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340B1 - 차수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수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340B1
KR102612340B1 KR1020230068285A KR20230068285A KR102612340B1 KR 102612340 B1 KR102612340 B1 KR 102612340B1 KR 1020230068285 A KR1020230068285 A KR 1020230068285A KR 20230068285 A KR20230068285 A KR 20230068285A KR 102612340 B1 KR102612340 B1 KR 102612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crew bar
opening
moving wheel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기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도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등의 환기구 등으로 사용되는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상기 개구부 등으로 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후방에 연결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도어의 전방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수문 시스템{FLOODGATE SYSTEM}
본 발명은 차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등의 환기구 등으로 사용되는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상기 개구부 등으로 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는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구를 만들어 놓고 있다. 특히 지하층은 환기가 어려워 지하층의 천장과 건축물(예시적으로 지하철 등) 외부의 바닥을 연통시키도록 하여 환기를 시키고 있다.
그러나 비가 내리는 날씨에서는 빗물 등이 상기한 환기구와 같은 건축물의 개구부 측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차수문을 설치하여 상기한 개구부를 개폐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07885호(이하 종래기술)는 차수문의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건물 내부 또는 건물 내부의 구획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건물이 침수 또는 건물 내부의 다른 구획 공간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수문에 장착하여 개폐되는 차수문을 쉽고 간편하게 자동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수문의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수동으로 차수문으로 이동시키거나 회동시켜야 했는데, 상기한 개구부가 커짐에 따라 차수문의 크기도 커져서 무거운 차수문을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개구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바닥에 형성되는 경우 무거운 차수문을 들어 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차수문의 하단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도록 하였는데, 하단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차수문의 상단부의 무게에 의해 차수문을 회동시키는 체인과 같은 부품들이 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손상,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문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문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한 차수문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후방에 연결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도어의 전방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개구부측에 세워져 구비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류바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바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너트부재에서 상기 도어에 삽입되도록 돌출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축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전후방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측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바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제한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 내측돌부; 상기 바디 하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내측돌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돌부; 상기 바디, 상기 내측돌부, 및 상기 외측돌부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설치홈의 깊이보다 큰 두께를 갖는 개스킷;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단순한 구조를 통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 시스템에 의해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승강수단에 의해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경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 시스템에 의해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승강수단에 의해 도어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 시스템(S)(차수문 개폐시스템, 차수문 개폐구조, 환기구용 차수문, 환기구용 차수문 시스템, 환기구용 차수문 개폐시스템)은 개구부(H)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 시스템(S))는 도어(1), 이동바퀴(2), 및 구동수단(3)을 포함한다.
도어(1)는 개구부(H)를 개폐하는 것이다. 개구부(H)는 바닥과 연통되는 건축물(예시적으로 지하철)의 천장이나, 옥상 바닥 등에 형성되어 건축물 외부와 건축물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일 수 있다. 개구부(H)는 예시적으로 건축물의 환기구일 수 있다.
도어(1)는 후술하는 이동바퀴(2)와 구동수단(3)에 의해 상기한 개구부(H)를 개폐하여, 개구부(H)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개구부(H)의 본 기능(예를 들어 환기)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개구부(H)측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인데, 후술하는 이동바퀴(2)와 구동수단(3)을 설명하며, 도어(1)가 개구부(H)를 어떻게 개폐하는지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바퀴(2)는 상기 도어(1)의 후방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후방(후단 등)은 도 2 같이, 도어(1)가 개구부(H)를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 방향(상측단 등)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전방(전단 등)은 도 2와 같이, 도어(1)가 개구부(H)를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하측단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이동바퀴(2)는 도어(1)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장치는 상기 도어(1)(후술하는 바디(1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브라켓(8)과, 상기한 브라켓(8)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7)과 연결되는 축부재(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축부재(7)는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그 측단부가 상기한 도어(1)의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측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과 평행한 도어(1)의 중심선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이동바퀴(2)는 축부재(7)에서 도 1과 같이 정단면상에서 봤을 때 도어(1)를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축결합 되어, 상기 축부재(7)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이동바퀴(2)는 상기 도어(1)의 후방에 연결되되, 도어(1)의 좌우측부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이동바퀴(2)는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후술하는 문틀(4) 상에 구비되는 후술하는 레일부재(5)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장치가 도어(2)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브라켓(8)(연장부), 축부재(7) 및 이동바퀴(2)를 포함함으로써, 도어(2) 개구부(H) 보다 떠있지 않게 되고 따라서 문틀(4)을 상측으로 돌출되게 할 필요 없어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구동수단(3)은 도어(1)의 전방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1) 및 상기 연결부(3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2)를 포함한다.
먼저 승강부(32)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구부(H)측에 세워져 구비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스크류바(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개구부(H)를 형성하는 문틀(4)을 포함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상기한 문틀(4)는 전후방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세로틀, 한 쌍의 세로틀 전단을 연결하는 전방틀, 및 한 쌍의 세로틀 후단을 연결하는 후방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문틀(4)을 평면상에서 봤을 때 그 둘레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스크류바(321)는 상기한 한 쌍의 세로틀 각각의 전방측에 세워져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수직 방향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승강부(32)는 스크류바(321)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바(32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스크류바(321)는 상기한 구동부(322)에 의해 그 길이 방향(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322)는 모터(322a)와 상기 모터(322a)의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바(321)의 결합되어, 상기 모터(322a)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321)를 회전시키는 체인(32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부(322)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스크류바(3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이 모터(322a), 체인(322b) 등을 대체하거나 추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승강부(32)는 스크류바(321)에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바(321)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너트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32)는 상기 너트부재(323)의 나사골과 상기 스크류바(321)의 나사골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스크류바(321)가 회전함에 따라 구름 되는 구름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한 스크류바(321)는 구동부(322)에 의해 그 길이 방향(수직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때 나사 체결된 너트부재(323)는 상기 스크류바(32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321) 상에서 승강 이동된다.
예시적으로 스크류바(321)가 평면상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너트부재(323)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스크류바(3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너트부재(323)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는 너트부재(323)의 도어(1) 삽입되도록 돌출 구비되어 도어(1)와 축결합되는 회동축(311)을 포함할 수 있다(연결부(31)는 회동축(311)일 수 있다). 즉 도어(1)는 상기 회동축(311)과 축결합 되어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311)은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너트부재(323)가 하측으로 이동할 경우, 전방측이 너트부재(323)에 연결된 도어(1)는 상기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회전(예시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방측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측이 상기 이동바퀴(2)에 의해 후방 측으로 이동하여, 도 1 및 도 2와 같이 도어(1)가 문틀(4) 상에 안착됨으로써 도어(1)가 상기한 개구부(H)를 폐쇄하게 된다.
반대로 너트부재(323)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1)가 상기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회전(예시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방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측은 이동바퀴(2)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가 개구부(H)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스크류바(321)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개구부(H)를 개폐하여, 개구부(H)를 개방하여 환기를 시키거나 개구부(H)를 폐쇄하여 우천 시에 빗물 등이 개구부(H)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달리 모터(322a)와 체인(322b) 그리고 스크류바(321)와 너트부재(323), 회동축(311)과 같은 기계적 요소와 결합 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무거운 도어(1)를 이동 및 회동시켜 개구부(H)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수문의 전방측을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후방측으로 중심으로 회전시켰는데, 이러할 경우 전방측에 가도한 하중에 가해져 체인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장치는 도어(1)의 후방측이 이동바퀴(2)에 의해 문틀(4)에 지지되며 전후방으로 이동되므로 하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기계적 요소들의 부하가 적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모터(322a)를 제어하여 스크류바(321)의 회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한 도어(1)의 기울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 또한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상기 문틀(4)의 상기 세로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퀴(2)의 전후방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너트부재(323)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1)가 상기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회전(예시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방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측은 이동바퀴(2)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가 개구부(H)를 개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때 상기한 도어(1)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상기한 수직 방향과 평행해지는 경우, 너트부재(323)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의 후방측이 후방으로 가도록 이동바퀴(2)가 굴러가지 않아, 도어(1)를 통해 개구부(H)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본 장치는 상기 레일부재(5)의 전방측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바(321)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제한턱(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바(321)가 회전하여 너트부재(323)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도어(1)의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바퀴(2)가 이동제한턱(6)에 걸려 스크류바(321)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되므로, 도어(1)의 후단이 상기한 스크류바(321)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되어 도어(1)가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 너트부재(323)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바퀴(2)가 후방으로 굴러가도록 할 수 있고, 도어(1)를 다시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도어(1)로 하여금 상기한 개구부(H)를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어(1)는 바디(11), 상기 바디(11)의 하측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 내측돌부(12), 상기 바디(11) 하측 둘레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내측돌부(12)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돌부(13)를 포함할 수 있다(상술하였듯이 도어(1)의 구성 설명은 도어(1)가 도 1과 같이 개구부(H)를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도 2와 같이 도어(1)를 평면상에서 봤을 때 중심선 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한 중심선 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한다.
또한 도어(1)는 상기 바디(11)의 하면, 내측돌부(12), 및 외측돌부(13)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홈(14), 및 상기 설치홈(14)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설치홈(14)의 깊이보다 큰 두께를 갖는 개스킷(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치홈(14)의 깊이는 내측돌부(12) 또는 외측돌부(13)의 돌출 길이로 도 3에서 상하 방향 길이를 의미하며, 상기한 개스킷(15)의 두께 또한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스킷(15)의 두께가 상기 설치홈(14)의 깊이보다 크므로 개스킷(15)은 설치홈(14)에서 돌출될 수 있다(하측으로 돌출)
개스킷(1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11)에 구비되어, 상기한 바디(11)와 상기한 문틀(4) 사이에 배치되므로, 바디(11)와 문틀(4) 사이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본 장치의 차수 기능을 보다 강화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설치홈(14)을 포함하여 도어(1)가 회동하여 개스킷(15)이 문틀(4)에 쓸려 미끄러지면서 바디(11)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레일부재(5)는 그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한 몸체부(51), 상기 몸체부(51)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경사부(52), 및 상기 경사부(52)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착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경사부(52) 및 안착부(53)를 포함하여, 의도치 않은 동작으로 도어(1)가 들려져 도어(1)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고, 개스킷(15)이 더욱 바디(11)와 문틀(4)에 의해 압착되도록 하여 본 장치의 차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경사부(42)는 그 후단부 또는 전부가 상기 몸체부(51)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바퀴(2)가 의도치 않은 동작에 의해 몸체부(5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상기 도어(2)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플레이트(91) 및 상기 플레이트(91)에 형성된 관통공(92)을 포함하는 고정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차수문 시스템: S
도어: 1 바디: 11
내측돌부: 12 외측돌부: 13
설치홈: 14 개스킷: 15
이동바퀴: 2 구동수단: 3
연결부: 31 회동축: 311
승강부: 32 스크류바: 321
구동부: 322 모터: 322a
체인: 322b 너트부재: 323
문틀: 4 레일부재: 5
몸체부: 51 경사부: 52
안착부: 53 이동제한턱: 6
축부재: 7

Claims (4)

  1.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후방에 연결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도어의 전방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개구부 측에 세워져 구비되고,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스크류바;
    상기 스크류바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류바에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바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너트부재에서 상기 도어에 삽입되도록 돌출 구비되어 상기 도어와 축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문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퀴의 전후방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의 전방측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바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이동제한턱;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된 내측돌부;
    상기 바디 하면 둘레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내측돌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돌부;
    상기 바디, 상기 내측돌부, 및 상기 외측돌부에 의해 형성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설치홈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홈의 깊이보다 큰 두께를 갖는 개스킷;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몸체부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도되 후방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도어의 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고 단부에 상기 이동바퀴가 연결되는 축부재; 및
    상기 도어의 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68285A 2023-05-26 2023-05-26 차수문 시스템 KR102612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85A KR102612340B1 (ko) 2023-05-26 2023-05-26 차수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8285A KR102612340B1 (ko) 2023-05-26 2023-05-26 차수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340B1 true KR102612340B1 (ko) 2023-12-11

Family

ID=8916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85A KR102612340B1 (ko) 2023-05-26 2023-05-26 차수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164B2 (ja) * 1974-08-06 1983-12-08 旭化成株式会社 フホウワポリエステルセイケイザイリヨウ
JPH08260833A (ja) * 1995-03-27 1996-10-08 Fuji Seiko Honsha:Kk 防水扉装置
JP2006274755A (ja) * 2005-03-30 2006-10-12 Bunka Shutter Co Ltd 止水装置
JP5855164B2 (ja) * 2014-05-30 2016-02-09 新日本空調株式会社 空調ダクトの止水ダン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164B2 (ja) * 1974-08-06 1983-12-08 旭化成株式会社 フホウワポリエステルセイケイザイリヨウ
JPH08260833A (ja) * 1995-03-27 1996-10-08 Fuji Seiko Honsha:Kk 防水扉装置
JP2006274755A (ja) * 2005-03-30 2006-10-12 Bunka Shutter Co Ltd 止水装置
JP5855164B2 (ja) * 2014-05-30 2016-02-09 新日本空調株式会社 空調ダクトの止水ダン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0100A1 (en) Low profile, self-draining threshold assemblies
US20200240188A1 (en) Non-Power Driven Window Capable Of Adjusting Ventilation Rate
KR101907162B1 (ko) 누수 차단용 몰딩바가 구비되는 차양구조체
KR102612340B1 (ko) 차수문 시스템
WO1998021436A1 (de) Fenster mit in der beschlagnut des flügelrahmens pendelnd gelagerter lüfterklappe
US20090277097A1 (en) Dynamic Window Jamb Channel Block
DE102012002109B4 (de) Flächenlüfter für ein Dach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CN208473050U (zh) 通风防水型建筑玻璃幕墙
KR100667447B1 (ko) 도어 액츄에이터 수분유입방지장치
EP2048318B1 (en) Assembly of a ventilation device and a rebate of a window
CN114165155A (zh) 一种门窗智能调节导水装置
KR101559110B1 (ko) 에어홈이 구비된 캠핑카용 창문
EP0610822A1 (en) Bus with floor and door mechanism used hereby
US11486109B2 (en) Flood-protective ventilation louver
KR100916848B1 (ko) 자연 환기장치
CN211598284U (zh) 一种节能降噪平移窗
JP4733440B2 (ja) 高層建物
CN115045596B (zh) 防洪百叶通风窗
JP7182111B2 (ja) 洪水防御ルーバー式換気窓
CN103924882B (zh) 一种双层窗
JP3219232U (ja) 地下施設の換気口用止水装置
GB2605184A (en) Flood-protective ventilation lou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