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957B1 - 접이식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957B1
KR102609957B1 KR1020210140683A KR20210140683A KR102609957B1 KR 102609957 B1 KR102609957 B1 KR 102609957B1 KR 1020210140683 A KR1020210140683 A KR 1020210140683A KR 20210140683 A KR20210140683 A KR 20210140683A KR 102609957 B1 KR102609957 B1 KR 10260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heating
pivoting
heating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892A (ko
Inventor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최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영 filed Critical 최수영
Priority to KR102021014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9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9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지지회전부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회전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상기 회동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회동암; 및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과 결합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세워진 회동본체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가열장치{folding heater device}
본 발명은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 내의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를 가열하기 위해서 커피포트, 냄비, 주전자 등을 이용한다. 가열된 물 또는 음료는 용기에 따라 마시거나 이용하는데, 가열한 물 또는 음료는 작은 컵에 따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을 수 있다. 따라서, 재가열을 위해서 물 또는 음료를 가열용 냄비 또는 주전자에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소량의 물 또는 음료를 가열하는 경우, 단시간에 증발해 버릴 수도 있고, 화재 발생의 위험도 있다. 다른 예시로는 여행 중 또는 캠핑과 같은 야외에서 간편하게 물을 끓이고 싶을 때 포트나 냄비는 휴대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물이나 음료 내부에 직접 가열기를 넣어 가열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는데, 그 예로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1-0134015호에서는 액체의 양이 기준값 이상일 때 히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히터와 케이스, 케이스의 일부를 관통하여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과, 온도감지센서, 정전용량센서가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수중 가열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015-0007330호는 수중히터로 발열봉이 포함되어있고 전원장치인 플러그를 통해 물의 온도를 높이는 것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문헌들은 수중가열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휴대하기가 불편하며 소량의 액체를 가열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휴대하기에도 간편하며 소량의 액체를 쉽게 가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1-0134015호 (등록일: 2012.12.1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2015-0007330호 (등록일: 2017.12.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에 담긴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접이식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접히고 펴지는 구조를 통한 가동성으로 인해 소형화할 수 있는 접이식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방의 사물을 감지해 가열하거나 가열을 중지할 수 있는 접이식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회전부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회전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상기 회동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회동암; 및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과 결합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세워진 회동본체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의 온도 또는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는, 유선방식 또는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암은,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중공영역을 가지는 회동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암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가열부재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이 탈착되며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가열봉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지지회전부의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은, 상기 제1 회동프레임의 일측면과 상기 제2 회동프레임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은, 내부에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가열부재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의 온도 또는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회전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암은, 상기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 타단부 사이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ㄷ형의 회동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된 일단부에 가열부재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회전부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회전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상기 회동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회동암; 및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과 결합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세워진 회동본체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하고,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재의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위치되고, 상기 회동암은,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중공영역을 가지는 회동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 몸체부의 단부에 가열부재가 회전 시 상기 중공영역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지지회전부의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은 회전 시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는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에 담긴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히고 펴지는 구조를 통한 가동성으로 인해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전방의 사물을 감지해 가열하거나 가열을 중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가열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거치 또는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가열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거치 또는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가열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거치 또는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가열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의 거치 또는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1)는, 지지회전부(120)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100); 상기 지지회전부(12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200); 상기 회동본체(200)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20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100)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상기 회동본체(200)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회동암(300); 및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300)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300)과 결합되는 가열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400)는, 세워진 회동본체(200)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300)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5)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패널(100)에 대해 회동본체(200), 회동암(300), 가열부재(400)는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됨으로써,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용기(5)의 크기 또는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5)에 담긴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회전부(120)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100)은 용기(5) 내의 유체를 가열하는 동안 회동본체(200), 회동암(300), 가열부재(400)를 지지하거나, 접힘 후 거치를 위한 수단으로 마련된다. 상기 지지회전부(120)는 회동본체(200)의 일단부와 지지회전부(120)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회동본체(200)는 지지패널(100)에 대해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지지패널(100) 상에 접하며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회전부(120)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200)는 상기 가열부재(40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회동본체(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재(400)의 온도 또는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21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표시부(210)는 도1 내지 3과 같이, LED 램프가 점멸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온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점멸되는 램프의 수가 다르거나, 색상이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가열되는 온도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0)는 접이식 가열장치(1)의 온오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200)는, 상기 표시부(2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22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가열장치(1)의 주변에 용기(5)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가열부재(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과열, 화재발생, 사용자의 화상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안전하게 접이식 가열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동본체(200)는, 유선방식 또는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으며, 실내와 야외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회동암(300)은 상기 회동본체(200)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200)와 결합되며,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100)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도 3과 같이 회동암(300)은 상기 회동본체(200)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즉,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회동본체(200)와 나란히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암(300)은, 상기 회동본체(200)의 타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중공영역(310)을 가지는 회동암 몸체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암 몸체부의 일단부에는 가열부재(400)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동암(300)의 중공영역(310)은 거치 시 접힌 가열부재(400)의 안착공간으로 마련되어 컴팩트한 상태로 접이식 가열장치(1)를 보관할 수 있다.
가열부재(400)는,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300)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3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가열부재(400)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가열봉(410)과, 상기 가열봉(410)이 탈착되며 상기 회동암(30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가열봉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봉(410)은 열선이 형성된 세라믹 소재 또는 열선을 포함하는 쿼츠 소재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열봉(410)은 가열봉 결합부(420)에 대해 끼움 결합 또는 볼트 너트 방식의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봉(410)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열봉(410)은 발열체라 할 수 있으므로, 가열봉 결합부(420), 회동암(300), 회동본체(200), 지지패널(10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내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이식 가열장치(1)를 이용하여 소형의 용기(5) 내에 담긴 유체를 가열할 경우, 지지패널(1)의 지지회전부(120)를 중심으로 회동본체(200)를 회전시켜 원하는 높이 또는 기울기로 세우고, 회동본체(200)의 일측면에 접한 회동암 몸체부(320)를 회동본체(20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킨 후, 가열봉 결합부(420)를 회동암 몸체부(320)로부터 하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음으로 회동암 몸체부(320) 또는 회동본체(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가열봉(410)을 용기(5)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의 과정으로 상기 가열부재(400)는 세워진 회동본체(200)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300)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5)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가열이 완료되면, 회동암 몸체부(320) 또는 회동본체(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가열봉(410)을 용기(5)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5)의 크기 및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5) 내의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봉(410)이 소정의 온도 이하로 식으면, 가열부재(400)는 회동암 몸체부(320)에 마련된 중공영역(310)에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회동암(300)과 회동본체(200)는 지지패널(100)의 상부면에 안착하도록 회전되어, 접이식 가열장치(1)는 도 3과 같은 형태로 거치 또는 보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1)의 회동본체(200)는 상기 지지회전부(120)의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 회동프레임(222)과 제2 회동프레임(224)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300)은, 상기 제1 회동프레임(222)의 일측면과 상기 제2 회동프레임(224)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동프레임(222)과 제2 회동프레임(224) 사이는 회동본체 중공영역(23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영역(230)은 회동암(300)의 거치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1)의 지지패널(100)은, 내부에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가열부재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부(140)와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의 온도 또는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30)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온도조절부(140)는 용기(5) 내부의 유체 온도를 올리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현재의 유체의 온도를 나타내거나, 현재의 유체 온도와 설정 온도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가며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전원공급부(150)는 유선방식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170)는 상기 지지회전부(12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접이식 가열장치(1)의 주변에 용기(5)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가열부재(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과열, 화재발생, 사용자의 화상 등을 방지하여 사용자는 안전하게 접이식 가열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1)의 회동암(300)은, 상기 제1 회동프레임(222)과 제2 회동프레임(224) 타단부 사이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ㄷ형의 회동암 몸체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된 일단부에 가열부재(400)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ㄷ형의 회동암 몸체부(320)는 회동암 중공영역(310)을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암 중공영역(310)은 가열부재(400)의 거치 영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1)의 가열부재(400)는 상기 가열봉(410)의 일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열봉 결합부(420)에 결합되는 온도측정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측정기(450)는 적외선을 이용한 온도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접 유체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기(450)는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부(140) 및 표시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열봉 결합부(420)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70)는 사용자가 잡기 편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가열장치는 용기의 크기 또는 형태와 관계없이 용기에 담긴 유체를 직접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히고 펴지는 구조를 통한 가동성으로 인해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용이하고, 전방의 사물을 감지해 가열하거나 가열을 중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접이식 가열장치
5; 용기
100; 지지패널
120; 지지회전부
130, 210; 표시부
140 온도조절부
150; 전원공급부
170, 220; 위치감지센서
200; 회동본체
222; 제1 회동프레임
224; 제2 회동프레임
230; 회동본체 중공영역
300; 회동암
310; 회동암 중공영역
320; 회동암 몸체부
400; 가열부재
410; 가열봉
420; 가열봉 결합부
450; 온도측정기
470; 손잡이

Claims (10)

  1. 지지회전부를 일단부에 마련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회전부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거나,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동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패널로부터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거나, 상기 회동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거치되는 회동암; 및
    회전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로부터 하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동암과 결합되는 가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세워진 회동본체를 중심으로 한 회동암의 회전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용기 내에 위치하여 유체를 직접 가열하고,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로 조절된 상기 가열부재의 잔열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가 위치되고,
    상기 회동암은, 상기 회동본체의 타단부 일측과 결합되며 중심부에 중공영역을 가지는 회동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 몸체부의 단부에 가열부재가 회전 시 상기 중공영역에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지지회전부의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결합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은 회전 시 제1 회동프레임과 제2 회동프레임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가열부재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본체는,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본체는, 유선방식 또는 배터리방식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이 탈착되며 상기 회동암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가열봉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내부에는 상기 가열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측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가열부재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조절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회전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위치감지 센서를 일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가열장치.
  10. 삭제
KR1020210140683A 2021-10-21 2021-10-21 접이식 가열장치 KR10260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683A KR102609957B1 (ko) 2021-10-21 2021-10-21 접이식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683A KR102609957B1 (ko) 2021-10-21 2021-10-21 접이식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892A KR20230056892A (ko) 2023-04-28
KR102609957B1 true KR102609957B1 (ko) 2023-12-05

Family

ID=8614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683A KR102609957B1 (ko) 2021-10-21 2021-10-21 접이식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9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50B1 (ko) * 2009-07-08 2009-12-30 엔텍엘이디(주) 조사각 조절이 자유롭고 무드등 연출이 가능한 전기스탠드
KR101967833B1 (ko) * 2018-08-10 2019-04-16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수족관용 온도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58Y1 (ko) * 2008-10-17 2011-04-11 박교양 접이식 스탠드
KR101142834B1 (ko) 2010-06-08 2012-05-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라브리딘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
KR102045993B1 (ko) * 2017-06-30 2019-11-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덕션 레인지의 용기 검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50B1 (ko) * 2009-07-08 2009-12-30 엔텍엘이디(주) 조사각 조절이 자유롭고 무드등 연출이 가능한 전기스탠드
KR101967833B1 (ko) * 2018-08-10 2019-04-16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수족관용 온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892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3231T3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espuma a partir de liquidos alimenticios a partir de leches y procedimiento para su implantacion.
JP6670367B2 (ja) エスプレッソミルク泡立て器
US6082246A (en) Telescoping coffee and tea brewer
US20090020018A1 (en) Hot Beverage Center
US5895595A (en)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JP2008541908A (ja) 浸出物を得る方法及び装置
KR102609957B1 (ko) 접이식 가열장치
FR2828082A1 (fr) Ensemble chauffe-biberon-biberon
BR102016008561A2 (pt) aparelho eletrodoméstico de preparação culinária
US20050238341A1 (en) Baby formula preparation device
WO2004110225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othermique, et bouilloire electrothermique sans fil pour la cuisson de boissons
US20050238775A1 (en) Butter melter and warmer
GB2327180A (en) Electric kettle to selectively heat or boil water
GB2311716A (en) Kettle with visual indicator reactive to temperature
US20160073824A1 (en) Heated Dual-Wall Carafe Apparatus and Method
JP3625385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H0423469Y2 (ko)
KR20200139924A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컵
US11497679B2 (en) Genital steaming assembly
CN108720596A (zh) 一种能自动收线恒温热水壶
CN219846146U (zh) 电热保温装置以及包括其的温茶器
CN108851983A (zh) 一种水壶
RU128089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емкость с терморегулированием
KR200490271Y1 (ko) 휴대용 온수기
KR101063553B1 (ko)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