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871B1 -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871B1
KR102608871B1 KR1020230063992A KR20230063992A KR102608871B1 KR 102608871 B1 KR102608871 B1 KR 102608871B1 KR 1020230063992 A KR1020230063992 A KR 1020230063992A KR 20230063992 A KR20230063992 A KR 20230063992A KR 102608871 B1 KR102608871 B1 KR 10260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ixing plate
shaft
electric pol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은
신대근
전승형
배상현
하주성
Original Assignee
동진파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파일(주) filed Critical 동진파일(주)
Priority to KR102023006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22Means for inserting reinforcing members into the mould or f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28B23/024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6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43Wire 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B28B23/0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 B28B23/0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the elements being stressed for the production of elongat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나선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되어 있는 샤프트 고정장치, 상기 강재들을 걸림 고정시켜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가 후진할 때,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와 함께 후진하여서 상기 강재들을 인장시키는 강재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은,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되게 하고,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판 및 중심부에는 상기 내측 고정판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강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유닛에 형성되는 홀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강재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teel fixing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concrete electric po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electric pole using the steel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강재를 고정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전주는 제작시에 인장용 강재에 인장력(Pre-stress)을 가해서 휨 성능을 확보한다. 이러한 인장용 강재는 제작시에 강재를 고정하는 고정단과 강재에 긴장력을 가하는 인장단으로 구분된다. 즉, 고정단에서 강재를 고정하고 반대쪽의 인장단에서 강재를 당겨서 Pre-stress를 강재에 도입하는 제작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으로는 강재 개수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크기가 다른 두 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두 개의 구멍을 연결해주는 고정장치에 강선을 고정한다.
고정방법은 확대머리를 가지는 강재보다 큰 구멍과 그것보다 작은 구멍을 사이에 두고 강재 원직경보다 약간 큰 공간을 두어, 큰 구멍에 강재를 넣고 작은 구멍으로 이동시켜서 확대머리를 통해 긴장력 도입시 고정장치에 고정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강재가 철근망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강재수 만큼 구멍을 맞추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고정 후부터 긴장력 도입전까지 몰드 등의 이동에 따라서 강재가 이탈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77760호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강재를 고정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나선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되어 있는 샤프트 고정장치, 상기 강재들을 걸림 고정시켜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가 후진할 때,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와 함께 후진하여서 상기 강재들을 인장시키는 강재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은,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되게 하고,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판 및 중심부에는 상기 내측 고정판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서 인장재로 이용되는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되도록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하는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되게 하고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판 및 중심부에는 상기 내측 고정판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측 고정판 및 상기 외측 고정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강재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들 및 상기 외측 고정판 홈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상기 내측 고정판 및 상기 외측 고정판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및 상기 강제 고정유닛이 상기 강재에 결합된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몰드에 설치하는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 상기 강재들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를 상기 내측 고정판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시키는 샤프트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유닛에 형성되는 홀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강재를 고정할 수 있다.
둘째,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이 서로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강재의 조립 난이도가 낮은 장점이 있다.
셋째, 강재를 강재 고정유닛에 고정한 후에 이동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강재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의 전체적인 공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 중에서 말구 성형판을 분리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 중에서 샤프트 고정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 중에서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 중에서 내측 고정판과 외측 고정판에 강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 중 인장재 고정과 관련성이 높은 일부 공정을 추출하여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의 Ⅸ-Ⅸ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의 Ⅹ-Ⅹ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의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의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전주의 각 부분별 휨 모멘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100)은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110), 말구 성형판 설치단계(S120),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S130), 강재 고정유닛 준비단계(S140),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S150, S160),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170), 샤프트 설치단계(S180), 가인장 단계(S190), 합형 단계(미도시), 모르타르 투입단계(미도시), 본인장 단계(미도시) 및 탈형 단계(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인장 단계 이후에 원심성형 및 증기양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전주의 제작을 위한 몰드의 탈형 단계 이후에 제작완료된 콘크리트 전주의 마감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후 출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100)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강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강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조립 편의성도 도모된다. 또한 강재가 강재 고정유닛에 고정된 후에는 이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강재가 움직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100)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강재 고정장치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상기 강재 고정장치(1000)는 말구 성형판(1100), 샤프트 고정장치(1200), 강재 고정유닛(1300) 및 샤프트(1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말구 성형판(1100),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 상기 강재 고정유닛(1300) 및 상기 샤프트(1400)는 콘크리트 전주의 원구에서 말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강재 고정장치(1000)는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다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130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은 원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말구 성형판 홀(110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말구 성형판 홀(1100a)은 강재(10)들이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말구 성형판 홀(1100a)은 상기 강재(10)의 연장부(11) 뿐만 아니라 상기 강재(10)의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부(1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12)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강재(10)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원구에서 말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을 관통한다.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는 상기 샤프트(1400)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1400)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10)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는 상기 강재(10)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은 상기 강재(10)의 연장부(11) 뿐만 아니라 머리부(12)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은 상기 말구 성형판 홀(1100a)과 동일한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는 상기 강재(10)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샤프트 고정장치 홀(12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홀(1200a`)은 상기 강재(10)의 연장부(11) 뿐만 아니라 머리부(12)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홀(1200a`)은 상기 말구 성형판 홀(1100a)과 동일한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샤프트 고정장치 홀(1200a`)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보다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홀(1200a`)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과 교번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20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200b)은 상기 샤프트(14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의 결합 시 이용된다.
상기 강재 고정유닛(1300)은 상기 강재(10)들을 걸림 고정시켜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가 후진(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원구에서 말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때,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와 함께 후진하여서 상기 강재(10)들을 인장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재 고정유닛(1300)은 내측 고정판(1310) 및 외측 고정판(1320)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고정판(1310)은 중심부에 상기 샤프트(1400)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1400)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내측 고정판(1310)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10)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1310a)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고정판(1320)은 중심부에 상기 내측 고정판(1310)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고정판(1320)은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1310a)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1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1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1)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1320a)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강재(10)들의 머리부(12)는 아래쪽 절반은 상기 내측 고정판(1310)에 걸려서 고정되고, 위쪽 절반은 상기 외측 고정판(1320)에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샤프트(1400)는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나선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한다. 상기 샤프트(1400)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200b)과 나사결합 한다. 상기 샤프트(1400)는 타측에 외부 동력원인 인장기(60)가 결합된다.
상기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서 인장재로 이용되고,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강재(10)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상기 연장부(11)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머리부(12)는 상기 연장부(11)의 타측 단부에 상기 연장부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강재 조립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재 조립체 형성단계는 상기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강재(10)를 복수개 준비하고, 상기 강재(10)들을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하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강재(10)들과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나선 철근(20)을 배치하는 과정이다.
상기 말구 성형판 설치단계(S120)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상부 부분인 말구를 형성하기 위한 말구 성형판(1100)을 상기 강재(1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강재(10)는 머리부(12)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부가 상기 말구 성형판 홀(1100a)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S130)는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를 상기 강재(1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을 관통한 상기 강재(1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1200a)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강재 고정유닛 준비단계(S140)는 상기 말구 성형판(1100) 및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를 관통한 상기 강재(10)를 상기 강재 고정유닛(130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강재 고정유닛 준비단계(S140)에서는 먼저 내측 고정판(1310) 및 외측 고정판(1320)을 준비한다. 상기 내측 고정판(1310) 및 외측 고정판(1320)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 고정장치(1000)에서 설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S150, S160)는 내측 고정판(1310) 및 외측 고정판(132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강재(10)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1310a)들 및 상기 외측 고정판 홈(1320a)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강재(1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2)가 상기 내측 고정판(1310) 및 상기 외측 고정판(1320)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S150, S160)는 내측 고정판 설치단계(S150) 및 외측 고정판 설치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고정판 설치단계(S150)은 상기 각 강재(10)가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1310a)에 안착되고, 상기 강재(1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2)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1310a)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도록 배치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고정판 설치단계(S160)은 상기 각 강재(10)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1310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판 홈(1320a)에 의해 덮어지도록 상기 외측 고정판(1320)을 상기 내측 고정판(1310)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재(10)를 상기 내측 고정판 홈(1310a)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판 홈(1320a)에 상기 강재(10)를 걸되, 상기 외측 고정판(1320)이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에서 원구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내측 고정판(13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강재(10)가 상기 외측 고정판 홈(13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고정판 홈(1310a)에 안착되도록 하되, 상기 내측 고정판(1310)이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에서 원구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내측 고정판(13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170)는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 및 상기 강재 고정유닛(1300)이 상기 강재(10)에 결합된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아 개구되어 있는 몰드(30)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즉,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170)는 상기 강재(10), 상기 말구 성형판(1100) 및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를 상시 몰드(30)에 안착 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샤프트 설치단계(S180)은 상기 강재(10)들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1400)를 상기 내측 고정판(13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310)에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 설치단계(S180)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에서 원구 방향으로 샤프트를 삽입하여 상기 샤프트(14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이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200b)과 결합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샤프트(1400)는 몰드(30)의 상부(타측)에 체결한 마구리판(40)을 관통한 상태로 샤프트 고정장치(13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400)의 타측에는 인장기(60)가 결합된다.
상기 강재 가인장 단계(S190)는 상기 강재(10)들이 상기 강재 조립체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강재(10)들의 양쪽 단부에 인장력을 가하여 긴장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인장기(60)를 작동하여 샤프트(14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1400)와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 고정장치(1200)가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원구에서 말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재(10)들을 고정하고 있는 강재 고정장치(1300)도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원구에서 말구 방향으로 후진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강재(10)들을 가인장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400)에 결합된 인장 너트(50)를 죄여서 응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가인장 단계(S190)는 상기 강재(10)들이 모르타르 투입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강재(10)들의 양단에 인장력을 가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은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서 힘을 가한다. 상기 강재 가인장 단계(S190)에 의해 상기 강재(10)들이 긴장된 상태에서 합형 단계 및 모르타르 투입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가인장 단계(S190)는 상기 몰드(30)에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상기 강재(10)들이 상기 타설되는 모르타르와의 접촉에 의해 휘어지는 것과 같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상기 가인장 단계(S190)에서 가해지는 인장력은 상기 몰드(30)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구성비 및 타설 속도 등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미리 실험에 의해 상기 강재(10)들이 모르타르 타설 시 변형되지 않을 수 있도록 도출된 최소한의 인장력을 가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인장력은 상기 최소한의 인장력보다 더 강한 인장력일 수도 있다.
상기 합형단계는 상기 몰드(30) 내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합형단계에서는 상기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170)를 통해 상기 강재 조립체가 상기 몰드(30)의 하형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후에 상형이 상기 하형과 결합되어서 합형된다.
상기 모르타르 투입단계에서는 상기 합형단계를 통해 상기 몰드(30)가 합형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강재(10)를 포함하는 강재 조립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3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한 모르타르가 투입되는 과정이다.
상기 본인장 단계에서는 상기 모르타르 투입단계에 의해 타설된 모르타르에 매입되어 있는 상태의 강재(10)들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강재(10)들이 긴장된다. 상기 본인장 단계에 의해 상기 강재(10)들이 긴장된 상태에서 원심 성형이 수행된다. 상기 원심 성형은 모르타르가 투입된 몰드(30)를 회전시켜서 원심 성형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심 성형을 통해서 상기 몰드(3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몰드(30)에 투입된 모르타르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전주 몸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탈형단계에서는 상기 말구 성형판(1100)과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1200) 사이의 강재(10)들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말구 성형판(1100)을 제거한 후 돌출되어 있는 강재(10)들을 제거하는 마무리 작업을 진행한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200)은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210), 말구 성형판 설치단계(S220),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S230), 강재 고정유닛 준비단계(S240),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S250, S260),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270), 샤프트 설치단계(S280), 가인장 단계(S290), 합형 단계(미도시), 모르타르 투입단계(미도시), 본인장 단계(미도시) 및 탈형 단계(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S200)은 도 1 내지 7에 따른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S100)과 비교할 때,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210)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단계는 유사하므로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2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210)에서는 PC강선을 인장재로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100)를 제작하기 위한 강재 조립체를 준비한다. 이는 도 1 내지 7에 따른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S110)에서 PC강봉(강재)을 인장재(긴장재)로 사용하여 강재 조립체를 준비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PC강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를 제조할 경우 긴장재를 PC강봉이 아닌 PC강선을 이용함으로써 응력 부식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긴장재인 PC강선이 보강근 및 나선 철근과 일체화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긴장되기 때문에 긴장작업 시 나선 철근과의 용접이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부속물 삽입 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서 나선 철근을 절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PC강선을 인장재로 이용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전주(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PC강선을 인장재로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100)는 전주 몸체(110), PC강봉(120), 가이드 철선(130), 나선 철근(140) 및 PC강선(150)을 포함한다. 상기 전주 몸체(110)는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상기 전주 몸체(110)는 직선의 중심축선(X)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중심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주 몸체(110)의 외주와 내주는 대체로 원형으로서 동심원을 이룬다.
상기 전주 몸체(110)에는 복수 개의 상기 PC강봉(120)들,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 상기 나선 철근(140) 및 상기 PC강선(15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 양단들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전주(100)의 원구(111)와 말구(11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주 몸체(110)는 원구(111)로부터 말구(112)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뿔대 형상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전주 몸체(110)는 상기 PC강봉(120), 상기 가이드 철선(130), 상기 나선 철근(140) 및 상기 PC강선(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피복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전주 몸체(110)는 콘크리트 압축력에 대한 저항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전주 몸체(110)의 두께는 사용되는 상기 PC강봉(120), 상기 가이드 철선(130), 상기 나선 철근(140) 및 상기 PC강선(150)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PC강봉(12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PC강봉(120)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매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PC강봉(12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주면(또는 외주면)과 동심원 구조가 되도록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PC강봉(120)들의 배치 구조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PC강봉(12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C강봉(120)은 상기 전주 몸체(110) 길이의 절반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PC강봉(120) 강봉의 길이를 상기 전주 몸체(110) 길이의 절반보다 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PC강봉(120)은 비긴장재로써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긴장재인 상기 PC강선(150)의 휨 저항성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전주는 주로 상부(말구) 부분에 적재하중 및 풍하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모멘트를 산출하면 하부(원구) 부분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 부분에 중점적으로 상기 PC강봉(120)을 배치하여 휨 저항성을 보강한다.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PC강봉(120)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매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주면(또는 외주면)과 동심원 구조가 되도록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은 상기 PC강봉(120)들이 형성하는 동심원과 반지름이 동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상기 가이드 철선(130)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PC강봉(120)들의 중심까지의 길이와 상기 PC강봉의 반지름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상기 PC강봉(120)들은 서로 연결하면 원 형상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은 상기 PC강봉(120)들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즉,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상기 PC강봉(120)들은 교번하여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의 배치 구조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기 PC강봉(120)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까지는 상기 PC강봉(120)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PC강봉(120)이 연장되어 있는 말단으로부터 상기 전주 몸체(110)의 상부까지 더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아래에서 설명할 나선 철근(1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나선 철근(140)의 하부는 상기 PC강봉(120)들에 의해 지지되지만, 상기 PC강봉(120)들의 말단 위쪽 부분은 상기 나선 철근(140)을 지지해 줄 부재가 없다. 상기 PC강선(150)은 성분 구성상 용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나선 철근(140)의 상부를 용접을 통해서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전주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철선(130)을 이용하여 상기 나선 철근(140) 상부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 철선(130)은 상기 나선 철근(140) 하부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까지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PC강봉(120)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각각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든다.
즉,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PC강봉(120)이 설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부분까지는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각각 용접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PC강봉(120)이 연장되어 있는 말단에서 상기 전주 몸체(110)의 상부까지는 상기 가이드 철선(130)과만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선 철근(140)은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즉, 상기 나선 철근(14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PC강봉(120)들 및 가이드 철선(130)들이 용접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이 상기 나선 철근(1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PC강봉(120)들은 상기 나선 철근(14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은 상기 나선 철근(1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PC강봉(120)들은 상기 나선 철근(14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은 상기 나선 철근(14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강선(150)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PC강선(150)은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100)는 긴장재 역할을 하는 상기 PC강선(150)들이 상기 나선 철근(130)을 포함하는 다른 강재들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인장작업 시 다른 구성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서 각 부재가 일체화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PC강봉(120), 상기 가이드 철선(130) 및 상기 나선 철근(140)과 각각 접촉되지 않도록 분리되어 직접적으로 일체화되어 있지는 않은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PC강선(150)들은 전주 몸체(110)에 의해 상기 PC강봉(120), 상기 가이드 철선(130) 및 상기 나선 철근(140)과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용접 등에 의해 직접 접촉되어 고정된 구조를 갖지는 않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능 발휘에 유리하다. 즉,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PC강봉(120), 상기 가이드 철선(130) 또는 상기 나선 철근(140)과 접촉된 구조로 배치되더라도 적어도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는 않은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PC강선(150)들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PC강선(150)들의 이격된 거리가 다르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나선 철근(140)으로부터 설정 길이 이격되도록 매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나선 철근(130)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PC강선(150)들이 상기 나선 철근(130)보다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전주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C강선(150)들은 인장력을 받아 긴장되는 긴장재 역할을 한다. 상기 PC강선(150)은 미세구조상 상기 PC강봉(120)과 비교하여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PC강봉(120)은 인장강도가 14,000kg/㎠ 인데 반해, 상기 PC강선(150)은 인장강도가 19,500kg/㎠으로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100)는 응력부식균열에 대하여 긴장재로써 PC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저항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PC강선(150)은 인장강도 역시 높기 때문에 보다 높은 수준의 휨 저항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성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변위에 대한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순간적으로 큰 횡력에 의하여 구조체가 항복하였을 경우에도, 파단되지 않고 일정 수준으로 복원되는 성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과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들의 사이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C강선(150)들은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보다 상기 전주 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PC강봉(120)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130)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상기 PC강선(150)들의 배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100)는 긴장재 역할을 하는 상기 PC강선(150)들이 상기 나선 철근(130)들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인장작업 시 다른 구성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서 각 부재가 일체화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강재 조립체 준비(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말구 성형판 설치단계(S220),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S230), 강재 고정유닛 준비단계(S240),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S250, S260),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S270), 샤프트 설치단계(S280), 가인장 단계(S290), 합형 단계(미도시), 모르타르 투입단계(미도시), 본인장 단계(미도시) 및 탈형 단계(미도시)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강재 고정장치
1100: 말구 성형판
1100a: 말구 성형판 홀
1200: 샤프트 고정장치
1200a: 샤프트 고정장치 홈
1200a`: 샤프트 고정장치 홀
1300: 강재 고정유닛
1310: 내측 고정판
1310a: 내측 고정판 홈
1320: 외측 고정판
1320a: 외측 고정판 홈
1400: 샤프트
10: 강재
20: 나선 철근
30: 몰드
40: 마구리판
50: 인장 너트
60: 인장기
100: 콘크리트 전주
110: 전주 몸체
120: PC강봉
130: 가이드 철선
140: 나선 철근
150: PC강선

Claims (10)

  1.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나선 회전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되어 있는 샤프트 고정장치;
    상기 강재들을 걸림 고정시켜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가 후진할 때,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와 함께 후진하여서 상기 강재들을 인장시키는 강재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은,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되게 하고,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판; 및
    중심부에는 상기 내측 고정판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성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고정판이 상기 외측 고정판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고정판 홈과 상기 외측 고정판 홈은 상기 내측 고정판과 상기 외측 고정판이 맞닿는 부분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는,
    아래쪽 절반은 상기 내측 고정판에 걸려서 고정되고, 위쪽 절반은 상기 외측 고정판에 걸려서 고정되는,
    강재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는,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샤프트 고정장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말구 성형판은,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설정 간격으로 말구 성형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홈 및 상기 말구 성형판 홀 각각은,
    상기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강재 고정장치.
  4. 삭제
  5. 콘크리트 전주 제작 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매립되는 강재들에 긴장력 도입을 위하여 상기 강재들을 고정시키는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전주에서 인장재로 이용되는 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
    샤프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하고,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어서 삽입되도록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하는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되게 하고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각 강재가 안착되는 내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측 고정판 및 중심부에는 상기 내측 고정판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들과 함께 상기 각 강재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걸리도록 하는 외측 고정판 홈들이 설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고정판을 포함하는 강재 고정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측 고정판 및 상기 외측 고정판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강재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들 및 상기 외측 고정판 홈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상기 내측 고정판 및 상기 외측 고정판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및 상기 강제 고정유닛이 상기 강재에 결합된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몰드에 설치하는 강재 고정장치 조립체 설치단계;
    상기 강재들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를 상기 내측 고정판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에 결합시키는 샤프트 설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 설치단계 사이에,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강재 고정유닛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강재들이 관통되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말구 성형판을 설치하는 말구 성형판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고정판이 상기 외측 고정판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고정판 홈과 상기 외측 고정판 홈은 상기 내측 고정판과 상기 외측 고정판이 맞닿는 부분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각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는,
    아래쪽 절반은 상기 내측 고정판에 걸려서 고정되고, 위쪽 절반은 상기 외측 고정판에 걸려서 고정되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재 고정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각 강재가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에 안착되고, 상기 강재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가 상기 내측 고정판 홈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도록 배치하는 내측 고정판 설치단계; 및
    상기 각 강재가 상기 각 내측 고정판 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고정판 홈에 의해 덮어지도록 상기 외측 고정판을 상기 내측 고정판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외측 고정판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설치단계에서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샤프트 고정장치와 나사 결합시키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설치단계 이후에,
    상기 강재들이 모르타르 투입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이용하여 상기 강재들에 인장력을 가하는 가인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강재 준비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PC강봉들을 준비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 철선들을 준비하여 상기 PC강봉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며,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PC강봉들 및 상기 가이드 철선들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나선 철근을 준비하여 배치함으로써 강재 조립체를 형성하는 강재 조립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KR1020230063992A 2023-05-17 2023-05-17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KR10260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992A KR102608871B1 (ko) 2023-05-17 2023-05-17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992A KR102608871B1 (ko) 2023-05-17 2023-05-17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71B1 true KR102608871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992A KR102608871B1 (ko) 2023-05-17 2023-05-17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110B1 (ko) * 1998-06-25 2001-02-01 고석조 콘크리트 전주 말구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KR100975562B1 (ko) * 2009-12-30 2010-08-13 (주) 포유엔지니어링 선단확장형 phc 파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선단확장형 phc 파일
KR20120056115A (ko) *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20064778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1777760B1 (ko) 2016-11-03 2017-09-26 한국도로공사 보강용 나선철근이 포함된 매입형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파일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매입 시공하는 방법
KR20190043702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 강선 재배열 금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110B1 (ko) * 1998-06-25 2001-02-01 고석조 콘크리트 전주 말구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KR100975562B1 (ko) * 2009-12-30 2010-08-13 (주) 포유엔지니어링 선단확장형 phc 파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선단확장형 phc 파일
KR20120056115A (ko) * 2010-11-24 2012-06-01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20120064778A (ko) * 2010-12-10 2012-06-20 주식회사 알파이엔씨 전주의 인장근 체결장치
KR101777760B1 (ko) 2016-11-03 2017-09-26 한국도로공사 보강용 나선철근이 포함된 매입형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파일 및 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매입 시공하는 방법
KR20190043702A (ko) *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배전용 콘크리트 전주 강선 재배열 금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554B1 (ko) 강선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거의 연결구조와 그연결방법
KR100847547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보강용 장치 및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5240504A (ja) コンクリート節杭の製造方法
KR102608871B1 (ko) 콘크리트 전주 제작에 이용되는 강재 고정장치 및 그 강재 고정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JP4984279B2 (ja) 既製杭用の鉄筋かご
JP5411950B2 (ja) 既製杭の製造方法、既製杭用の鉄筋かご
KR102636104B1 (ko) Pc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KR102608870B1 (ko) 인장재 고정이 간편한 콘크리트 전주 및 그 콘크리트 전주의 인장재 고정방법
CN111827681B (zh) 一种纵向预制构件灌浆工艺
KR101420661B1 (ko)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0766425B1 (ko) 전주의 제작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623584B1 (ko) 스텝너트 어셈블리 및 그 스텝너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전주의 제조방법
JP4541573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貯槽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貯槽の構築方法
KR101274988B1 (ko) 긴장도입장치
JPH0438354A (ja) Frpロッドの緊張方法
JP2005171581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4776525B2 (ja) スリーブ固定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スリーブ固定方法
KR102317000B1 (ko)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JP4116602B2 (ja) Pc緊張材用定着具
JPH0347354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に於けるプレストレス構法および梁貫通ケーブル用スリーブ
KR102140034B1 (ko) 포스트텐션 공법에서 피복 텐던의 무덕트 시공을 위한 피복 텐던 고정장치
JP6965404B1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ポ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ポール製造用定着装置
JP2004324153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緊張材定着部の補強構造及び定着施工方法
JP2014218828A (ja) 定着具筋の固定用具
SU1629434A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 напр гаемых арматурных пуч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