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26B1 -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326B1
KR102611326B1 KR1020220126024A KR20220126024A KR102611326B1 KR 102611326 B1 KR102611326 B1 KR 102611326B1 KR 1020220126024 A KR1020220126024 A KR 1020220126024A KR 20220126024 A KR20220126024 A KR 20220126024A KR 102611326 B1 KR102611326 B1 KR 10261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sign
server
consulting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망고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망고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망고트리
Priority to KR102022012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326B1/ko
Priority to KR1020230172574A priority patent/KR20240047331A/ko
Priority to KR1020230172571A priority patent/KR20240047329A/ko
Priority to KR1020230172572A priority patent/KR20240047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서버 상에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등록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구매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며,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되는 디자인 샘플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Design creation system according to product analysis}
본 발명은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상품에 적합한 디자인 샘플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은 상품의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차별성뿐 아니라 상품의 광고물이나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웹페이지의 감각적인 디자인에 의해 구매 욕구를 자극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언택트 소비가 활발해지면서,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감각적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디자인 결과물은 상품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지 않고 디자인 업체의 시안에 따라 제작되거나, 비전문가인 고객 측의 제안에 따라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고객(상품 판매자)은 판매량 증가를 위한 판매 전략과 무관하게 디자인 결과물을 얻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53732호(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판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의 판매 전략을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컨설팅을 수행함과 동시에, 컨설팅 결과를 기반으로 판매량 증가에 효과적인 디자인을 계획하여 제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서버 상에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등록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구매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며,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되는 디자인 샘플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의 판매량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하는 상품 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진단부는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에서 기준 기간 내 판매량이 임계치 이상 증가된 상품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상품들과 연관된 검색 키워드들 중 공통된 키워드를 상기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로 판단하는 트렌드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진단부는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 및 상기 상품의 판매량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하는 랭킹 추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상품의 판매량 증가를 위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컨설팅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설팅 수행부는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와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조합하여 상기 상품의 트렌드 부합 정도 및 판매량에 대한 문제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문제 상황별 컨설팅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디자인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상기 컨설팅 유형과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의 대응 정도를 의미하는 적합도 수치에 기반하여,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배경 이미지를 구비하고, 구비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에 대하여 색상 및 원근감에 기반하여 컨셉을 분류하고,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컨셉을 디자인 샘플의 컨셉으로 지정하는 컨셉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가,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판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의 판매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되는 디자인 샘플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을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판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의 판매 전략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컨설팅을 수행함과 동시에, 컨설팅 결과를 기반으로 판매량 증가에 효과적인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설팅 수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추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개인화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10)은 서버(100), 판매자 단말(200) 및 소비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서버(100)는 통신부, 저장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예, 판매자 단말 및 소비자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10)은 서버(100)의 통신부와 판매자 단말(200) 및 소비자 단말(300)의 통신부 간의 통신 기능을 통해 상품의 판매 동작 및 서버(100) 내에서 생성된 컨설팅 정보 및 디자인 정보가 상기 판매자 단말(200) 로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의 제어부(또는 프로세서)는 상품의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자의 판매 활동에 대한 컨설팅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상품의 판매에 필요한 디자인 결과물을 생성하는 동작의 전반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게시하여 소비자 단말(300)을 통해 소비자가 검색 및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판매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판매 정보에 기반하여 판매량의 증가를 위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컨설팅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의 판매 활동과 관련된 디자인(판매 페이지 디자인, 광고 디자인, 상품 포장 디자인 등)의 생성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단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설팅 수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 추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서버(100)는 판매 수행부(110), 상품 진단부(120), 컨설팅 수행부(130) 및 디자인 추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100)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 내 판매 수행부(110), 상품 진단부(120), 컨설팅 수행부(130) 및 디자인 추천부(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상품의 판매 동작 전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행부(11)는 예컨대, 판매 상품의 등록, 소비자의 결제 동작 지원, 판매와 관련된 정보의 수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판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서버(100)의 통신부가 판매자 단말(200)측으로부터 수신된 상품 등록 요청 및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가 필수 항목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수 항목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판매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판매 상품을 등록하는 동작은 수신된 판매 상품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이 소비자에 의해 검색되고 판매될 수 있도록 판매가 이루어지는 웹 또는 앱 내 페이지(예, 마켓 페이지)에 게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상품의 판매를 중개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100)의 통신부가 소비자 단말(300)로부터 상품 검색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소비자 단말(300)측 요청에 대응하는 기 등록 상품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의 통신부가 소비자 단말(300)로부터 기 등록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상기 상품에 대한 판매에 요구되는 일련의 동작(예, 구매 옵션 확인, 소비자 정보 확인, 결제 동작 수행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수행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의 진단 및 컨설팅 수행에 요구되는 정보인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는 판매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며,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고, 소비자 단말(300)로부터 획득되거나 서버(100)내 저장부에 기록되는 자료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에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후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판매 정보에는 소비자의 연령대, 소비자의 성별, 소비자의 사용 기기(PC, 모바일), 판매량, 페이지 조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진단부(120)는 상기 상품의 판매량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의 현 판매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의 판매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 상기 상품 진단부(120)는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판매 정보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판매 동작과 관련된 정보이며,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로, 소비자가 해당 상품을 검색하기 위해 입력한 검색 키워드와 상기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고리는 일반적인 오픈마켓에서 상품을 분류하는 방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디지털/가전, 의류, 잡화, 화장품/미용, 식품, 가구/인테리어, 생활/건강 등의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품 진단부(120)는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하는 트렌드 분석부(121)와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하는 랭킹 추적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진단부(120)의 구성 중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특정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분야에서 이슈가 되는 키워드를 추출함을 통해 상기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가 일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분석이 요청된 특정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식별된 카테고리 내 상품들 중 기준 기간 내 판매 지표(ex, 판매량, 구매 후기의 개수, 판매 페이지 조회수)가 임계치 이상 증가된 상품들을 선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상기 선별된 상품들과 연관된 키워드들(ex, 구매 후기 내 키워드, 검색 키워드 등) 중 기준 비율 이상 공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키워드들을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키워드들을 상기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를 단계별로 세분화 정도를 다르게 분류하여, 판매자가 원하는 범주에서의 트렌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렌드 분석부(121)는 일 상품의 카테고리를 1차 카테고리(대분류), 2차 카테고리(중분류) 등 복수의 단계별 카테고리로 설정함을 통해 카테고리의 세분화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별 카테고리는 전기 방석의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전기 방석이 속한 1차 카테고리는 디지털/가전 분야로 설정될 수 있고, 2차 카테고리는 전기 매트 분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진단부(120)의 구성 중 상기 랭킹 추적부(122)는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 및 상기 상품의 판매 지표(예, 판매량)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랭킹 추적부(122)는 대상 상품이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제작'의 명칭으로 등록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를 '스마트스토어', '상세페이지' 등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의 검색 횟수를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랭킹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랭킹 추적부(122)는 상기 상품의 판매 지표(ex, 판매량, 구매 후기의 개수, 판매 페이지 조회수)에 대응하여 해당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진단부(120)가 산출한 정보(카테고리의 트렌드와 기간별 랭킹)는 컨설팅 수행부(130)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량 증가를 위한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컨설팅 수행부(130)는 대상 상품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문제 진단부(131) 및 전략 수립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상기 정보(카테고리의 트렌드와 기간별 랭킹)을 기반으로 상기 상품이 지닌 문제 상황을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상기 상품이 판단하는 문제 상황은 기 설정된 항목 중 하나일 수 있다. 문제 상황의 기 설정된 항목은 예를 들어, 대상 상품이 트렌드에 부합하지 않고 판매량 저조, 대상 상품이 트렌드에 부합하나 판매량 저조, 대상 제품이 트렌드에 부합하지 않고 판매량 호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대상 제품에 대응하는 키워드(검색 키워드, 구매 후기 상에서 기준치 이상 검출된 키워드)와 상기 제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상품의 키워드와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와의 매칭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키워드 간의 동일성(전체 글자 동일), 유사성(일부 글자 동일), 유추 가능성(각 키워드들의 연계 키워드들 중 동일 또는 유사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동일성, 유사성, 유추 가능성 각각에 따라 순차적으로 감소한 크기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을 통해, 매칭 정도를 점수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제 진단부(131)는 상기 매칭 정도에 대한 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대상 상품이 트렌드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략 수립부(132)는 상기 문제 진단부(131)에서 판단된 문제 상황에 대응하여 판매량의 증가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략을 수립하는 동작은 상기 문제 상황별 컨설팅 유형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설팅 유형은 상품의 판매를 위해 트렌드함의 강조 정도에 따라 A유형(예, 강조), B유형(예, 보통), C유형(예, 강조하지 않음) 등으로 분류되는 항목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컨설팅 유형은 다양한 항목에 대응하여 단계별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컨설팅 유형은 상기 문제 진단부(131)에서 판단된 문제 상황의 항목에 각각 대응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략 수립부(132)는 특정 상품에 대한 문제 상황이 '트렌드에 부합하지 않고 판매량 저조'로 판단된 경우, B유형(예, 보통)로 지정하고, '트렌드에 부합하고 판매량 저조'로 판단된 경우, A유형(예, 강조)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추천부(140)는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여 판매자 단말(200)측에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측은 본인의 제품의 판매 전략에 대응하는 디자인 샘플을 제안받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판매자 측이 원하는 디자인의 결과물이 생성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서버(100)의 저장부에는 상기 컨설팅 유형과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의 대응 정도를 의미하는 적합도 수치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추천부(140)는 상기 기 저장된 적합도 수치에 기반하여,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자인 추천부(140)는 컨셉 추천부(141) 및 오브젝트 추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셉 추천부(141)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에 미리 구비된 복수의 배경 이미지에 대하여 색상 및 원근감에 기반하여 컨셉을 분류하고,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컨셉을 디자인 샘플의 컨셉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컨셉이 분류되는 기준은 복잡도(포함 가능한 오브젝트의 개수에 따라 증가된 값으로 산출됨), 텍스트 포함 정도, 배경 이미지의 채도, 배경 이미지의 명도 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 추천부(142)는 저장부에 기 구비된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사물, 인물, 텍스트 등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자인 샘플에 포함될 오브젝트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컨셉 추천부(141)와 상기 오브젝트 추천부(142)에 의해 지정된 컨셉 및 오브젝트는 각각 선택되어 지정된 사이즈의 캔버스에 샘플 형식으로 제작되어 판매자 단말(200)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품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품의 등록 및 판매를 수행하는 605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610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615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에 대한 진단은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00)는 상품에 대한 진단에 대응하는 컨설팅 전략을 수립하고 판매자 단말(200)측에 제공하는 62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컨설팅 전략은 상품에 대한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설팅 전략을 수립하는 동작에는 상기 상품에 대한 진단을 기반으로 컨설팅 유형을 선택하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판매자 단말(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판매자가 등록 요청한 상품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소비자들에 의해 검색된 비율과 같은 판매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의 801을 살펴보면, 상기 서버(100)는 등록된 상품의 검색 비율을 사용 기기별(PC, 모바일)별로 안내할 수 있고, 기간별 검색된 횟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802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특정 판매 사이트에서의 예상 매출, 판매량, 동일 상품들의 평균 가격 정보 등 기본적인 판매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803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해당 제품의 판매 페이지가 노출되는 지면의 순서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상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검색 키워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판매자 단말(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901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상품에 관한 분야를 카테고리에 따라 지정할 수 있고, 기간, 기기별, 성별, 연령별 등의 옵션 사항을 지정하여 검색 키워드의 순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902에서는 판매자 단말(200)측의 옵션 선택에 따라 특정 상품에 해당하는 검색 키워드의 순위가 산출된 결과가 표시되고 있다.
도 10은 상기 서버(100)가 키워드 랭킹 및 가격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903은 서버(100)가 날짜별로 판매자 단말(200)측에서 지정한 판매 상품과 관련된 검색 키워드별 랭킹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904에서는 서버(100)가 기간의 경과에 따라 대상 상품의 가격의 변동의 추이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100)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검색어, 랭킹정보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변화 추이 등의 다양한 추가 통계자료를 판매자 단말(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는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서버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침(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1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나아가, 제어부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어부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에는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10 : 판매 수행부
120 : 상품 진단부
130 : 컨설팅 수행부
140 : 디자인 추천부
200 : 판매자 단말
300 : 소비자 단말

Claims (8)

  1.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서버 상에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
    상기 등록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구매 요청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며,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되는 디자인 샘플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기준 기간 내 판매 지표가 임계치 이상 증가된 상품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품들과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 중 기준 비율 이상 공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키워드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트렌드로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상품의 키워드와,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간 글자의 동일성에 기반하여 매칭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정도에 따라 상기 상품의 트렌드 부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품의 트렌드 부합 여부 및 기간별 랭킹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이 지닌 문제 상황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문제 상황의 유형에 대응하는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되
    상기 디자인의 컨셉은 배경 이미지의 색상, 원근감, 오브젝트 포함 정도 및 텍스트 포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상품에 대응하는 검색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 및 상기 상품의 판매량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의 기간별 랭킹을 판단하는 랭킹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컨설팅 유형과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의 대응 정도를 의미하는 적합도 수치에 기반하여,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는 디자인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추천부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배경 이미지에 대하여 색상 및 원근감에 기반하여 컨셉을 분류하고,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컨셉을 디자인 샘플의 컨셉으로 지정하는 컨셉 추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8.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소비자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판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상품의 판매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에 의해 입력된 검색 키워드 및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획득된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품에 대한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 샘플을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에서 기준 기간 내 판매 지표가 임계치 이상 증가된 상품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품들과 연관된 복수의 키워드 중 기준 비율 이상 공통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키워드를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트렌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키워드와, 상기 상품이 속한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간 글자의 동일성에 기반하여 매칭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정도에 따라 상기 상품의 트렌드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상품의 트렌드 부합 여부 및 기간별 랭킹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이 지닌 문제 상황의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문제 상황의 유형에 대응하는 컨설팅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컨설팅 유형에 대응하는 디자인의 컨셉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자인 샘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의 컨셉은
    배경 이미지의 색상, 원근감, 오브젝트 포함 정도 및 텍스트 포함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126024A 2022-10-04 2022-10-04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61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24A KR102611326B1 (ko) 2022-10-04 2022-10-04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4A KR20240047331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랭킹을 도출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1A KR20240047329A (ko) 2022-10-04 2023-12-01 상품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따라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2A KR20240047330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온라인 판매와 연동되는 컨설팅 기반의 디자인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24A KR102611326B1 (ko) 2022-10-04 2022-10-04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72A Division KR20240047330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온라인 판매와 연동되는 컨설팅 기반의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4A Division KR20240047331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랭킹을 도출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1A Division KR20240047329A (ko) 2022-10-04 2023-12-01 상품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따라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326B1 true KR102611326B1 (ko) 2023-12-07

Family

ID=8916323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024A KR102611326B1 (ko) 2022-10-04 2022-10-04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4A KR20240047331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랭킹을 도출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1A KR20240047329A (ko) 2022-10-04 2023-12-01 상품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따라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2A KR20240047330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온라인 판매와 연동되는 컨설팅 기반의 디자인 생성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574A KR20240047331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랭킹을 도출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1A KR20240047329A (ko) 2022-10-04 2023-12-01 상품 카테고리의 트렌드에 따라 디자인을 제공하는 디자인 생성 시스템
KR1020230172572A KR20240047330A (ko) 2022-10-04 2023-12-01 상품의 온라인 판매와 연동되는 컨설팅 기반의 디자인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113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268A (ja) * 2003-02-07 2004-09-16 Sougoushouken Inc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102253732B1 (ko) 2020-12-03 2021-05-21 박혜윤 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KR20210065551A (ko) * 2019-11-27 2021-06-04 강수아 제품과 사용자의 매칭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칭 시스템
KR102322845B1 (ko) * 2021-07-15 2021-11-05 (주)그래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브랜드 마케팅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9268A (ja) * 2003-02-07 2004-09-16 Sougoushouken Inc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KR20200074843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리틀페이지 Sns 판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
KR20210065551A (ko) * 2019-11-27 2021-06-04 강수아 제품과 사용자의 매칭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칭 시스템
KR102253732B1 (ko) 2020-12-03 2021-05-21 박혜윤 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KR102322845B1 (ko) * 2021-07-15 2021-11-05 (주)그래코퍼레이션 인공지능 기반 브랜드 마케팅 전략 도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329A (ko) 2024-04-12
KR20240047331A (ko) 2024-04-12
KR20240047330A (ko)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3131B (zh) 穿搭推荐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6315524B2 (ja) 色パレットを使用した自動的な画像ベースの推奨
KR102246109B1 (ko) 소비자 선호도에 기반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719B1 (ko)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80150898A1 (en)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N112529665A (zh) 基于组合模型的产品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220151574A (ko) 인공지능 기반 웹사이트 크롤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콘텐츠 게시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397951B1 (ko) 미니 홈피 형식의 미용 정보 포털 사이트 운영 시스템
KR20210059593A (ko) 콘텐츠 기반의 상품 판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04981829A (zh) 优选图像标识码生成方法、优选图像标识码诊断方法及利用优选图像标识码的信息提供方法
KR102611326B1 (ko) 상품 분석에 따른 디자인 생성 시스템
US202101925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specific apparel attribute recommendation
KR20210001720A (ko)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356774B2 (ja)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JP2024521106A (ja) ユーザ固有の皮膚又は毛髪データを分析して、ユーザ固有の皮膚又は毛髪状態を予測する、人工知能ベース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4219587A (zh) 订单数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KR102648257B1 (ko)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헤어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45528A (ko) 콘텐츠 기반의 상품 판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20230187055A1 (en) Skin analysis system and method implementations
KR102645877B1 (ko) 인공지능 기반 상위 키워드 분석을 이용한 계절성 전자제품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2583308B1 (ko) 숏폼 컨텐츠를 이용한 패션 분석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699848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75067A (ko)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KR20230162410A (ko) 스타일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21333B1 (ko) 지역별 뷰티 트랜드 맵 활성화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