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576B1 -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576B1
KR102609576B1 KR1020170151458A KR20170151458A KR102609576B1 KR 102609576 B1 KR102609576 B1 KR 102609576B1 KR 1020170151458 A KR1020170151458 A KR 1020170151458A KR 20170151458 A KR20170151458 A KR 20170151458A KR 102609576 B1 KR102609576 B1 KR 10260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muth telluride
thermoelectric
waste
recycling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644A (ko
Inventor
이근재
박지환
Original Assignee
(주)엠티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티아이지 filed Critical (주)엠티아이지
Priority to KR102017015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5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9/00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C01B19/007Tellurides or selen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의 일 양태는,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perylene coating) 및 불순물이 제거되어 열전 칩이 수거되는 열전 칩 수거 단계;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제거되는 솔더 제거 단계; 상기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만 용해되는 선택적 용해 단계; 및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환원제 및 첨가제와 반응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이 제조되는 분말 제조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ISMUTH TELLURIDE NANO POWDER USING WASTE THERMOELECTRIC MODULE}
본 발명은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전소재는, 재료 양단 간에 발생한 온도차가 전압으로 변환되거나, 반대로 재료에 전압을 가했을 때 재료 양단 간에 온도차가 발생하는 에너지 변환 현상인 열전효과(thermoelectric effect)를 나타내는 소재를 말한다. 이러한 열전소재는, 특수 전원장치, 반도체 온도 조절장치, 열교환기, 가열 장치 및 온도 센서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비스무스 텔루라이드(Bismuth Telluride, Bi2Te3)는, 열전 효과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인 열전 성능 지수가 실온에서 가장 높은 열전소재이다. 그러나,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구성 원소인 비스무스(Bi) 및 텔루륨(Te)이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해외에서 산출되기 때문에 수급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사용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현실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함유 폐기물로부터,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를 재활용하는 기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8274호(명칭: 연속식 공정을 이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입자 제조 방법 및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입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8966호(명칭: 비스무스-텔루륨 열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경제적으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의 일 양태는,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perylene coating) 및 불순물이 제거되어 열전 칩이 수거되는 열전 칩 수거 단계(S100);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제거되는 솔더 제거 단계(S200); 상기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만 용해되는 선택적 용해 단계(S300); 및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환원제 및 첨가제와 반응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이 제조되는 분말 제조 단계(S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 상기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 및 불순물은, THF(Tetrahydrofuran, L(-)-5,6,7,8-tetrahydrofolic acid)과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 상기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 및 불순물은, 310℃의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은, 기설정된 온도에서, 기설정된 농도의 염산(HCl)과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은, 35% 농도의 염산과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과 염산의 반응은, 25℃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기설정된 온도에서, 기설정된 농도의 질산(HNO3)과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70% 농도의 질산과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와 질산의 반응은, 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H2O)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첨가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CTAB(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PVP K55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서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이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경제적으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보인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하여 제조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fe-SEM :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ion Micrescope)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의하여 제조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의 XRD(X-ray Diffraction)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예 1,2의 솔더 제거 단계의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조예 및 비교예 3,4의 선택적 용해 단계의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전지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보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전지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을 보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폐전지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은, 열전 칩 수거 단계(S100), 솔더 제거 단계(S200), 선택적 용해 단계(S300) 및 분말 제조 단계(S4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는,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perylene coating) 및 불순물이 제거되어 열전 칩이 수거된다. 이 때, 상기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 및 불순물은, THF(Tetrahydrofuran, L(-)-5,6,7,8-tetrahydrofolic acid)과 반응하고, 310℃의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는,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제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솔더 성분은, 35% 농도의 염산과 25℃에서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는, 상기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만 용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70% 농도의 질산과 40℃에서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는,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환원제 및 첨가제와 반응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이 제조된다. 이 때,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H2O)이고, 상기 첨가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CTAB(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PVP K55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제조예>
제조예에서는,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perylene coating) 및 불순물이, THF(Tetrahydrofuran, L(-)-5,6,7,8-tetrahydrofolic acid)와 310℃의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제거된 후 열전 칩이 수거되었다.
그리고,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는,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25℃에서 35% 농도의 염산과 반응하여 제거되었다.
또한,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는, 상기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40℃에서 70% 농도의 질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용해되었다.
마지막으로,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는,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H2O) 및 citric acid과 반응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이 제조되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제조예와 동일하게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하되,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25℃에서 15% 농도의 염산과 반응하여 제거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제조예와 동일하게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하되,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50℃에서 35% 농도의 염산과 반응하여 제거되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제조예와 동일하게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하되,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25℃에서 70% 농도의 질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용해되었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제조예와 동일하게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을 제조하되,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40℃에서 35% 농도의 질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용해되었다.
실험예
<실험예 1>
상기 제조예에 의하여 제조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에 대하여 주사전자현미경(fe-SEM :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ion Microscope) 및 XRD(X-ray Diffraction) 분석을 수행하였고, 사진 및 그래프를 도 2,3에 첨부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구형의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입자가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3을 참조하면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 1,2의 솔더 제거 단계(S200)의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래프를 도 4 내지 6에 첨부하였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제조예의 경우 비교예 1,2에 비하여 솔더의 용해가 단시간에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예의 경우, 비교예 1,2에 비하여 솔더의 제거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 3,4의 선택적 용해 단계(S300)의 XRF(X-Ray Flourescence Spectrometry)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래프를 도 7 내지 9에 첨부하였다.
도 7 내지 9을 참조하면, 제조예의 경우 비교예 3,4에 비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용해가 단시간에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예의 경우, 비교예 3,4에 비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의 용해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perylene coating) 및 불순물이 제거되어 열전 칩이 수거되는 열전 칩 수거 단계(S100);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이 제거되는 솔더 제거 단계(S200);
    상기 솔더가 제거된 열전 칩이, 산과 반응하여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만 용해되는 선택적 용해 단계(S300); 및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가, 환원제 및 첨가제와 반응하여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이 제조되는 분말 제조 단계(S400)를 포함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
    상기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 및 불순물은, THF(Tetrahydrofuran, L(-)-5,6,7,8-tetrahydrofolic acid)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칩 수거 단계(S100)에서,
    상기 폐열전모듈에 포함된 페릴렌 코팅 및 불순물은, 310℃의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제거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은, 기설정된 온도에서, 기설정된 농도의 염산(HCl)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은, 35% 농도의 염산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 제거 단계(S200)에서,
    상기 열전 칩에 포함된 솔더 성분과 염산의 반응은, 25℃에서 이루어지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기설정된 온도에서, 기설정된 농도의 질산(HNO3)과 반응하여 용해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는, 70% 농도의 질산과 반응하여 용해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용해 단계(S300)에서,
    상기 n-type 비스무스 텔루라이드와 질산의 반응은, 40℃에서 이루어지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환원제는, 하이드라진(hydrazine, N2H4·H2O)인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제조 단계(S400)에서,
    상기 첨가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CTAB(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및 PVP K55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계 나노 분말.
KR1020170151458A 2017-11-14 2017-11-14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KR10260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58A KR102609576B1 (ko) 2017-11-14 2017-11-14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458A KR102609576B1 (ko) 2017-11-14 2017-11-14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44A KR20190054644A (ko) 2019-05-22
KR102609576B1 true KR102609576B1 (ko) 2023-12-04

Family

ID=6668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458A KR102609576B1 (ko) 2017-11-14 2017-11-14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5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74B1 (ko) 2013-12-03 2015-0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텔루륨과 셀레늄의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텔루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66B1 (ko) 2010-01-05 2011-09-29 한국기계연구원 비스무스-텔루륨 열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5167B1 (ko) * 2012-02-29 2013-09-1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열전모듈로부터 열전소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95715B1 (ko) * 2013-07-09 2015-02-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타입과 n-타입 열전소재의 선택적 회수방법
KR101768274B1 (ko) 2014-08-13 201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속식 공정을 이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입자 제조 방법 및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입자
KR20160146249A (ko) * 2015-06-12 2016-12-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 열전모듈로부터 텔루륨 산화물을 회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74B1 (ko) 2013-12-03 2015-0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텔루륨과 셀레늄의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텔루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소형섭 외, J. Korean Powder Metall. Inst. Vol. 24, No. 2, 141-146, 2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644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o et al. Enhancing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ternary nanocrystals through adjusting carrier concentration
Yang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of single-crystalline CdO and Cd (OH) 2 nanowires by a simple hydrothermal approach
Beltran-Huarac et al. Single-crystal γ-MnS nanowires conformally coated with carbon
Hu et al. Composite-hydroxide-mediated approach as a general methodology for synthesizing nanostructures
Yu et al. Growth of dumbbell-like ZnO microcrystals under mild conditions and their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Yousefi et al. Influence of lead concentration on morphology and optical properties of Pb-doped ZnO nanowires
Cong et al. Growth and extension of one-step sol–gel derived molybdenum trioxide nanorods via controlling citric acid decomposition rate
KR20110049580A (ko) 나노복합체형 열전재료,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과 열전 장치
Finefrock et al. Large-scale solution-phase production of Bi 2 Te 3 and PbTe nanowires using Te nanowire templates
Wu et al. Morphology control, crystal growth, and growth mechanism of hierarchical tellurium (Te) microstructures
Wang et al. Manipulating growth of thermoelectric Bi2Te3/Sb multilayered nanowire arrays
Janene et al. Nanoplate-like CuO: hydrotherm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KR102609576B1 (ko) 폐열전모듈을 재활용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나노 분말 제조 방법
TWI555243B (zh) 熱電材料及其製法
Yang et al. Trifold Tellurium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and their formation mechanism
Xu et al. Enhanced gas sensing properties for ethanol of Ag@ ZnSnO 3 nano-composites
Fang et al. Phase Evolution of Cu S System in Ethylene Glycol Solution: the Effect of Anion and PVP on the Transformation of Thiourea
Zhang et al. Wet chemical synthesis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V-VI one-and two-dimensional nanostructures
KR101850961B1 (ko) 열전 복합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4030348A (zh) 一种二氧化钛纳米带的制备方法
Chettri et al. Plasma augmented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half doped neodymium strontium manganites
JP2009196821A (ja) ペロブスカイト系酸化物、当該酸化物の製造方法及び当該酸化物を用いた熱電素子
So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tellurium nanorods by using recovered tellurium from waste electronic devices
Howells et al. Rapid Printing of Pseudo-3D Printed SnSe Thermoelectric Generators Utilizing an Inorganic Binder
US9023663B2 (en) Method for preparing nano-sheet array structure of group V-VI semi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