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404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404B1
KR102609404B1 KR1020180074505A KR20180074505A KR102609404B1 KR 102609404 B1 KR102609404 B1 KR 102609404B1 KR 1020180074505 A KR1020180074505 A KR 1020180074505A KR 20180074505 A KR20180074505 A KR 20180074505A KR 102609404 B1 KR102609404 B1 KR 10260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tate
state sensor
elevator
sensor signal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384A (ko
Inventor
로버츠 랜디
피에드라 에드워드
피.스웨이빌 브루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0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기계와 연관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기계 상에 위치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HEALTH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LEVATOR SYSTEMS}
관련 출원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6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62/527,249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선출원의 내용은 이에 의해 그 전체가 참조로 통합된다.
본 출원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보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특징부들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복수의 엘리베이터 승장 사이 승강로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벨트 또는 로프(하중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장들의 각각의 승장에 멈출 때, 카 내 하중의 크기 변화는 승장에 관한 카의 수직 모션 상태(예를 들어, 위치, 속도, 가속도)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승객 및/또는 화물을 승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내로 이동시킬 때, 엘리베이터 승장에 관해 수직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 이상의 승객 및/또는 화물을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승장 상으로 이동시킬 때 엘리베이터 승장에 관해 수직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위치 변화는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큰 이동 높이 및/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의 하중 지지 부재를 갖는 경우, 소프트 히치 스프링들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들의 신장 및/또는 수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특정 조건 하에서, 히치 스프링들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들의 신장 및/또는 수축은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위치의 문제를 일으키는 진동, 예를 들어, 상하 "반동" 모션을 야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들은 엘리베이터 기계와 연관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에 관한 모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동적 보상 제어는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장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동요, 과도한 위치 변위, 및/또는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기 동작 상태의 상기 결정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들 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동안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 승장에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와의 리-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고장 상황이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밖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관한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가 (i)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든 이동 거리로 고정된 것 또는 (ii)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가 각각 위치, 속도, 가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방법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고장 상황에 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기계,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에 관해 배열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와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 모니터링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에 관한 모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보상 제어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에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장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동요, 과도한 위치 변위, 및/또는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기 동작 상태의 상기 결정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들 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동안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 승장에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와의 리-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고장 상황이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밖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관한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가 (i)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든 이동 거리로 고정된 것 또는 (ii)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모션 상태들이 위치, 속도, 가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고장 상황에 관한 알림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인코더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들의 추가 실시예들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배열되는 롤러 가이드로서,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가 상기 롤러 가이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열되는 인코더인, 상기 롤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의 특징부들 및 요소들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배타적이지 않고 다양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 및 요소들 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동작이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고려하여 보다 분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 설명 및 도면들은 성질상 예시 및 설명하기 위한 것 및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주제는 특히 명세서의 결론에서 거론되고 명백하게 청구된다. 본 개시 내용의 앞에서의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지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가이드 레일 트랙에 부착되는 도 1a의 엘리베이터 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가이드들이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부분적인 등축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롤러 가이드들 중 하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a는 정상 상태에서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플롯이다;
도 5b는 고장 상태에서 작동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플롯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실증하기 위한 플롯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상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실증하기 위한 플롯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프로세스이다.
도 1a는 엘리베이터 카(103), 균형추(105), 로핑(107), 가이드 레일(109), 기계(111),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 및 제어기(115)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1)의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3) 및 균형추(105)는 로핑(107)으로 서로 연결된다. 로핑(107)은 예를 들어, 로프들, 스틸 케이블들, 및/또는 코팅된 스틸 벨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것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균형추(105)는 엘리베이터 카(103)의 하중의 균형을 맞추도록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에서 그리고 가이드 레일(109)을 따라 균형추(105)에 대해 동시에 그리고 반대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10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로핑(107)은 기계(111)에 체결되며, 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1)의 오버헤드 구조의 부분이다. 기계(111)는 엘리베이터 카(103) 및 균형추(105) 간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는 조속 시스템(119)의 상측 시브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 엘리베이터 카(103)의 모션 상태와 관련된 모션 상태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모션 상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위치, 속도, 가속도, 및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션 속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는 기계(111)의 이동 구성요소에 직접 장착될 수 있거나,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다른 위치들 및/또는 구성들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는 기계(111)에 연결되는 인코더일 수 있다.
제어기(1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117)의 제어기 공간(121)에 위치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101), 특히 엘리베이터 카(10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115)는 엘리베이터 카(103)의 가속도, 감속도, 레벨링, 정지 등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기계(11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15)는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로부터 모션 상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117) 내에서 가이드 레일(109)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 카(103)는 제어기(115)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승장(125)에 정지할 수 있다. 제어기 공간(121)에 도시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제어기(115)가 엘리베이터 시스템(101) 내 다른 장소들 또는 위치들에 위치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기계(111)는 모터 또는 유사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계(111)는 전기 구동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모터를 위한 전원 공급 기구는 전력 그리드를 포함하여, 다른 구성요소들과 조합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임의의 전원일 수 있다.
로핑 시스템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다른 방법들 및 메커니즘들을 채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a는 예시 및 설명 목적들을 위해 제시되는 단지 비-제한적인 예이다.
도 1b는 가이드 레일(109)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때 엘리베이터 카(103)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3)는 하나 이상의 가이딩 디바이스(127)에 의해 가이드 레일(109)에 연결된다. 가이딩 디바이스들(127)은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가이드 슈들, 롤러들 등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9)은 베이스(129) 및 블레이드(131)가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 트랙을 획정한다. 엘리베이터 카(103)의 가이딩 디바이스들(127)은 가이드 레일(109)의 블레이드(131)를 따라 이어지도록 그리고/또는 그것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09)은 하나 이상의 브라켓(135)에 의해 엘리베이터 샤프트(117)(도 1a에 도시됨)의 벽(133)에 장착된다. 브라켓들(135)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이를테면 볼트들, 파스너들 등에 의해, 벽(133)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09)의 베이스(129)는 브라켓들(135)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그에 따라 가이드 레일(109)이 벽(133)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단단히 장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균형추의 가이드 레일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 제어, 특히 엘리베이터 카들의 반동, 진동 및/또는 동요를 빠르게 조절 및 처리하기 위한 진동 보상 시스템들을 위한 관리 시스템들과 관련된 장치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가 하중 변화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들의 신장/수축에 기인하여 위 또는 아래로 이동(예를 들어, 반동)할 수 있을 때 연속 리-레벨링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예를 들어, 승객들을 위한 사용자 경험 레벨) 승장들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의해 사용되는 동작 모드이다. 본 출원에 제공된 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들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은 두 개의 모션 상태 센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의 제1 모션 상태 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기계 모션 상태 센서(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일 수 있다. 제2 모션 상태 센서는 본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자체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온-카(on-car) 모션 상태 센서"), 이는 엘리베이터 카 침하 및 반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모션 상태 센서는 몇몇 실시예에서, 온-카 인코더일 수 있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적절한 설치 및 조절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동작 동안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카 모션 상태 센서의 성능을 추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들과 통신하고 모션 상태 센서들로부터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을 수신한다.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의 비교는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및 온-카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또는 다른 상태를 검출 및 예측하기 위해 진단하고 예상하는 방식으로 끊임없이 수행될 수 있다.
모션 상태 검출 요소 및/또는 기능이 카 상에 제공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롤러 가이드들(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가이딩 디바이스들(127))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모션 상태 감지 요소(예를 들어, 온-카 모션 상태 센서)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의 정확한 모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도록 가이딩 디바이스 내로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모션 상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속도, 및 가속도를 포함한다. 그 다음 모션 상태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의 동요, 진동, 및 반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상태 정보는 온-카 모션 상태 센서의 적절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들의 개략적인 예시들이 도시된다. 도 2a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202)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200)의 부분 등축도이다. 도 2b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204) 내에 체결됨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202)의 하향식 개략도이다.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200)은 수직 선틀들(208) 사이에 연장되는 크로스헤드 프레임(206)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들(202)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장착 베이스(210)에서 크로스헤드 프레임(206) 및 수직 선틀들(20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다. 장착 베이스(210)는 엘리베이터 카에 롤링 구성요소들을 장착 및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 가이드 프레임의 적어도 부분을 획정한다.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들(202)은 각각 가이드 레일(212)(도 2b에 도시됨)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그것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212)은 베이스(214) 및 블레이드(216)를 갖고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들(202)은 가이드 레일(212)의 블레이드(216)와 체결되고 그것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202)는 제1 롤러(218) 및 두 개의 제2 롤러(220)를 포함한다. 본 구성 및 배열에서,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제1 롤러(218)는 좌우 롤러이고 제2 롤러들(220)은 전후 롤러들이다. 도 2a 및 도 2b에 특정 구성 및 배열이 도시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에 제공된 실시예들이 다양한 다른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 구성/배열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 롤러들(218, 220)의 각각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은 롤러 휠들을 포함한다.
롤러들(218, 220)은 각각, 제1 지지 브라켓(222) 및 제2 지지 브라켓들(224)에 의해 장착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또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들은 통상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례로 카 프레임과 접촉하는, 롤러 가이드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어 피버팅 아암들에 고정되는 비유동적인 핀들(축들) 상에 장착되는 롤링 요소 베어링들을 갖는 휠들을 이용한다. 피버팅 아암은 베이스에 고정되는 비유동적인 피벗 핀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은 복원력 및 변위 스톱(예를 들어, 범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롤러 휠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들에 접촉되고 카의 수직 모션에 따라 회전한다.
본 출원에 제공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피버팅 아암을 롤러 휠에 고정되어 스피닝 샤프트를 지지하는 아암으로 대체한다. 스피닝 샤프트는 방사상 순응 마운트를 갖고 피버팅 아암에 고정되어 온-카 모션 상태 센서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아암을 통해 연장된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션 상태 감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지지 브라켓(222)이 또한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를 지지한다.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는,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설명될 바와 같이,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 및 연결 요소(2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브라켓(222) 상에 또는 그것에 의해 지지되는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로 본 출원에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별도의 그리고/또는 전용의 지지 또는 다른 구조가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를 장착 베이스(210)에 장착하기 위해 또는 그 외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가 롤러들(218, 220) 중 적어도 하나와 작동가능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는 이를테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몇몇 실시예에서, 모션 상태 센서(228), 이를테면 온-카 모션 상태 센서를 포함한다.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는 몇몇 구성에서, 샤프트 또는 액슬(예를 들어, 연결 요소(230))의 각 위치 또는 모션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코드 또는 신호로 변환하는 전기-기계 디바이스인회전 모션 상태 센서 또는 샤프트 모션 상태 센서일 수 있다.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의 특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기계 및/또는 제어기에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가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가 획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션 상태 감지 어셈블리(226)는 제어기 또는 엘리베이터 기계가 엘리베이터 카의 정확한 모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모션 상태를 결정하고 그러한 정보를 제어기 또는 엘리베이터 기계에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적 구성요소, 이를테면 메모리, 프로세서(들), 및 통신 구성요소(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를 갖고, 제어기 또는 엘리베이터 기계는 이를테면, 예를 들어,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들 동안 그리고/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동요, 진동, 및/또는 반동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로 통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300) 및/또는 본 개시 내용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들이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300)은 동적 보상 제어 모드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또는 별개의 엘리베이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제어기, 예를 들어, 제어기(115)의 부분으로서 구성되고/거나 통신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300)은 실행가능한 명령들 및/또는 상태 모니터링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302)를 포함한다.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임의의 방식으로 그리고 임의의 추상 수준으로,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 루틴, 절차, 방법 등과 관련되어 저장 또는 편성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302) 상에 저장된 명령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태 모니터링 프로그램(304)과 연관된다.
나아가, 메모리(302)는 데이터(306)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306)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엘리베이터 카 데이터, 엘리베이터 동작 모드들, 명령들,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데이터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2)에 저장된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이를테면 프로세서(30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308)는 데이터(306)에 작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30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디바이스(310)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I/O 디바이스(들)(31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이크로폰, 스피커, 마우스, 버튼, 원격 제어, 조이스틱, 프린터, 전화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O 디바이스(들)(310)는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광대역 또는 무선 통신 요소들을 포함한다. I/O 디바이스(들)(310)는 이를테면 원격 액세스 터미널 또는 인터넷 연결 디바이스들을 통해, 컴퓨팅 시스템(3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30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버스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그리고/또는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300)은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300)은 컴퓨팅 시스템(300) 외부 소스들(예를 들어, I/O 디바이스들(310)의 부분)로부터 그리고/또는 본 출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태 모니터링과 연관된 모션 상태 센서들(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기계 모션 상태 센서(113) 및 온-카 모션 상태 센서(228))을 이용하여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 및/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컴퓨팅 시스템(300)은 네트워크(유선 또는 무선)를 통해 또는 컴퓨팅 시스템(300)에서 떨어져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와의 케이블 또는 무선 연결(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기계에의 직접 연결 및/또는 온-카 구성요소들에의 무선 연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정보는 메모리(302)에 (예를 들어, 데이터(306)로서) 저장될 수 있고/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프로그램(304)) 및/또는 프로세서(308)에 의해 프로세싱 및/또는 채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300)은 본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을 실행 및/또는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구성될 때, 커맨드들 및/또는 명령들을 수신하는 데 사용되고 엘리베이터 기계 제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팅 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 제어기 및/또는 엘리베이터 기계로 통합되거나 그것들과 별개일(그러나 그것들과 통신할) 수 있고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및/또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 그리고 특히,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컴퓨팅 시스템(300)은 엘리베이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동작을 작동 및/또는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동작의 동적 보장 제어 모드는 엘리베이터 카 반동을 완화시키거나 현저히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엘리베이터 카 반동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걸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긴 하중 지지 부재들(예를 들어, 벨트들, 로프들, 케이블들, 또는 다른 서스펜션 메너니즘)의 결과 그리고/또는 엘리베이터 카 하중 변화(예를 들어, 하중 지지 부재를 끌어당기는 중량의 변화)의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층 건물들에서, 하중 지지 부재들의 길이에 기인하여, 매달린 엘리베이터 카는 승장에 있을 때 약간 반동 또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한 효과들은 엘리베이터 카가 상대적으로 낮은 승장에(예를 들어, 건물의 1층에 가깝게) 있을 때 고층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예를 들어, 높은 건물들 내 시스템들)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러한 사례들에서, 하중 지지 부재들은 하중 지지 부재들의 연장(예를 들어, 신장) 또는 수축이 발생할 수 있는 길이로 충분히 연장될 수 있다. 그러한 연장 또는 수축은 브레이크들이 기계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된다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 위치에 관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구동하는 기계의 동작과 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엘리베이터 승장 또는 층 사이 엘리베이터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엘리베이터 기계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하중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1 참조).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승장들의 각각의 승장에 멈출 때, 카 내 하중의 크기 변화(예를 들어, 중량의 변화)는 승장에 관한 카의 수직 위치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속도 및/또는 가속도, 즉, 모션 상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용어 "모션 상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위치, 속도, 및 가속도를 포함한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카의 절대 위치, 1차 미분 또는 카 위치의 변화(예를 들어, 속도), 또는 2차 미분 또는 카의 속도 변화(예를 들어, 가속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모션 상태는 단지 모션으로 제한되지 않고,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엘리베이터 카의 고정 또는 절대 위치 및 카의 움직임을 포함한다.
동작 시,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 이상의 승객 및/또는 화물이 승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내로 이동될 때(예를 들어, 양의 하중 변화), 엘리베이터 승장에 관해 수직 하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 이상의 승객 및/또는 화물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승장 상으로 이동할 때(예를 들어, 음의 하중 변화) 엘리베이터 승장에 관해 수직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용어 "하중 변화"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엘리베이터 카 상에 태울 수 있는(예를 들어, 진입할 수 있는)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내릴 수 있는(예를 들어, 나올 수 있는) 사람들, 객체들, 화물, 물건들 등을 포함한다. 양의 하중 변화는 하중 지지 부재들에 의해 매달아지는 중량의 증가이고 음의 하중 변화는 하중 지지 부재들에 의해 매달아지는 중량의 감소이다.
상기한 엘리베이터 카의 수직 위치 변화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의 다른 변화는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큰 이동 높이 및/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의 하중 지지 부재를 갖는 경우, 소프트 히치 스프링들 또는 분리 패드들, 하중 지지 부재들의 신장 및/또는 수축, 및/또는 다양한 이유로 야기될 수 있다. 특정 조건 하에서, 히치 스프링들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들의 신장 및/또는 수축은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모션의 문제를 일으키는 진동, 위치 변위, 또는 진동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프로세스들이 제공된다(예를 들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들 및 프로세스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400)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기계 모션 상태 센서(402),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 및 제어기(406)를 포함한다. 기계 모션 상태 센서(402)는 도 1a 및 도 1b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거나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임의의 엘리베이터 기계 기반 위치 결정 및/또는 모션 상태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는 도 2a 및 도 2b에 대하여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거나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임의의 온-카 위치 결정 및/또는 온-카 모션 상태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기(406)는 도 3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고 엘리베이터 제어기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전자장치로 통합되거나 그것들의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별개의/별도의 상태 모니터링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모션 상태 센서(402) 및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의 각각이 제어기(406)와 통신한다. 기계 모션 상태 센서(402)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408)를 제어기(406)에 출력하고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410)를 제어기(406)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406)는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408, 410) 양자를 모니터링할 것이고,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408, 410)을 비교하여,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제어기(406)는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 및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를 채용하는 관련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408, 410)을 모니터링 및 비교하여 두 개의 신호가 미리 정의된 허용 오차 내에 유지됨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406)가 미리 정의된 허용 오차 밖의 온-카 모션 상태 센서(404)의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예를 들어,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410)가 허용 오차 내에서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408)에 매칭하지 않는 경우), 제어기(406)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셧 다운 또는 디세이블할 수 있다. 그러한 사례들에서,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이 디세이블되는 경우, 전통적인 승장 레벨링 제어가 엘리베이터 기계 및 기계 모션 상태 센서(40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각각의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502a, 502b) 및 카 레벨링 곡선들(504a, 504b)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플롯들(500a, 500b). 도 5a 및 도 5b는 카 레벨링을 위해 사용되는 단일 모션 상태 센서를 갖는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5a 및 도 5b 양자에서의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502a, 502b)은 기계 모션 상태 센서 또는 다른 모션 상태 모니터링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위치 대 시간의 플롯들이다. 카 레벨링 곡선들(504a, 504b)은 실제 카 위치 또는 모션의 위치 대 시간의 플롯들이다. 플롯들(500a, 500b)에서, 시간 및 변위 축은 임의의 단위이나, 예를 들어, 초 및 미터일 수 있으나, 시간 및 거리(변위)의 다른 측정치들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채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변위의 기준선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이 바닥면의 이행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거나 편평하도록 승장의 바닥과 레벨링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 위치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이 승장의 바닥에서 떨어져 위치되는 경우, 넘어질 위험이 있을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러한 변위가 회피될 수 있다.
도 5a는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a) 및 카 레벨링 곡선(504a) 양자가 대략 기준점(즉, 실질적으로 카 및 승장의 레벨 바닥)에 유지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기능 센서 및 레벨링 동작을 예시한다. 즉, 플롯(500a)은 엘리베이터 카가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a)에 기초하여 레벨링되어 승장에 위치되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들(502a, 504a)은 시간의 함수로서 변위에 대하여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한 유사성은 상한(508a) 및 하한(510a)을 갖는 허용 오차(506a) 내에 유지되는 두 곡선(502a, 504a)에 의해 예시된다. 허용 오차(506a)의 상한 및 하한(508a, 510a)이 영편차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예를 들어, 허용 오차(506a)의 양의 상한(508a)이 허용 오차(506a)의 음의 하한(510a)과 동등하고 반대인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허용 오차의 상한 및 하한은 보다 큰 양의 또는 음의 편차가 시스템의 허용 오차 내로 허용될 수 있도록 동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단일 모션 상태 센서는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a)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그에 따라 피드백 신호들을 제공하여 카 레벨링을 가능하게 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승장에 관해 유지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a) 및 카 레벨링 곡선(504a)의 허용 오차 외 섹션(512)이 허용 오차(506a) 밖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한 허용 오차 외 섹션(512)은 허용 오차 외 섹션(512)이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또는 그러한 재정립된 시간 기간 미만의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에 어떠한 에러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내 중량을 조절하는 것에 기인하여) 시간 임계치 내에 국한될 수 있다. 그러나, 허용 오차 외 섹션(512)이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보다 긴 시간 동안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에 에러가 존재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용 오차 외 섹션(512) 내 편차가 허용 편차의 일정 비율 또는 배율(또는 허용 편차의 일정 비)보다 큰 경우, 에러가 결정될 수 있다.
이제 도 5b로 돌아가, 플롯(500b)은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의 이상을 예시하고, 정상을 벗어난 동작이 수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에서,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b)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 모션 상태 센서의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플롯(500b)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관찰 기간 전체에 걸쳐,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b)는 허용 오차(506b) 내에 유지된다(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레벨링 곡선(504b)은 허용 오차(506b) 밖의 편차(514)를 나타낸다. 편차(514)에서, 카 레벨링 곡선(504b)은 카가 승장에서 떨어져 이동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모션 상태 센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모션 상태 센서 신호(502b)가 허용 오차(506b) 내이고 어떠한 이상 표시도 제공되지 않는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들을 최소화하고/거나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본 출원에 제공된 실시예들은 단일 센서가 고장이 날 때에도, 엘리베이터 카가 빗나가지 않을 것임을 보장하도록 개선된 모션 상태 및/또는 위치 감지 및 레벨링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롯(600)이 도시된다. 플롯(600)은 수평축 상에 시간을 그리고 수직축 상에 이동 거리를 갖는다. 플롯(600) 상에는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이를테면 기계 모션 상태 센서의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된 바와 같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2)가 그려진다. 또한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이를테면 온-카 모션 상태 센서의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4)가 도시된다. 이러한 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허용 오차(606)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허용 오차(606)는 기계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거리 값들의 범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 오차(606)는 상한(608) 및 하한(610)을 포함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예로서, 고정되거나 절대적인 제한(예를 들어, 플러스 및 마이너스)인 허용 오차(606)를 예시한다. 다른 허용 오차 제한들, 이를테면 상대적인 제한들이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채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하나의 승장으로부터 다른 승장으로 이동할 때(예를 들어, 동적 보상/레벨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레코딩되는 이동 거리의 측정치(예를 들어,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4))를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레코딩되는 이동 거리의 측정치(예를 들어,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2))와 비교하여 체크할 것이다.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허용 오차(606) 내에 있는지 결정할 것이다.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4)가 상한 또는 하한(608, 610) 중 어느 하나를 초과하고, 그에 따라 허용 오차(606)를 초과할 경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 승장에서 동적 보상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즉,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4)가 허용 오차(606) 내로 측정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기계 또는 제어기에 승장들에서 전통적인 리-레벨링 동작들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에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4)가 지점(612)에서 허용 오차(606) 밖으로 벗어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6에서 상한(608) 및 하한(610)이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2)로부터 등거리인 것으로 나타나게 도시되지만,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한 및 하한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602)로부터 상이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플롯(700)이 도시된다. 플롯(700)은 수평축 상에 시간을 그리고 수직축 상에 이동 거리를 갖는다. 플롯(700) 상에는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이를테면 기계 모션 상태 센서의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된 바와 같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702)가 그려진다. 또한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 이를테면 온-카 모션 상태 센서의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704)가 도시된다. 이러한 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허용 오차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702)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704)를 측정함으로써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하나의 승장으로부터 다른 승장으로 이동할 때(예를 들어, 동적 보상/레벨링이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들에 의해 레코딩되는 이동 거리를 체크하고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702, 704)을 비교할 것이다.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두 개의 값을 비교하고(예를 들어, 두 개의 모션 상태 센서 신호 간 차의 절대값을 취해) 결정된 차가 미리 정의된 허용 오차값 내인지 결정할 것이다. 플롯(700)에서,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702, 704) 간 차가 상이한 시간들에서 취해진 상이한 측정치들인 706a, 706b, 706c에 표시된다. 차(706a, 706b, 706c)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를 초과할 경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 승장에서 동적 보상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즉,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 간 차가 허용 오차 내로 측정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기계 또는 제어기에 승장들에서 전통적인 리-레벨링 동작들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흐름 프로세스(800)가 도시된다. 흐름 프로세스(8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 및/또는 기계적 상태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루틴 또는 유지보수 스케줄의 부분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흐름 프로세스(80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세스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장들 또는 층들 사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이를테면 엘리베이터 기계 모션 상태 센서, 및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가이딩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롤러 가이드들과 연관된) 제2 모션 상태 센서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들은 엘리베이터 카가 승장에 위치될 때 동적 보상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을 위치 제어 시스템 및/또는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또한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들로부터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그것들과 통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은 단일 유닛이고 엘리베이터 제어기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프로세스 루틴들(예를 들어, 프로그램들)일 수 있다.
블록(802)에서, 엘리베이터 카는 이를테면 엘리베이터 층들 사이에서, 정상 동작 모드로 이동된다. 그러한 동작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예를 들어, 움직임)는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기계에 의해 구동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모션 상태 센서는 엘리베이터 기계의 구동 특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예를 들어, 회전)을 모니터링하고 이동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엘리베이터 카 상에 있는 제2 모션 상태 센서는 엘리베이터 카 자체(또는 그것의 구성요소, 이를테면 롤러 가이드)의 순환, 회전, 또는 다른 특성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블록(804)에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바와 같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블록(806)에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바와 같은,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할 것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두 개의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동시에 모니터링되도록 블록들(804-806)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블록(808)에서는, 모니터링된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에 관한 상태 결정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진다. 결정은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에 대한 분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로부터(또는 그것들에 관한)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편차를 분석 및 모니터링할 수 있거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의 값에 기초하여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허용 오차 내에 유지되는지 또는 그것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블록(808)에서는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제1 동작 상태는 작동 상태(예를 들어, 정상 동작)일 수 있고 제2 동작 상태는 고장 상태일 수 있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관한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편차에 의해 고장이 결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정은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와의 비교를 포함할 수 있고, 비교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내인 경우, 제2 모션 상태 센서가 적절하게 동작하고 있다고 결정되고, 흐름 프로세스(800)이 블록(810)으로 계속된다.
블록(810)에서, 제2 모션 상태 센서가 적절하게 동작하고 있다고 결정될 때,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 동작 동안 다음 승장에서 멈출 때,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채용될 수 있다.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채용될 때, 제1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들은 승장에서 동적 보상 제어(예를 들어, 리-레벨링)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블록(808)에서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허용 오차 내에 있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 제2 모션 상태 센서는 적절하게 동작하고 있지 않다(예를 들어, 고장 상태)고 결정된다. 이와 같이, 흐름 프로세스는 블록(812)으로 계속될 것이다.
블록(812)에서, 고장 상태가 결정될 때,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비활성화할 것이다. 비활성화는 단지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디세이블하는 것 그리고/또는 실행하지 않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멈춰서 승객들을 싣기/내리기 위해 승장에 접근할 때, 엘리베이터 카는 동적 보상 제어를 받지 않을 것이다.
그에 따라, 블록(814)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싣기/내리기 위해 승장에 접근할 때,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에 관한 모션 상태는 (예를 들어, 단지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리-레벨링 동작 모드를 사용하여 유지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지보수가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요구됨을 나타내기 위해 현장에 또는 현장 외에 전달될 수 있는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허용 오차는 정상 동작 모드 동안 총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변하는 변수일 수 있다. 즉, 허용 오차는 엘리베이터 카의 짧은 이동 거리 이동에 대해 작을 수 있고,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몇몇 실시예에서, 허용 오차는 모든 이동 거리에 대해 고정된 값일 수 있거나 이동되는 승장들의 수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예를 들어, 3개 이하의 승장을 이동하는 것에 대해 제1 허용 오차, 4 내지 7개의 승장을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제2 허용 오차, 그리고 7개의 승장의 거리보다 크게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제3 허용 오차). 해당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허용 오차(예를 들어, 절대값들 및 어떻게 구현되는지)는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기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배열 및 구성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부적절한 동작은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인,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된다. 그러나, 가능한 고장 또는 적어도 부적절한 동작의 정밀한 원인이 알려지거나 예상될 것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예기치 않은 동적 보상 제어 동작들(예를 들어,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거리에 의한 리-레벨링)의 방지를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된다. 다양한 온-카(제2) 모션 상태 센서 고장은 전기적 고장(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원 장치 고장, 프로세싱 고장, 연결 및/또는 통신 고장, 통신선 상의 소음 등을 포함) 및 기계적 고장(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모션 상태 센서 및 롤러 간 접촉 부족, 롤러 및 가이드 레일 간 접촉 부족, 구성요소 파손 또는 손상, 접촉의 부분적인 손실, 접촉이 손실되었으나 모션 상태 센서 및/또는 롤러의 지속적인 스피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들은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의 질, 신뢰성, 및 서비스를 개선하여, 온-카 모션 상태 센서들의 적절한 적절한 설치(예를 들어, 정렬, 접촉 압력 등)를 보장하고, 싣고 내리는 동작 시나리오들 동안 엘리베이터 카의 예기치 않은 큰 모션들을 낼 수 있는 온-카 모션 상태 센서 고장 및 고장 모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온-카 모션 상태 센서가 고장이 나거나 동적 보상 제어 모드 동안 적절하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를 예상 밖으로 바닥에서 떨어져 이동시키게 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 카 예기치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그러한 사례들에서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디세이블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단지 제한된 수의 실시예와 관련되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이 그러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본 개시 내용은 지금까지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상응하는 임의의 수의 변형, 대체, 치환, 조합, 서브-조합, 또는 균등한 배열들을 통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의 측면들은 단지 설명된 실시예들 중 단지 몇몇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앞에서의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되고,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0)

  1. 삭제
  2.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기계와 연관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하는 단계;
    승장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동요, 과도한 위치 변위, 및/또는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제어함에 의하여, 컴퓨팅 시스템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에 관한 모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기 동작 상태의 상기 결정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들 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동안 수행되는, 방법.
  4.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적 보상 제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기계와 연관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상에 위치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 승장에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와의 리-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장 상황은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밖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는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관한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는 (i)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든 이동 거리로 고정된 것 또는 (ii)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 중 하나인,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는 각각 위치, 속도, 가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를 측정하는,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장 상황에 관한 알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기계;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에 관해 배열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와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 -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각각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승장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동요, 과도한 위치 변위, 및/또는 반동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를 제어함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장에 관한 모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모니터링은:
    각각의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기 동작 상태의 상기 결정은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장들 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동안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3.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기계;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에 관해 배열되는 제1 모션 상태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2 모션 상태 센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와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상태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상태 모니터링은: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의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의 고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될 때, 상기 컴퓨팅 시스템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상기 동작의 동적 보상 제어 모드가 비활성화될 때 승장에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 및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와의 리-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장 상황은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신호가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 밖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는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신호에 관한 상한 및 하한에 의해 정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허용 오차는 (i)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모든 이동 거리로 고정된 것 또는 (ii)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가변되는 것 중 하나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모션 상태들은 위치, 속도, 가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고장 상황에 관한 알림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에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통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알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션 상태 센서 및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인코더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레일에 관한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 배열되는 롤러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모션 상태 센서가 상기 롤러 가이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열되는 인코더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0180074505A 2017-06-30 2018-06-28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609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7249P 2017-06-30 2017-06-30
US62/527,249 201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384A KR20190003384A (ko) 2019-01-09
KR102609404B1 true KR102609404B1 (ko) 2023-12-04

Family

ID=6283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505A KR102609404B1 (ko) 2017-06-30 2018-06-28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48758B2 (ko)
EP (1) EP3421400B1 (ko)
KR (1) KR102609404B1 (ko)
CN (1) CN109205420B (ko)
AU (1) AU2018204749B2 (ko)
ES (1) ES280980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2522B1 (en) * 2014-02-06 2019-11-13 Otis Elevator Company Brake operation management in elevators
US10494228B2 (en) * 2017-02-28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Guiding devices for elevator systems having roller guides and motion sensors
US11472666B2 (en) * 2019-04-05 2022-10-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intenance app matching mechanics position with faults detected
US11718500B2 (en) * 2019-07-10 2023-08-08 Otis Elevator Company Customer behavior driven predictive maintenance
EP3984940A1 (en) * 2020-10-16 2022-04-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onitoring system
CN116348406B (zh) * 2020-10-30 2024-03-08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的故障诊断装置
CN114291678B (zh) * 2021-12-30 2024-05-03 成都科达光电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施工升降机安全监控设备判断施工升降机安全状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4227B2 (ja) 1979-05-11 1985-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ATE74330T1 (de) * 1987-11-27 1992-04-15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wegregelung eines positionier-antriebes, insbesondere fuer aufzugsanlagen.
US5274203A (en) 1989-06-30 1993-12-28 Otis Elevator Company "Smart" position transducer system for elevators
US5035301A (en) 1989-07-03 1991-07-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peed dictation system
CA2072240C (en) 1991-07-16 1998-05-05 Clement A. Skalski Elevator horizontal suspensions and controls
JPH08301539A (ja) 1995-05-01 1996-11-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5747755A (en) 1995-12-22 1998-05-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osition compensation system
JP3937363B2 (ja) * 1997-09-09 2007-06-2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ATE251588T1 (de) 2000-04-27 2003-10-15 Inventi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schachtinformation eines aufzugs
JP2002241062A (ja) 2001-02-16 2002-08-28 Mitsuru Takayam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958551B2 (ja) 2001-10-16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4107480B2 (ja) * 2002-07-29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振動低減装置
JP2005051865A (ja) 2003-07-30 2005-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
BRPI0415921B1 (pt) 2004-05-28 201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junção de trilho de elevador e aparelho elevador
CA2541365C (en) * 2004-05-28 2009-12-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rope slippage detecting device, and elevator apparatus
PL2189410T3 (pl) 2004-06-02 2014-05-30 Inventio Ag Nadzorowanie windy
SG126045A1 (en) * 2005-03-24 2006-10-30 Inventio Ag Elevator with vertical vibration compensation
EP1955972B1 (en) 2005-11-29 2013-07-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8006808B2 (en) 2006-01-30 2011-08-30 Otis Elevator Company Managing an encoder malfunction in an elevator drive system
FI118641B (fi) * 2006-06-21 2008-01-31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hississä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tunnistamiseksi ja pysäyttämiseksi
KR101014960B1 (ko) 2006-07-27 2011-02-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155853A1 (ja) * 2007-06-21 2008-12-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及びロープスリップ検出方法
JP2009012932A (ja) 2007-07-04 2009-01-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0065041A1 (en) * 2008-12-05 2010-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positioning using a vibration damper
JP2010275078A (ja) 2009-05-29 2010-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11114370A1 (ja) 2010-03-17 2011-09-22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省スペースエレベーター
JP5529075B2 (ja) 2011-05-25 2014-06-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EP2594519A1 (de) * 2011-11-15 2013-05-22 Inventio AG Aufzug mit Sicherheitseinrichtung
CN105209363B (zh) * 2013-03-07 2017-08-29 奥的斯电梯公司 悬停电梯轿厢的垂直振荡的主动衰减
DE112013007449T5 (de) 2013-09-20 2016-06-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orrichtung
FI124903B (fi) * 2013-11-01 2015-03-13 Kone Corp Hissi sekä menetelmä hissin ohjaus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korin kuorman valvomisessa ja/tai kuormitustilanteen määrittämiseksi
EP3107853A4 (en) 2014-02-19 2017-11-01 Otis Elevator Company Improved elevator releveling control
CN104176577B (zh) 2014-07-21 2017-12-2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轿厢绝对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5969073B1 (ja) 2015-03-09 2016-08-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05420B (zh) 2021-01-12
KR20190003384A (ko) 2019-01-09
US20190002235A1 (en) 2019-01-03
AU2018204749A1 (en) 2019-01-17
EP3421400A1 (en) 2019-01-02
ES2809800T3 (es) 2021-03-05
CN109205420A (zh) 2019-01-15
AU2018204749B2 (en) 2023-11-23
EP3421400B1 (en) 2020-05-20
US11548758B2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40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1316781B (zh) 电梯的控制装置
US10494228B2 (en) Guiding devices for elevator systems having roller guides and motion sensors
US11235948B2 (en) Dynamic compensation control for elevator systems
US10266372B2 (en) Building settling detection
US10654683B2 (en) Monitored braking blocks
JP2015013731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WO20100674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031032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52330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制振装置
JP6987255B2 (ja) エレベータ診断システム
EP3351498A1 (en) Elevator hover mode operation using sensor-based potential load change detection
US20170057782A1 (en) Improved elevator releveling control
CN105246808A (zh) 电梯装置
US20180312371A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n elevator
US20190330015A1 (en) Elevator safety system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US11066273B2 (en)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WO2006006229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13023336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