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184B1 -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 Google Patents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184B1
KR102612184B1 KR1020210040531A KR20210040531A KR102612184B1 KR 102612184 B1 KR102612184 B1 KR 102612184B1 KR 1020210040531 A KR1020210040531 A KR 1020210040531A KR 20210040531 A KR20210040531 A KR 20210040531A KR 102612184 B1 KR102612184 B1 KR 10261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ing protrusion
protrusion
engag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5042A (en
Inventor
조용호
문영주
이웅호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엘비생명과학(주)
Priority to KR102021004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18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1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튜브; 및 캡 몸체와,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튜브 몸체 또는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1 걸림턱 간의 제1 걸림 구조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턱 간의 제2 걸림 구조와 다르게 형성되는,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having a tube body, and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tube body; And a cap including a cap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ap bod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ap body. Each of the two locking protrusions,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the cap body,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structure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provides a test tube assembly and a tube and a cap used therein.

Description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Test tube assembly and tubes and caps used therein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st tube assemblies and tubes and caps used therein.

일반적으로, 시험관은 채취된 생물학적 시료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이다. 시료의 보관을 위해, 시험관에는 버퍼 용액이 또한 수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시료가 분산된 버퍼 용액 내에 테스트 스트립을 투입하여, 시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질환에 대한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Generally, a test tube is a container for storing collected biological samples. For storage of samples, the test tube may also contain a buffer solution. In some cases, a test strip may be inserted into the buffer solution in which the sample is dispersed, and test results for the disease to be determined through the sample may be derived.

검사 결과의 도출 후에, 시험관은 시료와 버퍼 용액 그리고 테스트 스트립이 수용된 채로 폐기물로 버려지기도 한다. 이때, 시료 등이 외부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험관을 덮는 마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관련 특허로는 대만 특허공보 제201831672호(2018.09.01.)가 있다. After the test results are derived, the test tube containing the sample, buffer solution, and test strip is often discarded as waste.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samples, etc. from flowing out, a stopper covering the test tub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Related patents include Taiwan Patent Publication No. 201831672 (2018.09.01.).

마개는 시험관에 대해 결합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의 결합이 견고한 느낌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품이 불량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고, 그들의 결합력을 높이면, 사용시에 시험관에서 마개를 분리하는 일이 힘들어지는 문제도 있다. Although the stopper is bonded to the test tube, their bond does not provide a solid feel. Accordingly, users often think that the product is defectiv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ing their bonding strength makes it difficult to remove the stopper from the test tube during us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튜브에서 캡이 쉽게 분리되게 하면서도, 그들의 결합 상태의 구조적 안정성과 결합에 따른 적정 수준의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st tube assembly and a tube and cap used therein, which allow the cap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ube, while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in their combined state and an appropriate level of sealing for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는,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튜브; 및 캡 몸체와,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튜브 몸체 또는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1 걸림턱 간의 제1 걸림 구조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턱 간의 제2 걸림 구조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A test tube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includes: a tube having a tube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tube body; And a cap including a cap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ap bod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ap body. Each of the two locking protrusions,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the cap body,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structure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면이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과 이루는 제1 각도는, 상기 제2 걸림면이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과 이루는 제2 각도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locking surface or a second locking surface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In,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first engaging surfac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second engaging surfac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원호형 단면을 갖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쐐기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may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may have a wedge-shaped cross section.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타고 넘어서 상기 제1 걸림면 또는 상기 제2 걸림면에 걸림되게 유도하는 제1 언덕면 또는 제2 언덕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언덕면은,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언덕면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s a first hill surface that guid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surface or the second locking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ill surface, and the first hill surface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second hill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여기서, 상기 제1 걸림 구조 및 상기 제2 걸림 구조는,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1 걸림 구조에 의한 제1 걸림과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의한 상기 제2 걸림이 동일 시점에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locking structure and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are such that, in the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the first locking by the first locking structure and the second locking by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are at the same point. It can be formed to occur in .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용 튜브는,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캡에 결합 가능한 튜브로서, 상기 캡 몸체와 결합됨에 의해 폐쇄되는 개방된 상부를 구비하는 튜브 몸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튜브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걸림턱 또는 상기 제2 걸림턱과의 걸림 구조를 다르게 형성하도록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tube for a test tub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be that can be coupled to a cap including a cap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ap body, and is coupled to the cap body. a tube body having an open top that is closed;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so as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wherei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forming a ring,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may have different shapes to form different locking structur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원호형 단면을 갖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쐐기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may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may have a wedge-shaped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용 캡은,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튜브에 결합되는 캡으로서, 상기 튜브 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캡 몸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제1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제2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튜브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걸림 구조를 다르게 형성하도록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cap for a test tub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 coupled to a tube having a tube body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tube body, and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tube body. a cap body;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n response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located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tube body. It forms a pair of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may have different shapes to form different locking structures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here is.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타고 넘어서 상기 제1 걸림면 또는 상기 제2 걸림면에 걸림되게 유도하는 제1 언덕면 또는 제2 언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언덕면은,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언덕면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Here,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s a first hill surface that guid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surface or the second locking surface. It includes a second hill surface, and the first hill surface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second hill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이루는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의 개방된 단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튜브;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 측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몸체는, 상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캡 몸체는, 상기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튜브 몸체 또는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될 수 있다. A test tub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e body in the shape of a tube with an open top,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to be located on the open end side of the tube body, and a first stopper. 2 A tube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nd a cap body with an open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open end side of the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It includes a cap having a device, wherein the tube body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nd the cap body is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tom,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Each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may form a pair of ring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the cap body.

여기서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1 걸림돌기 간의 걸림 구조는, 상기 제2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돌기 간의 걸림 구조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the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은,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걸림면과 상기 제2 걸림면 간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1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과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은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Here,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ncludes a first locking portion or a second locking portion,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ncludes the first locking port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 It includes a first engaging surface or a second engaging surface engaging with the engaging par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art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 In the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being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structure and being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structure occur simultaneous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에 의하면, 튜브에 대해 캡이 결합됨에 있어서, 튜브의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 각각은 캡의 제1 걸림턱 또는 제2 걸림턱에 걸림되며, 여기서 제1 걸림돌기와 제1 걸림턱 간의 제1 걸림 구조는 제2 걸림돌기와 제2 걸림턱 간의 제2 걸림구조와 다르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걸림 구조에 의해 튜브와 캡의 결합 상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면서도 서로 다른 구조를 통해 그들의 분리를 쉽게 하고 또한 적정 수준의 밀폐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test tub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tube and cap used therein, 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tub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of the tube i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cap of the cap. It is caught 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where the first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is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structures. While increas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ube and cap combined state,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different structures and also ensure an appropriate level of sealing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ure 1.
FIG. 4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portion of the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of FIG. 3.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the test tube assembly and the tube and cap used there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는 튜브(100)와 캡(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may be composed of a tube 100 and a cap 200.

튜브(100)는 대체로 원통 형태로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튜브(100)의 연장 방향(E)을 따른 길이는 연장 방향(E)에 수직한 단면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ube 100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The length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of the tube 10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E).

캡(200)은 튜브(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튜브(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구성이다. 캡(200) 역시 연장 방향(E)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나, 연장 방향(E)을 따른 길이는 튜브(100)에 비해 훨씬 작을 수 있다. The cap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tube 100 and closes the open upper part of the tube 100. The cap 200 is also formed to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but its length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may be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tube 100.

이러한 튜브(100)와 캡(200)의 결합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분리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The structure for coupling the tube 100 and the cap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본 도면을 참조하면, 튜브(100)는 튜브 몸체(110), 제1 걸림돌기(130), 및 제2 걸림돌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tube 100 may include a tube body 110, a first engaging protrusion 130, and a second engaging protrusion 150.

튜브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관체이다. 튜브 몸체(110)는 시료, 버퍼 용액(B, 도 3 참조), 및 테스트 스트립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1)을 구비한다. 수용 공간(111)은 연장 방향(E)을 따라 길쭉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tube body 110 is a tube body with an open top. The tube body 110 has a receiving space 111 in which a sample, a buffer solution (B, see FIG. 3), and a test strip are accommodated. The accommodation space 111 may have an elongated shap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돌기(150)는 튜브 몸체(110) 중 개방된 단부 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돌기(130)는 튜브 몸체(110)의 자유단에 바로 형성되는 것이라면, 제2 걸림돌기(150)는 제1 걸림돌기(130)로부터 연장 방향(E)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are formed on the open end side of the tube body 110. Specifically, i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is formed directly at the free end of the tube body 11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is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E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It is formed in a spaced apart location.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돌기(150)는 튜브 몸체(110), 구체적으로 그의 외주면에서 각각 링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돌기(150) 중 적어도 하나는 튜브 몸체(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돌기(150) 각각은 연장 방향(E)을 따른 일 높이에서 연장 방향(E)에 수직한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돌기(15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may each protrude from the tube body 110, specifically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ring shape. In contrast,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rranged intermittent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e body 110. Each of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150 may be locat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E) at a heigh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E). 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캡(200)은 캡 몸체(210), 제1 걸림턱(230), 및 제2 걸림턱(2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200 may include a cap body 210, a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캡 몸체(210)는 하부가 개방된 덮개로서, 그 내부에 튜브 몸체(110)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캡 몸체(210)의 연장 방향(E)을 따른 길이는 튜브 몸체(110)의 길이 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The cap body 210 is a cover with an open bottom, and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upper part of the tube body 110 therein. The length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of the cap body 210 may be much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tube body 110.

제1 걸림턱(230)과 제2 걸림턱(250)은 캡 몸체(2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턱(230)은 제1 걸림돌기(130)에 대응하여 깊숙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라면, 제2 걸림턱(250)은 제2 걸림돌기(150)에 대응하여 캡 몸체(210)의 하단에 가깝게 형성된다. 제2 걸림턱(250)은 역시 제1 걸림턱(230)으로부터 연장 방향(E)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Specifically, i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is formed at a deep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s formed in the cap body 2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 is form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s also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E.

제1 걸림턱(230)과 제2 걸림턱(250)은 캡 몸체(210)의 내주면에서 각각 링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걸림턱(230)과 제2 걸림턱(250) 중 적어도 하나는 캡 몸체(210)의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230)과 제2 걸림턱(250) 각각은 연장 방향(E)을 따른 일 높이에서 연장 방향(E)에 수직한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걸림턱(230)과 제2 걸림턱(250)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may each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to form a ring shape. In contrast,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arranged intermittent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locat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E) at a height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이상에서 제1 걸림돌기(130)와 제1 걸림턱(230)은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 간의 결합시에 서로 걸림이 되는 제1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제2 걸림돌기(150)와 제2 걸림턱(250) 역시 서로 걸림이 되는 제2 걸림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걸림 구조는 제2 걸림 구조와 다르게 형성되고, 이는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 간의 결합의 편의성, 결합 구조의 안정성, 및 밀폐력 등과 관련된다. In the abov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form a first locking structure that catches each other when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are coupled,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 150) and the second locking step 250 also form a second locking structure that locks with each other. Here, the first locking structure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and this is related to the convenience of coupling between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structure, and sealing force.

그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의 기본 구조부터 파악해 본다. 도 3은 도 1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단면도이다. In relation to this, with reference to FIG. 3, let us first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s of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ure 1.

본 도면을 참조하면, 튜브 몸체(110)는 연장 방향(E)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튜브 몸체(110)의 상단에서 연장 방향(E)에 평행한 접선(TU)을 그엇을 때, 튜브 몸체(110)의 하부가 해당 접선(TU)과 이격되는 것으로부터 확인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tube body 110 may be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when a tangent line (TU)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E) is drawn from the top of the tube body 110, the lower part of the tube body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tangent line (TU).

그와 달리, 캡 몸체(210)는 연장 방향(E)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캡 몸체(210)의 하단에서 연장 방향(E)에 평행한 접선(CL)을 그엇을 때, 캡 몸체(210)의 상부가 해당 접선(CL)과 이격되는 것으로부터 확인된다. Alternatively, the cap body 210 may be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when a tangent line (CL)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E) is drawn from the bottom of the cap body 210, the upper part of the cap body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tangent line (CL).

이러한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의 구조적 관계로 인하여, 튜브 몸체(110)에 캡 몸체(210)를 결합하거나 캡 몸체(210)를 튜브 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쉬워질 수 있다. 반대로, 그들의 결합 상태에서 캡 몸체(210)가 튜브 몸체(110)에 대해 흔리거나 밀폐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는 제1 걸림 구조와 함께 제2 걸림 구조를 구비한 복합 걸림 구조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Due to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it will be easy to couple the cap body 210 to the tube body 110 or separate the cap body 210 from the tube body 110. You can. Conversely, the problem of the cap body 210 being shaken relative to the tube body 110 or insufficient sealing force in their combined state can be compensated by a composite locking structure having a second locking structure together with a first locking structure. .

위의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의 구체적 형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시험관 어셈블리(100 및 200)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The specific forms of the above first and second locking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FIG. 4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portion of the test tube assemblies 100 and 200 of FIG. 3.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걸림돌기(130)는 튜브 몸체(110)의 자유단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돌출된 형상은 대체로 원호형 단면의 형태일 수 있다. 튜브 몸체(110)가 캡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려는 분리 방향(O)으로 당겨질 때, 제1 걸림돌기(130) 중 제1 걸림턱(230)에 걸리는 부분은 제1 걸림부(131)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of the tube body 110, and its protruding shape may have a generally arc-shaped cross section. When the tube body 110 is pull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 in which it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ap body 210, the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that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is the first locking portion 131. It can be.

제2 걸림돌기(150)는 튜브 몸체(110)의 자유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돌출된 형상은 대체로 쐐기형 단면의 형태일 수 있다. 튜브 몸체(110)가 캡 몸체(210)로부터 분리되려는 분리 방향(O)으로 당겨질 때, 제2 걸림돌기(150) 중 제2 걸림턱(250)에 걸리는 부분은 제2 걸림부(151)가 될 수 있다.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protrudes at a point spaced downward from the free end of the tube body 110, and its protruding shape may generally have a wedge-shaped cross section. When the tube body 110 is pulled in the separation direction (O) in which it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ap body 210, the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that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s the second locking portion 151. It can be.

제1 걸림턱(230)은 캡 몸체(210)의 내주면 깊숙한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제1 걸림턱(230)은 제1 걸림부(131)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231)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면(231)이 캡 몸체(210)의 내주면과 이루는 각도는 제1 각도(α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걸림턱(230)은 제1 걸림면(231)을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서 제1 언덕면(235)을 구비한다. 제1 언덕면(235)은 제1 걸림돌기(130)가 제1 걸림면(231)과 맞물리도록 진행하기 위해 타고 넘는 부분이다. 제1 언덕면(235)은 캡 몸체(210) 내로 튜브 몸체(110)가 진입하는 진입 방향(I)을 따라 경사면(236)과 평행면(237)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평행면(237)이 연장 방향(E)에 평행한 면이라면, 경사면(236)은 그에 경사진 면일 수 있다.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at a deep poin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may have a first locking surface 231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131 .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may be defined as the first angle (α 1 ).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has a first hill surface 235 as a part other than the first locking surface 231. The first hill surface 235 is a portion over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moves to engage the first locking surface 231. The first hill surface 235 may be divided into an inclined surface 236 and a parallel surface 237 along the entry direction (I) in which the tube body 110 enters the cap body 210. If the parallel surface 237 is a surface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E, the inclined surface 236 may be a surface inclined thereto.

제2 걸림턱(250)은 캡 몸체(210)의 내주면 외측 지점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제2 걸림턱(250)은 제2 걸림부(151)와 맞물리는 제2 걸림면(251)을 가질 수 있다. 제2 걸림면(251)이 캡 몸체(210)의 내주면과 이루는 각도는 제2 각도(α2)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α2)는 제1 각도(α1) 보다 작은 각도일 수 있다. 제2 걸림턱(250)은 제2 걸림면(251)을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서 제2 언덕면(255)을 구비한다. 제2 언덕면(255)은 제2 걸림돌기(150)가 제2 걸림면(251)과 맞물리도록 진행하기 위해 타고 넘는 부분이다. 제2 언덕면(255)은 캡 몸체(210) 내로 튜브 몸체(110)가 진입하는 진입 방향(I)을 따라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s formed to protrude at an outer poin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may have a second locking surface 251 engaged with the second locking portion 151.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51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210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angle (α 2 ). Here, the second angle (α 2 ) may be an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α 1 ).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has a second hill surface 255 as a part other than the second locking surface 251. The second hill surface 255 is a portion over whic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moves to engage the second locking surface 251. The second hill surface 255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long the entry direction (I) in which the tube body 110 enters the cap body 210.

이상에서, 제1 언덕면(235)의 연장 방향(E)을 따른 길이(L1)는 제2 언덕면(255)의 연장 방향(E)을 따른 길이(L2) 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131)와 제2 걸림부(151) 간의 간격(S1)은, 제1 걸림면(231)과 제2 걸림면(251) 간의 간격(S2)과 동일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length L 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of the first hill surface 235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L 2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E of the second hill surface 255 . In addition, the spacing (S 1 )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51 may be equal to the spacing ( S 2 ) between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51. there i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튜브 몸체(110)가 캡 몸체(210) 내로 진입 방향(I)을 따라 진입할 때, 제1 걸림돌기(130)는 제2 걸림턱(250)을 가볍게 타고 제1 걸림턱(230)에 걸리게 된다. 나아가, 제2 걸림돌기(150)는 제2 걸림턱(250)을 타고 넘에 그에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걸림부(131)는 제1 걸림면(231)에 걸리게 되고, 제2 걸림부(151)는 제2 걸림면(251)에 걸리게 된다. 그들 각각의 걸림에 따른 소리(걸림음)는 동시에 발생한다. 이는 앞서의 간격(S1)과 간격(S2)이 동일하기에 가능하다. 그들 간격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경우, 제1 걸림 구조 및 제2 걸림 구조에서 걸림음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세부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일반 사용자는 한 번의 걸림음만에 의해서도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 간의 결합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다. 발명자는 그들 간격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 사용자가 복합 결합 구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실수를 방지하는데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ube body 110 enters the cap body 210 along the entry direction (I),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lightly rides 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t gets caught at (230). Furthermor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rides ove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and is caught by it. As a result, the first engaging part 131 is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surface 231,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151 is caught by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51. The sound (jamming sound) of each of them occurs simultaneously.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revious interval (S 1 ) and the interval (S 2 ) are the same. If their spacing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locking sound may occur sequentially in the first locking structure and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In this case, a general user who lacks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structure may perceiv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is completed with just one locking sound. The inventor recognizes that equalizing their spacing is an important part of preventing mistakes that prevent general users from properly utilizing the complex combination structure.

제1 언덕면(235)의 길이(L1)가 제2 언덕면(255)의 길이(L2) 보다 큼에 의해서는, 제1 걸림돌기(130)가 제1 언덕면(235)을 보다 오래도록 타고 넘게 된다. 이는 캡 몸체(210)의 내경이 확대되는 형태로 캡 몸체(210)가 오래도록 변형되게 하여, 제2 걸림돌기(150)가 길이가 짧은 제2 걸림턱(250)을 타고 넘기 수월하게 한다. Since the length (L 1 ) of the first hill surface 235 is greater than the length (L 2 ) of the second hill surface 255,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130 looks at the first hill surface 235. It will last for a long time. This allows the cap body 210 to be deformed for a long time in the form of an enlarged inner diameter of the cap body 210, making it easier f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to ride over the short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제1 걸림돌기(130)가 원호형 단면을 갖는데 반해 제2 걸림돌기(150)는 쐐기형 단면을 가짐에 의해서는, 제2 걸림돌기(150)와 제2 걸림턱(250) 간의 결합이 견고해져서 밀폐력이 높아지게 한다. 또한, 캡 몸체(210)가 튜브 몸체(110)에 대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거리지 않게 한다. 나아가, 제1 걸림 구조와 제2 걸림 구조 간의 다른 형태로 인하여,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감이 부드러워지게 할 수 있다. Whil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5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50 is strong. This increases the sealing power. In addition, the cap body 210 is prevented from shaking left and right while coupled to the tube body 110. Furthermore, due to the different shapes between the first locking structure and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the user's feeling of operation can be smoothed dur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튜브 몸체(110)가 캡 몸체(210) 내에서 분리 방향(I)을 따라 후퇴할 때는, 제1 걸림돌기(130)는 제1 걸림턱(2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려 할지라도, 제2 걸림돌기(150)는 제2 걸림턱(250)에 대해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튜브 몸체(110)와 캡 몸체(21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어,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시료, 버퍼 용액 등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준의 밀폐력이 확보된다. When the tube body 110 retreats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I) within the cap body 21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30 is attached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even if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150) is firmly caught with respect to the second locking step (250). As a result, a firm connection between the tube body 110 and the cap body 210 is maintained, and a sealing force at a level that prevents the sample, buffer solution, etc.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from leaking is secured.

상기와 같은 시험관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튜브와 캡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 test tube assembly and the tube and cap us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100: 튜브 110: 튜브 몸체
130: 제1 걸림돌기 150: 제2 걸림돌기
200: 캡 210: 캡 몸체
230: 제1 걸림턱 250: 제2 걸림턱
100: tube 110: tube body
130: first stumbling protrusion 150: second stumbling protrusion
200: cap 210: cap body
230: first locking jaw 250: second locking jaw

Claims (12)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튜브; 및
캡 몸체와,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튜브 몸체 또는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평면들 내에서 위치하는 링 형상으로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도 서로 다른 구조를 가져서, 상기 제1 걸림턱 간의 제1 걸림 구조와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턱 간의 제2 걸림 구조는 복합 걸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들은, 상기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정된 것인, 시험관 어셈블리.
A tube having a tube body and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tube body; and
It includes a cap having a cap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ap body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a ring shape located in different plan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the cap bod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lso have different structures, so that the first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s a composite locking structure,
The test tube assembly, wherein the planes are set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exten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면이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과 이루는 제1 각도는, 상기 제2 걸림면이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과 이루는 제2 각도 보다 큰 것인, 시험관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t includes a first engaging surface or a second engaging surface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r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In the coupled state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the first angle formed by the first engaging surfac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s larger than the second angle formed by the second engaging surface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원호형 단면을 갖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쐐기형 단면을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s a wedge-shaped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 및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타고 넘어서 상기 제1 걸림면 또는 상기 제2 걸림면에 걸림되게 유도하는 제1 언덕면 또는 제2 언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언덕면은,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언덕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 first engaging surface or a second engaging surface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r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and
It includes a first hill surface or a second hill surface that guid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o ride over and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surface or the second locking surface,
The first hill surface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second hill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구조 및 상기 제2 걸림 구조는,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1 걸림 구조에 의한 제1 걸림과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의한 상기 제2 걸림이 동일 시점에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시험관 어셈블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engaging structure and the second engaging structure are,
A test tube assembly formed so that the first locking by the first locking structure and the second locking by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occur at the same tim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캡에 결합 가능한 튜브로서,
상기 캡 몸체와 결합됨에 의해 폐쇄되는 개방된 상부를 구비하는 튜브 몸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튜브 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평면들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제1 걸림턱 또는 상기 제2 걸림턱과의 걸림 구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복합 걸림 구조가 달성되도록 각기 다른 형상을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용 튜브.
A tube that can be coupled to a cap having a cap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ap body,
a tube body having an open top that is closed by engaging the cap body;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to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It include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so as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 a pair of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ube bod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ve different shapes to achieve a complex locking structure by forming different locking structures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는, 원호형 단면을 갖고,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쐐기형 단면을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용 튜브.
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The second stopping protrusion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튜브에 결합되는 캡으로서,
상기 튜브 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캡 몸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제1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제2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튜브 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평면들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걸림 구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복합 걸림 구조가 달성되도록 각기 다른 형상을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용 캡.
A cap coupled to a tube having a tube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tube body,
a cap body formed to be coupled to the tube body;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n response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and
It includes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 a pair of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ube bod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ve different shapes to achieve a complex locking structure by forming locking structures differently from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 및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상기 제2 걸림돌기가 타고 넘어서 상기 제1 걸림면 또는 상기 제2 걸림면에 걸림되게 유도하는 제1 언덕면 또는 제2 언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언덕면은,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언덕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시험관 어셈블리용 캡.
According to clause 8,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 first engaging surface or a second engaging surface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or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and
It includes a first hill surface or a second hill surface that guid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to ride over and be caught by the first locking surface or the second locking surface,
The first hill surface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second hill surfac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ap body.
상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이루는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의 개방된 단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튜브; 및
상기 몸체의 개방된 단부 측에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에 대응하는 제1 걸림돌기 및 제2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몸체는, 상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캡 몸체는, 상기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 그리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튜브 몸체 또는 상기 캡 몸체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평면들에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링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도 서로 다른 구조를 가져서, 상기 제1 걸림턱 간의 제1 걸림 구조와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턱 간의 제2 걸림 구조는 복합 걸림 구조를 형성하는, 시험관 어셈블리.
A tube having a tube body in the shape of a tube with an open top,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body to be located on the open end side of the tube body; and
a cap body whose lower part is ope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pen end side of the body, and a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Including a cap provided,
The tube body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top, and the cap body is taper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ttom,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nd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in planes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be body or the cap body. Forming a pair of rings arrange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have different structures,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lso have different structures, so that the first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 test tube assembly, wherein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s a composite locking struct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걸림돌기 각각은,
제1 걸림부 또는 제2 걸림부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턱 및 상기 제2 걸림턱 각각은,
상기 제1 걸림부 또는 상기 제2 걸림부와 맞물리는 제1 걸림면 또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걸림면과 상기 제2 걸림면 간의 간격과 동일하여, 상기 튜브와 상기 캡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제1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과 상기 제2 걸림 구조에 의한 걸림은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시험관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use 1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is,
It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or a second engaging portion,
Each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t includes a first engaging surface or a second engaging surface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art or the second engaging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art and the second engaging part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so that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ube and the cap, engaging by the first engaging structure and A test tube assembly in which the locking by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occurs simultaneously.
삭제delete
KR1020210040531A 2021-03-29 2021-03-29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KR1026121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31A KR102612184B1 (en) 2021-03-29 2021-03-29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531A KR102612184B1 (en) 2021-03-29 2021-03-29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42A KR20220135042A (en) 2022-10-06
KR102612184B1 true KR102612184B1 (en) 2023-12-12

Family

ID=8359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531A KR102612184B1 (en) 2021-03-29 2021-03-29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1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366Y1 (en) 2005-09-21 2005-12-21 김현화 Tube-type container
TW201831672A (en) * 2017-02-24 2018-09-01 翔宇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Cell storage container allowing a cell sample to be in a confined space during the sampling process so as to reduce the opportunities of polluting the sample
WO2018169196A1 (en) * 2017-03-16 2018-09-20 (주)연우 Tube container including wide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609A (en) * 2014-10-08 2016-04-18 박진호 opening and closing Cap for beverage vesse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366Y1 (en) 2005-09-21 2005-12-21 김현화 Tube-type container
TW201831672A (en) * 2017-02-24 2018-09-01 翔宇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Cell storage container allowing a cell sample to be in a confined space during the sampling process so as to reduce the opportunities of polluting the sample
WO2018169196A1 (en) * 2017-03-16 2018-09-20 (주)연우 Tube container including wide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042A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1685B2 (en) Sample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US4387725A (en) Device for use in the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medical specimens
CA2126527C (en) Combination stopper-shield closure
DE69808538T2 (en) Device for collecting blood or other body fluids
US200502580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winding a needle portion
CA2954658A1 (en) Biological fluid micro-sample management device
EP1239963B1 (en) Closure device for a vacuum sample collector
KR102612184B1 (en) Test tube assembly, tube and cap used therefor
US20170119975A1 (en) Fluid injection needle uni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needlestick injury and infection
US20100294734A1 (en) Samples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CN103355863B (en) Rope belt end part installation part
JP5621139B2 (en) Blood collection set and sampling holder
ITUD20010192A1 (en) SET OF MODULAR CONTAINERS FOR HANDLING, TRANSPORTING AND STORING SLIDES FOR MICROSCOPE SAMPLES
US6666052B1 (en) Automobile pedal lockset with vertical entry
KR200496541Y1 (en) case assembly comprising a filter tip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filter tip accommodated thereof and sample extraction tube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sample extraction tube accommodated thereof
EP1852187A1 (en) Samples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KR102522436B1 (en) Liquid Biopsy Collecting Apparatus
CN210400922U (en) Blood spot collecting tube
KR101517582B1 (en) Cork of blood collection tube
KR100864064B1 (en) Hollow fishing rod
EP4360664A1 (en) Essence diffusing rod structure with a gripping device
JPS6137356Y2 (en)
DE2734720A1 (en) Tube for sepn. by centrifugation - is made of synthetic material and contains moving cylindrical separator preventing subsequent remixing
JP2020062846A (en) Seal stand
KR101250804B1 (en) Cup for brushing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