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192B1 -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 Google Patents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192B1
KR102611192B1 KR1020210107159A KR20210107159A KR102611192B1 KR 102611192 B1 KR102611192 B1 KR 102611192B1 KR 1020210107159 A KR1020210107159 A KR 1020210107159A KR 20210107159 A KR20210107159 A KR 20210107159A KR 102611192 B1 KR102611192 B1 KR 10261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acking pocket
stacking
pocke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5092A (en
Inventor
변용호
최종목
김홍조
유현성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2101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2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0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로서, 상기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품 수용부를 복수 개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s storage tray, which is capable of storing parts,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arts receiving portions formed to accommodate the parts; A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edg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At least one tray stacking pocket provided on the edge so that the component storage trays can be stacked up and down, a space having an entrance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n interior recessed inside the main body. It includes a space, and when the trays for storing the parts are stacked up and down,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A tray stacking pocket formed so that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even when located at a height that is acceptable.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not virtually joi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separat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from each other.

Description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한 부품 수납용 트레이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tray stacking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본 발명은 부품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쉬운 부품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storing parts, and in particular, to a tray for storing parts where it is easy to separat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from each other becaus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not actually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모바일 기기용 기판, 플렉서블 기판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 모듈 또는 글라스와 같이 얇고도 평평한 판형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용기인 트레이(Tr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Trays, which are rectangular containers, are widely used to store various types of substrate modules such as liquid crystal panels, substrates for mobile devices, and flexible substrates used in various mobile devices, or thin, flat plate-shaped components such as glass.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는 제조 가격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자재인 시트형 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을 경우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igure 1 shows such a conventional tray (T) for storing parts. For the sake of manufacturing cost and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onventional parts storage tray (T)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thin sheet-shaped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by the so-called vacuum forming method, and the thickness of the raw sheet-shaped member is very thi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not maintaining sufficient structural strength.

특히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 및 운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굽힘 강성 등 구조적 강도가 약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가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면에서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에 가해지는 하중(P)에 의하여 트레이의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찌그러져서,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수용된 판형 부품의 상면에 접촉하여 트레이에 수용된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parts storage tray (T) is often stored and transported in a multi-stage stacked state as shown in Figure 4, so when structural strength such as bending rigidity is weak,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re is a problem of slid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and as shown in Figure 5, part of the tray is tilted or distorted due to the load (P) applied to the tray, causing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a pair of adjacent trays to brea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part accommodated in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causing damage to the part accommodated in the tray.

물론 상기 구조적 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진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트레이의 제조 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Of cour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ructural strength,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tray (T) for storing parts using a sheet-like member with sufficient thickness, but in such a cas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tray occurs. .

따라서, 수용된 판형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적은 제조 비용으로 가볍고 굽힘 강성 등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received plate-shaped parts, there is a need for a tray for plate-shaped parts that ensures sufficient spacing between a pair of adjacent trays during multi-stage stacking, and is lightweight and has excell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bending rigidity at a low manufacturing cost. This is the situation.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T)는, 도 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포함하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se requirements, the conventional tray (T) for plate-shaped parts includes a plurality of stacking pockets (1) shown in FIG. 2 along the edge of the tray (T) as shown in FIG. 1. there is.

상기 적층용 포켓(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의 구조 강도를 높히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구비하며, 바닥부(2)와, 상기 바닥부(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측벽부(3)와, 상기 바닥부(2)의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바닥부(2)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역구배부(4)와,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과 같은 판형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부품 수용부(5)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적층시킨 상태에서는, 위쪽에 있는 트레이(T)의 바닥부(2)가 아래쪽에 있는 트레이(T)의 상면(6) 위에 올려지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stacking pocket 1 has a concave recessed shape in the shape of a "ㄷ" shape in order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tray T, and has a bottom portion 2 and the A side wall portion (3)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2), and a reverse gradient portion (4) inclined in such a way that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2)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inward from the inlet of the bottom portion (2). ) and a component receiving portion 5 that can accommodate plate-shaped components such as liquid crystal panels used in various mobile devices. And in the multi-stage stacked state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part 2 of the upper tray 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6 of the lower tray T.

그러나 상기 적층용 포켓(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쪽의 폭(Wa)이 뒷쪽의 폭(Wb)와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지면, 상측의 적층용 포켓(1)이 하측의 적층용 포켓(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거의 포개진 상태로 끼임으로써,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3, the stacking pocket 1 has a width (Wa) at the entrance side that is almost similar to the width (Wb) at the back side, so the upper tray (as shown in FIG. 5) When a load (P) is applied downward to T, the upper stacking pocket (1)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acking pocket (1) and is sandwiched in an almost overlapping state,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upper tray (T) and the lower tray (T).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trays (T) are in fact joi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렇게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서로 밀착되면, 부품 수용부(5)에 수용된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적층 상태와는 달리,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를 서로 분리시키기도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upper tray (T) and the lower tray (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way, the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component receiving portion (5) may be damaged, and unlike the normal stacked state as shown in FIG. 4, the upper tray (T ) and the lower tray (T) are difficult to separate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도록 구조가 개선된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arts storage devi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tray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ince the upper and lower trays are not in fact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is is to provide a tr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ay stacking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stacking pocket provided at least one on the edge of the parts storing tray so that parts storing trays capable of storing parts can be stacked up and down. As a pocket for use, it includes an internal space that is recessed inward as a space having an entrance, and when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a state where the trays for storing parts are stacked up and down,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Even if the stacking pocket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stacking pocket of the upper tray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is not caugh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so as not to do so.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측 폭이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nal spac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nal space by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is provided as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and that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at the entrance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opposite the entranc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일 수도 있다.Here, a floor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and a ceiling portion forming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wherein the width of the ceiling portion at the entrance side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opposite the entrance by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여기서, 상기 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Here, it protrudes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include a protrusion disposed at the inlet.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bottom part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is provided, and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part.

여기서,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 및 상기 적층용 포켓은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ponent storage tray and the stacking pocket are preferably formed by processing a thin sheet-like member by vacuum forming.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tray stacking pocket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arts storage tray so that parts storage trays capable of storing parts can be stacked up and down, and is a space having an entrance to the inside. It includes a recessed internal space, and when the trays for storing parts are stacked up and down,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used for stacking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Even if it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ocket, the stacking pocket of the upper tray is formed so that it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acking pocket of the lower tray and is not caught, so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In fact, since they are not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separate the upper and lower trays from each other.

도 1은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도 2의 적층용 포켓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의 적층용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XVIII-XVIII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ray for storing parts.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stacking pocket of FIG. 2 in a state in which trays for storing parts are stacked up and dow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rays shown in FIG. 1 are stacked together and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upper tray, so that the upper stacking pocket is inserted into the lower stacking pocket and is caugh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including a stacking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 7.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cking pockets shown in FIG. 7 are stacked vertically.
FIG. 1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s shown in FIG. 6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upper tray.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cket for stacking,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 12.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s shown in FIG. 12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upper tray.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cking p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16.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II-XVIII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 16.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ys shown in FIG. 16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upper tray.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y including a stacking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ing pocket shown in Figure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용기로서, 트레이 본체(10)와 상기 적층용 포켓(100)을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y (T) for storing par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having a rectangular plan shape as shown in FIG. 6, and includes a tray body 10 and the stacking pocket 100. The explanation will be made on the premise that it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thin sheet-like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using the so-called vacuum forming method.

상기 트레이 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와, 테두리부(12)와, 부품 수용부(13)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6, the tray main body 10 includes a main body 11, an edge 12, and a component receiving part 13.

상기 본체부(11)는,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에 배치된다.The main body portion 11 is a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12.

상기 테두리부(12)는, 상기 본체부(11)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The edge portion 12 is a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11 and has an “L” shaped cross section.

상기 부품 수용부(13)는,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에 형성된 직사각형 공간부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 is a rectangular space formed in the main body 11 to accommodate plate-shaped components, and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상기 부품 수용부(13)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으며, 판형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The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13 is recess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shaped component.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의 테두리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적층용 포켓(pocket)이다. The stacking pocket 100 has an edge portion 12 of the parts storage tray T so that the parts storage tray T capable of storing parts can be stacked up and down as shown in FIG. 10. ) is a pocket for stacking provided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서에 따른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1)와 바닥부(102)와 측벽부(103)와 천장부(104)와 후벽부(105)와 내부 공간(106)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6 to 8, the stacking pocket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n entrance 101, a bottom 102, a side wall 103, a ceiling 104, and a rear wall. It is provided with (105) and an internal space (106).

상기 입구(101)는, 상기 내부 공간(106)과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2)에 직사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The inlet 101 is an opening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106 and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edge portion 12 as shown in FIG. 7 .

상기 바닥부(102)는, 상기 내부 공간(106)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입구(101)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다.The bottom 102 is a part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106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10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02)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01)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portion 102 is provided in a flat shape, and extends inward from the inlet 101 by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 9.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측 폭(W1)은,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W1 on the inlet side of the bottom 102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on the opposite inlet side of the bottom 102 by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적층용 포켓(100)의 후단부가 상기 입구(101)에 간섭되어 걸리므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component storage trays (T) are stacked up and down, a load (P)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Even when the stacking pocket 100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rear end of the stacking pocket 100 is in the inlet 101. Since it is caught by interference,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06 of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is not jammed in an overlapped state. No.

상기 측벽부(103)는, 상기 바닥부(102)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벽부로서, 상기 바닥부(1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side wall portion 103 is a pair of wall portion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02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02.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103)는, 상기 입구(101)로부터 상기 후벽부(105)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03 ar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m becomes increasingly larger as it moves from the inlet 101 to the rear wall portion 105.

상기 천장부(104)는, 상기 내부 공간(106)의 천장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The ceiling portion 104 is a part that forms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106 and is inclined as shown in FIG. 11.

상기 천장부(10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01)로부터 상기 후벽부(105)를 향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바닥부(102)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의 역구배 경사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ceiling portion 104 has a reverse gradient in which the height from the bottom portion 102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inward from the inlet 101 toward the rear wall portion 105. Equipped with

상기 후벽부(105)는, 상기 바닥부(102)의 뒤쪽에 배치되는 벽부로서, 상기 바닥부(1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rear wall portion 105 is a wall portion disposed behind the bottom portion 102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102.

상기 내부 공간(106)은, 상기 입구(101)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공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The internal space 106 is a space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the inlet 101, and has a concave recessed shape in the shape of a “ㄷ” as shown in FIG. 11.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적층용 포켓(200)은 입구(201)와 바닥부(202)와 측벽부(203)와 천장부(204)와 후벽부(205)와 내부 공간(206)과 돌출부(210)와 홈부(211)를 구비한다.Meanwhile, Figure 12 shows a stacking pocket 200,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acking pocket 200 has an entrance 201, a bottom 202, a side wall 203, a ceiling 204, a rear wall 205, an internal space 206, a protrusion 210, and a groove 211. ) is provided.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술한 적층용 포켓(100)과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stacking pocket 200 is the same or corresponds to most of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stacking pocket 100 described above,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202)의 입구측 폭은, 상기 바닥부(202)의 입구 반대측 폭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let side of the bottom portion 202 has the same value as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202 opposite the inlet sid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구(201)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a protrusion 210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t the inlet 201.

상기 돌출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02)로부터 상기 입구(201)의 중심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protrusion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202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201 at a predetermined height.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10)의 간섭에 의하여,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의 상기 내부 공간(2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5, even when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rotrusion 210,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06 of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does not get stuck in an open position.

상기 홈부(2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0)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긴 홈부이다.The groove 211 is a groove form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protrusion 210 by vacuum forming, as shown in FIG. 13.

그리고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3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적층용 포켓(300)은 입구(301)와 바닥부(302)와 측벽부(303)와 천장부(304)와 후벽부(305)와 내부 공간(306)을 구비한다.And Figure 16 shows a stacking pocket 300, which is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tacking pocket 300 has an entrance 301, a bottom 302, a side wall 303, a ceiling 304, a rear wall 305, and an internal space 306.

상기 적층용 포켓(300)은 상술한 적층용 포켓(100)과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stacking pocket 300 are the same as or correspond to the stacking pocket 100 described above,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는, 하단의 폭(W3)이 상단의 폭(W4)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entrance 301 of the stacking pocket 300 has a lower width W3 larger than an upper width W4.

그리고 상기 천장부(304)의 입구측 폭(W4)이 상기 바닥부(302)의 입구 반대측 폭(W3)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다.Additionally, the width W4 of the ceiling portion 304 on the inlet side is smaller than the width W3 of the floor portion 30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후단부 하단이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 상단에 간섭되어 걸림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기 내부 공간(3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9, even when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stacking pocket 300 interferes with and catches the top of the inlet 301 of the stacking pocket 300, so that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opened to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06 of the stacking pocket 300 of (T) and is not stuck in an overlapping state.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경우에는,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보통 상측의 적층용 포켓(300)의 하단부가 하측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단부와 거의 비슷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끼임 방지" 내지 "삽입 방지"의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In the case of the stacking pocket 300, when the component storage trays (T) are stacked up and down, a load (P)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Even if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acking pocket 300 is usually used for the lower stacking pocket 300. In that it often has a height almost similar to the upper part of the pocket 300, it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prevention of pinching” or “prevention of insertion.”

상술한 구성이 적층용 포켓(100)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의 테두리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101)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106)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The stacking pocke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t least one portion on the edge portion 12 of the parts storage tray T so that the parts storage tray T capable of storing parts can be stacked up and down. The tray stacking pocket provided above includes an internal space 106 recessed inward as a space having an entrance 101, and a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the component storage trays T stacked up and down. The height at which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as a load P is applied downward to (T). Even in the case where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06 of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s formed so as not to get caught. Therefore, since the upper tray (T) and the lower tray (T) are not actually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separate the upper tray (T) and the lower tray (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상기 내부 공간(106)의 입구측 폭(W1)이 상기 내부 공간(106)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stacking pocket 1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because the width (W1)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ior space (106)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ior space (106)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06 of the stacking pocket 1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to easily form a structure that does not get caught. .

또한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상기 내부 공간(1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측 폭(W1)이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기 바닥부(102)의 형상만으로도, 상측에 위치한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cking pocket 100 is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102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106, and the entrance width W1 of the bottom portion 102 is equal to that of the bottom portion 102. Since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shape of the bottom 102 alone determines that the stacking pocket 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the inner space of the stacking pocket 100 located on the lower side ( 106),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form a structure that does not get stuck when inserted.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300)은, 상기 내부 공간(3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302); 상기 내부 공간(306)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304);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304)의 입구측 폭(W4)이 상기 바닥부(302)의 입구 반대측 폭(W3)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후단부 하단이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 상단에 간섭되어 걸림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기 내부 공간(3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And the stacking pocket 300 includes a bottom portion 302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306; and a ceiling portion 304 forming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306, wherein the width (W4) of the entrance side of the ceiling portion (30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W3) of the floor portion (302) opposite the entrance to a predetermined value. Since the difference is small,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stacking pocket 300 interferes with and catches the top of the entrance 301 of the stacking pocket 300, thereby causing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306 of the stacking pocket 3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does not get stuck in an overlapping state.

또한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기 입구(201)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201)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210)를 구비하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10)의 간섭에 의하여,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의 상기 내부 공간(2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cking pocket 200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201 and has a protrusion 210 disposed in the inlet 201, as shown in FIG. 15. Likewise, even when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located at a height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interference from the protrusion 210 may occur. As a result,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06 of the stacking pocket 200 of the tray T loca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it is not jammed in an overlapping state. there is.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기 내부 공간(2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202)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바닥부(2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진공성형에서 역구배부(4)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위 슬라이드 유닛(Slide unit)이라는 장치를 장착한 금형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21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stacking pocket 200 has a bottom 202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206, and the protrusion 210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202, so vacuum forming i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trusion 210 can be easily formed through a mold equipped with a so-called slide unit, which is used to form the reverse gradient 4.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으나, 사출성형법 등에 의하여 가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tray T for storing parts is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thin sheet-like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by the so-called vacuum forming method, but of course, it can also be process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or the like.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equivalent configurations modified or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interpreted a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ought.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부품 수납용 트레이
10: 트레이 본체
11: 본체부
12: 테두리부
13: 부품 수용부
100: 적층용 포켓
101: 입구
102: 바닥부
103: 측벽부
104: 천장부
105: 후벽부
106: 내부 공간
200: 적층용 포켓
201: 입구
202: 바닥부
203: 측벽부
204: 천장부
205: 후벽부
206: 내부 공간
210: 돌출부
211: 홈부
300: 적층용 포켓
301: 입구
302: 바닥부
303: 측벽부
304: 천장부
305: 후벽부
306: 내부 공간
1: 종래의 적층용 포켓
2: 바닥부
3: 측벽부
4: 역구배부
5: 부품 수용부
6: 상면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 *
T: Tray for parts storage
10: Tray body
11: main body
12: Edge part
13: Parts receiving portion
100: Pocket for stacking
101: entrance
102: bottom part
103: side wall part
104: Ceiling part
105: rear wall
106: Internal space
200: Pocket for stacking
201: Entrance
202: bottom part
203: side wall part
204: Ceiling part
205: rear wall
206: Internal space
210: protrusion
211: Home Department
300: Pocket for stacking
301: entrance
302: bottom part
303: side wall portion
304: Ceiling part
305: rear wall
306: interior space
1: Conventional stacking pockets
2: bottom part
3: Side wall part
4: Reverse gradient
5: Part receiving part
6: top surface

Claims (7)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로서,
상기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품 수용부를 복수 개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s a parts storage tray that can store part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s formed to accommodate the components;
A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edge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At least one tray stacking pocket provided on the edge so that the component storage trays can be stacked up and down, a space having an entrance ope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n interior recessed inside the main body. It includes a space, and when the trays for storing the parts are stacked up and down, a load is applied downward to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a tray stacking pocket formed so that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not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acking pocket of the tray located on the lower side even when located at a height that is acceptable. tray for storing par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측 폭이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tray stacking pocket is a tray for storing parts, wherein the width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ior spac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side of the interior space by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2,
The tray stacking pocket has a bottom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A tray for storing parts, wherein the width of the inlet side of the bottom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ortion opposite the inlet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2,
The tray stacking pocket includes a bottom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A ceiling portion forming the ceiling of the interior space,
A tray for storing part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entrance side of the ceil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loor portion opposite the entrance by a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상기 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1,
The tray stacking pocke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and includes a protrusion disposed at the inl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5,
The tray stacking pocket has a bottom forming the bottom of the interior space,
A tray for storing parts, wherein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제 1항에서 있어서,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
In paragraph 1,
A tray for storing parts, which is formed by processing a thin sheet-like member by vacuum forming.
KR1020210107159A 2021-08-13 2021-08-13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KR102611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en) 2021-08-13 2021-08-13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en) 2021-08-13 2021-08-13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92A KR20230025092A (en) 2023-02-21
KR102611192B1 true KR102611192B1 (en) 2023-12-07

Family

ID=8532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en) 2021-08-13 2021-08-13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66A (en) * 2011-08-31 2013-03-14 Sanyu Kikaku:Kk Storage tray
JP2013052907A (en) * 2011-09-05 2013-03-21 Seiko Epson Corp Soft tr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735U (en) * 1995-02-09 1995-11-07 李 炳武 Chicken egg tray
KR20070051414A (en)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Tray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66A (en) * 2011-08-31 2013-03-14 Sanyu Kikaku:Kk Storage tray
JP2013052907A (en) * 2011-09-05 2013-03-21 Seiko Epson Corp Soft tra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1773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92A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640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US9376251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US8453842B2 (en) Semiconductor wafer container
KR20180111968A (en) Item storage case
KR100812766B1 (en) A box for keeping glass substrate
JP5470060B2 (en) Storage tray
KR100776337B1 (en) Tray for carrying substrate
KR102356344B1 (en) A Tray for Planar Parts
KR100919292B1 (en) Tray for carry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2611192B1 (en) Parts Storage Tray with Pockets for Stacking
KR101934963B1 (en) A Tray for Planar Parts
JP2008044636A (en) Storage tray
JP5406120B2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body
US20170184884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liquid crystal glass substrates
KR102643165B1 (en) Tray for Planar Parts that is easy to stack in multiple stages
KR101408669B1 (en) Thin plate storage container
US10004153B2 (en) Cassette for curved substrates
CN218807786U (en) Protective part for photovoltaic module frame
CN210311274U (en) Circuit board transfer disc for preventing scratching board damage
KR102551878B1 (en) Lamination stopper forming unit of vacuum forming mold for tray
KR102614983B1 (en) Tray for accommodating
CN209905291U (en) Drawer type pop-up paper box
US20230070970A1 (en) Substrate tray
JP5678494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container
CN214986805U (en) Turnover tray for T-shaped miniature electroni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