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978B1 - 스텐트 그래프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그래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978B1
KR102609978B1 KR1020210085477A KR20210085477A KR102609978B1 KR 102609978 B1 KR102609978 B1 KR 102609978B1 KR 1020210085477 A KR1020210085477 A KR 1020210085477A KR 20210085477 A KR20210085477 A KR 20210085477A KR 102609978 B1 KR102609978 B1 KR 10260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graft
blood vessel
branch
wi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874A (ko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21008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978B1/ko
Priority to PCT/KR2021/015975 priority patent/WO2023277264A1/ko
Publication of KR2023000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48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having means for fixation to the vessel wall,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7Stent-grafts having means to fill the space between stent-graft and aneurysm wall, e.g. a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7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sutured, ligatured or stitched, retained or tied with a rope, string, thread, wire or cable

Abstract

스텐트 그래프트에 관한 것으로,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부위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분기부는 각각 생체 적합성 소재를 복수 겹으로 겹쳐서 제조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스텐트 그래프트와 혈관 내벽 사이에 강한 저항을 형성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그래프트{STENT GRAFT}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에 고정되는 스텐트 그래프트에 관한 것이다.
대동맥류는 대동맥의 직경이 정상일 때보다 1.5배 이상 증가한 상태를 의미한다. 대동맥류의 진행이 계속될 경우, 대동맥의 파열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대동맥류는 뇌, 심장, 하지, 복부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 복부에서 70% 이상 발생하고 있다.
복부에서 발생하는 대동맥류, 즉 복부 대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은 인조혈관 치환술과 스텐트 그래프트 삽입술 등이 있다.
상기 인조혈관 치환술은 복부 대동맥류의 직경이 5cm 이상이고, 복부 대동맥류의 크기가 빠르게 커지는 경우에 시행하는 치료 방법이다.
상기 인조혈관 치환술은 복부 대동맥류가 발생한 환자를 전신 마취한 뒤에 복부를 절개하고, 복부 대동맥 중에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를 절개한 후에 인조 혈관을 삽입한다. 이러한 인조혈관 치환술은 복부 대동맥류에 대한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지만 외과적인 수술과 입원에 대한 환자의 부담이 있으며, 출혈이나 인조혈관 감염 등의 부작용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환자의 부담이 적은 비 수술 방법인 스텐트 그래프트 삽입술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 스텐트 그래프트 삽입술은 환자의 사타구니 부위를 소절개한 후에 스텐트 그래프트를 사타구니 부위의 대퇴동맥을 통해 대동맥류가 발생한 복부 대동맥 안으로 스텐트 그래프트를 삽입한다.
복부 대동맥 안으로 삽입된 스텐트 그래프트의 일부분은 정상 상태의 혈관 내벽과 밀착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이 아닌 스텐트 그래프트 내부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를 통해 대동맥류의 크기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스텐트 그래프트 삽입술은 환자의 복부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인조혈관 치환술에 비해 출혈이 적고, 입원기간도 짧은 장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텐트 그래프트 삽입술에서는 단순히 스텐트 그래프트의 확장에 의해 스텐트 그래프트의 일부분이 정상 상태의 혈관 내벽과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는 환자의 혈압이 상승하거나 복부 대동맥의 내경이 전반적으로 확장되면, 스텐트 그래프트가 원위치에서 이동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으로 누출되는 엔도리크(Endolea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6-0126548호(2016년 11월 2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2-0082872호(2002년 10월 31일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5-0118744호(2005년 12월 20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에 삽입되어 혈관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텐트 그래프트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으로 누출되는 엔도리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 그래프트의 시술방식을 개선하여 장골동맥의 분지부가 좁은 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치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텐트 그래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는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부위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분기부는 각각 생체 적합성 소재를 복수 겹으로 겹쳐서 제조되며, 혈관 내벽과의 사이에 저항을 증가시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트 그래프트에 의하면, 스텐트 그래프트와 혈관 내벽 사이에 강한 저항을 형성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골격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을 결합하여 스텐트 그래프트가 대동맥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대동맥의 혈관 내벽과 밀착되도록, 혈관 내벽과 섬유 보풀 사이에 형성된 혈전을 통해 스텐트 그래프트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대동맥의 혈압 상승 또는 대동맥의 내경이 전반적으로 확장되어도 스텐트 그래프트가 대동맥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원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트 그래프트가 원위치에서 이동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으로 누출되는 엔도리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골동맥의 분지부가 좁은 환자들에게도 시술이 가능함에 따라, 장골동맥 또는 장골동맥과 인접한 복부 대동맥에 대동맥류가 발생한 환자의 치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텐트 그래프트가 복부 대동맥에 설치되어 확장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스텐트 그래프트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몸체부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확장부의 부분 확대도,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를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내벽에 삽입해서 고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스텐트 그래프트에 확장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부에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경우,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 즉 복부 대동맥과 장골동맥이 연결되는 부위에 스텐트 그래프트를 삽입하고, 혈관 내벽과 스텐트 그래프트 사이에 저항을 강하게 발생시켜 견고하게 고정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부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대동맥류 치료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텐트 그래프트가 복부 대동맥에 설치되어 확장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부위에 삽입되는 몸체부(20)와, 몸체부(20)의 일단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10)는 몸체부(20)와 분기부(30) 중에서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확장부(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부(20)는 대동맥류가 발생한 복부 대동맥에 삽입되는 부분이고, 분기부(20)는 복부 대동맥 하부에서 분기되는 한 쌍의 장골동맥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물론, 본 발명은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에 따라 분기부(30)를 제거하고, 몸체부(2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는 복부 대동맥과 장골동맥이 서로 연결된 부위를 포함해서 발생함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 스텐트 그래프트(10)는 몸체부(20)와 분기부(30)를 포함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부(30)는 한 쌍의 장골동맥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 분기부(3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몸체부(20)와 분기부(30)는 각각 제1 내지 제3 림 커버(11 내지 13)에 삽입되고, 스텐트 그래프트(10) 전체가 하나의 외부 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의 혈관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몸체부(20)와 분기부(30)에는 각각 와이어(14)가 연결되고, 와이어(14)를 이용해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이 완료된 후, 제1 내지 제3 림 커버(11 내지 13)가 제거되면, 몸체부(20)와 분기부(30)는 각각 부피가 증가하도록 확장되면서 혈관 내벽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확장부(40)는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몸체부(20)의 상단과 분기부(30)의 하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스텐트 그래프트(10)의 길이를 확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에 부위가 몸체부(20)의 상단과 분기부(30)의 하단 사이의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확장부(40)를 적용할 필요가 없다.
반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몸체부(2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이거나, 분기부(30)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연장된 상태이면, 몸체부(20)의 상단과 분기부(30)의 하단 중에서 필요한 부위에 확장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확장부(40)는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의 형상이나 위치 등에 따라 적용되지 않거나, 하나 또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가 장골동맥에서 멀리 이격된 경우, 확장부(40)는 몸체부(20) 및 분기부(30)를 대신해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에 단독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부(20)와 분기부(30) 및 확장부(40)는 각각 생체 적합성 소재를 사용하여 관(tube) 형상으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적합성 소재는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탄소 섬유(carbon fiber)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스텐트 그래프트(10)는 생체 적합성 소재를 이용해서 제조됨에 따라, 대동맥 내에서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면역 반응으로 인한 혈액의 응고, 즉 혈전(thrombus)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대동맥의 혈액이 스텐트 그래프트(10)를 통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몸체부(20)와 분기부(30) 및 확장부(40)는 각각 복수 겹, 예컨대 3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20)와 분기부(30) 및 확장부(40)는 각각 생체 적합성 소재를 직조한 3개의 직물을 서로 겹쳐서 3중 구조를 이룸에 따라, 강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직물은 몸체부(20)와 분기부(30)가 서로 일체가 되도록 직조되거나, 각각 직조된 후 재봉 방식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직물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각 직물 사이의 저항을 높여 유동을 방지하도록, 직조 방향이 서로 나란하거나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3중 구조를 이루는 직물 중에서 혈관 내벽과의 사이에 저항을 강화하기 위해, 중간이나 내측에 배치되는 직물에 비해 큰 저항을 갖도록, 직조되는 섬유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복수의 섬유를 꼬아서 직조될 수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스텐트 그래트프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스텐트 그래프트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몸체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확장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몸체부(20)의 외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골격 기능을 하는 제1 와이어(21)가 결합되고, 몸체부(2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혈관 내벽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22)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와이어(21)는 몸체부(20)의 외면을 감싸도록, 복수 개가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제1 와이어(21)와 제2 와이어(22)는 재봉 방식으로 몸체부(20)를 구성하는 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21)는 지그재그(Zigzag) 형상 또는 사인파(Sine Wav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와이어(21)는 스테인레스(Stainless), 나이티놀(Nitinol) 등의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제2 와이어(21)는 외측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지그재그(Zigzag) 형상, 삼각파 형상 또는 사인파(Sine Wave) 형상으로 형성되고, 최상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뭉쳐져서 제1 림커버(1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동맥류 발생 부위로 삽입될수 있다. 그리고, 제2 와이어(22)는 제1 림커버(11)가 제거되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혈관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와이어(22)는 제1 와이어(21)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 나이티놀 등의 금속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는 한 가닥을 이용한 모노 필라멘트(mono filament) 형식의 결합사를 이용해서 와이어를 이용해서 재봉 방식으로 몸체부에 결합한다.
반면, 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21,22)를 몸체부(20)에 결합하는 결합사(도면 미도시)는 혈관 내벽과의 사이에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멀티 필라멘트(multi filament) 형식의 실이나 줄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와이어(21) 전체 또는 일부의 외면에는 대동맥 내에서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23)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0)의 배치되는 전체 또는 일부, 즉 하나 이상의 제1 와이어(21)의 외면에 섬유 보풀(23)이 결합될 수 있다.
섬유 보풀(23)은 혈액 응고에 관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롬빈(Thrombi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섬유 보풀(23)은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등과 같은 혈전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와이어(21)의 일부 또는 전체가 외면에 섬유 보풀이 결합된 상태에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복부 대동맥에 삽입되면, 섬유 보풀(23)은 혈전을 유발함에 따라, 정상 상태의 혈관 내벽과 제1 와이어(21) 사이에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정상 상태의 혈관 내벽과 제1 와이어(21) 사이에 형성된 혈전은 접착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환자의 혈압이 상승하거나 복부 대동맥의 내경이 전반적으로 확장된 경우에도, 스텐트 그래프트(10)는 원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혈관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와이어(21)의 외면에는 섬유 보풀(23)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털실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1 와이어(21)의 외면에는 섬유 보풀(23)이 형성된 피복재로 피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털실 또는 피복재에 형성된 섬유 보풀(23)에는 혈액 응고에 관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롬빈이 포함될 수 있고,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등과 같은 혈전형성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몸체부(20)의 원위(Distal)측, 즉 하단부에는 분기부(3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몸체부(20)의 하단부에는 제1 분기부(31)와 제2 분기부(32)가 분기될 수 있다.
이러한 분기부(30)를 형성하는 제1 분기부(31)와 제2 분기부(32)는 한 쌍의 장골동맥에 각각 삽입되는 부분으로, 몸체부(20)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기부(30)는 몸체부(20)와 마찬가지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사용하여 관 형상으로 직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분기부(31)와 제2 분기부(32)의 외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3 와이어(33)와 제4 와이어(34)가 멀티 필라멘트 형식의 결합사를 이용해서 재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 제3 및 제4 와이어(33,34)의 외면에는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23)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기부(31)와 제2 분기부(32)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길이가 다른 하나에 비해 짧게 형성됨에 따라, 장골동맥에 삽입되는 길이도 짧을 수 있다.
확장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마찬가지로, 생체 적합성 소재를 사용하여 복수 겹, 예컨대 3중 구조를 갖는 관 형상으로 직조될 수 있다.
여기서, 확장부(40)는 결합되는 대상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확장부(40)가 몸체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경우, 확장부(40)의 적어도 일단부는 몸체부(2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20)의 상단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장부(40)가 분기부(3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경우, 확장부(40)의 적어도 일단부는 분기부(30)의 하단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분기부(30)의 하단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확장부(40)는 일부분이 결합 대상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확장부(40)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5 와이어(41)가 재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5 와이어(41)는 결합 대상과의 사이에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멀티 필라멘트 형식의 실이나 줄로 마련된 결합사를 이용해서 확장부(4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와이어(41)의 전체 또는 일부의 외면에는 섬유 보풀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확장부(40)의 외면에는 결합 대상과의 사이에 저항을 높일 수 있도록, 도트 형상이나 격자 형상, 물결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생체 적합성 소재의 표면 마찰계수는 매우 낮기 때문에, 확장부(40)의 외면과 결합 대상, 즉 몸체부(20) 또는 분기부(30)의 내면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부(40)의 외면에 미세돌기를 형성해서, 몸체부(20) 또는 분기부(30)의 내면에 확장부(40)의 일단부가 삽입 결합되었을 때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확장부(40)는 복수 겹의 생체 적합성 소재의 직물로 마련된다. 여기서, 확장부(40)의 내면을 이루는 직물에는 상기한 패턴, 예컨대 미세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확장부(40)의 외면을 이루는 직물에는 미세돌기 등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와 혈관 내벽 사이에 강한 저항을 형성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을 결합하여 스텐트 그래프트가 대동맥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대동맥의 혈관 내벽과 밀착되도록, 혈관 내벽과 섬유 보풀 사이에 형성된 혈전을 통해 스텐트 그래프트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동맥의 혈압 상승 또는 대동맥의 내경이 전반적으로 확장되어도 스텐트 그래프트를 대동맥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텐트 그래프트가 혈관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으로 누출되는 엔도리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의 삽입 및 고정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텐트 그래프트를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내벽에 삽입해서 고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스텐트 그래프트에 확장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스텐트 그래프트(10)의 몸체부(20)와 분기부(30)의 제1 및 제2 분기부(31,32)는 각각 제1 내지 제3 림커버(11 내지 13)에 삽입되고, 전체 스텐트 그래프트(10)는 하나의 외부 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14)를 이용해서 사타구니 부위의 대퇴동맥과 한 쌍의 장골동맥 중에서 어느 하나, 도 6에서 보았을 때 좌측 장골동맥를 통해 대동맥류가 발생한 복부 대동맥 내부로 삽입된다.
도 6에는 스텐트 그래프트(10)가 좌측 장골동맥을 통해 복부 대동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측 장골동맥을 통해 복부 대동맥으로 삽입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0)와 제1 및 제2 분기부(31,32)는 각각 제1 내지 제4 와이어(21,22,33,34)의 부피가 감소하도록 수축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림커버(11 내지 13)에 각각 삽입된 후, 상기한 하나의 외부 커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위치에 스텐트 그래프트(10)가 삽입되면, 상기 외부 커버를 스텐트 그래프트(10)에서 분리하여 좌측 장골동맥을 통해 제거한다. 이때, 제1 분기부(31)는 좌측 장골동맥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텐트 그래프트(10)가 삽입되는 장골동맥과, 복부 대동맥에서 한 쌍의 장골동맥으로 분지되는 부위, 즉 한 쌍의 장골동맥과 연결된 복부 대동맥의 하단부(이하 '장골동맥의 분지부'라 함)는 환자마다 직경이 전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장골동맥 및 장골동맥의 분지부의 직경은 약 1.2㎜ 내지 22㎜로 다양하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텐트 그래프트(10)가 일측 장골동맥을 통해 장골동맥의 분지부를 거쳐 복부 대동맥의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까지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분기부(31,32) 중에서 하나 이상이 막힐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스텐트 그래프트(10)는 하나의 외부 커버 내부에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고, 일측 장골동맥, 예컨대 좌측 장골동맥을 통해 장골동맥의 분지부를 거쳐 복부 대동맥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스텐트 그래프트(10)는 제1 및 제2 분기부(31,32) 중에서 제1 분기부(31)가 좌측 장골동맥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분기부(32)를 우측 장골동맥 측으로 잡아당겨 우측 장골동맥에 삽입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장골동맥에서 림 캡처 디바이스를 투입해서 제2 분기부(32)에 결합된 제3 림커버(34)의 연결고리에 걸어 제2 분기부(32)를 우측 장골동맥에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는 2회 이상 꼬인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고리는 제2 분기부(32)의 하단부에 1회 이상 감기고, 제3 림커버의 외부에서 1회 이상 감긴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에 2회 이상 꼬인 스프링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연결고리가 처음 당겨지면 제3 림커버(34)에 삽입된 제2 분기부(32)는 우측 장골동맥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고리는 제3 림커버(34) 내부에서 1회 이상 감긴 부분이 펴지면서 제2 분기부(32)와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분기부(32)가 우측 장골동맥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연결고리가 림 캡처 디바이스(도면 미도시)에 의해 두번째 당겨지면 제3 림커버(34)는 제2 분기부(32)와 분리되어 우측 장골동맥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 전체를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수축시킨 상태에서 일측 장골동맥을 통해 장골동맥의 분지부까지 삽입한 후, 반대측 분기부를 반대측 장골동맥에 삽입하는 순서로 스텐트 그래프트를 삽입 시술함에 따라, 장골동맥 및 장골동맥의 분지부가 좁은 환자에게도 시술이 가능하다.
이어서, 몸체부(20)와 제1 및 제2 분기부(31,32)가 대동맥류가 발생한 복부 대동맥과 한 쌍의 장골동맥에 각각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림커버(11,12)를 제거한다.
이때, 제3 림커버(13)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제2 분기부(32)는 제4 와이어(34)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우측 장골동맥의 혈관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고정된 제2 분기부(32)는 제1 및 제2 림커버(11,12) 제거시 몸체부(20)와 제1 분기부(31)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1 및 제2 림커버(11,12)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몸체부(20)의 상단에 결합된 제2 와이어(22)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어 혈관 내벽에 밀착된다.
그리고 몸체부(20)와 제1 분기부(31)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3 와이어(21,33)가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복부 대동맥과 좌측 장골동맥의 각 혈관 내벽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 제3 및 제4 와이어(21,33,34)의 외면에 형성된 섬유 보풀(23)은 혈관 내벽과 밀착된 상태에서 혈전을 유발하여 스텐트 그래프트(10)와 혈관 내벽 사이의 저항을 강하게 형성함으로써, 스텐트 그래프트(10)의 고정력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몸체부(20)와 제1 및 제2 분기부(31,32)에 각각 확장부(40)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확장부(40)는 대동맥류가 형성된 부위에 대응되도록, 단독으로 삽입되거나, 몸체부(20)와 제1 및 제2 분기부(31,32)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와 혈관 내벽 사이에 강한 저항을 형성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는 와이어에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을 결합하여 스텐트 그래프트가 대동맥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대동맥의 혈관 내벽과 밀착되도록, 혈관 내벽과 섬유 보풀 사이에 형성된 혈전을 통해 스텐트 그래프트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동맥의 혈압 상승 또는 대동맥의 내경이 전반적으로 확장되어도 스텐트 그래프트를 대동맥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가 혈관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하여 복부 대동맥의 혈액이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분으로 누출되는 엔도리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골동맥의 분지부가 좁은 환자들에게도 시술이 가능함에 따라, 장골동맥 또는 장골동맥과 인접한 복부 대동맥에 대동맥류가 발생한 환자의 치료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스텐트 그래프트와 혈관 내벽 사이에 강한 저항을 형성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텐트 그래프트 기술에 적용된다.
10: 스텐트 그래프트
11 내지 13: 제1 내지 제3 림 커버
14: 와이어
20: 몸체부
21,22: 제1,제2 와이어
23: 섬유 보풀
30: 분기부
31,32: 제1,제2 분기부
33,34: 제3,제4 와이어
40: 확장부
41: 제5 와이어

Claims (10)

  1.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부위에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분기부는 각각 생체 적합성 소재를 복수 겹으로 겹쳐서 제조되며,
    상기 몸체부와 각 분기부는 각각 혈관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에는 상기 와이어와 혈관 내벽 사이의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와이어를 혈과 내벽에 고정하도록, 혈관 내벽과 밀착된 상태에서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이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와 각 분기부는 각각 림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나의 외부 커버에 삽입되어 일측 장골동맥을 통해 복부 대동맥에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부위까지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부 중에서 반대측 분기부는 반대측 장골동맥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측 분기부가 삽입되는 림커버에는 림 캡처 디바이스에 걸리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반대측 분기부를 1회 이상 감고, 상기 림커버 외부에서 1회 이상 감아서 복수회 꼬인 스프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각 분기부에 적용되는 복수 겹의 직물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직물은 혈관 내벽과의 저항을 높이도록, 직조되는 섬유의 직경을 크게 하거나 복수의 섬유를 꼬아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를 꼬아서 만든 멀티 필라멘트 형상의 결합사를 이용해서 재봉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분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7.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동맥류가 발생한 혈관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몸체부와 복수의 분기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생체 적합성 소재를 복수 겹으로 겹쳐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혈관 내벽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가닥의 섬유사를 꼬아서 만든 멀티 필라멘트 형상의 결합사를 이용해서 재봉 방식으로 상기 몸체부 또는 분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혈관 내벽과 밀착된 상태에서 혈전을 유발하는 섬유 보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일단부 외면에는 결합되는 대상과의 저항을 높이도록,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그래프트.
KR1020210085477A 2021-06-30 2021-06-30 스텐트 그래프트 KR10260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477A KR102609978B1 (ko) 2021-06-30 2021-06-30 스텐트 그래프트
PCT/KR2021/015975 WO2023277264A1 (ko) 2021-06-30 2021-11-05 스텐트 그래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477A KR102609978B1 (ko) 2021-06-30 2021-06-30 스텐트 그래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874A KR20230003874A (ko) 2023-01-06
KR102609978B1 true KR102609978B1 (ko) 2023-12-06

Family

ID=8469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477A KR102609978B1 (ko) 2021-06-30 2021-06-30 스텐트 그래프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9978B1 (ko)
WO (1) WO202327726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532A (ja) * 1999-03-31 2000-10-10 Terumo Corp 管腔内留置物
WO2006107562A2 (en) * 2005-04-01 2006-10-12 Boston Scientific Santa Rosa Corporation Hybrid modular endovascular graft
KR102037543B1 (ko) 2012-01-16 2019-10-28 메리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회전 방사 재료로 커버링된 의료 기구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8788A (en) * 1995-11-07 1997-05-13 Corvita Corporation Self-expanding endoluminal stent-graft
GR970100134A (el) * 1997-04-10 1998-12-31 Τυπος διχαλωτου ενδοαυλικου μοσχευματος για την ενδοαυλικη αντιμετωπιση ανευρυσματων της κοιλιακης αορτης και τεχνικης τοποθετησης
JP5108999B2 (ja) 2000-03-14 2012-12-26 クック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ステント移植片部材
WO2005094725A1 (en) * 2004-03-31 2005-10-13 Merlin Md Pte Ltd A method for treating aneurysms
KR100601969B1 (ko) 2004-06-15 2006-07-14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인조혈관 스텐트
KR101753203B1 (ko) 2015-04-24 2017-07-03 주식회사 엠아이텍 이중 스텐트
CN107920883B (zh) * 2015-09-09 2020-07-03 弗里德曼德科技公司 用于防止中风的二分叉3d过滤器组件
WO2019122944A1 (en) * 2017-12-19 2019-06-27 Kardiozis Sas Delivery device, delivery system, stent graft and a suppor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532A (ja) * 1999-03-31 2000-10-10 Terumo Corp 管腔内留置物
WO2006107562A2 (en) * 2005-04-01 2006-10-12 Boston Scientific Santa Rosa Corporation Hybrid modular endovascular graft
KR102037543B1 (ko) 2012-01-16 2019-10-28 메리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회전 방사 재료로 커버링된 의료 기구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874A (ko) 2023-01-06
WO2023277264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3004B2 (en) Stent graft for reinforcement of vascular abnormalities and associated method
AU2009215690B2 (en) Stent/stent graft for reinforcement of vascular abnormalities and associated method
JP6077467B2 (ja) インプラント
KR101030945B1 (ko) 혈관 이상부를 강화하기 위한 혈관계내에 전달가능한스텐트
US20170304042A1 (en) Stent graft having extended landing area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4540912B2 (ja) 血管内グラフトシステム
US6986786B1 (en) Endovascular prostethic devices having hook and loop structures
US20070239261A1 (en) Aneurysm occlusion system and method
JP2001129001A (ja) 単フィラメント繊維を用いた管状移植片
JP6290097B2 (ja) 腔内人工血管
JP2001509054A (ja) 病的脈管を治療するためのステント
WO2003075799A1 (en) Endovascular graft device and methods for attaching components thereof
EP2701631A1 (en) Method of making an endoluminal vascular prosthesis
KR102609978B1 (ko) 스텐트 그래프트
CN212630978U (zh) 分叉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