안테나로부터 2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제3 안테나 및 제4 안테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구동기는 베이스,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한다. 감속기와 모터는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감속기에 연결된다. 모터는 감속기를 통해 회전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이 베이스와 감속기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감속기는 출력 기어, 1단 기어 세트, 2단 기어 세트, 3단 기어 세트 및 구동 기어를 포함한다. 1단 기어는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다. 1단 기어 세트는 1단 대형 기어 및 1단 대형 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된 1단 소형 기어를 포함한다. 1단 대형 기어와 1단 소형 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1단 대형 기어는 출력 기어와 맞물린다. 2단 기어 세트는 2단 대형 기어 및 2단 대형 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된 2단 소형 기어를 포함한다. 2단 대형 기어와 2단 소형 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2단 대형 기어는 1단 소형 기어와 맞물린다. 3단 기어 세트는 3단 대형 기어 및 3단 대형 기어와 동축으로 고정된 3단 소형 기어를 포함한다. 3단 대형 기어와 3단 소형 기어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3단 대형 기어는 2단 소형 기어와 맞물린다. 3단 소형 기어는 구동 기어와 맞물린다. 구동 기어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연결된다. 검출 모듈은 자석과 자기 인코딩 칩을 포함한다. 자석이 구동 기어에 배치되어 구동 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자기 인코딩 칩은 베이스에 고정 연결된다.
본 개시의 구현에서, 신호 송수신 안테나는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지칭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의 적용 환경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고객 구내 장비(CPE)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기지국(3)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기지국(3)에 의해 전송된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2 네트워크 신호는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 디바이스(5)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제1 네트워크 신호는 5세대(5G) 모바일 통신 기술 신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네트워크 신호는 와이어리스-파이델리티(Wi-Fi)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PE는 농촌 지역, 마을, 병원, 공장, 지역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CPE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제1 네트워크 신호는 무선 네트워크 신호일 수 있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에 예시된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20)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기지국(2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구현하고, 운영자의 공중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를 사용자의 홈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로 변환하고, 복수의 모바일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주변에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의 셀 및 제2 기지국이 배치될 수도 있고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제2 네트워크 시스템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4G 시스템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은 5G 시스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네트워크 시스템은 5G 시스템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은 5G 이후 진화된 미래의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시스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은 제1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제2 네트워크 시스템이 어떤 종류의 RF 시스템인지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고객 구내 장비(CPE)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5G 통신 시스템에 연결될 때, 사용자 단말 장비(1)는 5G 밀리미터파 안테나 모듈에 의해 형성된 웨이브 빔을 통해 대응하는 제1 기지국(20)과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웨이브 빔은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1 기지국(20)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1 기지국(20)으로부터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기지국(20)의 안테나 빔과 정렬될 필요가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구현하고 운영자의 공중 WAN을 사용자의 홈 LAN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넷 광대역 액세스 모드는 파이버-투-더-홈(FTTH: Fiber-to-the-Home) 액세스,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액세스, 케이블 액세스 및 모바일 액세스(즉, 무선 사용자 단말 장비)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모바일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신호를 전달을 위한 와이어리스-파이델리티(Wi-Fi) 신호로 변환하는 모바일 신호 액세스 디바이스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고속의 4G 또는 5G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모바일 단말(30)이 동시에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220)이 제거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하우징(220)은 다면 원통형 실린더 또는 원통형 실린더의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2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우징(2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우징(220), 회로 기판(12) 및 무선 주파수(RF) 시스템(1000)을 포함한다. 도 6에 예시된 하우징(220)은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하우징(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유의한다. 하우징(220)은 장착 캐비티(cavity)를 규정한다. 회로 기판(12) 및 RF 시스템(1000)은 장착 캐비티에 장착된다. 하우징(220)은 회로 기판(12) 및 RF 시스템(1000)에 대한 지지, 위치 결정 및 보호를 제공한다. 도 6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하우징(220)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외관은 주로 하우징(220)에 의해 제시된다. 다른 구현에서, 하우징(220)은 프리즘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12)은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RF 시스템(1000)은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회로 기판(12)에는 하우징(220)에 노출된 복수의 인터페이스(14)가 제공되고, 복수의 인터페이스(14)는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도 7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14)는 전원 인터페이스(141), 네트워크 케이블 인터페이스(143),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145) 등을 포함한다. 전원 인터페이스(141)는 사용자 단말 장비(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USB 인터페이스(145)는 사용자 단말 장비(1)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SB 인터페이스(145) 및 전원 인터페이스(141)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인터페이스(14)를 단순화하기 위해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케이블 인터페이스(143)는 유선 네트워크 액세스 단자 및 유선 네트워크 출력 단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유선 네트워크 액세스 단자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 후 하나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 출력 단자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구현에서, 유선 네트워크 출력 단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유선 네트워크 입력 단자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후, RF 시스템(1000)은 외부 디바이스의 액세스를 위해 유선 네트워크를 (Wi-Fi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변환한다. 대안적으로, 유선 네트워크 액세스 단자와 유선 네트워크 출력 단자 모두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RF 시스템(1000)을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모바일 네트워크로도 알려짐)에 액세스한 다음, 외부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220)에는 버튼(15)과 같은 구성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버튼(15)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15)을 눌러 사용자 단말 장비(1)를 시작하거나 닫을 수 있다. 하우징(220)에는 또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라이트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버튼(15) 및 복수의 인터페이스(14)는 회로 기판(12)의 동일한 측에 배열되어 하우징(220)의 동일 측에 노출된다. 이러한 배열은 버튼(15), 복수의 인터페이스(14) 및 회로 기판(1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미관 및 편의성을 개선한다. 이러한 배열은 다른 배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4)와 버튼(15)은 하우징(220)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개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4)와 버튼(15)은 하우징(220)의 동일한 측에 노출되는 반면,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4) 및 버튼(15)은 하우징(220)의 다른 측에 노출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신호 변환기(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하우징(220)을 포함할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신호 변환기(120)는 하우징(2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신호 또는 테라헤르츠 신호용 송수신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네트워크 신호는 밀리미터파 신호 또는 테라헤르츠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5G 무선 시스템에서, 3GPP TS 38.101 사양에 따르면, 5G 뉴 라디오(NR: new radio)에는 FR1과 FR2의 2개의 주파수 범위(FR: frequency range)가 주로 사용된다. FR1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는 서브-6 GHz라고도 알려진 450 MHz 내지 6 GHz이고; FR2에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는 밀리미터파(mm Wave)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24.25 GHz 내지 52.6 GHz이다. 3GPP(릴리스 15)는 현재 5G 밀리미터파를 n257(26.5 내지 29.5 GHz), n258(24.25 내지 27.5 GHz), n261(27.5 내지 28.35 GHz) 및 n260(37 내지 40 GHz)과 같이 지정한다. 밀리미터파 신호 또는 테라헤르츠 신호는 빠른 전송 속도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밀리미터파 신호 또는 테라헤르츠 신호는 외부 객체에 의해 쉽게 차단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기지국(3) 사이에 객체가 있을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네트워크 신호는 약한 신호 세기를 갖는다. 이 경우, 약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가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되면, 획득된 제2 네트워크 신호도 약한 신호 세기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위치에 위치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는 상이하다. 이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회전 가능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으로 정렬될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이러한 방향을 유지한다. 신호 변환기(12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신호 변환기(120)는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를 보장하고, 결국 제2 네트워크 신호의 통신 품질을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 가능하다면,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예가 설명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자동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 요소는 후술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프로세서(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과 정렬되게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하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현에서,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향하게 회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의 자동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구동기(160)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구동과 관련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구성 요소만을 예시하고,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다른 구성 요소는 생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베이스(140), 홀더(150) 및 구동기(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베이스(140)는 홀더(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홀더(150)에 배치된다. 구동기(160)는 프로세서(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홀더(150)가 베이스(140)에 대해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140), 홀더(150) 및 구동기(160)는 회전 조립체(14a)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회전 조립체(14a)를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14a)는 베이스(140), 홀더(150) 및 구동기(160)를 포함한다.
베이스(140)는 고정형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 장비(1)(도 2 참조)의 하우징(2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홀더(150)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홀더(150) 상에 배치된다. 구동기(160)가 홀더(150)를 회전 구동시키면, 홀더(15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시킨다. 구동기(16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40)는 외부 덮개를 형성하고, 구동기(160)는 베이스(140)에 의해 형성된 외부 덮개에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9를 참조하면, 구동기(160)는 모터(161) 및 감속기(162)를 포함한다. 모터(161)는 베이스(140)에 고정된다. 모터(161)는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모터(161)는 제1 각도의 스텝 각도를 갖는다. 감속기(162)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에 맞물리며 홀더(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감속기(162)는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작다.
구동기(160)는 구동 샤프트(165)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165)는 구동 기어(164)에 고정 연결된다. 구동 샤프트(165)는 또한 홀더(150)에 고정 연결된다. 구동 기어(164)가 회전하면 구동 샤프트(165)는 회전하여 홀더(150)가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홀더(150)가 회전하면, 홀더(150) 상에 배치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도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기(160)는 베어링(166)을 추가로 포함한다. 베어링(166)은 구동 샤프트(165) 상에 슬리빙(sleeving)되고, 구동 기어(164)는 베어링(166)을 통해 구동 샤프트(165)에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또한 회로 기판(18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신호 변환기(120) 및 프로세서(130)는 모두 회로 기판(180) 상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180)은 또한 소형 기판으로 칭해진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 요소는 주로 회로 기판(180)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80)에는 신호 변환기(120)가 제1 네트워크 신호를 Wi-Fi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전원 회로, 보호 회로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소위 '스텝 각도'는 제어 신호의 1 펄스에 대해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회전하는 기계적 각도를 지칭한다. 모터(161)의 스텝 각도는 3°, 1.5°, 0.75°, 3.6° 또는 1.8°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 큰 스텝 각도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1 펄스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더 큰 각도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 구동되는 더 큰 각도로 이어진다. 한편, 더 작은 스텝 각도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1 펄스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더 작은 각도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 구동되는 더 작은 각도로 이어진다. 더 큰 스텝 각도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1 펄스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더 큰 각도로 이어지므로,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를 1 회전 구동시키는 데 더 적은 펄스가 필요하다. 한편, 더 작은 스텝 각도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1 펄스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더 작은 각도로 이어지므로,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를 1 회전 구동시키는 데 더 많은 펄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스텝 각도가 1.8°인 모터(161)의 경우,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를 1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펄스의 수는 360/1.8 = 200이다. 일반적으로, 모터(161)의 스텝 각도가 큰 경우, 감속기(162) 없이 직접 홀더(150)를 구동하도록 모터(161)가 구성되면, 각 펄스의 구동 하에 홀더(150)가 회전하는 각도가 크고, 이는 홀더(150)에 배열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각각의 펄스의 구동 하에서 큰 각도로 회전하고 결국 1 회전할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더 적게 하고, 따라서 수집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가진 제1 네트워크 신호의 결정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61)의 스텝 각도가 제1 각도이고 감속기(16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홀더(150)는 제어 신호의 1 펄스에 의해 방위 A에서 방위 B로 회전 구동되며,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는 방위 A와 방위 B 사이에 있는 방위 C에 있다. 이와 같이, 모터(161)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방위 C로 회전 구동하기에는 스텝 각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수집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의 결정이 부정확하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에는 감속기(162)가 제공되고, 제1 각도는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변경된다. 모터(161)가 감속기(162)를 통해 홀더(150)를 구동하는 경우, 감속기(162) 없이 홀더(150)를 직접 구동하는 것에 비해 홀더(150)가 1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제어 신호의 더 많은 펄스가 필요하다. 즉, 감속기(162)가 없는 사용자 단말 장비에 비해, 감속기(162)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더 많은 방향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수집된 제1 네트워크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를 추가로 개선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P단 기어 세트(163) 및 구동 기어(164)를 포함한다. P단 기어 세트(163)의 각 단의 기어 세트는 제1 기어(1631) 및 제1 기어(1631)와 동축으로 고정 연결되는 제2 기어(1632)를 포함한다. P단 기어 세트(163)의 각 단의 기어 세트에서, 제1 기어(1631)는 제2 기어(1632)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P단 기어 세트(163)의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1 기어(1631)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와 맞물리고,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2 기어(1632)는 P단 기어 세트(163)의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와 맞물린다. P단 기어 세트(163)의 제Q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는 P단 기어 세트(163)의 제(Q-1)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와 맞물리며, P단 기어 세트(163)의 제Q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는 P단 기어 세트(163)의 제(Q+1)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와 맞물린다. P단 기어 세트(163)의 제P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는 구동 기어(164)와 맞물리며, 구동 기어(164)는 홀더(150)에 고정 연결된다. 구현에서, Q와 P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Q는 1보다 크고 P보다 작다. 제Q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제(Q+1)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의 반경보다 작고, 제P단 기어 세트(163)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구동 기어(164)의 반경보다 작다.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가 2단 기어 세트(163)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한다. 감속기(162)는 또한 1단 기어 세트(163), 2단 기어 세트(163), 3단 기어 세트(163) 또는 심지어 더 높은 단의 기어 세트(163)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구동기(16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구동기(160)의 개략 분해도이다.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2단 기어 세트(163)를 포함한다. 2단 기어 세트(163)의 각각의 단의 기어 세트는 제1 기어(1631) 및 제1 기어(1631)와 동축으로 고정 연결되는 제2 기어(1632)를 포함한다. 2단 기어 세트(163)의 각 단의 기어 세트에서, 제1 기어(1631)는 제2 기어(1632)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2단 기어 세트(163)에서 기어 세트의 2단은 각각 제1단 기어 세트(163a) 및 제2단 기어 세트(163b)로 명명된다.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1 기어(1631)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와 맞물리고,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2 기어(1632)는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와 맞물린다.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2 기어(1632)는 구동 기어(164)와 맞물린다.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의 반경보다 작고,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구동 기어(164)의 반경보다 작다.
도 1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감속기(162)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1단 기어 세트(163)를 포함한다. 1단 기어 세트(163)는 제1 기어(1631) 및 제1 기어(1631)와 동축으로 고정 연결되는 제2 기어(1632)를 포함한다. 제1 기어(1631)는 제2 기어(1632)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다. 제1 기어(1631)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와 맞물리고, 제2 기어(1632)는 구동 기어(164)와 맞물린다.
도 13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감속기(162)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3단 기어 세트(163)를 포함하고, 3단 기어 세트(163)의 각 단의 기어 세트는 제1 기어(1631) 및 제1 기어(1631)와 동축으로 고정 연결되는 제2 기어(1632)를 포함한다. 3단 기어 세트(163)의 각 단의 기어 세트에서, 제1 기어(1631)는 제2 기어(1632)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단 기어 세트(163)에서 기어 세트의 3개의 단은 각각 제1단 기어 세트(163a), 제2단 기어 세트(163b) 및 제3단 기어 세트(163c)로 명명된다.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1 기어(1631)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와 맞물리고,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2 기어(1632)는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와 맞물린다.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2 기어(1632)는 3단 기어 세트(163)의 제1 기어(1631)와 맞물리고, 3단 기어 세트(163)의 제2 기어(1632)는 구동 기어(164)와 맞물린다. 구동 기어(164)는 홀더(150)에 고정 연결된다. 제1단 기어 세트(163a)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의 반경보다 작고, 제2단 기어 세트(163b)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제3단 기어 세트(163c)의 제1 기어(1631)의 반경보다 작고, 제3단 기어 세트(163c)의 제1 기어(1631)의 반경은 구동 기어(164)의 반경보다 작다.
더 많은 기어 단을 갖는 기어 세트(163)는 더 작은 제2 각도로 이어지며, 이는 홀더(150)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더 많은 방향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유리하며, 이에 의해 수집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결정하는 것의 정확도의 개선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더 많은 기어 단을 갖는 기어 세트(163)로 인해 기어 세트(163)의 설치 시간이 더 길어지고 기어 세트(163)가 점유하는 공간이 더 커진다. 이를 고려하여, 기어 세트(163)의 기어 단의 개수는 홀더(150)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정확도, 기어 세트(163)의 설치 시간, 기어 세트(163)가 점유하는 공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3단 기어세트(163)를 포함한다. 모터(161)는 베이스(140)에 고정된다. P = 3. 3단 기어 세트(163)의 제1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는 제1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보다 베이스(14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3단 기어 세트(163)의 제2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는 제2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보다 베이스(140)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3단 기어 세트(163)의 제3단 기어 세트의 제1 기어(1631)는 제3단 기어 세트의 제2 기어(1632)보다 베이스(14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본 구현에서 기어 세트(163)의 배열은 기어 세트(163)가 작은 공간을 점유하게 하고, 이는 감속기(162)의 통합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다.
본 구현에서, 구동기(160)는 홀더(150)를 회전 구동시키고, 이는 결국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제1 평면에서 회전 구동시킨다. 다른 구현에서, 구동기(160)는 홀더(15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고, 이는 결국 제1 평면뿐만 아니라 제2 평면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시키며, 여기서 제1 평면은 제2 평면과 다르다. 예를 들어, 제1 평면은 X-Y 평면일 수 있고, 제2 평면은 Y-Z 평면일 수 있다.
구동기(160)가 홀더(150)를 회전 구동시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제1 평면 및 제2 평면에서 회전 구동시키면, 이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더 많은 방향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수집된 각각의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결정하는 것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 모니터(170)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위치 모니터(1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위치 모니터(170)는 베이스(140)에 대해 홀더(150)가 회전하는 각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홀더(150)가 베이스(140)에 대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제어 신호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위치 모니터(170)는 자석(171) 및 자기 인코더(172)를 포함한다. 자석(171)은 구동 기어(164)와 연결된 구동 샤프트(165)(도 9 및 도 10 참조) 상에 배치된다. 자기 인코더(172)는 회로 기판(180) 상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자석(171)은 회로 기판(180)에 가까운 구동 샤프트(165)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자석(171)은 또한 검출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회로 기판(180)을 향하는 구동 기어(164)의 일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구동기(160)는 베이스(140), 모터(161) 및 감속기(162)를 포함한다. 감속기(162)와 모터(161)는 베이스(140)에 장착되어 베이스(140)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감속기(162)와 연결된다. 모터(161)는 감속기(162)를 통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베이스(140)는 하우징(220)에 장착되고 하우징(22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다른 구현에서, 베이스(140)는 회로 기판(12)에 장착되고 회로 기판(12)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본 개시의 구현에서, 모터(161)는 스테핑 모터이고, 스테핑 모터는 비교적 높은 제어 정확도를 얻기 쉽다. 베이스(140)는 캐비티를 규정한다. 모터(161)는 베이스(140)의 캐비티에 장착된다.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는 감속기(162)에 연결된다. 감속기(162)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베이스(140)의 캐비티에 수용된다. 감속기(162)의 출력 단부는 베이스(140)로부터 연장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연결된다. 다른 구현에서, 감속기(162)의 출력 단부는 베이스(140)로부터 연장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는 연결 샤프트가 제공될 수 있고, 감속기(162)의 출력 단부는 연결 홀(hole)을 규정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연결 샤프트를 연결 홀에 삽입함으로써 감속기(16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출력 기어(1621), 제1단 기어 세트(1623), 제2단 기어 세트(1625), 제3단 기어 세트(1627) 및 구동 기어(164)를 포함한다. 제1단 기어 세트(1623), 제2단 기어 세트(1625) 및 제3단 기어 세트(1627)는 제1단 기어 세트(163a), 제2단 기어 세트(163b) 및 제3단 기어 세트(163c)와 각각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출력 기어(1621)는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된다. 출력 기어(1621)는 출력 기어(1621)와 모터(161) 사이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와 통합될 수 있다. 제1단 기어 세트(1623)는 제1-단 대형 기어(1623a) 및 제1-단 대형 기어(1623a)와 동축으로 고정된 제1-단 소형 기어(1623b)를 포함한다. 제1-단 대형 기어(1623a)와 제1-단 소형 기어(1623b)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단 대형 기어(1623a)는 출력 기어(1621)와 맞물린다. 제2단 기어 세트(1625)는 제2-단 대형 기어(1625a) 및 제2-단 대형 기어(1625a)와 동축으로 고정된 제2-단 소형 기어(1625b)를 포함한다. 제2-단 대형 기어(1625a)와 제2-단 소형 기어(1625b)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단 대형 기어(1625a)는 제1-단 소형 기어(1623b)와 맞물린다. 제3단 기어 세트(1627)는 3-단 대형 기어(1627a)와 3-단 대형 기어(1627a)와 동축으로 고정된 3단 소형 기어(1627b)를 포함한다. 3-단 대형 기어(1627a)와 3단 소형 기어(1627b)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3-단 대형 기어(1627a)는 2-단 소형 기어(1625b)와 맞물린다. 3단 소형 기어(1627b)는 구동 기어(164)와 맞물린다. 구동 기어(164)에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연결하기 위한 출력 단부가 제공된다. 모터(161)가 동작될 때,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가 출력 기어(1621)를 회전 구동시킨 후,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단 기어 세트(1623), 제2단 기어 세트(1625), 제3단 기어 세트(1627) 및 구동 기어(164)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본 개시의 구현에서, 모터(161)는 약 18 도의 스텝 각도를 갖고, 감속기(162)의 총 감속비는 약 60과 같으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0.3 도의 최소 각도를 가질 수 있는 스텝 각도를 갖는다. 위에 언급한 구성으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위치 결정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160)는 슬라이딩 베어링(166)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베어링(166)은 베이스(140)에 고정 연결되는 외부 링과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에 슬리빙되는 내부 링을 갖는다.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는 슬라이딩 베어링(16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166)은 회전하는 동안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의 틸팅(tilting)을 피하기 위해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166)은 또한 베이스(140)에 대한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164)의 축 방향으로의 2개의 단부 각각은 하나의 슬라이딩 베어링(166)으로 슬리빙될 수 있어, 슬라이딩 베어링(166)이 구동 기어(164)를 지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딩 베어링(166)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끼워지는 베이스(140)의 일부와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의 일부가 내마모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 구동기(160)를 단순화하기 위해, 베이스(140) 자체가 슬라이딩 베어링(166)과 동등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검출 모듈(168)을 포함한다. 검출 모듈(168)은 구동기(160)에 연결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각도를 추가로 결정하기 위해, 구동 기어(164)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도 20을 참조하면, 검출 모듈(168)은 자석(1681) 및 자석(1681)에 대향 배치된 자기 인코딩 칩(1683)을 포함하는 자기 인코더이다. 자석(1681)은 구동 기어(164)에 배치되고 구동 기어(164)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자기 인코딩 칩(1683)은 베이스(140)에 고정 연결되고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구동 기어(164)가 회전할 때, 자석(1681)은 구동 기어(164)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자기장의 변화를 야기한다. 자기 인코딩 칩(1683)은 자석(1681)의 회전에 의해 야기된 자기장의 변화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구동 기어(164)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기록될 수 있다. 즉,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기록되고, 이에 의해 폐루프 제어를 형성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1 회전하여 360도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밀리미터파 신호의 세기가 획득된 후, 밀리미터파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이 자기 인코딩 칩(1683)에 의해 기록된 회전 각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후 모터(161)는 밀리미터파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과 정렬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부 구현에서, 절대 영점이 자기 인코딩 칩(1683)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절대 영점은 초기 위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초기 위치에 대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각도가 기록된다. 다른 구현에서, 상대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또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현재 위치와 이전 위치 사이의 회전 각도를 기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검출 모듈(168)은 광학 인코더일 수 있다. 광학 인코더는 코드 휠과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코드 휠은 구동 기어(164)에 고정 연결되어 구동 기어(16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광원은 베이스(140)에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코드 휠에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기어(164)가 회전하면, 코드 휠이 구동 기어(164)와 함께 회전할 수 있어, 검출 회로에서 펄스 신호가 생성된다. 광학 인코더는 구동 기어(164)의 회전 각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기록되고, 이에 의해 폐루프 제어를 형성한다.
다른 구현에서, 감속기(162)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큰 토크를 갖는 고정밀 모터(161)는 구동기(160)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감속기(162)가 더 적은 기어를 갖도록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모터(161)의 출력 샤프트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직접 연결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직접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본 구현에서, 감속기(162)는 생략된다. 대안적으로,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베이스(140)는 2개 초과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동 기어(164)의 출력 단부에는 브래킷(189)이 제공될 수 있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브래킷(189)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편리한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사시 구조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홀더(150)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조합하여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구현의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또한 보조 홀더(270)를 포함한다. 보조 홀더(270)는 위에 식별된 구현 중 임의의 구현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될 수 있다.
보조 홀더(270)는 홀더(150) 상에 고정된다. 보조 홀더(270)는 홀더(15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는 데 사용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홀더(15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구현에서, 홀더(150)는 본체(151), 제1 연장부(152) 및 제2 연장부(153)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152)는 본체(151)의 일 단부로부터 휘어져 연장되고, 제2 연장부(153)는 본체(151)의 타 단부로부터 휘어져 연장된다. 제2 연장부(153)와 제1 연장부(152)는 본체(151)의 동일한 측 상에 위치하여 베이스(14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고정 부재를 통해 각각 제1 연장부(152) 및 제2 연장부(153)에 고정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베이스(140)로부터 멀어지는 회로 기판(180)의 일 측 상에 배치된다.
제1 연장부(152)와 제2 연장부(153)에는 각각 위치 결정 부재(1531)가 제공된다. 고정 부재와 위치 결정 부재(153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제1 연장부(152) 및 제2 연장부(153)에 각각 고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본 구현에서, 위치 결정 부재(1531)는 위치 결정 홀(hole)이고, 위치 결정 홀의 내벽에 스레드(thread)가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 부재는 볼트이고, 회로 기판(180)은 관통 홀을 규정한다. 조립 시, 관통 홀이 위치 결정 홀과 정렬된 후 볼트(즉, 고정 부재)가 관통 홀과 위치 결정 홀을 차례로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3)를 홀더(150)의 제1 연장부(152)와 제2 연장부(152)에 고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위치 결정 부재(1531)는 스크류(screw)이고, 스크류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두께보다 더 크다. 고정 부재는 너트이고, 베이스 플레이트(113)는 관통 홀을 규정한다. 조립 시, 베이스 플레이트(113)의 관통 홀이 스크류와 정렬되어 스크류 상에서 슬리빙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113)를 홀더(150)의 제1 연장부(152) 및 제2 연장부(153)에 고정하기 위해, 너트가 스크류 상에 나사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3)가 제1 연장부(152) 및 제2 연장부(153)에 고정되는 방식은 상술한 2개의 구현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13)가 홀더(150)에 고정될 수 있는 한 임의의 다른 방식일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평면도이다. 본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열 싱크(heat sink)(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 싱크(190)는 위에서 식별된 구현 중 임의의 구현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표면(111)을 갖는다. 열 싱크(190)는 표면(111)으로부터 떨어진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표면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된다.
열 싱크(190)는 열전도율이 양호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 싱크(19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동작 중일 때 동작 중의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과열로 인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불안정한 성능을 피하기 위해, 방열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구현에서, 열 싱크(190)는 복수의 핀(fin)(191)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핀(191)은 방열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다. 또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핀(191)은 회전 샤프트로부터 떨어진 핀(191)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과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2개의 단부 사이에 간극이 있으므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2개의 단부의 방열이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일부보다 양호하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핀(fin)(191)의 크기가 회전 샤프트로부터 먼 핀(191)의 크기보다 더 크도록 설계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각각의 부분의 방열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핀(191)의 길이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2개의 단부로부터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부분으로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한다. 한편, 핀(191)의 배열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각각의 부분의 방열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다른 구성 요소와 충돌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열 싱크(190)는 방열체(192)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열체(192)는 표면(111)으로부터 먼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표면에 부착된다. 복수의 핀(191)이 표면(111)으로부터 먼 방열체(192)의 표면 상에 배열된다. 방열체(192)는 직사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 싱크(190)가 방열체(19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방열체(192)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커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220)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팬(fan)(240)을 추가로 포함한다. 팬(240)은 위에서 식별된 구현들 중 임의의 구현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팬(240)은 예시를 위해 도 3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된다. 팬(240)은 방열을 위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팬(240)은 방열 효과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주변의 공기 순환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은 방열 홀(hole)(221)을 규정한다. 방열 홀(221)은 하우징(220)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 공간과 연통된다. 팬(240)이 회전할 때, 하우징(220) 내부의 공기가 방열 홀(221)을 통해 하우징(220) 외부의 공기와 교환하도록 구동되어 방열을 달성한다.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회로 기판(12)을 추가로 포함한다. 회로 기판(12)은 사용자 단말 장비(1) 내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동작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 회로 기판(12)은 또한 대형 기판으로 칭해진다.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열 싱크(28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 싱크(280)는 방열을 위해 회로 기판(12)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2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220)이 제거된 상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러한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팬(240)을 추가로 포함한다. 팬(240)은 도 1 내지 도 16과 관련된 구현 중 임의의 구현에서 제공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될 수 있다.
팬(240)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바닥에 설치된다. 팬(240)이 회전할 때, 하우징(220) 내부의 공기는 하우징(220) 외부의 공기와 교환되어 방열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회로 기판(12)을 추가로 포함한다. 회로 기판(12)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바닥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동작을 보장하는 데 사용된다. 회로 기판(12)은 또한 대형 기판으로 칭해진다.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열 싱크(28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 싱크(280)는 방열을 위해 회로 기판(12)에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열 싱크(280) 및 팬(240)을 포함한다. 열 싱크(280)는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회로 기판(12)에 연결된다. 팬(240)은 하우징(220)에 연결되고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열 싱크(280)는 상대적으로 큰 방열 표면을 가지며, 이는 회로 기판(12) 및 그 위에 배치된 전자 구성 요소에 의해 생성된 열을 공기 중으로 신속하게 방열하는 데 유리하다. 일부 구현에서, 열 싱크(28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도 31을 참조하면, 열 싱크(280)는 제1 지지 플레이트(2801) 및 제1 지지 플레이트(2801)의 일 측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제1 방열 핀(2803)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방열 핀(2803)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지지 플레이트(2801)는 회로 기판(12)에 부착된다. 도 32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하우징(220)은 각각 그 양쪽 단부 상에 방열 홀(221)을 규정하고, 방열 홀(221)은 장착 캐비티와 연통된다. 팬(240)은 하우징(220)의 일 단부에 가깝게 배치된다. 도 3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열 홀(221)은 하우징(220)의 단부 표면에 규정될 수 있거나, 하우징(220)의 둘레 표면에 그리고 하우징(220)의 단부에 가깝게 규정될 수 있다. 동작 시, 팬(240)은 하우징(220)의 일 단부로부터 하우징(220)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회로 기판(12)과 열 싱크(280)를 통해 흐르도록 송풍하며,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하우징(220)의 타 단부로부터 외부로 흐를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1을 참조하면, 2개의 인접한 제1 방열 핀(2803)의 각각에 의해 규정된 간극은 팬(240)에 의해 송풍된 공기 흐름이 2개의 인접한 제1 방열 핀(2803)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흐를 수 있게 하고 그 후 팬(240)으로부터 먼 하우징(220)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흐를 수 있게 하도록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른 구현에서, 팬(240)은 회로 기판(12) 및 열 싱크(280)가 위치되는 하우징(220)의 측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열을 운반하는 공기가 팬(240)을 통해 흐른 후 하우징(220)으로부터 흐른다. 열 싱크(280)와 팬(240)의 배열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에서, 열 싱크(280)는 2개의 열 싱크(280)를 포함한다. 2개의 열 싱크(280)는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 측면 중 하나에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방열 성능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신호 전송 안테나(200)를 추가로 포함한다. 신호 전송 안테나(200)는 신호 변환기(12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제2 네트워크 신호를 방사한다. 제2 네트워크 신호가 Wi-Fi 신호인 경우, 신호 전송 안테나(200)는 Wi-Fi 안테나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2, 도 29 및 도 37을 참조하면, 본 구현에서, 예시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은 생략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또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상단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된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안테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3)의 위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제3 네트워크 신호의 전송 방향은 불확실하다.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고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회전될 수 없다. 본 개시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되어, 제3 네트워크 신호가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집된 제3 네트워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3 네트워크 신호를 결정하는 것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브-6G 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응하여, 제3 네트워크 신호는 서브-6G 신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4 네트워크 신호는 Wi-Fi 신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및 도 30을 참조하면, RF 시스템(1000)은 적어도 4G 안테나 RF 모듈(300), 5G 안테나 RF 모듈(100) 및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5G 안테나 RF 모듈(100)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브-6 GHz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100 M보다 큰 대역폭과 극도로 높은 데이터 스루풋으로 연속적인 주파수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상대적으로 높은 통신 성능을 갖는다. 또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RF 송수신기,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 및 N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N개의 안테나는 지향성 안테나 및/또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안테나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RF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개의 안테나는 5G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뉴 라디오(NR) 지향성 안테나 또는 NR 무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다. 지향성 안테나는 하나 또는 몇몇 특정 방향의 전자파 방사 또는 차단에서 극도로 높은 용량을 갖지만, 다른 방향의 전자파 방사 또는 차단에서 없거나 극도로 낮은 용량을 갖는 안테나를 지칭한다. 무지향성 안테나는 편평한 2차원(2D) 기하학적 평면에서 모든 수평 방향으로 매우 균등하게 RF 전자기장을 방사하거나 차단하며, 수직 방향으로 특정 빔 폭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로브(lobe) 폭은 더 큰 이득으로 이어진다.
구현에서,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신호 전송 안테나(200)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30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4G 안테나 RF 모듈(300), Wi-Fi 안테나 RF 모듈(20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즉, 이러한 구현에서 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4G 안테나 RF 모듈(300)은 Wi-Fi 안테나 RF 모듈(200)보다 팬(24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팬(240)으로부터 먼 장착 캐비티의 단부에 장착된다. 4G 안테나 RF 모듈(300), Wi-Fi 안테나 RF 모듈(200),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20)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4G 안테나 RF 모듈(300), Wi-Fi 안테나 RF 모듈(20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또한 회로 기판(12)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2)에는 지지 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은 4G 안테나 RF 모듈(300), Wi-Fi 안테나 RF 모듈(20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구현에서, 4G 안테나 RF 모듈(300), Wi-Fi 안테나 RF 모듈(20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이 존재한다. 2개 초과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은 팬(240)으로부터 먼 장착 캐비티의 일 단부에 분포된다. 4G 안테나 RF 모듈(300)은 또한 모든 수평 방향으로의 빔 스캐닝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30을 참조하면, 4개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이 제공된다. 4개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의 중심은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되며, 즉, 4개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의 기하학적 중심이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4개의 4G 안테나 RF 모듈(300)의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이고, 4개의 직사각형 4G 안테나 RF 모듈(300)의 기하학적 중심은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물론, 대안으로서, 이러한 배열 대신에 다른 배열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이 존재하며, 2개 초과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 측에 분포된다.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모든 수평 방향으로의 빔 스캐닝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30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4개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이 존재하며, 여기서 2개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회로 기판(12)의 일 측에 배열되고, 다른 2개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회로 기판(12)의 다른 측에 배열되며, 4개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의 중심은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또한,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 측에 분포된 2개 초과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존재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모든 수평 방향으로 빔 스캐닝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30에 예시된 구현에서, 4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존재한다.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회로 기판(12)의 일 측에 배열되고, 다른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회로 기판(12)의 타 측에 배열된다. 4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중심은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대안적으로,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의 개수가 변할 수 있으며,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개수가 변할 수 있으며, 4G 안테나 RF 모듈(300)의 개수가 변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구동기(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기(160)는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구동기(160)에 장작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신호 전송 및 수신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구동기(160)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구동기(160)는 하우징(220)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구동기(160)는 회로 기판(12) 상에 장착되어 이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축은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무지향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360 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2)은 팬(240)으로부터 먼 회로 기판(12)의 단부에 컷아웃(cutout)(121)을 규정한다. 구동기(160)는 컷아웃(121)을 통해 연장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팬(240)으로부터 먼 구동기(160)의 측 상에 장착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컷아웃(121)을 통과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내부 공간이 회로 기판(12)에 의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 장비(1) 내부의 구성 요소 배열의 소형화(compactness)가 개선된다. 다른 구현에서, 회로 기판(12)은 컷아웃(121)을 규정하지 않을 수 있고, 구동기(160)는 팬(240)으로부터 먼 회로 기판(12)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팬(240)에 가까운 장착 캐비티의 일 단부에 장착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 중 임의의 구조체는 하우징(220) 또는 회로 기판(12)에 장착되고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와 제3 안테나 구조체(2105)는 회로 기판(12)의 일 측에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고, 제2 안테나 구조(2103)와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는 회로 기판(12)의 타 측에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33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가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각각에는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안테나가 제공된다.
또한, 도 33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의 신호 송수신 표면, 제3 안테나(2105)의 신호 송수신 표면, 제2 안테나 구조체(2103)의 신호 송수신 표면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신호 송수신 표면 중 임의의 2개의 인접한 송수신 표면은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한다. 신호 송수신 표면은 안테나의 방사 패치의 외향 측이 위치되는 평면을 지칭할 수 있으며, 안테나는 평면을 통과하는 전자파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빔 스캐닝 범위가 수평면에서 360 도 전방향 커버리지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제3 안테나(2105)의 신호 송수신 표면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하고, 제3 안테나(2105)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제2 안테나 구조체(2103)의 신호 송수신 표면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하고, 제2 안테나 구조체(2103)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신호 송수신 표면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하고,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의 신호 송수신 표면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한다.
또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 구조체(2101)는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를 포함한다. 제2 안테나 구조체(2103)는 제2 안테나(2103a) 및 제5 안테나(2103b)를 포함한다. 제3 안테나 구조체(2105)는 제3 안테나(2105a) 및 제7 안테나(2105b)를 포함한다.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는 제4 안테나(2107a) 및 제8 안테나(2107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2101a), 제2 안테나(2103a), 제3 안테나(2105a) 및 제4 안테나(2107a)는 각각 플러스 45 도 편파 안테나이다. 제5 안테나(2103b), 제6 안테나(2101b), 제7 안테나(2105b) 및 제8 안테나(2107b)는 각각 마이너스 45 도 편파 안테나이다. 제1 안테나(2101a), 제2 안테나(2103a), 제3 안테나(2105a), 제4 안테나(2107a), 제5 안테나(2103b), 제6 안테나(2101b), 제7 안테나(2105b) 및 제8 안테나(2107b)는 각각 회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일부 구현에서, 제1 안테나(2101a), 제2 안테나(2103a), 제3 안테나(2105a), 제4 안테나(2107a), 제5 안테나(2103b), 제6 안테나(2101b), 제7 안테나(2105b) 및 제8 안테나(2107b)는 각각 무지향성 안테나이다. 다른 구현에서, 제1 안테나(2101a), 제2 안테나(2103a), 제3 안테나(2105a), 제4 안테나(2107a), 제5 안테나(2103b), 제6 안테나(2101b), 제7 안테나(2105b) 및 제8 안테나(2107b)는 각각 지향성 안테나이다. 대안적으로, 제1 안테나(2101a), 제2 안테나(2103a), 제3 안테나(2105a), 제4 안테나(2107a), 제5 안테나(2103b), 제6 안테나(2101b), 제7 안테나(2105b) 및 제8 안테나(2107b)는 지향성 안테나(들)와 무지향성 안테나(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중 적어도 하나는 지향성 안테나이고 다른 것은 무지향성 안테나이다.
일 예에서, 도 36을 참조하면, 제1 안테나 구조체(210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는 패널(2101c), 지지부(2101d) 및 반사 플레이트(2101e)를 포함한다. 패널(2101c) 및 반사 플레이트(2101e)의 각각은 판 형상이다. 패널(2101c)은 반사 플레이트(2101e)로부터 이격되며 이와 평행하다. 지지부(2101d)는 패널(2101c)과 반사 플레이트(2101e) 사이에 연결된다. 패널(2101c)은 회로 기판(12)으로부터 먼 반사 플레이트(2101e)의 일 측에 배치된다. 패널(2101c), 지지부(2101d) 및 반사 플레이트(2101e) 중 임의의 하나는 하우징(220) 또는 회로 기판(12)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각각 판 형상인 2개의 지지부(2101d)가 존재한다.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가 패널(2101c) 상에 배치되며 서로 격리된다.
반사 플레이트(2101e) 상의 제1 안테나(2101a)의 돌출부는 지지부(2101d) 중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사 플레이트(2101e) 상의 제6 안테나(2101b)의 돌출부는 지지부(2101d) 중 다른 것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반사 플레이트(2101e)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반사 플레이트(2101e)는 전자파를 반사하여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의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패널(2101c)과 반사 플레이트(2101e) 더 큰 거리는 안테나의 더 넓은 대역폭 및 더 넓은 저주파 대역에 대응한다.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는 각각 NR 지향성 안테나(예를 들어, 전자기 다이폴 안테나) 또는 NR 무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 각각은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와 유사하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일부 구현에서, 지지부(2101d)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101d)는 공급 지점과 용접될 수 있고 공급 지점이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공급 지점은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회로 기판(12)에 대한 제1 안테나(2101a) 및 제6 안테나(2101b)의 전기적 커플링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구현에서, 지지부(2101d)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2101d)에 공급 지점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부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는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 측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103)는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 측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의 반사 플레이트(2101e)와 패널(2101c) 사이의 거리는 제3 안테나 구조체(2105)의 반사 플레이트(2101e)와 패널(2101c)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체(2103)의 패널(2101c)과 반사 플레이트(2101e) 사이의 거리는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패널(2101c)과 반사 플레이트(2101e)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의 반사 플레이트(2101e)와 패널(2101c) 사이의 거리는 제4 안테나 구조체(2107)의 반사 플레이트(2101e)와 패널(2101c)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적 구성으로 사용자 단말 장비(1)에서, 제2 안테나(2103a), 제4 안테나(2107a), 제5 안테나(2103b) 및 제8 안테나(2107b)는 n41, n77, n78, n79 및 B46 대역을 지원할 수 있으며, 즉, 2.496 GHz 내지 6 GHz의 주파수 커버리지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안테나(2101a), 제3 안테나(2105a), 제6 안테나(2101b) 및 제7 안테나(2105b)는 n77, n78, n79 및 B46 대역을 지원할 수 있으며, 즉, 3.3 GHz 내지 6 GHz의 주파수 커버리지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제2 안테나 구조체(2103),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는 구조가 동일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체(2101) 및 제4 안테나 구조체(2107)는 회로 기판(12)의 대향하는 2개의 측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체(2105) 및 제2 안테나 구조체(2103)는 회로 기판(12)의 대향하는 2개의 측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회로 기판(1101) 및 회로 기판(1101)의 일 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로부터 먼 회로 기판(1101)의 타 측에 연결된 열 싱크(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 싱크(19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된 복수의 핀(191) 및 방열체(19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체(192)는 회로 기판(1101)에 부착된다. 복수의 핀(191)은 회로 기판(1101)으로부터 먼 방열체(192)의 측에 배치된다. 인접한 2개의 핀(191) 각각에 의해 규정되는 간극은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팬(240)에 의해 흡입된 공기 흐름이 2개의 인접한 핀(191) 사이의 간극을 통해 흐른 후 팬(240)으로부터 먼 하우징(220)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열 싱크(19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우징(220)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되며, 이는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하우징(2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됨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 내부에 배열되고,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20)과 접촉하지 않는다.
하우징(220)은 복수의 표면의 원통형 실린더 또는 원통형 실린더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신호 변환기(120), 프로세서(130),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다른 구성 요소는 모두 하우징(220)에 의해 규정된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22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신호 변환기(120)는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3 네트워크 신호를 하나 이상의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M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존재한다. 신호 변환기(120)는 M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제3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M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하나의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또는 N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는 다른 제3 송수신 안테나(210)의 각각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보다 더 크다. N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선택되면, 선택된 N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신호 세기의 합은 M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서 임의의 다른 N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크며, 여기서 M과 N은 모두 양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M=8, N=4이지만, 이는 또한 임의의 다른 값일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9는 하우징(220)이 제거된 상태의 도 38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의 다른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우징(220),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신호 변환기(120)를 포함한다. 하우징(220)은 수용 공간을 규정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신호 변환기(120)는 모두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우징(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향하는 경우, 신호 변환기(120)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20)에 대해 고정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하나 이상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제3 네트워크 신호를 하나 이상의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제1 네트워크 신호, 제2 네트워크 신호, 제3 네트워크 신호 및 제4 네트워크 신호에 대해,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4, 도 22 및 다른 관련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베이스(140), 홀더(150), 구동기(160) 및 프로세서(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베이스(140)는 하우징(220)에 고정된다. 홀더(150)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홀더(15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보유하는 데 사용된다. 구동기(16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홀더(150)를 이동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기(160)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홀더(150), 베이스(140) 및 신호 변환기(12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홀더(150) 상에 보유된다. 홀더(150)는 베이스(1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동작 중일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베이스(140)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있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베이스(140)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있을 때,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는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보다 크고, 신호 변환기(12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홀더(150), 베이스(140), 신호 변환기(120), 제1 네트워크 신호 및 제2 네트워크 신호에 대해,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구동기(160) 및 프로세서(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테스트 명령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를 획득하기 위해, 구동기(160)를 제어하여 홀더(150)가 베이스(140)에 대해 적어도 1 회전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네트워크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하고, 결국 구동기(160)를 제어하여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홀더(15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테스트 상태 및 동작 상태에서 동작 가능하다. 동작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테스트 상태에서 테스트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테스트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여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테스트 상태에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이 사용자 단말 장비(1)에 의해 결정된 후 동작 상태로 진입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동작 상태에 있을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베이스(140)에 대해 사전 설정된 위치에 있다.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는 베이스(140)에 대한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보다 더 크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구동기(160) 및 프로세서(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테스트 상태에 있을 때 테스트 명령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를 획득하기 위해, 구동기(160)를 제어하여 베이스(140)에 대해 적어도 1 회전하도록 홀더(150)를 구동한다.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에 따라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을 결정하고, 결국 구동기(160)를 제어하여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으로 홀더(150)를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테스트 상태 및 동작 상태를 갖는다. 동작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테스트 상태에서 테스트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메모리(230)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230)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룩업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 사이의 대응 관계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테스트 상태에 있을 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테스트 명령을 수신하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를 룩업 테이블의 위치와 비교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가 룩업 테이블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와 매칭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해당 위치와 매칭되고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이 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구동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동기(160)를 제어한다.
도 41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 사이의 룩업 테이블이다. 룩업 테이블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는 각각 L1, L2, L3, ..., Ln으로 표현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위치 L1에 위치될 때,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은 방향 P1이고,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위치 L2에 위치될 때,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은 P2이고,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가 위치 L3에 위치될 때,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은 방향 P3이고, ...,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치가 위치 Ln에 위치될 때,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대응 방향은 방향 Pn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테스트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는 위치 Lx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 Lx가 룩업 테이블의 위치 L3과 매칭되지만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위치 L3에 대응하는 방향 P3이 아닐 때, 프로세서(130)는 구동기(160)를 직접 제어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방향 P3으로 구동하도록 홀더(150)를 이동 구동시킨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 Lx가 룩업 테이블의 위치 L3과 매칭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위치 L3에 대응하는 방향 P3에 있을 때, 프로세서(130)는 구동기(160)가 회전하도록 구동할 필요가 없다.
본 구현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현재 위치 및 룩업 테이블에 따라 구동기(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방향과 신속하게 정렬하도록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도 4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220)이 제거된 상태의 관점으로부터의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라 하우징(220)이 제거된 상태에서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이러한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회전 조립체(14a)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치되고 회전 조립체(14a)에 의해 회전하게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신호 또는 테라헤르츠 신호용 송수신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서브-6G 지향성 안테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밀리미터파 신호용 송수신 안테나인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은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이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서브-6G 지향성 안테나인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은 서브-6G 주파수 대역이다.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존재함에 유의한다. 즉, K는 1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K가 1보다 큰 양의 정수인 경우, K는 짝수이다. 예를 들어, K는 4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지점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K*K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4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RF 프론트-엔드 모듈(320)을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각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330) 중 서로 다른 각각의 하나를 통해 RF 프론트-엔드 모듈(320)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K*K MIMO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해, K는 짝수이다. 이러한 구현에서, 예를 들어,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사용된다.
특정 위치에 위치된 사용자 단말 장비(1)에 대해, 기지국의 위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신호의 전송 방향이 불확실하므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는 다양한 신호 세기를 갖는다. 이러한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회전 가능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도 회전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통신 품질을 개선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9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베이스(140), 홀더(150) 및 구동기(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14a)는 베이스(140), 베이스(1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홀더(150) 및 구동기(160)를 포함한다. 구동기(16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베이스(140)에 대해 회전하도록 홀더(15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홀더(150)에 연결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이격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140)는 고정(즉, 정지형)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14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도 2 참조). 홀더(150)는 베이스(1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모두 홀더(150)에 연결된다. 구동기(160)가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베이스(140)에 대해 회전하도록 홀더(150)를 구동할 때, 홀더(15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회전 구동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구동기(16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140)는 케이스를 형성하고, 구동기(160)는 베이스(140)에 의해 형성된 케이스에 배치된다. 구동기(16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45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열 싱크(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 싱크(190)는 위에서 식별된 구현 중 임의의 구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비(1)에 통합될 수 있다. 열 싱크(19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일 측에 배치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로부터 먼 열 싱크(190)의 측에 배치된다.
열 싱크(190)는 우수한 열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 싱크(190)는 동작 중에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과열로 인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불안정한 성능을 피하기 위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동작 중일 때 방열을 위해 사용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일 측에 배치된 열 싱크(190)는 열 싱크(19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로부터 먼 열 싱크(190)의 일 측에 배치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로부터 먼 열 싱크(190)의 일 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열 싱크(190)는 홀더(1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홀더(150)의 회전으로 회전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열 싱크(190)는 방열체(192)와 복수의 핀(191)을 포함한다. 방열체(192)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일 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핀(191)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로부터 먼 방열체(192)의 표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방열체(19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복수의 핀(191) 중 하나는 회전 샤프트로부터 먼 복수의 핀(191) 중 다른 하나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방열체(192)로부터 먼 핀(191)의 측에 고정된다.
열 싱크(19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에서 회전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하우징(220)과 열 싱크(190) 사이에 간극이 규정되고, 이는 회전 샤프트로부터 먼 열 싱크(190)의 핀의 방열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방열체(19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에 가까운 열 싱크(190)의 핀(191) 중 하나는 회전 샤프트로부터 먼 열 싱크(190)의 핀(191) 중 다른 하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져, 열 싱크(190)의 각 부분의 방열 균일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핀(191)의 이러한 구조 설계는 회전하는 동안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다른 구성 요소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4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에서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보유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개략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보유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50)가 존재한다. 2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배열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보유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각각이 나비 형상인 예를 설명한다.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보유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베이스 플레이트(350)의 대각선에 배열된다. 다른 구현에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각각은 또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보유된 2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또한 대각선 이외의 베이스 플레이트(350)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예시의 목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2개의 안테나 그룹(310a)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하나 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접착제를 통해 핀(191)에 접합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50)가 접착제를 통해 핀(191)에 접합될 때,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유연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47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8은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보유부(340)의 개략 구조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복수의 보유부(340)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보유부(340)는 보유체(341) 및 고정부(342)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복수의 보유부(340)에 의해 보유된다. 고정부(342)는 보유부(341)와 연결되어 핀(191)에 고정된다.
고정부(342)는 접착제를 통해 핀(191)에 고정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고정부(342)는 스크류 등을 통해 핀(191)에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49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0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도 49에 예시된 구성 요소의 개략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베이스 플레이트(350)를 추가로 포함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의해 보유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50)는 핀(191)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모두 동일한 베이스 플레이트(350)에 보유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모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350)를 통해 고정되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1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2는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개략 구조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추가로 포함한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상단에 배치되며, 여기서 L은 양의 정수이고 K 이상이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1에 예시된 바와 같이, L=4이다.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나의 별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 상에 보유되고,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배열된다. 도 52에 예시된 바와 같이, L=8이다.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각각은 하나의 별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 상에 보유되고,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배열된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서브-6G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서브-6G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5는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는 도 51, 도 55뿐만 아니라 회전 조립체(14a)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위에 언급한 도면 및 관련 설명과 조합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회전 조립체(14a),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프론트-엔드 모듈(370),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치되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치되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에 고정되어 그 주변을 둘러싸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또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으로 분할된다. 하나의 스위칭 모듈(380)은 하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커플링된다. 각각의 스위칭 모듈(380)은 하나의 별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390)는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하나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별개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 각각은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 각각에서,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각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각각은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 각각에 대해,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 각각은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고,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다른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여 전도성 경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회전 조립체(14a)의 회전을 제어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지원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또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게 사용자 단말 장비(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1)의 장착 캐비티의 일 단부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와 회로 기판(12)은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2개 초과의 서브-6 GHz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6 GHz 무지향성 안테나는 회로 기판(12)의 2개의 대향하는 측의 각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54에 예시된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1 안테나(210a), 제2 안테나(210b),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210a) 및 제2 안테나(210b)는 회로 기판(12)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는 회로 기판(12)의 타 측에 배치된다. 제1 안테나(210a), 제2 안테나(210b),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제1 안테나(210a), 제2 안테나(210b),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의 중심은 서로 대략적으로 정렬된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하우징(21) 또는 회로 기판(12)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모든 수평 방향으로 빔 스캐닝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서브-6 GHz 안테나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연결되어 하우징(21)의 장착 캐비티의 타 단부에 배치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로부터 먼 회로 기판(1101)의 측에 배치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열 싱크(190)에 연결된다. 도 53을 참조하면,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와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는 이격되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대향되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일 측에 배치된다. 전자파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의 외향 표면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의 외향 표면이 배열되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는 제5 안테나(310c) 및 제5 안테나(310c)와 격리된 제6 안테나(310d)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는 제7 안테나(310e) 및 제7 안테나(310e)와 격리된 제8 안테나(310f)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동작 중일 때, 제5 안테나(310c), 제6 안테나(310d), 제7 안테나(310e) 및 제8 안테나(310f) 중에서 2개의 안테나가 선택되어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1 안테나(210a), 제2 안테나(210b),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5 안테나(310c), 제6 안테나(310d), 제7 안테나(310e) 및 제8 안테나(310f)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는 하우징(21)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 및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는 다양한 방향에서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 조립체(310a)의 신호 송수신 표면과 제2 플레이트 조립체(310b)의 신호 송수신 표면은 이들 사이에 각도를 규정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360 도 전방향 커버리지를 수행할 수 있다.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 장비(1)는 각각의 회전 각도에서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5G 신호의 신호 품질과 같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신호 품질에 따라,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타깃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검출 모듈(168)에 의해 기록된 회전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밀리미터파 안테나(1105) 및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타깃 회전 각도로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제1 안테나(210a), 제2 안테나(210b), 제3 안테나(210c) 및 제4 안테나(210d) 각각은 무지향성 NR 안테나이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제5 안테나(310c), 제6 안테나(310d), 제7 안테나(310e) 및 제8 안테나(310f) 각각은 지향성 NR 안테나이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에 의해 회전하도록 제어되어 360 도 전방향 커버리지 회전을 달성할 수 있다. 회전하는 동안, 제5 안테나(310c), 제6 안테나(310d), 제7 안테나(310e) 및 제8 안테나(310f)로부터 2개의 안테나가 선택되어 5G 신호를 검색 및 측정하고,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4개의 무지향성 NR 안테나와 함께 사용되어 안테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5에 예시된 바와 같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송수신 안테나(310)를 포함한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4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은 5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을 포함한다. 5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서, 하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나머지 4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 각각은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 중 서로 다른 각각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390)는 8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에서, 각각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하나의 대응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각각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또 다른 하나의 대응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4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410)는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410)는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의해 출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각각 동일한 스위칭 모듈(380)을 통해 일부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각각의 서로 다른 독립적인 경로를 형성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은 각각 무선 주파수 프론트-엔드 모듈(370)과 각각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이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때 각각의 상이한 경로의 독립성을 보장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하나의 경로로 결합되는 RF 신호 전송 및 수신과 비교하여, 이러한 구현에서 RF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 동안 신호 감쇠가 작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통신 품질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에서,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동일한 스위칭 모듈(380)을 통해 동일한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동작 가능하여,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동시에 동일한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없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되므로,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스위칭 모듈(380)이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사이에서 스위칭할 때,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과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신호 품질에 큰 편차가 존재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에서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또는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함으로써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동작에서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56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는 도 52, 도 56뿐만 아니라 회전 조립체(14a)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상술한 도면 및 관련 설명과 조합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에서의 사용자 단말 장비(1)와 도 55에 예시된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 사이의 차이점은 이하의 양태에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하나의 안테나 그룹(310a)은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에 속하는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360)에 보유된다. 즉, 이러한 구현에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포함하고,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은 5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을 포함한다. 5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 중 하나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나머지 4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70)의 각각은 하나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다. 복수의 인터페이스(390)는 12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에서,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하나의 대응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380)에 커플링되고,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각각은 하나의 대응하는 별개의 인터페이스(390)를 통해 하나의 대응하는 스위칭 모듈(380)에 커플링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에 속하는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360)에 보유된다. 스위칭 모듈(380)이 프로세서(130)의 제어 하에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사이에서 스위칭할 때,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에는 큰 편차가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에 속하는 서로 다른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함으로써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을 신속하게 조정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결국 제3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거나 사전 설정된 값보다 큰 신호 세기를 갖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동작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프로세서(130)는 Q×Q MIMO 안테나를 실현하기 위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Q개의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Q는 짝수이고, Q개의 안테나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이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4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 각각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Q×Q MIMO 안테나는 4×4 MIMO 안테나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를 포함한다.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 각각은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보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이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다.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 각각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Q×Q MIMO 안테나는 4×4 MIMO 안테나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를 포함한다.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360) 각각은 서로 다른 안테나 그룹(310a)에 속하는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보유한다. 즉, 동일한 안테나 그룹(310a)의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서로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360)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고,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모두 서브-6G 지향성 안테나이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57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신호 변환기(120) 및 프로세서(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하여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밀리미터파 모드 또는 서브-6G 모드에서 동작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밀리미터파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또는 서브-6G 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주하는 환경에서 기지국의 유형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5G 기지국만이 이용 가능한 환경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밀리미터파 모드에서 동작한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서브-6G 기지국만 이용 가능한 환경에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서브-6G 모드에서 동작한다. 이 때,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또는 복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5G 기지국 및 서브-6G 기지국 모두가 이용 가능한 환경에 있을 때, 5G 기지국 및 서브-6G 기지국 중 어느 것이 연결될지는 5G 기지국과 서브-6G 기지국의 부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5G 기지국의 부하가 작은 경우, 5G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 장비(1)가 5G 기지국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테스트 명령을 발행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신호 변환기(120)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신호 변환기(120)는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며, 이에 의해 제2 네트워크 신호의 신호 세기를 보장하고, 결국 제2 네트워크 신호가 통신에 사용될 때 통신 품질을 보장한다.
도 58은 본 개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비(1)의 회로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신호 변환기(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1 주파수 대역이 아닌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프로세서(130)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즉,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서 임의의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보다 더 큰 신호 세기의 합을 갖는다. 프로세서(130)는 추가적으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을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클 때, 신호 변환기(120)는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작을 때, 신호 변환기(12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의 개략도에서, 예시의 목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그룹(310a)이 설명된다.
선택 사항으로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신호 세기의 합은 제1 세기이다. 위치 PT1에 위치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위치 PT1에 위치될 때,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신호 세기의 합이 제2 세기이다. 프로세서(130)는 제1 세기와 제2 세기를 비교한다. 제1 세기가 제2 세기보다 큰 경우, 신호 변환기(120)는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세기가 제2 세기보다 작은 경우, 신호 변환기(120)는 위치 PT1에 위치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5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무선 주파수 프론트-엔드 모듈(320), 신호 변환기(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게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위치될 때, 프로세서(13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0)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신호 변환기(120)는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모두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치되므로,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의 위치가 결정될 때,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위치도 결정된다.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반드시 위치되지는 않으며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가능성도 낮다. 이 때,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배열되므로,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일부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프로세서(130)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가지며, 이는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안테나를 신속하게 선택하는 데 유리하며, 결국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도 5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무선 주파수 프론트-엔드 모듈(320), 신호 변환기(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여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하여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선택하고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에서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신호 변환기(120)는 선택된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형(SA: stand-alone) 뉴 라디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NR CA: new radio carrier aggregation)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는 밀리미터파 모드 및 서브-6G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모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정지 위치에 위치될 때,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여 1 회전시키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할 수 있다.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은 임의의 다른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 및 전체 개수가 K인 임의의 다른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임의의 다른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크다.
예를 들어, L은 8과 같고, X는 4와 같고, K는 4와 같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4개의 제2 신호 중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4개의 안테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4개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은 12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4개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크다(12개의 안테나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및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포함한다). 선택된 4개의 안테나는 모두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거나, 모두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4개의 안테나 중 일부는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고, 4개의 안테나 중 다른 일부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의 안테나는 3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포함한다.
위에 식별된 구현 중 임의의 구현에 따라 제공된 사용자 단말 장비(1)와 조합하여, 안테나 선택을 위한 방법이 본 개시에 따라 추가로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안테나 선택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비(1)에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동일한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열되고 회전 가능하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14a)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된다.
사용자 단말 장비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제1 주파수 대역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는 제1 네트워크 신호로서의 역할을 하고, 제2 주파수 대역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는 제3 네트워크 케이블 신호로서의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게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는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1 주파수 대역이 아닌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된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의 합과 비교된다.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는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변환기(120)는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를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14a)는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가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되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되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는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되며, 여기서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본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회전 조립체(14a)는 여러 방향으로부터의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회전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여러 방향으로부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가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된다.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선택되고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가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다. 선택된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와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는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된다.
5G 및 서브-6G 모바일 통신이 본 개시의 배경 기술 및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지만, CPE는 5G 또는 서브-6G 모바일 통신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기술의 발전으로, CPE는 다른 형태의 모바일 통신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배경 기술 및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5G 및 서브-6G 모바일 통신은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회전 조립체(14a)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로서,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조립체(14a)에 의해 회전하게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상이하며,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와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립체(14a)는 베이스(140), 상기 베이스(14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홀더(150) 및 구동기(16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16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상기 베이스(140)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홀더(150)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상기 홀더(15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이격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해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상단에 배치되고, L은 양의 정수이고 K 이상이며;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네트워크 신호들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 있는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Wi-Fi 안테나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모듈(200) 및 적어도 하나의 4G 안테나 RF 모듈(300); 및
    신호 변환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밀리미터파 안테나이고,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각각은 서브-6G 안테나이고;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4G 안테나 RF 모듈(300),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또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Wi-Fi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Wi-Fi 안테나 RF 모듈(200)은 상기 Wi-Fi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주변에 고정되어 둘러싸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와 적어도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또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하나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주파수(RF) 프론트-엔드(front-end) 모듈(320);
    하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2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하나의 스위칭 모듈(380) 및 하나의 별개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2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각각의 스위칭 모듈(380)을 갖는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
    상기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및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상이한 방향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또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품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으로 분할되고, 하나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각각의 안테나 그룹(310a)은 하나의 별개의 스위칭 모듈(38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의 각각은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의 각각에서, 상기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인터페이스(390)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의 각각에 대해, 상기 복수의 스위칭 모듈(380)의 각각은 상기 J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상기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20)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도전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P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상기 복수의 RF 프론트-엔드 모듈(320)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커플링하여 다른 도전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전 경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Q개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Q×Q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를 실현하도록 구성되고, Q는 짝수이고, 상기 Q개의 안테나는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들(310)과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들(21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이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4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의 각각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상기 Q×Q MIMO 안테나는 4×4 MIMO 안테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하나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보유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4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이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8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이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그룹(310a)의 각각은 하나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상기 Q×Q MIMO 안테나는 4×4 MIMO 안테나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된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유하고, 상기 4개의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은 상이한 안테나 그룹들(310a)에 속하는 2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9. 제5항에 있어서,
    신호 변환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하여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게 구동하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10. 제5항에 있어서,
    신호 변환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아닌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고;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이 임의의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된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위치에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위치될 때,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세기의 합을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세기의 합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클 때,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들의 합보다 작을 때,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제1 네트워크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고,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하여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게 구동하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선택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신호 송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고, 상기 신호 변환기(120)는 선택된 상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 장비(1).
  11. 사용자 단말 장비(1)에 적용 가능한 안테나 선택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는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 및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는 동일한 회전 조립체(14a) 상에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의 둘레 주변에 분포되고,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다양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다양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통신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가 회전하게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들의 품질,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들의 품질, 또는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신호들의 품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이 아닌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다양한 방향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게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다양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이 아닌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선택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이 임의의 다른 위치들에 위치된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위치에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위치될 때,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의 신호 세기의 합과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세기의 합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의 합이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대응하는 신호 세기들의 합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신호 변환기(120)에 의해,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상기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하여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게 구동하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는 단계;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고,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상기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비(1)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때,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회전하여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제1 네트워크 신호들을 수신하게 구동하도록 상기 회전 조립체(14a)를 제어하는 단계;
    상이한 방향들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들 중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제1 네트워크 신호를 제2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신호가 가장 강한 신호 세기를 갖는 위치에 상기 제1 신호 송수신 안테나(110)가 위치될 때 상기 K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로부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를 선택하고,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와 상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상기 L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다른 K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 중 신호 세기의 최대 합을 갖는,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K-X)개의 제2 신호 송수신 안테나(310) 및 상기 X개의 제3 신호 송수신 안테나(210)에 의해 수신된 제3 네트워크 신호들을 제4 네트워크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3447A 2020-01-21 2021-01-19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KR102612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73880.0A CN111294092B (zh) 2020-01-21 2020-01-21 用户终端设备及天线选择方法
CN202020141581.1U CN210745145U (zh) 2020-01-21 2020-01-21 客户前置设备
CN202020141581.1 2020-01-21
CN202010073880.0 2020-01-21
PCT/CN2021/072681 WO2021147850A1 (en) 2020-01-21 2021-01-19 User terminal equipment and method for antenna se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23A KR20220112823A (ko) 2022-08-11
KR102612444B1 true KR102612444B1 (ko) 2023-12-12

Family

ID=7419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447A KR102612444B1 (ko) 2020-01-21 2021-01-19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8505B2 (ko)
EP (1) EP3855639A1 (ko)
JP (1) JP2023509510A (ko)
KR (1) KR102612444B1 (ko)
WO (1) WO2021147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404A1 (ko) * 2020-05-15 202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5275604A (zh) * 2021-04-29 2022-11-01 南宁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天线装置及天线控制方法
TW202308221A (zh) * 2021-08-04 2023-02-16 立端科技股份有限公司 Wi-Fi天線及具有該Wi-Fi天線之無線通訊裝置
CN113659313A (zh) * 2021-08-27 2021-11-16 上海移远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机械扫描装置和用户终端设备
CN117579991B (zh) * 2024-01-16 2024-04-02 上海铂联通信技术有限公司 云台通信天线系统、测向方法及车载云台通信天线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3673A1 (en) * 2008-08-06 2011-06-16 Direct-Beam Inc. Automatic positioning of diversity antenna array
US20160269132A1 (en) * 2015-03-09 2016-09-15 Wilson Electronics, Llc Signal booster for a controllable antenn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2268Y (zh) 1999-10-08 2000-08-16 赵玉成 全向和转向组合电视天线
JP4227588B2 (ja) 2004-12-02 2009-02-18 日本放送協会 受信アンテナ装置
KR101377580B1 (ko) 2007-06-27 2014-03-25 톰슨 라이센싱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594376A (zh) 2012-01-20 2012-07-18 华为终端有限公司 接收无线信号的方法和无线通信设备
CN103079268A (zh) 2012-12-28 2013-05-01 上海寰创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端设备的天线定位方法
CN104917542A (zh) 2014-03-11 2015-09-16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收发系统
CN204167483U (zh) 2014-11-12 2015-02-18 谢诚 一种自由跟踪调节角度的路由器天线
US9660323B2 (en) 2015-03-27 2017-05-23 T-Mobile Usa, Inc. Independent adjustable azimuth multi-band antenna fixture
GB2539733A (en) 2015-06-25 2016-12-28 Airspan Networks Inc A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a transmission beam for the antenna apparatus
GB2539732A (en) 2015-06-25 2016-12-28 Airspan Networks Inc A configurable antenna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configurable antenna
GB2539735A (en) 2015-06-25 2016-12-28 Airspan Networks Inc Sub-sampling antenna elements
JP6393426B2 (ja) 2015-07-28 2018-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10313894B1 (en) 2015-09-17 2019-06-04 Ethertronics, Inc. Beam steering techniques for external antenna configurations
CN108886193B (zh) 2016-03-29 2021-04-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los-mimo的可旋转天线装置
CN105826660A (zh) 2016-06-06 2016-08-03 南京濠暻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双频动中通卫星接收天线系统
EP3603329A4 (en) * 2017-03-22 2021-04-21 NxGen Partners IP, LLC NEW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MILLIMETER WAVES FOR BUILDING ENTRY
US10014892B1 (en) 2017-07-10 2018-07-03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electronic interference
CN107634351A (zh) 2017-08-10 2018-01-26 苏州阿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模动中通天线
TWI659624B (zh) 2017-08-10 2019-05-11 巽晨國際股份有限公司 毫米波強波器、毫米波傳輸系統及毫米波傳輸方法
CN207743939U (zh) 2017-11-28 2018-08-17 广州易而达科技股份有限公司 适于车载天线卫星接收机使用的低噪声下变频器
CN109904626B (zh) 2017-12-11 202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装置及通信装置
CN209184819U (zh) 2018-12-21 2019-07-30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Lte-cpe设备
CN111294092B (zh) * 2020-01-21 2021-06-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户终端设备及天线选择方法
CN210745145U (zh) * 2020-01-21 2020-06-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客户前置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3673A1 (en) * 2008-08-06 2011-06-16 Direct-Beam Inc. Automatic positioning of diversity antenna array
US20160269132A1 (en) * 2015-03-09 2016-09-15 Wilson Electronics, Llc Signal booster for a controllable antenn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88505B2 (en) 2023-02-21
WO2021147850A1 (en) 2021-07-29
JP2023509510A (ja) 2023-03-08
KR20220112823A (ko) 2022-08-11
EP3855639A1 (en) 2021-07-28
US20210226650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444B1 (ko) 안테나 선택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비 및 방법
Biglarbegian et al. Optimized microstrip antenna arrays for emerging millimeter-wave wireless applications
US11815539B2 (en) Multiple-band compact, near-field-to-far-field and direct far-field test range
EP1792365B1 (en) Pin fin ground plane for a patch antenna
Burasa et al. On-chip dual-band rectangular slot antenna for single-chip millimeter-wave identification tag in standard CMOS technology
KR20050076810A (ko) 안테나 장치
US20220328959A1 (en) Network device
US7006053B2 (en) Adjustable reflector system for fixed dipole antenna
US20150372376A1 (en)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CN210745145U (zh) 客户前置设备
WO2021147906A1 (zh) 用户终端设备
CN111278173B (zh) 客户前置设备
US7499673B2 (en) Configurable diversity antenna system for wireless access points
CN111093118A (zh) 网络设备
JP2000068729A (ja) 指向性制御アンテナ装置とこの指向性制御アンテナ装置を用いる無線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1294092B (zh) 用户终端设备及天线选择方法
Hu et al. One-and two-dimensional antenna arrays for microwave wireless power transfer (MWPT) systems
CN111726177B (zh) 无线设备的无线性能测试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9397394B2 (en) Antenna arrays with modified Yagi antenna units
JPH10502784A (ja) 移動無線通信装置および固定無線送信/受信装置間で信号を伝送する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chida et al. A low-profile dual-polarized directional antenna for enhancing channel capacity in indoor MIMO systems
Bolkhovskaya et al. Steerable Bifocal Lens-Array Antenna at 57-64 GHz
WO2023093985A1 (en) An antenna device with two stacked radiating elements
Ma et al. Concentric Annular Leaky Wave Antenna Array and Its Application to Self-Sensing Smart Antenna for Radio Wave Coverage in 2-D Confined Spaces
Diao High-Sensitivity Phased Arrays for Radio Astronomy and Satellit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