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491B1 -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 Google Patents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491B1
KR102609491B1 KR1020160176907A KR20160176907A KR102609491B1 KR 102609491 B1 KR102609491 B1 KR 102609491B1 KR 1020160176907 A KR1020160176907 A KR 1020160176907A KR 20160176907 A KR20160176907 A KR 20160176907A KR 102609491 B1 KR102609491 B1 KR 10260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t water
generator
supply lin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780A (ko
Inventor
조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6017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4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는, 일측이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부;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 상기 온수생성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각각 세정노즐과 상기 증기발생부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밸브; 상기 증기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증기분출부; 및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한 살균 및 세척 작업후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공기혼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Bidet having function of sterilization and washing}
본 발명은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분출부를 구비하여 증기분출부를 통한 온수세정기의 살균 및 세척 작업후, 공기혼입부를 통해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가 혼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고온의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할 수 있어 추후에 증기발생부의 가열작동 중 사용자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수로 항문 및 항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변 후 뒷처리를 깨끗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이러한 비데는 사용자의 용변 및 습한 환경의 사용조건으로 각종 오염원에 노출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비데의 세정 노즐 자가 세척 기능은 있으나, 본체 및 그 주변을 세척하는 기능은 갖추어지지 않음에 따라 본체 및 그 주변에 부착되는 오염물질 등으로 인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비데에 더러운 이물과 찌든 때 등이 생겨도 전자부품 누전 등의 문제로 사용자가 마음대로 물 세척 및 합성세제 사용하여 청소할 수 없음에 따라 각종 오염원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없었으며 아울러 비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스팀(증기)을 분사하여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증기을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 및 분사노즐의 작동에 따라 온수세정기의 살균 및 세척 작업을 수행한 후,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고온의 물 또는 증기가 잔존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증기발생부의 가열작동에 따라 내부의 잔존하던 물 또는 증기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팽창하여 외부로 분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69706호(공개일 2004.12.1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분출부를 구비하여 증기분출부를 통한 온수세정기의 살균 및 세척 작업후, 공기혼입부를 통해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가 혼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고온의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할 수 있어 추후에 증기발생부의 가열작동 중 사용자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는, 일측이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부;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 상기 온수생성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각각 세정노즐과 상기 증기발생부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밸브; 상기 증기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증기분출부; 및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한 살균 및 세척 작업후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공기혼입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급수라인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상기 온수생성부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급수차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증기분출부에서 분출되는 증기를 통한 살균 또는 세척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급수차단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로 온수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급수차단부와 증기발생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온수생성부와 분기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기밸브의 일측에는 제 1 온수공급라인 및 제 2 온수공급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온수공급라인은 상기 세정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은 상기 증기발생부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구성이다.
상기 증기분출부는 상기 온수세정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를 통해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상기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와 증기를 분출하는 증기분출부를 구비하여 온수세정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증기분출부를 통한 온수세정기의 살균 및 세척 작업후, 공기혼입부를 통해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가 혼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고온의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할 수 있어 추후에 증기발생부의 가열작동 중 사용자의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에 설치되는 증기분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에 설치되는 증기분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100)에 대해 설명하면,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100)는 온수생성부(10), 증기발생부(20), 분기밸브(30), 증기분출부(40) 및 공기혼입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수생성부(10)는 일측이 급수라인(11)과 연결되어 급수라인(11)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항문 및 그 주변부를 세정하기 위한 온수(세정수)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증기발생부(20)는 온수생성부(10)에서 생성된 온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분기밸브(30)는 온수생성부(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생성부(10)에서 생성된 온수를 각각 세정노즐(60)과 상기 증기발생부(20)로 분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증기분출부(40)는 상기 증기발생부(20)를 통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100)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증기분출부(40)는 실시하기에 따라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10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혼입부(50)는 상기 증기분출부(40)를 통한 살균 및 세척 작업후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하는 고온의 물 또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출부(4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구성이다.
그리고, 급수라인(11)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라인(11)을 통해 상기 온수생성부(10)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급수차단부(1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혼입부(50)는 상기 증기분출부(40)에서 분출되는 증기를 통한 살균 또는 세척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급수차단부(12)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20)로 온수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물 또는 증기가 증기발생부(20)의 가열작동에 의해 팽창하여 사용자의 제어와는 무관하게 증기분출부(4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공기혼입부(50)는 상기 급수차단부(12)와 분기밸브(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11)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여 증기분출부(40)를 통해 물 또는 증기가 예기치 못하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공기혼입부(5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생성부(10)와 증기발생부(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분기밸브(30)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온수가 분기되어 상기 세정노즐(60)과 상기 증기발생부(20)에 각각 공급시키기 위한 제 1 온수공급라인(13) 및 제 2 온수공급라인(14)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온수공급라인(13)은 상기 세정노즐(60)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14)은 상기 증기발생부(20)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혼입부(50)는 실시하기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온수공급라인(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14)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살균 및 세척 작업을 마친 이후에 증기발생부(20)의 내부로 공기가 혼입됨으로써 증기발생부(2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가 증기분출부(4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기 때문에 추후에 증기발생부(20)의 가열작동 중 사용자가 고온의 물 또는 증기로 인한 화상 등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100 :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10 : 온수생성부 11 : 급수라인
12 : 급수차단부 13 : 제 1 온수공급라인
14 : 제 2 온수공급라인 20 : 증기발생부
30 : 분기밸브 40 : 증기분출부
50 : 공기혼입부 60 : 세정노즐

Claims (7)

  1. 일측이 급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라인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부;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 상기 온수생성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수생성부에서 생성된 온수를 각각 세정노즐과 상기 증기발생부로 분기시키기 위한 분기밸브; 상기 증기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증기분출부; 및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한 살균 및 세척 작업후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출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제거되도록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공기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라인 일측에는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상기 온수생성부로 급수되는 물을 차단하는 급수차단부를 설치하되,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증기분출부에서 분출되는 증기를 통한 살균 또는 세척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급수차단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로 온수 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급수차단부와 증기발생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온수생성부와 분기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밸브의 일측에는 제 1 온수공급라인 및 제 2 온수공급라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온수공급라인은 상기 세정노즐로 온수를 공급하며,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은 상기 증기발생부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혼입부는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온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로 공기를 혼입시켜 상기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 또는 증기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분출부는 상기 온수세정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발생부를 통해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분출시켜 상기 온수세정기를 살균 및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KR1020160176907A 2016-12-22 2016-12-22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KR10260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907A KR102609491B1 (ko) 2016-12-22 2016-12-22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907A KR102609491B1 (ko) 2016-12-22 2016-12-22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80A KR20180073780A (ko) 2018-07-03
KR102609491B1 true KR102609491B1 (ko) 2023-12-05

Family

ID=6291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907A KR102609491B1 (ko) 2016-12-22 2016-12-22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84A (ja) * 2003-03-05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2759Y1 (ko) * 1996-03-22 1998-12-15 이세용 온수세정기의 내부 건조 장치
KR100369706B1 (ko) 2000-08-30 2003-01-29 정병현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의한 의원성 질병 예방용 복합제제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KR20150097094A (ko) * 2014-02-18 2015-08-26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84A (ja) * 2003-03-05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80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27B1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US10010635B2 (en) Detergent pourer sterilizer and sterilizing method thereby
CN106988399B (zh) 具有水加热器的冲洗座便器
KR101303449B1 (ko)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2609491B1 (ko)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지는 온수세정기
KR20100085735A (ko) 온수세정기의 세척장치
JP2017180014A (ja) 衛生洗浄装置
KR20160012363A (ko) 변기시트의 세정장치
JP2008005989A (ja) 食器洗い機
KR20140013724A (ko) 비데
JP5766153B2 (ja) 温水洗浄器のノズルアセンブリ
KR200465268Y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본체 청소장치
JP2012052331A (ja) 洗浄便器における人体洗浄用ノズルの洗浄機構
KR200464137Y1 (ko)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KR20180052843A (ko) 젖병 세척 건조 살균기
KR20170000725U (ko) 핸드비데의 착탈식 국부 세정도구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KR20160077591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JP6432875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5024383A (ja) 洗浄装置および汚れ除去方法
JP650363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1741922B1 (ko) 세정장치
JP7310306B2 (ja) 衛生洗浄装置
JP7439574B2 (ja) 局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