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633B1 -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633B1
KR102610633B1 KR1020210088281A KR20210088281A KR102610633B1 KR 102610633 B1 KR102610633 B1 KR 102610633B1 KR 1020210088281 A KR1020210088281 A KR 1020210088281A KR 20210088281 A KR20210088281 A KR 20210088281A KR 102610633 B1 KR102610633 B1 KR 10261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ic
wiring
electrode
electrodes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921A (ko
Inventor
배병성
우재근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2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G02F1/294Variable focal length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는, 다수의 영역을 가지고 각 영역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을 갖는 액정 프레넬 렌즈 구성을 위해 각 영역에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들을 형성할 때 배선 전극들 각각에 개구부가 생기도록 형성하며, 각 동심원 형태의 전극별로 개구부의 위치가 다르게 되도록 형성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다른 배선 전극 연결용 배선이 지나가는 구성된다. 각 영역의 많은 레벨 수 만큼의 전극배선을 줄여 간단히 하기 위하여 각 영역에 두 개 혹은 한 개 반의 배선을 두어 단순화 하고 배선사이에 동심원상의 투명 저항체가 연결이 되도록 하여 연속전익 전압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Wiring structure for Fresnel lens}
본 발명은 프레넬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전극과 액정을 이용하는 촛점 가변 프레넬 렌즈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전압의 인가를 위한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레넬 렌즈는 집광 렌즈의 하나로서 볼록 렌즈처럼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두께는 줄인 렌즈이다. 이때, 두께를 줄여도 볼록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몇 개의 띠 모양으로 나누어 각 띠에 프리즘작용을 가지게 하여 수차(收差)를 작게 했기 때문이다. 또한 빛을 한 곳에 모이기 위하여 굴절률의 차이를 줄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 프레넬 렌즈는 표면에 수많은 동심원의 홈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홈에 따라 굴절률이 조절되기 때문에 빛을 한 곳에 집중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프레넬 렌즈는 등대용으로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카메라의 파인더를 밝게 하는 핀트판(板), 자동차 미등이나 OHP(Over Head Projector) 등 빛을 집중시켜야 하는 곳에 사용되며, 요즘은 카메라 폰 후레쉬에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초점거리 가변형의 렌즈를 형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가 액정을 이용하는 프레넬 렌즈이다. 액정은 인가전압에 따라 굴절율이 많이 변하는 재료이며 액정을 이용하면 전압에 따라 초점거리가 변하는 렌즈를 구성할 수 있어 인가전압에 따라 촛점이 변하는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초점거리 가변형의 렌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TO(Indium Tin Oxide)가 동심원으로 패턴 되어 있고 각 ITO 패턴에 전원이 연결되어 각각 다른 전압을 인가하는 형태의 렌즈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도면에서 옅은 파란색이 첫번째 영역이고 짙은 파란색은 두 번째 영역인데 각 영역에는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의 투명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영역은 N개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영역을 순서대로 1,2,3,... 등 자연수 n으로 표시할 때 각 영역의 반경은 Rn 이고 Rn은 다음 식으로 주어지는 값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Figure 112021077689587-pat00001
λ는 빛의 파장, f는 촛점거리이다.
그리고 각 영역마다에는 1, 2, 3,.. L 개의 동심원의 전극이 있으며, n번째 영역에서 m번째 전극의 바깥 반경 Rnm은
으로 주어진다. 각 레벨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하여 액정의 굴절율을 변화 시키고 굴절율의 분포를 조절하여 렌즈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프레넬 렌즈이다.
각 레벨에는 다른 전압이 가해져야 해서 레벨 수 L만큼의 외부 전압이 가해져야 하고 이를 위해 L개의 연결 전극도 필요하다.
한 영역에서 각 투명전극에는 각각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데, 도 1에서 검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각각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배선이며 검은선 상에서 흰색으로 보이는 부분에서 동심원 상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동심원의 배선에 전압을 인가한다. 각 인가전압에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위상지연(phase retardation)이 달라지고 프레넬 렌즈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 전극별로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고 그만큼의 전압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압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공정의 수를 줄여 프레넬 렌즈의 제작을 간편하게 하는 한편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는, 다수의 영역을 가지고 각 영역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을 갖는 액정 프레넬 렌즈 구성을 위해 각 영역에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들을 형성할 때 배선 전극들 각각에 개구부가 생기도록 형성하며, 각 동심원 형태의 전극별로 개구부의 위치가 다르게 되도록 형성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다른 배선 전극 연결용 배선이 지나가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상기 다수 N개의 영역들에 레벨 수 L개의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전극들은 다음의 단계: 투명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기판을 세정하고 투명전극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로 홀수번째의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각 전극을 연결하는 투명 전극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홀수의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하게 방식으로 짝수번째의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짝수번째의 배선 전극 각각에 투명 전극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형성되고, 상기 L개의 배선 전극들에는 각각 소정 폭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수와 짝수의 개구부들의 위치는 서로에 겹치지 않게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각 짝수번째의 각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이 홀수 번째의 배선과 겹치지 않게 하며, 각 홀수번째의 각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이 짝수 번째의 배선과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는 CVD, 스퍼터링, 원자층 증착장치 중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기판 최외각 영역에 외부 연결용 패드는 2개만 만들고, 두 패드 사이에 저항체를 형성하고, 일정 길이에서 투명 전극배선으로 각 레벨을 구성하는 동심원 배선 전극과 연결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저항체의 저항에 의하여 배분된 전압이 각 동심원 배선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동심원 배선 전극들의 각 개구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다수 영역 N에 형성되는 홀수번째 배선 전극들은 같은 투명 전극배선들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 영역 N에 형성되는 짝수번째 레벨 배선 전극들 또한 같은 투명 전극배선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 렌즈 배선 구조에서, 다수 영역 N에 형성되는 레벨 배선을 없애고 다수 영역 N에는 가장 낮은 레벨의 전압용 배선 1과 가장 높은 레벨의 전압용 배선 2가 영역내에 형성되고 두 배선 사이를 투명 저항체로 연결하여 영역 N내부에 형성되는 많은 수의 레벨 배선을 없애고 두 개의 배선사이에 투명 저항체를 두어 연속전인 전압 변화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 프레넬 렌즈의 외부 연결 패드의 수 및 입력 전압의 수를 줄여 간단한 구성을 달성하며 각 동심원 상의 전극에 개구부를 구성하면 전극 간 겹치는 면적을 줄여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저항체를 이용하여 각 영역 내에 위치하는 많은 수의 동심원 상의 전극을 없앨 수 있으며 동심원 전극 사이의 일정 영역의 전극이 없는 공간을 없애므로서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프레넬 렌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프레넬 렌즈에서 영역들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전압 인가에 따른 위상지연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종래 프레넬 렌즈의 제작을 위한 마스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를 간단히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넬 렌즈의 전원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배선 구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존" 또는 "영역"은 프레넬 렌즈의 영역을 나타내고, "레벨"의 상기 "존" 또는 "영역"에 설치된 "투명전극"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액정 프레넬 렌즈를 구성하기 위해서 원형의 배선이 동심원으로 여러 개 배치가 된다. 각각의 배선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배선이 별도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야 하는 배선과는 절연을 위하여 동심원과 전압 공급용 배선 사이에는 절연막이 배치된다.
전압은 각 레벨 수 만큼 외부에서 입력이 되어야 하며 연결 전극도 레벨 수 만큼 필요하다. 도 4는 액정 프레넬 렌즈 공정을 위한 마스크 레이아웃을 보여 주는 도면으로 까만 원이 원형의 액정 프레넬 렌즈가 형성되는 부분이고 각 레벨 수만큼 외부와 연결이 되는 연결선과 패드가 나와 있으며 레벨 수만큼의 배선과 연결 단자가 있어 복잡하다.
각 영역에 동심원의 배선이 형성되면 절연막을 증착하고 필요한 부분에 컨택 홀을 형성한 뒤 전원용 배선과 연결되어 동심원의 배선에 전압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원용 배선은 외부의 전압원과 연결을 위한 패드 전극까지 연결이 되며 패드 전극은 렌즈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이 되는 전극 역할을 한다.
전원용 배선이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원형 배선까지는 다른 원형 배선을 건너서 오게 되는데 이들 전극과는 절연막으로 절연되어 있다. 그러나 공정 도중 파티클에 의한 공정 불량 등 다양한 불량 요인에 의해 절연이 되지 않고 다른 동심원 배선과 연결이 되어 불량이 나올 수 있다.
각 동심원 배선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일정한 간격이 필요하며 이러한 간격 에는 전압이 인가가 되지 않으며 노이즈 발생의 원인이 되며 가능한 이 간격을 좁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레벨 수만큼의 외부 전압과 연결 전극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전극을 2개로 줄이고 가장 낮은 전압과 가장 높은 구동 전압만 입력을 시키며, 내부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필요한 수만큼의 전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각 레벨에 적합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직렬연결 때 각 저항의 값을 조절하면 각 레벨에 들어가는 전압의 분포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의 레벨을 결정하는 투명전극과 이 투명전극에 해당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과의 겹치는 부분을 줄이기 위한 배선 방법을 제공하여 불량이 줄어 들도록 하였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 동심원 전극의 배선은 일정 구간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끝이 터져 있는 형태로 구성이 되며 다른 한 동심원은 터진 방향이 앞서 동심원 배선의 터진 방향과 반대쪽에 형성되도록 한다.
각 존의 같은 전압이 인가되는 배선만 배치하면 배선의 수는 전의 수가 된다. 이때 동심원 상의 배선은 연결되지 않고 한 곳에서 그림과 같이 연결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형태로 배치된다.
다른 전압이 연결되는 동심원 상의 배선을 하나 더 배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동심원상에서 개구부는 앞서 동심원의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에 생기도록 한다.
그리고 각 동심원을 연결하는 배선용 전극을 개구부 사이로 오도록 하여 필요한 배선들이 연결이 되어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6은 배선의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을 분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연결패드는 2개만 있으며 두 패드 사이에 저항배선이 연결되고 일정 거리에서 전압을 프레넬 렌즈의 전극과 연결이 되도록 하고 있다. 본 예는 4 레벨의 경우로 4개의 전압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전극의 수가 그보다 많아지면 저항 배선에서 그만큼 많이 간격을 분할하여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각 존에 동심원 배선이 각각 4개씩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투명한 기판을 준비하고 투명전극으로 각 존의 첫번째와 세번째 동심원 배선을 형성한다. 기판을 잘 세정하고 투명전극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로 투명전극 배선을 형성한다. 이때 동심원 배선은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가지며 한 예로 30 um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첫 번째 동심원과 세 번째 동심원의 개구부의 위치는 서로 다르도록 하며 한 예는 서로 반대쪽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서 각 전극을 연결하는 투명 전극 배선을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서로 겹치지 않게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에 절연막을 증착하며 CVD, 스퍼터링, 원자층 증착장치 등을 이용하여 절연막을 증착 한다. 이어서 두번째와 네번째 동심원 패턴을 투명전극으로 형성하며 각각의 동심원 배선은 다른 배선의 개구부와 다른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설계된 배치의 예는 도 7과 같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동심원상의 전극 개구부를 통해 연결배선이 지나가서 동심원상의 전극과 겹치지 않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프레넬 렌즈에서 각 존별로 레벨의 수가 많을 수록 좋은 특성을 얻을 수 있지만 레벨의 수가 많아 질 수록 패턴의 폭이 좁아져 공정 진행이 어려워 진다.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을 진행하게 되는데 패턴의 폭이 작아질 수록 공정이 어렵고 불량이 많아지며 공정 한계이하로 패턴의 폭이 작아지면 공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프레넬 렌즈 안에 레벨의 수가 많아지면 특성은 좋아 지지만 공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EDOT 등의 투명 도전성 막을 이용하여 각 존에 동심원 상의 패턴을 1개 내지 2개로 줄이면서도 전압이 연속적으로 액정에 인가할 수 있다.
도 8은 각 존에 동심원상의 패턴이 두 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존에서 레벨별로 인가해야 하는 전압 중 가장 낮은 전압 Vo와 가장 높은 전압 Vh 를 각 존의 두 전극에 각각 인가하도록 되어 있고 두 전극 사이는 투명저항체로 덮여 있어 두 동심원사의 패턴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전압이 변하여 각 레벨별 패턴 없이 연속적인 가변 전압을 액정에 인가할 수 있다.
공정 순서로 설명을 하면 기판을 세정하고, 두 개의 전도성 배선을 형성한다. 이어서 절연막을 덮고 컨택 홀을 형성하여 각 배선과 각 존의 전극들이 연결이 되도록 한다. 각 존에서 한 전극은 Vo 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다른 한 전극은 Vh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컨택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각 존에 동심원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을 증착하고, 포토리소소스라피 공정으로 동심원상의 전극을 각 존 별로 두 개씩 형성한다. 이어서 절연막을 덮고 각 동심원상의 중심선을 따라 컨택홀을 형성하여 이후에 증착되는 투명 저항 배선체가 동심원상의 전극과 컨택이 되도록 한다. 공정이 완료된 후의 단면은 도 8의 우측에 나타나 있다. 상기에서, 동심원상의 전극 패턴은 일반적인 구조처럼 연결되어 있는 동심원상의 패턴이며,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개구부가 서로 엇갈려 형성되는 동심원상의 패턴을 구현할 경우에는 연결 배선 후 절연막 증착 및 컨택홀 형성 후 동심원의 배선을 연결하는 과정 없이 동심원상의 전극과 연결배선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스퍼터링, ALD, PECVD 혹은 용액 공정을 이용한 절연막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금속전극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동심원상의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절연막을 제거한 형태의 단면 구조이며 동심원상의 전극에 절연막과 컨택패턴 공정 없이 투명저항체를 직접 연결한다. 이를 통해 프레넬 렌즈의 제작을 좀 더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1은 더 공정을 단순화하여 각 존에 전극이 한 개 씩만 있도록 한 것으로 Vo와 Vh각 각 전극에 교대로 인가되도록 하고 투명저항체는 전면을 덮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압을 얻는다. 따라서 보다 더 공정이 간단해지고 각 존별 한 개의 동심원형의 전극이 있으면 되므로 더 많은 존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0)

  1. 다수의 영역(존)을 가지고 각 영역에 다수의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을 갖는 액정 프레넬 렌즈 구성을 위해 각 영역에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들을 형성할 때 배선 전극들 각각에 개구부가 생기도록 형성하며, 각 동심원 형태의 전극별로 개구부의 위치가 다르게 되도록 형성하며, 이 개구부를 통해 다른 배선 전극 연결용 배선이 지나도록 구성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역들에 L개의 동심원 형태의 배선 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배선 전극들은 다음의 단계:
    투명한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기판을 세정하고 투명전극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로 각 영역에 홀수번째의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홀수번째의 배선 전극을 연결하는 투명 전극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홀수번째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짝수번째 동심원 배선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짝수번째 배선 전극을 연결하는 투명 전극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형성되고, 상기 L개의 동심원 배선 전극에는 각각 소정 폭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수와 짝수의 배선 전극의 개구부의 위치는 서로에 대해 다르게 형성되어 투명 전극배선들이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 최외각 영역에 외부 연결용 패드는 2개만 만들고, 두 패드 사이에 동심원의 저항체를 형성하고, 일정 길이에서 투명 전극배선으로 각 동심원 배선 전극과 연결이 되도록 하여 상기 동심원의 저항체의 저항에 의하여 배분된 전압이 각 동심원 배선 전극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번째와 짝수번째 동심원 배선 전극들의 각 개구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6. 삭제
  7. 각 존에 동심원상의 패턴이 2개인 프레넬 렌즈의 패턴의 배선 구조에서 있어서,
    상기 각 존의 각 패턴의 배선 구조는:
    기판을 세정하는 단계와;
    두 개의 전도성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절연막을 덮는 단계와;
    각 존에서 한 전극은 Vo 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다른 한 전극은 Vh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각 존에 동심원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전도성재료를 증착하는 단계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컨택홀을 통해, Vo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과, Vh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을 각 존 별로 형성하는 단계와;
    제2절연막을 덮고 각 동심원상의 중심선을 따라 컨택홀을 형성하여 이후에 증착되는 투명 저항 배선체가 동심원상의 전극과 컨택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각 존의 Vo 배선에 연결된 동심원상의 전극과 Vh 배선에 연결된 동심원상의 전극은 교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상의 전극들의 일단은 서로 대향되도록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구조.
  9. 각 존에 동심원상의 패턴이 2개인 프레넬 렌즈의 패턴의 배선 구조에서 있어서,
    상기 각 존의 각 패턴의 배선 구조는:
    기판을 세정하는 단계와;
    두 개의 전도성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절연막을 덮는 단계와;
    각 존에서 한 전극은 Vo 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다른 한 전극은 Vh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각 존에 동심원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전도성 재료를 증착하는 단계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컨택홀을 통해, Vo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과, Vh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을 각 존 별로 형성하는 단계와;
    각 동심원상의 중심선을 따라 컨택홀을 형성하여 이후에 증착되는 투명 저항 배선체가 동심원상의 전극과 컨택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인접한 2개의 존의 상기 Vh 배선에 연결된 동심원상의 전극들은 그 사이에 상기 Vo 배선에 연결된 전극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구조.
  10. 각 존에 동심원상의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에서 있어서,
    상기 각 존의 배선 구조는:
    기판을 세정하는 단계와;
    두 개의 전도성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절연막을 덮는 단계와;
    각 존에서 한 전극은 Vo 배선과 연결이 되거나 Vh 배선과 연결이 되도록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각 존에 동심원상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을 증착하는 단계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으로 컨택홀을 통해, Vo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 또는 Vh 배선에 연결되는 동심원상의 전극을 각 존 별로 하나만 형성하는 단계와;
    각 동심원상의 중심선을 따라 컨택홀을 형성하여 이후에 증착되는 투명 저항 배선체가 동심원상의 전극과 컨택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넬 렌즈의 배선구조.
KR1020210088281A 2021-03-15 2021-07-06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KR102610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66 2021-03-15
KR20210033466 2021-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21A KR20220128921A (ko) 2022-09-22
KR102610633B1 true KR102610633B1 (ko) 2023-12-06

Family

ID=8344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81A KR102610633B1 (ko) 2021-03-15 2021-07-06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6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1213A1 (en) * 2005-11-29 2007-05-31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Tunable micro-aspher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98906A (ja) * 2008-02-22 2009-09-03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光学素子
JP2012068607A (ja) 2010-09-24 2012-04-05 Silicon Touch Technology Inc 液晶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3901A1 (ja) * 2004-08-04 2006-02-0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液晶レンズ素子および光ヘッド装置
JP4532500B2 (ja) * 2004-09-27 2010-08-25 株式会社びにっと 光学ズーム機能を有する液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885139B2 (en) * 2005-01-21 2014-11-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Adaptive electro-active lens with variable focal leng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1213A1 (en) * 2005-11-29 2007-05-31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Tunable micro-aspher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198906A (ja) * 2008-02-22 2009-09-03 Citizen Holdings Co Ltd 液晶光学素子
JP2012068607A (ja) 2010-09-24 2012-04-05 Silicon Touch Technology Inc 液晶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921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8739A1 (en) Touch module, touch display substrate and touch display device
US7714949B2 (en) TFT LCD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359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776376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パネル
US775099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80208B2 (ja) 表示板及びこれを含む多重ドメイン液晶表示装置
US6310672B1 (e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filterless areas
US8958041B2 (en) Display apparatus with data line and common line formed in a same layer
JPH10221704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1530A (ja) 垂直配向型液晶表示装置
JPH09113931A (ja) 液晶表示装置
KR20040081947A (ko) 표시 장치용 표시판 및 그의 제조 방법과 그 표시판을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07340665B (zh) 电泳显示面板和制造方法
US201603779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93546B1 (ko) 액정렌즈 및 이의 구동방법
US11837008B2 (en) Touch sensor with fingerprint sensor
WO2014161234A1 (zh) 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器
KR100277001B1 (ko)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JP5417696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610633B1 (ko) 프레넬 렌즈의 배선 구조
WO2022000759A1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088353B2 (en) Solid-state total reflection display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168164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373187B (zh) 液晶透镜
CN110632801A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