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01B1 -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 Google Patents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01B1
KR102610301B1 KR1020210118191A KR20210118191A KR102610301B1 KR 102610301 B1 KR102610301 B1 KR 102610301B1 KR 1020210118191 A KR1020210118191 A KR 1020210118191A KR 20210118191 A KR20210118191 A KR 20210118191A KR 102610301 B1 KR102610301 B1 KR 10261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jection
unit
needl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778A (ko
Inventor
이계한
이해식
Original Assignee
미라클스코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라클스코프(주) filed Critical 미라클스코프(주)
Priority to KR1020210118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3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0Syringes for injection by jet action, without needle, e.g. for use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4Filling or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8Incorporating one-way valves, e.g. pressure-relief or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몸체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주사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공급된 약물을 피시술자의 피부로 발사하는 주사모듈, 약물용기와 공급유닛과 일단은 상기 약물용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유닛에 결합되는 약물공급튜브, 및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자에서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약물 충전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약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는 경우 약물의 미주입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NEEDLELESS SYRINGE WITH PORTABLE DRUG INLET}
본 발명은 무침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무침주사기에 약물 충전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입모드 사용불가로 미주입되는 상황을 방지하고 약물 미충전시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고, 노즐부 사이즈를 축소하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 구조의 위치를 변경한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의 주사는 유침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유침 주사기를 이용한 주사 방법은 주사를 맞는 대상의 교차 오염, 주사와 관련된 통증 및 주사를 맞는 대상 안에서 주사바늘이 부러지거나 탈락될 가능성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유침 주사기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주사바늘이 없는 무침 주사기를 이용한 주사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무침 주사기는 통상적으로 고압의 주사액을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 내부로 주입하여 주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무침 주사기는 피부를 통해 약액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동력, 예컨대 외부 기체 공급원에 의한 동력을 공급받는다.
이런 압축 기체통은 무침주사기에 조립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압축 기체가 소진된 경우에는 다시 장소를 이동하여 압축 기체통 보관장소에서 압축 기체통에 기체를 충전하거나 새로운 압축 기체통을 무침주사기에 결합한 뒤 시술자에게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주사하기가 어렵다.
또한, 압축 기체통은 연결되어 있으나, 실제 약물이 소진되어 충전 안되어 있을 시 주입 모드 사용 불가로 미주입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약물 미충전 시 발생하는 충격이 발생하여 기기의 내구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약물주입부에는 공급되는 약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토출유닛에 역류방지구를 구비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역류방지구는 통상 토출부의 선단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주사기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10-1863355(2018. 05. 2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약물용기의 약물 충전여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공급 튜브내의 저항 값을 측정하여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류방지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립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무침주사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주사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공급된 약물을 피시술자의 피부로 발사하는 주사모듈, 주사 약물을 보관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약물용기와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결합된 약물용기의 약물을 상기 주사모듈로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일단은 상기 약물용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유닛에 결합되는 약물공급튜브, 및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자에서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약물 충전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약물공급튜브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내부 저항값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표시부를 더 포함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사모듈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공급유닛에서 약물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내부 공동에 피스톤을 전진 이동시켜 충전된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발사되도록 하는 발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에 역류방지구가 구비되어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에 의하면, 약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는 경우 약물의 미주입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약물이 미충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에 의하면 역류방지구의 위치를 공급유닛에 구비하기 때문에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침주사기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의 일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무침주사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면으로 판단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유닛의 확대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저항 측정 주요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무침주사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100)는 주사모듈(130)의 일측을 피시술자, 예컨대 사람 또는 동물의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약물용기(2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이 주사모듈(130)로부터 강한 압력으로 발사되도록 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부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100)는 주사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측에 수납되는 주사모듈(130) 및 하우징(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하우징 외부에서 약물주입단자(230)로 공급되는 약물을 주사모듈(130)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몸체부(111)와 손잡이부(180)로 구성되어 주사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주사모듈(130)은 몸체부(111)의 내부에 수납되며, 약물용기(2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약물을 피시술자의 피부로 발사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주사모듈(130)은 몸체부(111)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공급유닛(140)에서 약물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내부 공동에 피스톤을 전진 이동시켜 충전된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발사되도록 동작하는 발사유닛(150)을 포함한다.
한편, 주사모듈(130)은 공급유닛(140)에서 약물이 공급되는 제1유로(132), 제1유로(132)에 공급된 약물이 충전되는 제1공동(133) 및 제1공동(133)의 약물을 발사하는 노즐(134)이 구비된 약물토출부와, 노즐(134)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공기유입을 방지하는 공기유입방지구(138), 및 상기 약물토출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보호캡(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사 약물을 보관하며 하우징 외부에 결합되는 약물용기(210)와 하우징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하우징 외부에 결합된 약물용기(210)의 약물을 주사모듈(130)로 공급하는 공급유닛(140)을 포함한다.
약물공급튜브(240)는 약물용기(210)의 약물토출구(220)와 공급유닛(140)의 약물주입단자(230)간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약물공급튜브(240)내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양 단자에서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약물공급튜브(240)내의 약물 충전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기측정에는 저항과 전류와 전압 등으로 측정방법을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저항측정의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약물토출구(220)와 약물주입단자(230)를 금속재질로 구성하고, 그 외부에 내부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측정단자(261,262)의 일단을 접속하고, 타단은 판단표시부(250)의 저항측정부(252)로 접속하여 양단자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약물이 충전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항이 측정될 것이고, 약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저항값이 측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표시부(250)를 구비하여 약물공급튜브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저항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내부 저항값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판단표시부(250)는 약물공급튜브(240)내에 약물이 충전되어 있는 지 유무에 따라 충전여부를 표시하거나 미충전시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약물이 미주입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기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판단표시부(250)는 약물토출구(220)와 약물주입단자(230)와 접속된 저항측정단자(261,262)를 입력받아 양단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부(252)와, 저항측정부(252)에서 측정된 저항치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51), 판단부(251)의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과 미충전을 표시하거나 알람을 표시하는 표시부(253)를 포함하게 구성한다.
또한, 표시부(253)는 주사모듈(130)에서 약물이 발사되는 것과 동시에, 약물이 발사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주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다.
약물용기(210)는 약물을 보관하는 몸체와 몸체에 보관된 약물을 토출하는 약물 토출구(220)와 공기 주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약물 토출구(220)가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실더링를 개재시켜 하우징 내외부를 실링할 수 있도록 한다.
약물공급튜브(240)로 유입되는 약물은 약물주입단자(230)를 통하여 공급유닛(140)에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하우징(110)은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사용자, 즉 시술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80)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주사모듈(13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는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몸체부(111) 내측에는 공급유닛(140) 및 발사유닛(150)이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닛(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주사모듈(130)과 발사유닛(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급유닛(140)은 하우징(110)에 결합된 약물용기(210)로부터 약물을 제공받고, 이를 주사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급유닛(140)은 약물주입부(141), 제2유로(146) 및 제2공동(143)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주입부(141)는 약물주입단자(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약물을 공급받아 제2유로(146)로 안내한다.
제2유로(146)는 약물주입부(141)와 주사모듈의 제1유로(132) 사이에 형성되어 약물주입부(141)에 공급된 약물을 제1유로(132)로 공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유로(146)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역류방지구(144)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역류방지구(144)는 제2유로(146)에 공급된 약물이 약물주입부(141)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상 역류방지구(144)는 공급유닛(140)의 유로 내부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2유로(146)를 통해 공급되는 약물이 다시 제2유로(146)를 통해 공급유닛(140)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침주사기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종래의 역류방지구는 주사모듈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역류방지구의 구성으로 무침주사기가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역류방지구를 공급유닛 측에 구비하게 하여 무침주사기의 사이즈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역류방지구(144)를 공급유닛(140)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의 유로(145)내에 스프링(14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주입구(147)를 압착하고 있다가, 발사유닛(150)의 동작에 따라 해당 영역, 예컨대 제2유로(146)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폐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발사유닛(150)에 의해 피스톤이 제1공동(133)에서 후진 이동되면, 스프링(14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역류방지구(141)가 공급되는 약물의 압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던 주입구(147)를 개방하여 제2유로(146)를 통해 제1공동(133)으로 흘러 일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발사유닛(150)에 의해 피스톤이 제1공동(133)에서 전진 이동되면, 역류방지구(144)는 주입구(147)를 폐쇄하고, 공기유입방지구(138)는 노즐(134)을 개방하여 제1공동(133)에 일시 저장된 약물이 노즐(134)을 통해 외부로 발사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역류방지구(144)는 공급유닛(140)의 동작에 따라 제1유로(132)와 제2유로(146)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도 있다.
제2공동(143)은 주사모듈(130)의 제1공동(133)과 동일 중심축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동(133)과 마찬가지로 발사유닛(150)의 피스톤이 삽입되어 전후진이동이 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공급유닛(140)에는 제2유로(146)를 통해 흐르는 약물이 균일한 점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히터는 배터리부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제2유로(146)를 흐르는 약물을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균일한 점도를 갖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약물주입부(141)의 일단은 약물주입단자(230)와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방향이 약물주입단자(230)를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모듈(130)은 발사유닛(150)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압력, 예컨대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에 따라 공급유닛(140)에서 주사모듈(130)로 공급된 약물을 주사모듈(130)의 외부, 즉 피시술자의 피부로 발사할 수 있다.
주사모듈(130)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주사모듈(130)은 공급유닛(140)을 통해 공급된 약물을 발사유닛(150)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 발사할 수 있다. 주사모듈(130)은 선단부에 보호캡(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공동(133)의 내부에는 발사유닛(150)의 피스톤이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예컨대 전진이동 및 후진이동 될 수 있다. 이에, 제1공동(133)의 내경은 피스톤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134)은 약물의 발사압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1공동(133)의 내경보다 현저하게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사모듈(130)은 그 선단부에 하나 이상의 공기유입방지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방지구(138)는 노즐(134) 내에 배치되어 노즐(13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제1공동(13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입방지구(138)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와 이에 연결된 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135)은 약물토출부(13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캡(135)은 약물토출부(131)의 노즐(134)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호캡(135)의 일단은 이에 대응되는 약물토출부(131)의 일단보다 연장 형성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보호캡(135)은 피시술자의 접촉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연질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 전 상태에서, 역류방지구(141)는 스프링(142)의 탄성에 의하여 제1유로(143)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때는 약물토출구(220)와 약물공급튜브(240) 그리고 약물주입단자(230)에 약물이 충전되어 있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에 판단표시부(250)에 경고음이나 약물미충전 표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 무침주사기(100)가 구동되면 스프링(14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역류방지구(141)가 공급되는 약물의 압력에 의해 제1유로(143) 내부를 개방하면, 공급되는 약물이 약물토출구(220)와 약물공급튜브(240) 약물주입단자(230)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저항측정부(252)는 저항측정단자(261,262)를 통하여 약물공급튜브(240) 내의 저항을 측정하고 약물이 충전된 경우는 소정의 저항치가 판독되므로, 약물이 충전되어 있음으로 판단하고, 표시부(253)에 약물의 충전 또는 이상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약물공급튜브(240)에 약물이 정상적으로 충전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주사모듈(130)에 의하여 피시술자에게 약물을 투입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저항측정부(252)는 약물공급튜브(240)에 약물이 충전되어 있는 지 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저항이 측정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표시부(253)를 통하여 약물이 없음을 표시하거나 경고 또는 사용중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251)는 약물용기(210)의 약물이 다 소진된 경우에도 약물공급튜브(240)에 약물이 없음을 경고할 수 있으므로, 약물용기(210)가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약물토출구(220)에서 약물용기의 결합유무를 1차로 판단한 다음,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약물이 없음으로 판단되면, 약물용기의 교환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약물용기가 결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약물공급튜브(240)에 약물이 없음으로 판단되면, 약물용기를 결합하여 줄 것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약물용기로부터 약물이 약물공급튜브(240)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거나, 주사모듈(130)을 통하여 약물이 피시술자에게 투입되는 경우 약물용기(210)로부터의 약물의 공급이 중단되게 되면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하여 역류방지구(141)가 제1유로(143)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약물의 토출압력에 의하여 제1유로(143)로 약물이 역류하려고 하여도 제1유로(143)가 차폐되어 있으므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약물용기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253)를 통하여 약물용기의 결합을 표시하거나 안내한 경우, 약물용기가 결합되면, 약물용기가 결합되었음을 표시하고, 약물용기를 결합한 후에도 약물이 충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약물용기와 무침주사기의 점검을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무침주사기 110 : 하우징
111 : 몸체부 130 : 주사모듈
140 : 공급유닛
143 : 제1유로 150 : 발사유닛
160 : 발사부 180 : 손잡이부
210 : 약물용기
220 : 약물 토출구 230 : 약물주입단자
240 : 약물공급튜브 250 : 판단표시부
251 : 판단부 252 : 저항측정부
253 : 표시부 261, 262 : 저항측정단자

Claims (5)

  1. 몸체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주사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납되며, 공급된 약물을 피시술자의 피부로 발사하는 주사모듈;
    주사 약물을 보관하며 상기 하우징 외부에 결합되는 약물용기;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에 결합된 약물용기의 약물을 상기 주사모듈로 공급하는 공급유닛;
    일단은 상기 약물용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유닛에 결합되는 약물공급튜브;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일단과 타단에 설치되어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한 쌍의 측정단자;및
    상기 한 쌍의 측정단자에서 측정된 내부 저항값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단자에서 측정되는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약물공급튜브내의 약물 충전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주사모듈에서 약물이 발사되는 것과 동시에, 약물이 발사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피시술자에 대한 주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표시부는
    약물토출구와 약물주입단자와 접속된 저항측정단자를 입력받아 양단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부;
    상기 저항측정부에서 측정된 저항치에 따라 약물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충전과 미충전을 표시하거나 알람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공급튜브는
    약물용기의 약물토출구와 공급유닛의 약물주입단자간에 구비되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모듈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공급유닛에서 약물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내부 공동에 피스톤을 전진 이동시켜 충전된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발사되도록 하는 발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에 역류방지구가 구비되어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주사모듈과 상기 발사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약물주입단자의 일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약물을 제2 유로로 안내하는 약물주입부;
    상기 약물주입부와 주사모듈의 제1 유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약물주입부에 공급된 약물을 제1유로로 공급하는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약물이 다시 상기 제2유로를 통해 공급유닛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구;
    상기 제2유로를 통해 흐르는 약물을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를 더 포함하는 약물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KR1020210118191A 2021-09-06 2021-09-06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KR10261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91A KR102610301B1 (ko) 2021-09-06 2021-09-06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91A KR102610301B1 (ko) 2021-09-06 2021-09-06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78A KR20230035778A (ko) 2023-03-14
KR102610301B1 true KR102610301B1 (ko) 2023-12-11

Family

ID=8550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91A KR102610301B1 (ko) 2021-09-06 2021-09-06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3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31B1 (ko) 2008-06-02 2009-03-19 (주)클래시스 무바늘 분출 주사장치
CN101185782B (zh) * 2007-12-18 2010-09-08 浙江理工大学 输液终了报警器
KR200488129Y1 (ko) * 2017-07-21 2019-03-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신 표식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66B1 (ko) * 2011-09-01 2013-07-12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바이패스형 자동 무침 주사기
KR101863355B1 (ko) 2016-12-01 2018-06-01 한국기계연구원 인젝션 량이 가변조절되는 증압식 무침주사기
KR20210091727A (ko) * 2018-11-13 2021-07-22 펄스 니들프리 시스템즈, 인크. 고정핀을 구비한 볼 잠금 조립체
KR102518758B1 (ko) * 2020-01-21 2023-04-06 미라클스코프(주) 무침주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5782B (zh) * 2007-12-18 2010-09-08 浙江理工大学 输液终了报警器
KR100888831B1 (ko) 2008-06-02 2009-03-19 (주)클래시스 무바늘 분출 주사장치
KR200488129Y1 (ko) * 2017-07-21 2019-03-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신 표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78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1600B2 (en) Injector with adjustable dosing
US9180259B2 (en) Prefilled syringe jet injector
US3306290A (en) Automatically retractable needle syringe
KR20000076536A (ko) 약물 투여 방법 및 시스템
JP4700735B2 (ja) 注射器として使用できるアンプル、及び注射器ユニット
KR102518758B1 (ko) 무침주사기
KR102610301B1 (ko) 약물 미주입 방지 및 공타 방지용 무침주사기
CN112533655B (zh) 无针注射器
MX2023005061A (es) Ensamblaje de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accesorio para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KR101907552B1 (ko) 무바늘 무통 주사 장치
MX2023005059A (es) Ensamblaje de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accesorio para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US20170049967A1 (en) Needle free injection device
WO2020149152A1 (ja) 無針注射器
KR20240066568A (ko) 캠팔로워 부하 감소형 무침주사기
KR200488129Y1 (ko) 백신 표식기
US11752269B2 (en) Spring loaded medical needle-free injection system
EP4245335A1 (en) Device assembly for needleless syringe
KR101313632B1 (ko) 무침 주사기
KR102463473B1 (ko) 약물주입단자를 구비한 무침주사기
KR20210065998A (ko) 과산화수소 용액에 적합한 주사기 및 키트
US20190054254A1 (en) Liquid flow determination and control in a hypodermic needle device
MX2023005062A (es) Ensamblaje de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y accesorio para dispositivo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JP2020014530A (ja) 無針注射器
US20240033440A1 (en) End of dose mechanism
US20230256179A1 (en) Determination of the usage status of a device for the one-time administration of a medic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