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388B1 -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 Google Patents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388B1
KR102609388B1 KR1020200108193A KR20200108193A KR102609388B1 KR 102609388 B1 KR102609388 B1 KR 102609388B1 KR 1020200108193 A KR1020200108193 A KR 1020200108193A KR 20200108193 A KR20200108193 A KR 20200108193A KR 102609388 B1 KR102609388 B1 KR 10260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tton
unit
web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7386A (en
Inventor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윤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석 filed Critical 윤태석
Priority to KR102020010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38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15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natural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를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항균제, 탈취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기화시켜 이렇게 생성된 유효기체를 펄프에 침투시킴으로써 기능성 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functional filter by vaporizing additives such as antibacterial agents, deodorants, and fragranc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pulp and allowing the generated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pulp.

Figure R1020200108193
Figure R1020200108193

Description

기능성 마스크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Functional mask non-woven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본 발명은 펄프를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항균제, 탈취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기화시켜 이렇게 생성된 유효기체를 펄프에 침투시킴으로써 기능성 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functional filter by vaporizing additives such as antibacterial agents, deodorants, and fragranc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pulp and allowing the generated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pulp.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대기에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거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와 황사는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등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The environmental atmosphere in which people live contains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such fine dust and yellow dust enter the human respiratory tract, causing various diseases, and are having a fatal negative impact on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라 함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로, 아황가스, 질소산화물,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배출원인은 자동차나 공장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발생과, 모래바람 먼지의 황사, 화산재, 산불로 인한 먼지 등의 자연적인 발생으로 구분되며, 이렇게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사람이 흡입하면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각종 호흡기 질환 천식, 두통, 아토피 등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노약자가 지속적으로 흡입을 하면 면역 기능을 떨어뜨려 폐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fine dust refers to dust particles so thin and small that they are invisible to our eyes, and includes numerous air pollutants such as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The sources of these emissions are those generated by cars and factories. It is divided into artificial generation and natural generation such as yellow dust from sand, wind, dust, volcanic ash, and dust from forest fires. When a person inhales fine dust generated in this way, it penetrates deep into the alveoli and cause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headache, atopy, etc. In particular, if the elderly and the weak continue to inhale it, their immune function decreases, leading to death from lung disease.

마스크는 이와 같은 미세먼지를 여과시켜 정화된 공기를 흡인할 수 있도록 하기에, 야외활동시엔 마스크의 착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Masks filter out such fine dust and allow you to inhale purified air, so wearing a mask is highly recommended during outdoor activities.

마스크는 이러한 미세먼지의 발생 이유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호흡기 감염병의 질병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개인 방호수단으로 적극 제안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수요가 대폭적으로 늘고 있다.Masks are used as a reason for the generation of fine dust, but their demand is increasing significantly because they are actively proposed as a means of personal protec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s that are prevalent around the world.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마스크의 제조업체들은 마스크를 보다 쉽게 제조하고, 유통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소비자 또한, 기존 특수한 상황에서만 착용하였던 마스크를 생활 필수품으로 인지해 생활에 보다 쉽고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마스크를 요구하고 있다.In order to respond to this demand, mask manufacturers are actively developing technologies to make masks easier to manufacture and distribute, and consumers are also recognizing masks, which were previously worn only in special situations, as daily necessities, making life easier and easier. They are requesting masks that can be applied safely.

최근에는, 미세먼지 또는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부가적인 기능들을 부가한 마스크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masks with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of blocking fine dust or viruses have been developed.

일례로, 마스크에 항균셩을 부여해 바이러스, 병균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자정작용을 가능케 한다던지, 마스크에 향기가 나도록 해 마스크의 착용감을 개선한 마스크들이 그 예다.For example, there are masks that provide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mask to improve resistance to viruses and germs, enable self-purifying action, and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the mask by giving it a scent.

이와 같은 마스크는 마스크의 요부인 필터층 외 항균성 또는 향기를 부여하기 위한 기능층이 부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마스크의 두께증가가 불가피하여 마스크의 착용감을 저하시키고,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능층을 필터와 접합시키는 과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마스크의 원가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된다.Since such a mask requires an additional functional layer for imparting antibacterial properties or fragrance in addition to the filter layer, which is the essential part of the mask,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mask is inevitable, which reduces the wearing comfort of the mask, an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se functional layers are used as filters. Because the joining process is ad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making it impossible to avoid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mask.

등록특허 10-1214813Registered Patent 10-12148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펄프(솜)를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항균제, 탈취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기화시켜 이렇게 생성된 유효기체를 펄프에 침투시킴으로써 기능성 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by vaporizing additives such as antibacterial agents, deodorizers, and fragranc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pulp (cotton), and allowing the generated effective gas to penetrate into the pulp, thereby providing functional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easily manufacture filters.

또한, 이렇게 제조된 필터를 이용해 마스크를 제조하게 되면 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기능층을 필터에 적층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마스크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의 불필요한 통기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체를 흡수함에 따라 정전기 발생률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a mask is manufactured using a filter manufactured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 functional layer that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on the filter, so the mask can be made lighter, prevent unnecessary decrease in breathability of the mask, and absorb gas.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또, 마스크 제조시 부가적인 기능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착용감이 개선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기능층의 접합을 생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마스크의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additional functional layers can be omitted when manufacturing masks, the thickness of the mask can be made thin, improving wearing comfort,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ecause bonding of functional layers can be omit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be expected to improve mask productivity and reduce cost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솜을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얽힌 상태의 솜을 팽창시키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에서 공급되는 팽창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 상기 웹형성부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웹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건조부를 통과한 웹을 가열하여 부직포 필터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 및 상기 팽창부로 유효기체를 공급해 팽창된 솜에 유효기체를 침투시키는 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ing a raw material supply unit for supplying cotton; An expansion unit that expands the tangled cotton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A web forming unit that collects the expanded cotton supplied from the expansion unit and processes it into a web shape; an adhesive application unit that applies adhesive to the web formed from the web forming unit; A drying unit that drie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web;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web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unit to form a non-woven filter fabric; and a vaporizing unit that supplies effective gas to the expansion unit and allows the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expanded cotton.

또한, 상기 팽창부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솜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해 솜을 케이스로 압송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화부는 상기 이송관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과중인 솜에 유효기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art includes a box-shaped case;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cotton is transferred; And a blower that injects high-pressure air into the transfer pipe to transport the cotton to the case, wherein the vaporiz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transfer pipe and supplies effective gas to the cotton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do.

또, 상기 기화부는, 첨가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첨가제를 기화시켜 유효기체를 생성하는 챔버; 및 상기 이송관과 챔버를 연결하며, 챔버에서 생성된 유효기체가 이송되는 기체이송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porization unit includes a chamber in which additives are stored and vaporizing the stored additives to generate effective gas; and a gas transfer line connecting the transfer pipe and the chamber, through which effective gas generated in the chamber is transferred.

또한, 상기 챔버는 이종의 첨가제를 개별 저장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기체이송라인은, 유효기체가 저류되는 레저버탱크; 상기 레저버탱크와 이송관을 연결하는 제1 배관; 상기 복수 개의 챔버 각각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배관; 일단은 상기 레저버탱크와,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과 연결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과 제3 배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되는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mber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individually store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and the gas transfer line includes: a reservoir tank in which effective gas is stored; A first pipe connecting the reservoir tank and the transfer pipe; a plurality of second pipes extend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a third pipe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at one en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at the other end; and a control plat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passes.

또,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에서 접착롤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가 장착되는 이송벨트;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된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application unit includes a pair of adhesive rollers through which a web passes; a guide frame extend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roller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roller; a nozzle assembly that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frame and supplies adhesive to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a pair of return switches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the nozzle assembly is contacted; A driving member that reciprocates the nozzle assembly along the guide frame; and a storage tank in which the adhesive falling downward from the pair of adhesive rollers is stored, wherein the driving member is wound in an endless track around a pair of pulley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uide frame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nozzle assembly. A transfer belt equipped with a; and a step mot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ulley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rein the step motor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according to a contact signal to reciprocate the nozzle assembly mounted on the conveyance bel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펄프를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항균제, 탈취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기화시켜 이렇게 생성된 유효기체를 펄프에 침투시킴으로써 기능성 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필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ter manufacturing device that can easily manufacture a functional filter by vaporizing additives such as antibacterial agents, deodorants, and fragranc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pulp and allowing the generated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pulp.

또한, 이렇게 제조된 필터를 이용해 마스크를 제조하게 되면 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기능층을 필터에 적층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마스크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의 불필요한 통기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체를 흡수함에 따라 정전기 발생률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mask is manufactured using a filter manufactured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 functional layer that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on the filter, so the mask can be made lighter, prevent unnecessary decrease in breathability of the mask, and absorb gas. Accordingly,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 마스크 제조시 부가적인 기능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착용감이 개선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기능층의 접합을 생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마스크의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등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dditional functional layers can be omitted when manufacturing masks, the thickness of the mask can be made thin, improving wearing comfort,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because bonding of functional layers can be omit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mprovements in mask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팽창부와 기화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화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2 배관, 제3 배관 및 조절판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스윙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접착제도포부의 개략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는 도 7에 도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접착제도포부를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접착제도포부의 구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가 과잉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A-A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회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은 밀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pansion unit and the vaporization unit.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vaporization unit.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ipe, the third pipe, and the control plate.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shown in FIG. 3.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ng conveyor.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chematic appearance of the adhesive application part.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adhesive application portion viewed from direction A shown in Figure 7.
9 to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riving the adhesive application unit.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n excess amount of adhesive on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line AA shown in FIG. 8.
Figure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rotating bar.
Figure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on member.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members in each drawing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이하, 필터 제조장치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솜을 공급하는 원료공급부(10), 상기 원료공급부(10)에서 공급받은 얽힌 상태의 솜을 팽창시키는 팽창부(100), 상기 팽창부(100)에서 공급되는 팽창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200), 상기 웹형성부(200)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300), 웹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건조부(600), 상기 건조부(600)를 통과한 웹을 가열하여 부직포 필터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400) 및 상기 팽창부(100)로 유효기체를 공급해 팽창된 솜에 유효기체를 침투시키는 기화부(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unctional mask nonwoven filter manufactur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lter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supply unit 10 that supplies cotton, and cotton in an entangled state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An expansion unit 100 that expands, a web forming unit 200 that collects the expanded cotton supplied from the expansion unit 100 and processes it into a web shape, and an adhesive is applied on the web formed from the web forming unit 200. An adhesive application unit 300 for drying the adhesive applied to the web, a drying unit 600 for drying the adhesive applied to the web, a heating unit 400 for heating the web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unit 600 to form a non-woven filter fabric, and the expansion unit. It can be defined as including a vaporization unit 500 that supplies effective gas to (100) and penetrates the effective gas into the expanded cotton.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료공급부(10)를 기준으로 팽창부(100), 웹형성부(200), 접착제도포부(300), 건조부(600), 가열부(400)가 순서대로 일렬 배치 구성되며, 기화부(500)는 팽창부(100) 주변으로 배치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pansion unit 100, web forming unit 200, adhesive application unit 300, drying unit 600, and heating unit 400 are arranged in order based on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The vaporization unit 500 may be arranged around the expansion unit 100.

통상, 펄프(이하, 솜이라 함)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된 솜은 서로 뭉쳐져 압축된 형태로 공급되는데, 압축된 솜을 그대로 이용해 웹을 형성하게 되면 균일한 밀도를 가지는 부직포 필터 원단을 형성할 수 없다. 이에. 상기 팽창부(100)에서 솜을 팽창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의미하는 웹은 솜이 서로 영겨붙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Typically, cotton supplied from pul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tton) suppliers is bundled together and supplied in a compressed form. If the compressed cotton is used as is to form a web, it is impossible to form a non-woven filter fabric with uniform density. . Therefore. The cotton goes through a process of expanding in the expansion unit 100. Meanwhile, the web a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cotton is attached to each other.

먼저, 원료공급부(10)는 압축된 솜을 팽창부(100) 측으로 공급한다. 이때, 원료공급부(10)로 공급되어지는 솜은 서로 다른 융점을 가진 이종의 솜(제1 솜,제2 솜)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솜은 융점이 120℃이하인 솜이고, 제2 솜은 융점이 120℃를 초과하는 솜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supplies compressed cotton to the expansion unit 100. At this time, the cotton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may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as different types of cotton (first cotton, second cotton) with different melting points. For example, the first cotton is cotton with a melting point of 120°C or lower. And, the second cotton may be cotton with a melting point exceeding 120°C.

즉, 제1 솜과 제2 솜이 원료공급부(10)에 공급되면, 원료공급부(10)는 제1 솜과 제2 솜을 적절히 혼합해 팽창부(100) 측으로 공급한다.That is, when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are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appropriately mixes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and supplies them to the expansion unit 100.

다음으로, 팽창부(100)는 원료공급부(1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솜과 제2 솜을 팽창시켜 서로 혼재되도록 한다.Next, the expansion unit 100 expands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deliver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so that they are mixed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팽창부(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상의 케이스(110), 솜이 이송되는 이송관(120) 및 상기 이송관(120)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해 솜을 케이스(110)로 압송하는 송풍기(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expansion unit 100 injects high-pressure air into the box-shaped case 110, the transfer pipe 120 through which the cotton is transferred, and the transfer pipe 120, as shown in FIGS. 2 and 3.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blower 140 that pressure-transports to the case 110.

이송관(120)은 원료공급부(10)와 케이스(110)를 연결하며, 원료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솜이 케이스(110) 측으로 이송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The transfer pipe 120 connects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and the case 110, and provides a path for the cotton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to be transferred to the case 110.

송풍기(140)는 원료공급부(10)와 인접한 이송관(120) 끝단 측에 배치구성되어 원료공급부(10)에서 이송관(120)으로 공급된 솜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토출한다.The blower 14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120 adjacent to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and discharges high-pressure air toward the cotton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10 to the transfer pipe 120.

이에, 이송관(120) 내에서는 솜이 고압의 공기 기류를 타고 케이스(110) 측으로 이송된다.Accordingly, within the transfer pipe 120, the cotton is transferred to the case 110 along a high-pressure air current.

케이스(110)는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상부가 망사로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0) 내부로 압송된 솜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비산되면서 제1 솜과 제2 솜의 혼재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case 110 is made in the form of an enclosure with a mesh top so that air can be exhausted, and the cotton pressured into the case 110 scatters irregularly inside the case 110, resulting in a mixture of the first cotton and the second cotton. will come true.

팽창부(100)는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을 수집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시켜 수납하는 배출부재(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a discharge member 130 that collects cotton scattered inside the case 11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for storage.

즉, 케이스(110) 내부에서 팽창된 솜은 배출부재(130)에 의해 포집되어 다시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cotton expanded inside the case 110 may be collected by the discharge member 13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again.

배출부재(13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비산되는 솜들을 포집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선에서 컨베이어구조물과 같은 것들로 예시될 수 있다.The discharge member 130 may be exemplified by a conveyor structure that can collect cotton flying inside the case 110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배출부재(130)에 의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된 솜은 웹형성부(200)로 투입된다.The cotto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0 by the discharge member 130 is input into the web forming unit 200.

기화부(500)는 이송관(120)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관(120)을 통과중인 솜에 유효기체를 공급한다.The vaporization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transfer pipe 120 and supplies effective gas to the cotton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120.

유효기체라 함은 첨가제에서 기화된 증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첨가제로는 예컨대, 항균액, 향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Effective gas can be understood as vapor vaporized from an additive, and here, the additive may be, for example, an antibacterial solution, fragrance, etc.

기화부(500)는 이와 같은 첨가제를 기화시켜 기화된 유효기체를 솜에 침투시키므로, 항균력을 가지거나, 소비자가 선호하는 향기가 나는 필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The vaporization unit 500 vaporizes such additives and allows the vaporized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cotton,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a filter that has antibacterial properties or has a scent preferred by consumers.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제조장치로 제조된 필터를 이용해 마스크를 제조하게 되면 부가적 기능을 하는 기능층을 필터에 적층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마스크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의 불필요한 통기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체를 흡수함에 따라 정전기 발생률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a mask is manufactured using a filter manufactured by the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laminate a functional layer that performs an additional function on the filter,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mask and reducing the mask's unnecessary breathability. and, by absorbing gas, the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마스크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 착용감이 개선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도 기능층의 접합을 생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mask can be configured to be thin, the wearing comfort is improved, and since bonding of the functional layer can be omit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effects such as improved productivity and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이를 위해, 기화부(5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첨가제를 기화시켜 유효기체를 생성하는 챔버(510) 및 상기 이송관(120)과 챔버(510)를 연결하며, 챔버(510)에서 생성된 유효기체가 이송되는 기체이송라인(5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vaporization unit 500 stores additives,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ncludes a chamber 510 that vaporizes the stored additives to generate effective gas, the transfer pipe 120, and the chamber 510. ) and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gas transfer line 520 through which the effective gas generated in the chamber 510 is transferred.

챔버(510)에서부터 생성된 유효기체는 기체이송라인(520)을 타고 이송관(120)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송관(120)에서는 빠른 유속으로 이송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솜과 유효기체가 서로 뒤엉키면서 솜에 유효기체가 침투될 수 있다.The effective gas generated from the chamber 510 can be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120 through the gas transfer line 520, and in the transfer pipe 120, cotton and effective gas are transferred by high-pressure air transferred at a high flow rate. As they become entangled with each other, effective gases may penetrate into the cotton.

상기 챔버(510)는 이종의 첨가제를 개별 저장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거나, 챔버(510) 내에 이종의 첨가제가 각각 개별 수용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The chamber 510 may be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individually store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or may have a partitioned space within the chamber 510 so that the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can be individually accommodated.

챔버(510)에는 첨가제를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수단이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기화수단은 초음파진동자 또는 전열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hamber 510 may be equipped with a vaporization means for vaporizing the additive, and the vaporization means may be an ultrasonic oscillator or an electric heating device.

기체이송라인(520)은 복수의 챔버(510)에서 각각 생성되는 유효기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이송관(120)을 향해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The gas transfer line 520 has a structure that can selectively supply at least one of the effective gases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510 toward the transfer pipe 120.

이를 위해 기체이송라인(520)은 유효기체가 저류되는 레저버탱크(521), 상기 레저버탱크(521)와 이송관(120)을 연결하는 제1 배관(522), 상기 복수 개의 챔버(510) 각각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배관(523), 일단은 상기 레저버탱크(521)와,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523)과 연결되는 제3 배관(524) 및 상기 제2 배관(523)과 제3 배관(52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5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공(525a)이 관통되는 조절판(5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gas transfer line 520 includes a reservoir tank 521 in which effective gas is stored, a first pipe 522 connecting the reservoir tank 521 and the transfer pipe 120, and the plurality of chambers 510. ) A plurality of second pipes 523 extending from each,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ervoir tank 52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523, a third pipe 524 and the second pipe It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523) and the third pipe 524, and includes an adjustment plate 525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hole 525a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523 passes. It can be exemplified.

챔버(510)에서 생성되는 유효기체는 제2 배관(523)과 제3 배관(524)을 타고 레저버탱크(521)에 저류되며, 레저버탱크(521)에 저류된 유효기체는 압력과 온도가 적절히 조절된 뒤 제1 배관(522)을 타고 이송관(120)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effective gas generated in the chamber 510 travels through the second pipe 523 and the third pipe 524 and is stored in the reservoir tank 521, and the effective gas stored in the reservoir tank 521 has pressure and temperature. After being properly adjusted, it can be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120 through the first pipe 522.

한편, 여러 가닥으로 구성된 제2 배관(523)들은 피복부재(523a)에 피복될 수 있으며, 제2 배관(523)을 수용한 피복부재(523a)가 제3 배관(524)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pipes 523 composed of several strands may be covered with the covering member 523a, and the covering member 523a accommodating the second pipe 523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524. You can have it.

이 와중에, 조절판(525)은 제2 배관(523),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복부재(523a)와 제3 배관(524) 사이에서 유효기체의 흐름을 단속한다.Meanwhile, the control plate 525 controls the flow of effective gas between the second pipe 523, more specifically, the covering member 523a and the third pipe 524.

복수 개의 제2 배관(523)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유효기체가 각각 흐르게 되므로, 조절판(525)이 제2 배관(523)과 제3 배관(524) 사이에서 복수의 제2 배관(523) 중 어느 하나만 제3 배관(524)과 연통시켜 한 종류의 유효기체만 제3 배관(524)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effective gases of different components flow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523, the control plate 525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pipe 523 and the third pipe 524. ) is communicated with the third pipe 524 so that only one type of effective gas can be supplied to the third pipe 524.

조절판(525)은 중앙에 플랜지(525c)를 기준으로 제3 배관(524)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525b)와 피복부재(523a)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525d)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통공(525a)이 제1 삽입부(525b), 플랜지(525c) 및 제2 삽입부(525d)를 동시에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 plate 525 has a symmetrical first insertion part 525b inserted into the third pipe 524 and a second insertion part 525d inserted into the covering member 523a with respect to the flange 525c in the center. It has a structure that is formed sequentially, and in this state, the communication hole 525a can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first insertion part 525b, the flange 525c,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525d.

이에, 피복부재(523a)와 제3 배관(524)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플랜지(525c)를 회전시키게 되면 연통공(525a)이 피복부재(523a)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제2 배관(523)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하나의 제2 배관(523)과 제3 배관(524)을 상호 연통시키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며 제3 배관(524)과 연통된 제2 배관(523)을 제외한 제2 배관(523)들은 제2 삽입부(525d)에 의해 단부가 자연스레 막혀져 유효기체가 제3 배관(524)으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lange 525c exposed to the outside between the covering member 523a and the third pipe 524 is rotated, the communication hole 525a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second pipes 523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ing member 523a. )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one of the second pipes 523 and the third pipe 524, and the second pipe 523 excluding the second pipe 523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pipe 524 is provided. The ends of the pipes 523 are naturally blocked by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5d, making it impossible for effective gas to be supplied to the third pipe 524.

레저버탱크(521)에서 제1 배관(522)으로 이동한 유효기체는 제1 배관(522)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이송관(120)을 향해 연속적으로 흡인될 수 있다.The effective gas moving from the reservoir tank 521 to the first pipe 522 may be continuously drawn toward the transfer pipe 120 by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first pipe 522.

이는 이송관(120)에 흐르는 고압 공기에 의해 이송관(120)과 제1 배관(522)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이송관(120)에 연결되는 제1 배관(522)의 단부에서 부압에 의한 흡인력이 작용해 제1 배관(522)의 유효기체가 자연스럽게 이송관(120) 측으로 흡인되어 솜에 흡착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This is because a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transfer pipe 120 and the first pipe 522 by the high-pressure air flowing in the transfer pipe 120, and accordingly, the end of the first pipe 522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120 A suction force due to negative pressure acts to create a structure in which the effective gas in the first pipe 522 is naturally drawn toward the transfer pipe 120 and absorbed into the cotton.

팽창부(100) 및 기화부(500)에 의해 첨가제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솜은 배출부재(130)에 의해 웹형성부(200)로 전달된다.The cotton contain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additive is delivered to the web forming unit 200 by the discharge member 130 by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vaporization unit 500.

----------------------------------------------------------------------------------------------------------- -------

웹형성부(200)는 배출부재(130)로부터 전달받은 솜을 가압해 원단 구조의 웹을 형성하게 된다. 웹형성부(200)는 솜을 순차적으로 반복 가압해 웹을 형성하고 접착제 도포의 편의를 위해 웹을 접철 보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The web forming unit 200 presses the cotton delivered from the discharge member 130 to form a web with a fabric structure. The web forming unit 200 sequentially and repeatedly presses the cotton to form a web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web to be folded and stored for the convenience of adhesive application.

이를 위해, 웹형성부(200)는 상기 배출부재(130)에 수납된 솜을 전달받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가압이송롤러, 상기 가압이송롤러에 의해 형성된 웹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상승컨베이어(230) 및 상기 상승컨베이어(230)에 의해 상승된 웹을 전달받으며 일단은 상기 상승컨베이어(230)의 상단 주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하향 배치되어 스윙동작에 따라 웹을 하방으로 배출하여 접철시키는 스윙컨베이어(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is purpose, the web form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ressure transfer rollers that receive the cotton stored in the discharge member 130, pressurize it, and move it, and a rising conveyor 230 that raises the web formed by the pressure transfer rollers upward. ) and the web raised by the rising conveyor 230 is delivered, one end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top of the rising conveyor 23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downward in the form of a free end to move the web downward according to the swing ac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wing conveyor 240 that discharges and folds.

복수의 가압이송롤러는 메인가압롤러(210)와 메인가압롤러(210) 주변으로 배치되는 보조가압롤러(22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솜이 메인가압롤러(210)와 보조가압롤러(2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서로 엉겨붙어 압착된 형태로 가공된다.The plurality of pressure transfer rollers may be composed of a main pressure roller 210 and an auxiliary pressure roller 220 disposed around the main pressure roller 210, and the cotton is between the main pressure roller 210 and the auxiliary pressure roller 220. As they pass through, they become entangled together and are processed into a pressed form.

이렇게 가공된 웹은 상승컨베이어(230)를 타고 상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스윙컨베이어(240)에 의해 하방으로 선회되어 보관함(250)에 절첩 보관된다.The web processed in this way moves upward on the rising conveyor 230, then rotates downward again by the swing conveyor 240 and is fol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box 25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컨베이어(240)는 일단이 스윙회동축(26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이 일정 곡률을 그리며 스윙하게 된다. 즉, 웹이 스윙컨베이어(240)를 타고 하방으로 배출될 때 스윙컨베이어(240)가 스윙하게 되면 보관함(250)의 내부로 웹이 자연스럽게 접철되며 저장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As shown in FIG. 6, one end of the swing conveyor 2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wing pivot axis 260, and the other end swings with a certain curvature. That is, when the web is discharged downward along the swing conveyor 240 and the swing conveyor 240 swings, the web is naturally folded and stored inside the storage box 250.

상기 스윙회동축(260)은 도시되지 않은 철근구조물 상에 마련되어 상승컨베이어(2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로 구축될 수 있다.The swing rotation axis 260 may be provided on a steel structure (not shown) so that the rising conveyor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보관함(250)에 절첩 보관된 웹은 접착제도포부(300) 측으로 투입되어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직포 특유의 질긴 질감을 부여받게 된다.The web stored folded in the storage box 250 is put into the adhesive application unit 300 and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giving it a tough texture unique to non-woven fabric.

다음으로, 접착제도포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310), 상기 접착롤러(310)의 상부에서 접착롤러(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2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310)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34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35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을 따라 노즐조립체(340)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360),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310)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37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adhesive application unit 300 includes a pair of adhesive rollers 310 through which a large web passe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rollers 310 at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s 310. A guide frame 320 that extends, a nozzle assembly 340 that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frame 320 and supplies adhesive to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310, and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uide frame 320. and a pair of return switches 350 that generate a contact signal when the nozzle assembly 340 is contacted, a driving member 360 that reciprocates the nozzle assembly 340 along the guide frame 320, and the pair. It may be defined as including a storage tank 370 in which the adhesive falling downward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is stored.

접착롤러(3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사이로 투입되는 웹의 양면에 각각 접촉해 노즐조립체(340)로부터 공급되는 접착제를 웹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 쌍의 접착롤러(31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dhesive rollers 310 are provided in pairs and each contacts both sides of the web fed between them to uniformly apply the adhesive supplied from the nozzle assembly 340 to the surface of the web. Although not show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a means to rotate the pair of adhesive rollers 310 in different directions.

가이드프레임(320)은 노즐조립체(340), 구동부재(360) 등을 지지하며, 특히 노즐조립체(340)의 왕복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프레임(320)의 양단은 메인프레임(330)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frame 320 supports the nozzle assembly 340, the driving member 360, etc., and particularly provides a reciprocating movement path for the nozzle assembly 340.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320 are supported by the main frame 330 and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노즐조립체(340)는 별도 접착제공급원에 의해 접착제를 공급받아 가이드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롤러(310)를 향해 접착제를 공급한다.The nozzle assembly 340 receives adhesive from a separate adhesive supply source and supplies the adhesive toward the adhesive roller 310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frame 320.

공급된 접착제는 한 쌍의 접착롤러(310)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표면에 도포되며, 도포하고 남은 잔량은 접착롤러(310) 표면에 잔류하여 후술 될 밀착부재(380)와 제거부재(390)의 상호작용에 의해 접착롤러(310)의 표면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The supplied adhes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eb passing between a pair of adhesive rollers 310, and the remaining amount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to form the adhesion member 380 and removal member 3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by interaction.

노즐조립체(340)는 가이드프레임(320)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부재(360)와 맞물려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360)는 노즐조립체(340)를 상기 한 쌍의 리턴스위치(350)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게 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nozzle assembly 340 is engaged with a driving member 360 while mounted on the guide frame 320, and the driving member 360 reciprocates the nozzle assembly 340 between the pair of return switches 350. It provides the driving force to move.

한 쌍의 리턴스위치(350) 각각은 가이드프레임(320)의 양 끝단에 배치되며 노즐조립체(340)가 구동부재(36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20)을 주행하다가 어느 하나의 리턴스위치(350)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해 구동부재(360)의 구동방향을 제어하게 된다.A pair of return switches 350 are each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guide frame 320, and the nozzle assembly 340 travels on the guide frame 320 by the driving member 360 and turns on either return switch 350. When contacted, a contact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member 360.

한편, 구동부재(36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20)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361)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340)가 장착되는 이송벨트(362) 및 상기 한 쌍의 풀리(3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363)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363)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362)에 장착된 노즐조립체(340)를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driving member 360 is wound in an endless track around a pair of pulleys 361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uide frame 320, and includes a transfer belt 362 on which the nozzle assembly 340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the It includes a step motor 363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ulleys 36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he step motor 363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according to a contact signal to move the transport belt 362. The nozzle assembly 340 mounted on is moved back and forth.

상기 스텝모터(363)는 한 쌍의 풀리(361) 중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있으며 스텝모터(363)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풀리(361)가 회전하고, 풀리(361)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긴 이송벨트(362)가 회전하면서 노즐조립체(340)를 직선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원리이다.The step motor 363 is linked to one of a pair of pulleys 361. When the step motor 363 rotates, the pulley 361 rotates in conjunction with it, and the step motor 363 is wound in an endless orbit around the pulley 361. This is the principle of reciprocating the nozzle assembly 340 in a straight line while the transfer belt 362 rotates.

이때 스텝모터(363)는 상기 접촉신호의 발생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일례로, 노즐조립체(340)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일측의 리턴스위치(350)에 접촉해 접촉신호가 생성되면 스텝모터(363)의 회전구동방향이 역방향으로 전환되면서 노즐조립체(340)의 이동방향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하여 주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tep motor 363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contact signal. For example, the nozzle assembly 34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9 and contacts the return switch 350 on one side. When a contact signal is generated, the rotational drive direction of the step motor 363 is switched to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nozzle assembly 340 turns and travel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6.

즉, 노즐조립체(340)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350) 사이 거리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접착롤러(310)의 상부로 접착제를 고루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nozzle assembly 340 moves back and forth i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eturn switches 350 and evenly supplies adhesive to the upper part of the adhesive roller 310.

한편, 접착롤러(310) 상부로 제공되는 접착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롤러(310)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접착제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접착롤러(310)에 쌓이게 될 경우 접착제가 접착롤러(310)의 외면을 타고 흘러내려 한 쌍의 접착롤러(310) 사이를 통과하는 웹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침투되거나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점성을 야기시켜 웹이 다층으로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Meanwhile, the adhesive provided on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310 accumulates on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310 as time passes, as shown in FIG. 11. If the adhesive is not discharged smoothly and accumulates on the adhesive roller 310, the adhesive flows dow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and irregularly penetrates the surface of the web passing between the pair of adhesive rollers 310 or the adhesive roller 310. It may cause viscosity on the surface of (310), causing the web to overlap into multiple layers.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제조장치는 접착롤러(310)에 쌓이는 접착제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웹의 표면으로 균일한 접착제의 공급이 가능토록 하였다.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removes the adhesive accumulated on the adhesive roller 310, thereby enabling uniform supply of adhesive to the surface of the web.

이를 위해, 상기 접착제도포부(300)는 상기 노즐조립체(340)에서부터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연장되어 접촉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를 따라 왕복 이동하여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잔류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의 양측 끝단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재(380), 상기 가이드프레임(3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380)와 연동하여 상기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에 교번적으로 접촉해 밀착부재(380)에 의해 밀착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에서 제거하는 제거부재(390) 및 상기 저장탱크(370)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름망(M)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To this end, the adhesive applicator 300 extends from the nozzle assembly 340 towar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adhesive rollers 310 and makes contact, and reciprocates along the nozzle assembly 340 to apply adhesive rollers. An adhesion member 380 that adheres the adhesiv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to both ends of the adhesive roller 31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frame 320, and interlocks with the adhesion member 380 to attach the adhesive roller 310 to the adhesive roller 310. A removal member 390 that alternately contacts both ends of the 310 and removes the adhesive adhered by the adhesion member 380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and a strainer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370 ( It has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includes M).

상기 밀착부재(380)는 자동차 유리의 와이퍼 개념과 유사하며 상기 노즐조립체(340)의 왕복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쌓인 과잉된 접착제를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착시키게 된다.The adhesion member 380 is similar to the concept of a wiper on an automobile glass and moves along the reciprocating direction of the nozzle assembly 340 to remove excess adhesive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It is attached closely to the end.

그리고, 제거부재(390)는 밀착부재(380)에 의해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착된 과잉 접착제를 퍼올린 후 이를 저장탱크(370)를 향해 낙하시킨다.Then, the removal member 390 scoops up the excess adhesive adhered to both ends of the adhesive roller 310 by the adhesion member 380 and then drops it toward the storage tank 370.

상기 제거부재(390)는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접착롤러(3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며 중앙의 회동축(39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바(392) 및 상기 회동바(392)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접착롤러(310)에 접촉되는 제1 면(393)과 상기 제1 면(393)에서 하향 절곡되며 배출공(395)이 타공되는 제2 면(394)으로 구성되는 주걱(396)을 포함하며, 상기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는 제1 면(393)에서 제2 면(394)으로 유동되어 배출공(395)으로 배출된 뒤 거름망(M)을 통과해 저장탱크(370)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춘다.The removal member 39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dhesive roller 310 toward both ends and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ar 392 and the rotating bar 392 that rotates about the central rotating axis 391. and a spatula (396) consisting of a first surface (393)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roller (310) and a second surface (394)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surface (393) and having a discharge hole (395). Includes, the adhesive scooped up with the spatula 396 flows from the first side 393 to the second side 394,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95,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trainer M into the storage tank 370. ) has a structure that flows into the

회동바(392)는 중심의 회동축(391)을 기준으로 양단이 점진적으로 하방을 향해 경사 절곡되어 있다. 회동바(392)는 노즐조립체(340)의 이동에 따라 이와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으며, 특히, 회동바(392)가 회동되면 회동바(392)의 양 끝단에 형성된 주걱(396)이 교번적으로 접착롤러(310)의 끝단에 접촉된다.The rotating bar 392 has both ends gradually bent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rotating axis 391. The rotating bar 392 can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nozzle assembly 340. In particular, when the rotating bar 392 is rotated, the spatulas 396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bar 392 alternately rotate. It contacts the end of the adhesive roller 310.

노즐조립체(340)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밀착부재(380)의 일부가 회동바(392)의 일측을 들어올리면서 회동바(392)의 타단이 접착롤러(310) 방향으로 하강하여 된다. 회동바(392)의 타단이 접착롤러(31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회동바(392)의 타단에 마련된 주걱(396)이 밀착부재(380)에 의해 끝단으로 밀착된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릴 준비가 완료된다.When the nozzle assembly 34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9, a portion of the adhesion member 380 lifts one side of the pivoting bar 392 and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bar 392 lowers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roller 310. It is done. Whe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92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adhesive roller 310, the spatula 396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92 is ready to scoop up the excess adhesive adhered to the end by the adhesion member 380. It's done.

그 다음,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노즐조립체(34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면 밀착부재(380)의 일부가 회동바(392)의 타측을 들어올리면서 회동바(392)의 타단에 마련된 주걱(396)이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리게 되는 원리이다.Next,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nozzle assembly 340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0, a part of the adhesion member 380 lifts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ar 392 and the spatula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bar 392 (396) This is the principle of scooping up excess adhesive.

즉, 노즐조립체(340)가 왕복 이동되면 이에 따라 제거부재(390)가 시소와 같은 원리로 반복 회동되면서 주걱(396)이 접착롤러(310)의 양 끝단으로 밀려난 과잉 접착제를 퍼 올리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nozzle assembly 340 moves back and forth, the removal member 390 rotates repeatedly in a seesaw-like principle, and the spatula 396 scoops up the excess adhesive pushed to both ends of the adhesive roller 310. .

주걱(396)으로 퍼 올려진 과잉 접착제는 제2 면(394)의 배출공(395)으로 배출되어 저장탱크(370)로 낙하되는데, 저장탱크(370)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거름망(M)을 통과하게 된다.The excess adhesive scooped up with the spatula (396)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95) of the second side (394) and falls into the storage tank (370). In the process of falling into the storage tank (370), the excess adhesive (M) is used. It will pass.

거름망(M)을 통과한 접착제는 접착제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저장탱크(370)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탱크(370)에 저장된 접착제는 접착제공급원으로 귀환되는 순환구조를 갖출 수 있다.The adhesiv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rainer M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370 with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dhesive filtered out, and the adhesive stored in the storage tank 370 may have a circulation structure in which it is returned to the adhesive supply source.

한편, 상기 밀착부재(38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조립체(340)에서 접착롤러(310) 측으로 연장되며 끝단에 와이퍼수단(381)이 형성된 메인암(382) 및 상기 메인암(382)에서 제거부재(39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동바(392)에 접촉되는 서브암(38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the adhesion member 380 extends from the nozzle assembly 340 toward the adhesive roller 310 and includes a main arm 382 having a wiper means 381 at the end, and the main arm ( It may be exemplifie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ub-arm 383 that protrudes from 382 toward the removal member 390 and contacts the rotating bar 392.

와이퍼수단(381)은 실리콘재질로 형성되어 접착롤러(310)의 표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서브암(383)은 회동바(392)에 접촉해 회동바(392)를 밀어 올리는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The wiper means 381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elasticall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roller 310, and the sub-arm 383 contacts the pivot bar 392 to It is responsible for the action of pushing up.

상기 회동바(392)의 양 끝 지점 하부에는 상기 서브암(383)과의 접촉에 따라 제거부재(390) 전체에 진동을 형성하기 위한 진동발생돌기(397)가 돌출될 수도 있다.Vibration generating protrusions 397 may protrude below both end points of the rotating bar 392 to generate vibration throughout the removal member 390 upon contact with the sub-arm 383.

서브암(383)이 회동바(392)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발생돌기(397)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제거부재(390) 자체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이 진동이 주걱(396)까지 전이되어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에 흐름성이 향상되어 보다 신속하게 배출공(395)으로 접착제가 흘러들어갈 수 있다.When the sub-arm 383 repeatedly contacts the vibration generating protrusion 397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rotating bar 392 and applies vibration to the removal member 390 itself, this vibration is transferred to the spatula 396 and the spatula is The flowability of the adhesive pumped up through (396) is improved, allowing the adhesive to flow into the discharge hole (395) more quickly.

또한, 도 8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면(393)에는 주걱(396)으로 퍼올려진 접착제가 재2 면(394)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범람되지 않도록 방지턱(398)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enlarged in FIG. 8, the first surface 393 is provided with a stopper 398 to prevent the adhesive scooped up by the spatula 396 from overflow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rface 394 is formed. can be formed.

만일 접착제가 제2 면(394)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범람되면 주걱(396)에 의해 퍼올려진 접착제가 다시 접착롤러(310)를 향해 유입될 수 있다.If the adhesive is overflow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rface 394 is formed, the adhesive scooped up by the spatula 396 may flow back toward the adhesive roller 310.

도 14는 밀착부재(38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착부재(380)가 상기 메인암(382)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착롤러(310)에서 배출되는 웹을 가압해 접착롤러(310)에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384)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on member 380.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on member 380 extends downward from the main arm 382 to cover the web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It may be illustrated as further including a spacing member 384 that is pres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이격부재(384)는 접착롤러(310)로 배출되는 웹이 접착롤러(310)에 다시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접착롤러(310)와 웹을 서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spacing member 384 serves to space the adhesive roller 310 and the web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web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from being wound around the adhesive roller 310 again.

일례로, 상기 이격부재(383)는, 상기 메인암(382)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 이격암(385), 상기 제1 이격암(385)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끝단에는 웹과 접촉되는 볼캐스터부재(388)가 마련되는 제2 이격암(386) 및 상기 제1 이격암(385)과 제2 이격암(386)에 상호 연결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8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ing member 383 includes a first spacing arm 385 extending from the main arm 382, rotatably mounted on an end of the first spacing arm 385, and having an end in contact with the web. It may be illustrated 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cond spacing arm 386 on which the ball caster member 388 is provided and an elastic spring 387 interconnected to the first spacing arm 385 and the second spacing arm 386. You can.

즉, 이격부재(384)는 접착롤러(310)에서 배출되는 웹을 가압하되,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관절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최소한의 압력으로 웹을 가압할 수 있으며, 특히, 볼캐스터부재(388)는 이격부재(384)가 노즐조립체(340)를 따라 왕복 이동되면서 웹을 가압할 때 웹의 표면에 미끄럽게 접촉되어 접착제가 도포된 웹의 밀도를 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In other words, the spacing member 384 presses the web discharged from the adhesive roller 310, and because it has an elastically rotating joint structure, it can pressurize the web with minimal pressure. In particular, the ball caster member 388 ) does not cause problems such as slippery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eb when the spacing member 384 reciprocates along the nozzle assembly 340 and pressurizes the web, thereby reducing the density of the adhesive-coated web.

상기 볼캐스터부재(388)는, 일례로, 스틸볼(388a), 상기 스틸볼(388a)을 수용하는 채널(388b)을 형성하고 상기 스틸볼(388a)의 일부를 하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388c) 및 상기 채널(388b)의 벽면과 스틸볼(388a)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볼(388d)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나, 공지된 다양한 볼캐스터의 구조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밝힌다.The ball caster member 388 includes, for example, a steel ball 388a, a housing 388c that forms a channel 388b to accommodate the steel ball 388a, and exposes a portion of the steel ball 388a to the bottom. ) and a spacing ball 388d interposed between the wall of the channel 388b and the steel ball 388a, but it is revealed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structure of various known ball casters.

접착제도포부(300)를 통과해 접착제를 머금은 웹은 건조부로 전달되어 접착제를 건조시킨다. 건조부는 일방향 이송되는 웹을 향해 열풍을 제공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web containing the adhesive passes through the adhesive application unit 300 and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unit to dry the adhesive. The drying uni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provide hot air toward the web being transported in one direction.

가열부(400)는 복수의 가열롤러(420)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가열롤러(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접착제가 건조되어 부직포 특유의 질기고 거친 질감을 형성한 부직포 필터 원단이 형성된다.The heating unit 4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ting rollers 420, and the adhesive dries as i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eating rollers 420, forming a non-woven filter fabric with a tough and rough texture unique to non-woven fabric. do.

가열부(400)는 가열롤러(420)의 배출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압연롤러(4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압연롤러(410)는 웹을 양측에서 열간압연 방식으로 가공한다.The heating unit 400 may include a pair of rolling rollers 410 formed at the discharge end of the heating roller 420. A pair of rolling rollers 410 processes the web by hot rolling on both sides.

이때, 압연롤러(410)는 120℃로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조건으로 세팅된 압연롤러(410)를 웹이 통과하게 되면 웹을 구성하고 있던 융점이 120℃ 이하인 제1 솜만 웹에서 부분적으로 용융된다.At this time, the rolling roller 410 may be set to 120°C. When the web passes through the rolling roller 410 set to these temperature conditions, only the first cotton that makes up the web and has a melting point of 120°C or lower is partially melted in the web.

이 용융된 부분을 냉각시킴에 따라 웹에는 경화된 고체상의 파티클이 형성되며, 이에, 웹의 경도, 형태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로 마스크를 제조하게 되면 마스크에 필터 외 별도 지지대 역할을 하는 지지층 없이도 충분한 경도 및 형태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this molten part is cooled, hardened solid particles are formed in the web, thereby improving the hardness and shape retention of the web. When a mask is manufactured with such a filter, sufficient hardness and shape retention can be provided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support layer other than the filter.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원료공급부
100: 팽창부
200: 웹형성부
300: 접착제도포부
400: 가열부
500: 기화부
600: 건조부
10: Raw material supply department
100: expansion part
200: Web forming unit
300: Adhesive application unit
400: heating unit
500: vaporization unit
600: Drying unit

Claims (5)

솜을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얽힌 상태의 솜을 팽창시키는 팽창부;
상기 팽창부에서 공급되는 팽창 솜을 수집해 웹 형태로 가공하는 웹형성부;
상기 웹형성부로부터 형성된 웹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부;
웹에 도포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건조부;
건조부를 통과한 웹을 가열하여 부직포 필터 원단을 형성하는 가열부; 및
상기 팽창부로 유효기체를 공급해 팽창된 솜에 유효기체를 침투시키는 기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부는,
함체 형상의 케이스;
솜이 이송되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해 솜을 케이스로 압송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화부는 상기 이송관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이송관을 통과중인 솜에 유효기체를 공급하며,
상기 기화부는,
첨가제가 저장되며, 저장된 첨가제를 기화시켜 유효기체를 생성하는 챔버; 및
상기 이송관과 챔버를 연결하며, 챔버에서 생성된 유효기체가 이송되는 기체이송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
A raw material supply department that supplies cotton;
An expansion unit that expands the tangled cotton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A web forming unit that collects the expanded cotton supplied from the expansion unit and processes it into a web shape;
an adhesive application unit that applies adhesive to the web formed from the web forming unit;
A drying unit that dries the adhesive applied to the web;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web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ying unit to form a non-woven filter fabric; and
It includes a vaporization unit that supplies effective gas to the expansion unit and allows the effective gas to penetrate the expanded cotton,
The expansion part,
Envelope-shaped case;
A transfer pipe through which cotton is transferred; and
It includes a blower that injects high-pressure air into the transfer pipe to transport the cotton to the case,
The vaporiz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transfer pipe and supplies effective gas to the cotton passing through the transfer pipe,
The vaporization unit,
a chamber in which additives are stored and vaporizing the stored additives to generate effective gas; and
A functional mask non-woven filter manufacturing device comprising a gas transfer line that connects the transfer pipe and the chamber and through which the effective gas generated in the chamber is transfer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이종의 첨가제를 개별 저장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기체이송라인은,
유효기체가 저류되는 레저버탱크;
상기 레저버탱크와 이송관을 연결하는 제1 배관;
상기 복수 개의 챔버 각각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배관;
일단은 상기 레저버탱크와,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과 연결되는 제3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과 제3 배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배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되는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
In claim 1,
The chamber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individually store different types of additives,
The gas transfer line is,
A reservoir tank in which effective gas is stored;
A first pipe connecting the reservoir tank and the transfer pipe;
a plurality of second pipes extend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a third pip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reservoir tank and at the other e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and
A control plat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third pipe and through whic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pipes passes. A functional mask non-woven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부는,
웹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접착롤러;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에서 접착롤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접착롤러의 상부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노즐조립체;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노즐조립체가 접촉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한 쌍의 리턴스위치;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접착롤러 하방으로 낙하되는 접착제가 수납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서 서로 이격 설치된 한 쌍의 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며 외측으로 상기 노즐조립체가 장착되는 이송벨트; 및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모터는 접촉신호에 따라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이송벨트에 장착된 노즐조립체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
In claim 1,
The adhesive application part,
a pair of adhesive rollers through which the web passes;
a guide frame extend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roller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dhesive roller;
a nozzle assembly that reciprocates along the guide frame and supplies adhesive to the top of the adhesive roller;
a pair of return switches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the nozzle assembly is contacted;
A driving member that reciprocates the nozzle assembly along the guide frame; and
It includes a storage tank in which the adhesive that falls below the pair of adhesive rollers is stored,
The driving member is,
a transfer belt wound in an endless track around a pair of pulley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uide frame and on which the nozzle assembly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It includes a step mot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ulley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tep motor is a functional mask non-woven filter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ciprocates the nozzle assembly mounted on the transfer belt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signal.
KR1020200108193A 2020-08-27 2020-08-27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KR102609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93A KR102609388B1 (en) 2020-08-27 2020-08-27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93A KR102609388B1 (en) 2020-08-27 2020-08-27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386A KR20220027386A (en) 2022-03-08
KR102609388B1 true KR102609388B1 (en) 2023-12-01

Family

ID=8081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193A KR102609388B1 (en) 2020-08-27 2020-08-27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3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58B1 (en) * 2006-05-29 2007-09-06 이권혁 The product method of non-woven fabric to be made from bamboo pulp
JP2018090931A (en) * 2016-12-06 2018-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heet production apparatus, sheet production method, pulp-derived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ulp-deriv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38B1 (en) * 2005-07-15 2007-02-05 (주)크린앤사이언스 Filter element for cleaning ai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214813B1 (en) 2012-04-17 2012-12-24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A manufacturing equipment of electric filter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58B1 (en) * 2006-05-29 2007-09-06 이권혁 The product method of non-woven fabric to be made from bamboo pulp
JP2018090931A (en) * 2016-12-06 2018-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Sheet production apparatus, sheet production method, pulp-derived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ulp-derive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386A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494B1 (en) Molded filter element that contains thermally bonded staple fibers and electrically-charged microfibers
RU2579344C1 (en) Air filtration device with controlled air distribution system
CN1292799C (en) Air purifying machine
RU2579342C1 (en) Device for air filtration, containing subsections, between which there is no fluid communication
KR102442197B1 (en) Antifungal and deodorization mask
JP2006305321A (en) Air purifier, and air cleaner and humidifier using the same
FR2935272A1 (en) MULTILAYER COMPOSITION FOR RESPIRATORY MASK
US6878193B2 (en) Filter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725306A1 (en) A personal air filter and ionizing system
KR102609388B1 (en) Functional filt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sk
WO2016042623A1 (en) Mask, filter bag for mask, and ventilation filtering method
CN112717439A (en) Volcanic lava fluid diffuser
AU2019267308A1 (en) Nebulizers, nebulizer cartridges and uses thereof
JP2011072718A (en) Air cleaner
JP2016023850A (en) Cool air fan
KR101854526B1 (en) Cleaning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fine dust collection and sterilization
JP6154316B2 (en) Air cleaning filter
CN207432928U (en) A kind of haze-proof mask
US20230241333A1 (en) Non-combustible aerosol delivery system, filter unit and assembly
CN108635965A (en) A kind of filter material with smoke abatement function of odor
US20230249010A1 (e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66806B1 (en) Air filter of window frame attach type
JPH0330129Y2 (en)
JP6381371B2 (en) Filter recharging device and filter recharging method
KR20210132328A (en) double filter sticker for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