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509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509B1
KR102608509B1 KR1020170176561A KR20170176561A KR102608509B1 KR 102608509 B1 KR102608509 B1 KR 102608509B1 KR 1020170176561 A KR1020170176561 A KR 1020170176561A KR 20170176561 A KR20170176561 A KR 20170176561A KR 102608509 B1 KR102608509 B1 KR 10260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
area
red
light emittin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874A (ko
Inventor
이정진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5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벤딩 영역이 디스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 포함된 구조물의 재료 개선이나 변경 없이도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자인적인 요소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디자인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부가 벤딩된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측부가 벤딩되면서 전체적인 장치의 심미감이 제고되며, 벤딩된 측부에 영상을 표시하여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기신호로 인해 제어되면서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된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데,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 구현된 영상은 정면 영상이 인식되나, 벤딩된 영역에 구현된 영상은 측면 영상이 인식된다.
이 경우, 시야각에 따라 인식되는 영상의 색좌표 및 휘도의 편차가 존재하므로,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벤딩되지 않은 영역과 벤딩된 영역에서 색감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되지 않은 영역과 벤딩된 영역 사이의 정면 색감차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벤딩 영역이 디스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 사이의 색감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회로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 포함된 구조물의 재료 개선이나 변경 없이도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성능을 제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비벤딩 영역에서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비벤딩 영역으로부터 출광되는 광의 색감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에 따라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벤딩 영역이 디스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 사이의 색감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회로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 포함된 구조물의 재료 개선이나 변경 없이도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광학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전 벤딩 영역에서의 색감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비벤딩 영역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픽셀을 제조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B-B’ 선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의 광학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 전 벤딩 영역에서의 색감차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비벤딩 영역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픽셀을 제조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효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술할 기판(511)과 기판(511)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OLED Panel), 액정디스플레이패널(LCD Panel) 등의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OLED Panel)을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판(511)은, 벤딩된 벤딩 영역(Bended Area, BA)과 벤딩되지 않은 평면인 비벤딩 영역(Non Bended Area, NBA)을 포함하고 있다.
기판(511)의 벤딩 영역(BA)은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양 측부에 각각 하나의 벤딩 영역(BA)이 위치하여 기판(511)의 양 측부가 벤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으로,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 상부에는 커버글라스(210)가 위치할 수 있다.
커버글라스(21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보호하며, 강화 글라스(Glass), 투명 플라스틱, 또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글라스(21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 및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버글라스(21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글라스(210) 하부에는 광학접착제(220)가 위치할 수 있다. 광학접착제(220)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Resin)일 수 있다.
광학접착제(220)의 하부에는 편광층(230)이 위치할 수 있다. 편광층(230)은 광학접착제(220)를 매개로 커버글라스(210)와 접합된다. 편광층(230)은 편광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 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편광층(230) 아래에 봉지층(240)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240)은 산소 또는 수분으로부터 후술할 유기발광다이오드(5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편광층(230)과 봉지층(240) 사이에 터치 센서층(미도시)이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층은 터치 필름 등으로 구현되어, 터치로 인한 정전용량(Capacitance,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센싱하여 터치를 센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봉지층(240) 아래에 픽셀 어레이 기판(250)이 포함될 수 있다.
픽셀 어레이 기판(250)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며, 일 예로 기판(511)과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픽셀 어레이 기판(250) 아래에는 백 플레이트(260)가 위치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260)는 픽셀 어레이 기판(250) 아래에 부착되면서, 픽셀 어레이 기판(250)의 하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편광층(230), 봉지층(240), 픽셀 어레이 기판(250) 및 백 플레이트(260)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서브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벤딩 영역(NBA)과, 비벤딩 영역(NBA)의 양 측부에 벤딩 영역(BA)을 가지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판(511)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은 기판(511) 상에서 사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수의 서브픽셀은, 제1 사선 라인(L1) 상에 제1 색상 서브픽셀과 제2 색상 서브픽셀이 교번하여 배열되고, 제1 사선 라인(L1)과 평행한 제2 사선 라인(L2) 상에 제2 색상 서브픽셀과 제3 색상 서브픽셀이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서브픽셀은, 일 예로 비벤딩 영역(NBA)에 포함된 서브픽셀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색상 서브픽셀은 적색(Red) 서브픽셀(SR)이고, 제2 색상 서브픽셀은 녹색(Green) 서브픽셀(SG)이며, 제3 색상 서브픽셀은 청색(Blue) 서브픽셀(SB)일 수 있다. 다만, 제1 색상, 제2 색상, 제3 색상은 필요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 중 임의의 색상으로 변경되거나, 다른 색상인 것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제1 색상 서브픽셀이 적색 서브픽셀(SR)이고, 제2 색상 서브픽셀이 녹색 서브픽셀(SG)이며, 제3 색상 서브픽셀은 청색 서브픽셀(SB)인 경우, 제1 사선 라인(L1) 상에는 적색 서브픽셀(SR)과 녹색 서브픽셀(SG)이 교번하여 배열되고, 제2 사선 라인(L2) 상에는 녹색 서브픽셀(SG)과 청색 서브픽셀(SB)이 교번하여 배열되게 된다.
이 경우,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이 수평 라인 상에서 서로 교번하면서 배치되는 것에 비해, 동일한 디스플레이 패널 면적 당 더 많은 서브픽셀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동일 면적 당 더 높은 해상도(PPI, pixel per inch)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판(511)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은, 비벤딩 영역(NBA)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SP1)과,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제2 서브픽셀(SP2)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서브픽셀들은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은 서로 다른 크기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과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픽셀, 또는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서브픽셀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와 관련된다. 즉, 서브픽셀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 서브픽셀 또는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픽셀 어레이 기판(250)의 세부 구조를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이를 살펴본다.
기판(5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511)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계열의 재료와 같은 플렉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512)은 기판(511) 상에 배치된다. 버퍼층(512)은 기판(511)을 통한 수분 또는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511) 상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512)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버퍼층(512)의 형성 여부는, 기판(511)의 종류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520)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박막 트랜지스터(520)는 버퍼층(512) 상에 배치되며, 유기발광다이오드(530)로 신호를 공급한다. 박막 트랜지스터(520)는 액티브층(521), 게이트 전극(522), 소스 전극(523), 및 드레인 전극(5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퍼층(512) 상에 액티브층(521)이 형성되고, 액티브층(521) 상에 액티브층(521)과 게이트 전극(522)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513)이 형성된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513) 상에 액티브층(521)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전극(522)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522) 및 게이트 절연층(513) 상에 층간 절연층(514)이 형성된다. 층간절연층(514) 상에 소스 전극(523) 및 드레인 전극(524)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523) 및 드레인 전극(524)은 액티브층(5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액티브층(521)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a-Si),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poly-Si), 산화물(oxide) 반도체 또는 유기(organic) 반도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521)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또는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티브층(521)을 IGZO로 형성할 때, In:Ga:Zn의 비율은 1:2:1일 수 있다. 이 경우, 액티브층(521)에는 Ga고분포층(Ga-Rich Layer)이 IGZO층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Ga고분포층은 전압과 온도의 스트레스(PBTS; Positive Bias Temperature Stress)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픽셀(SR, SG, SB) 각각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520) 중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1 전극(531)와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서브픽셀(SR, SG, SB) 각각은 유기발광다이오드(530)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나 캐패시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520)가 코플래너(coplanar)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서브픽셀(SR, SG, SB) 각각의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1 전극(531)이 박막 트랜지스터(520)의 소스 전극(523)과 연결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설계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1 전극(531)은 박막 트랜지스터(520)의 드레인 전극(524)과 연결될 수도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520) 상에 평탄화층(515)이 배치된다. 평탄화층(515)은 기판(511)의 상부를 평탄화하는 층으로서, 기판(511) 상부의 단차를 덮을 수 있도록,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515)은 제1 전극(531)을 서브픽셀(SR, SG, SB)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520)의 소스 전극(523)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층(516)은 서브픽셀(SR, SG, SB)를 정의할 수 있으며, 제1 전극(531)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531)의 에지(edge)를 덮도록 뱅크층(516)이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516)은 인접하는 서브픽셀(SR, SG, SB)의 제1 전극(531)을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뱅크층(516)은 인접하는 서브픽셀(SR, SG, SB) 간의 혼색을 방지하도록 광 흡수율이 높은 블랙 뱅크로 구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530)는 평탄화층(515) 상에 배치되며, 제1 전극(531), 유기발광층(532), 및 제2 전극(533)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1 전극(531)은 유기발광층(532)으로 정공(hole)을 공급하는 전극이며, 일함수가 높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TZO; 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제1 전극(531)은 반사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5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전극(531)은 픽셀 전극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2 전극(533)은 전자(electron)를 공급하는 전극으로, 상대적으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성 물질, 예를 들어, 은(Ag), 티타늄(Ti),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은(Ag)과 마그네슘(Mg)의 합금(Ag:Mg), 또는 마그네슘(Mg)과 플루오르화리튬(Mg:LiF)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533)은 공통 전극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층(532)은 적색, 녹색, 청색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턴 발광층(patterned emission lay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패턴 발광층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이 각각의 서브픽셀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적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녹색 유기발광층,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청색 유기발광층이 각각, 적색 서브픽셀(SR), 녹색 서브픽셀(SG), 및 청색 서브픽셀(SB)에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적색 유기발광층, 녹색 유기발광층, 및 청색 유기발광층 각각에서는 제1 전극(531) 및 제2 전극(533)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되어 광이 발광된다. 각각의 유기발광층들은 서브픽셀 별로 개구된 마스크, 예를 들어, FMM(fine metal mask)을 이용하여 각각의 발광 영역(OR, OG, OB)에 패턴 증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픽셀 어레이 기판(250)의 서브픽셀은, 비벤딩 영역(NBA)에 구현된 제1 서브픽셀(SP1)과 벤딩 영역(BA)에 구현된 제2 서브픽셀(SP2)로 구분된다.
이때,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제1 전극(531)의 크기는, 제2 서브픽셀(SP2)의 제1 전극(531)의 크기가 제1 서브픽셀(SP1)의 제1 전극(531)의 크기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픽셀(SP2)의 제1 전극(531)이 유기발광층(532)에 접하는 면적이 제1 서브픽셀(SP1)의 제1 전극(531)이 유기발광층(532)에 접하는 면적보다 크게 되므로, 제1 서브픽셀(SP1)의 유기발광층(532)과 제2 서브픽셀(SP2)의 유기발광층(532)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더라도, 제2 서브픽셀(SP2)의 유기발광층(532)의 발광효율이 증대되므로 휘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적색 서브픽셀(SR), 녹색 서브픽셀(SG), 및 청색 서브픽셀(SB)은 서로 상이한 크기의 발광영역(OR, OG, OB)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발광영역(OR, OG, OB)의 크기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혼합하여 원하는 색온도의 백색광을 도출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과 같이 청색 서브픽셀(SB)의 발광영역(OB)이 가장 크고, 녹색 서브픽셀(SG)의 발광영역(OG)이 그 다음으로 크고, 적색 서브픽셀(SR)의 발광영역(OR)이 가장 작은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청색 서브픽셀(SB)은, 일반적으로 다른 색상 대비 동일 면적 당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낮기 때문에, 서브픽셀(SB)의 크기 또는 발광영역(OB)의 크기가 가장 크다. 그리고, 녹색 서브픽셀(SG)은, 적색 서브픽셀(SR)에 비해 동일 면적 당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낮기 때문에, 적색 서브픽셀(SR) 또는 발광영역(OR) 보다 서브픽셀(SG)의 크기 또는 발광영역(OG)의 크기가 크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색온도의 백색광을 도출하기 위한 다양한 발광영역(OR, OG, OB)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적색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과, 녹색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과, 청색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색상에 해당하는 유기발광층(532)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은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에 포함된 유기발광층(532)의 경우도 그러할 수 있다.
한편, 적색광은, 각도에 따른 색좌표의 변화가 녹색광 및 청색광보다 더 크며, 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적색 유기발광층과 녹색 및 청색 유기발광층의 물질적인 특징에 기인한다.
이를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색, 녹색 및 청색 유기발광다이오드(530)의 벤딩 각도에 따른 색좌표의 비율(도 6a)과 그 경향(도 6b)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색좌표 비율은, xy좌표계를 따른 각각의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의 x좌표를 y좌표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벤딩 각도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각도를 의미하고, A1<A2<A3의 관계를 가진다.
도 6의 표와 그래프를 참조하면, 녹색 및 청색광의 색좌표 비율은,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나, 적색광의 색좌표 비율은,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백색광의 색온도는,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의 색좌표 및 휘도와 관련되는데, Yxy 좌표계로 표현한 적색광의 휘도(Y)와 색좌표(x,y)를 (Yr,xr,yr), 녹색광의 휘도와 색좌표를 (Yg,xg,rg), 청색광의 휘도와 색좌표를 (Yb,xb,yb)라 하고, 백색광의 휘도와 색좌표를 (Y,x,y)라 할 때, Yxy 및 XYZ 좌표계를 따른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서로 관련된다.
Figure 112017127387415-pat00001
Figure 112017127387415-pat00002
이러한 수학식 1 및 2를 통해, 백색광의 색좌표(x,y)가 산출되면, 이에 따라 백색광의 색온도가 결정된다.
한편, 백색광의 색좌표(x,y)는 적색, 녹색 및 청색광의 휘도와 색좌표에 관계되는데, 백색광의 x좌표에서, 분자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광의 색좌표 비율(xg/yg, xb/y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벤딩 각도의 증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나, 적색광의 색좌표 비율(xr/yr)은 벤딩 각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색좌표가 벤딩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각 색상에 대응하는 유기발광층의 물질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물질 자체를 변경하지 않는 한, 유기발광층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더라도, 특정 각도에 대응된 색좌표가 달라지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과 같이,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백색광의 색좌표가 변동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에서는, 벤딩 각도 증가에 따라 점점 푸르스름(Bluish)한 백색광이 인식되게 된다.
따라서, 백색광의 x좌표의 분자를 일정하게하여 백색광의 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색광의 색좌표 비율의 감소에 대응하여 적색광의 휘도를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백색광의 x좌표를 조정하기 위해 적색광의 휘도를 높이는 경우, 다시 백색광의 y좌표의 분자가 변화하므로, 녹색광과 청색광의 휘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태로 적색광과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백색광의 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의 크기와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각 서브픽셀에서 방출되는 광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 백색광의 색좌표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서브픽셀(SP1)에 포함된 임의의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와 제2 서브픽셀(SP2)에 포함된 임의의 색상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 벤딩 영역(BA)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와 비벤딩 영역(NBA)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은, 서로 동일한 색상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의 색상이 동일한 경우, 그 색상은 적색인 것으로, 이때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은 적색 서브픽셀(SR)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적색인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OR2)는 적색인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의 크기(OR1)보다 더 클수도 있다.(OR2>OR1)
이 경우,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적색의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이 비벤딩 영역(NBA)에 배치된 적색의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되므로, 벤딩 영역(BA)에서 적색광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발광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른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의 색상이 동일한 경우, 그 색상은 적색 외에도 녹색과 청색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픽셀(SP1)과 제2 서브픽셀(SP2)은 적색 서브픽셀(SR), 녹색 서브픽셀(SG), 청색 서브픽셀(SB)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적색인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OR2)는 적색인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의 크기(OR1)보다 더 크고(OR2>OR1), 녹색 및 청색인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OG2, OB2)는 녹색 및 청색인 제1 서브픽셀(SP1)의 발광영역의 크기(OG1, OB1)보다 작을 수 있다(OG2<OG1, OB2<OB1).
다시 말해,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적색 서브픽셀(SR)의 발광영역(OR2)은 비벤딩 영역(NBA)에 배치된 적색 서브픽셀(SR)의 발광영역(OR1)보다 크고,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SG, SB)의 발광영역(OG2, OB2)은 비벤딩 영역(NBA)에 배치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SG, SB)의 발광영역(OG1, OB1)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벤딩 영역(BA)에서 적색광의 휘도만 증가시키는 것에 비해, 녹색광과 청색광의 휘도를 줄이게 되므로, 벤딩 영역(BA)으로 출광되는 백색광의 색온도를 보다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백색광의 색온도는 전술한 수학식 1 및 2에 따라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휘도 및 색좌표로 인해 조절되는데, 적색광의 휘도만을 조절하는 경우, 백색광의 색좌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어 균일한 색온도의 백색광을 도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적색광의 휘도를 조절하는 경우,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를 함께 조절하여야 균일한 색온도의 백색광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벤딩 영역(BA)은,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벤딩 영역(NBA)에 보다 인접한 위치의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를 A1으로 하고, 비벤딩 영역(NBA)으로부터 보다 이격된 위치의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를 A3이라 할 때,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를 A1 < A2 < A3로 정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는, 0°부터 45°범위 내의 특정한 각도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1은 15°이고, A2는 30°이며, A3는 4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서브픽셀(SP2)의 적색 서브픽셀(SR2), 녹색 서브픽셀(SG2), 청색 서브픽셀(SB2)은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각각의 발광영역(OR2, OG2, OB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픽셀(SP2)의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제2 서브픽셀(SP2)의 녹색 서브픽셀(SG2)의 발광영역(OG2)의 크기와 청색 서브픽셀(SB2)의 발광영역(OB2)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A1에서 A3로 증가하는 경우, 제2 서브픽셀(SP2)의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의 크기는, A1에서 A3로 갈수록 증가한다(ORA1<ORA2<ORA3).
이에 비해,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A1에서 A3로 증가하는 경우, 제2 서브픽셀(SP2)의 녹색 서브픽셀(SG2)의 발광영역(OG2)의 크기와, 청색 서브픽셀(SB2)의 발광영역(OB2)의 크기는, A1에서 A3로 갈수록 감소한다(OGA1<OGA2<OGA3, OBA1<OBA2<OBA3).
이와 같이,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면,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휘도가 연속적으로 가변하게 되므로, 벤딩 영역(BA) 전체에서 균일한 색온도의 백색광이 출광될 수 있다.
일 예로,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A1, A2, A3로 가변되는 경우, 이에 따라 적색 서브픽셀(SR2), 녹색 서브픽셀(SG2), 청색 서브픽셀(SB2)의 색좌표 또는 색좌표 비율이 도 7과 같이 가변된다. 이 경우, 전술한 수학식 1 및 2에 기해, 변화된 색좌표 또는 색좌표 비율에도 일정한 백색광의 색좌표(x,y)가 유지되도록, 적색 서브픽셀(SR2), 녹색 서브픽셀(SG2), 청색 서브픽셀(SB2) 각각의 휘도를, 각각의 서브픽셀의 발광영역(OR2, OG2, OB2)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과정을, 연속적인 벤딩 각도마다 도출하면, 벤딩 영역(BA) 전체에서 균일한 색온도의 백색광을 출광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서브픽셀(SP2)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라 제2 서브픽셀(SP2)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값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서브픽셀(SP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서브픽셀(SR2), 녹색 서브픽셀(SG2), 청색 서브픽셀(SB2)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라 적색 서브픽셀(SR2)에서 방출되는 적색광의 색좌표값에 대응하여 증가할 수 있다.
즉,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라, 적색 서브픽셀(SR2)에서 방출되는 적색광의 색좌표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광의 색좌표값의 변화로 색좌표 비율이 감소하더라도,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 증가로 인해 상쇄되어 일정한 백색광의 색좌표 유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녹색 서브픽셀(SG2) 및 청색 서브픽셀(SB2)의 발광영역(OG2, OB2)의 크기는,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라 녹색 서브픽셀(SG2) 및 청색 서브픽셀(SB2)에서 방출되는 녹색광 및 청색광의 색좌표값에 대응하여 감소할 수 있다.
즉, 벤딩 영역(BA)의 위치에 따라, 녹색 서브픽셀(SG2) 및 청색 서브픽셀(SB2)에서 방출되는 녹색광 및 청색광의 색좌표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녹색 서브픽셀(SG2) 및 청색 서브픽셀(SB2)의 발광영역(OG2, OB2)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광의 휘도 증가로 인해 백색광의 색좌표가 달라지는 것을,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 감소로 상쇄하여 일정한 백색광의 색좌표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에서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해,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 각각에 형성되는 서브픽셀의 크기에 대응된 슬릿의 크기가,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에서 서로 다른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Case 1은 비벤딩 영역(NBA)에 대응되는 슬릿의 크기(W1)가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슬릿의 크기(W2)보다 작은 마스크를 나타내고 있다(W1<W2).
이와 같이 Case 1에 도시된 마스크의 경우, 비벤딩 영역(NBA)에 형성되는 제1 서브픽셀(SP1)의 크기가 벤딩 영역(BA)에 형성되는 제2 서브픽셀(SP2)의 크기보다 작게 되므로, 전술한 적색 서브픽셀(SR)의 적색 유기발광물질 또는 전극 등을 증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Case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벤딩 영역(NB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벤딩 영역(BA)에서의 슬릿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서브픽셀의 크기가 벤딩 영역(BA)의 엣지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의 마스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비해, 도 10의 Case 2는 비벤딩 영역(NBA)에 대응되는 슬릿의 크기(W1)가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슬릿의 크기(W2)보다 큰 마스크를 나타내고 있다(W1>W2).
이와 같이 Case 2에 도시된 마스크의 경우, 비벤딩 영역(NBA)에 형성되는 제1 서브픽셀(SP1)의 크기가 벤딩 영역(BA)에 형성되는 제2 서브픽셀(SP2)의 크기보다 크게 되므로, 전술한 녹색 서브픽셀(SG) 또는 청색 서브픽셀(SB)의 녹색 및 청색 유기발광물질 또는 전극 등을 증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Case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벤딩 영역(NB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벤딩 영역(BA)에서의 슬릿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감소하여, 서브픽셀의 크기가 벤딩 영역(BA)의 엣지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의 마스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0과 달리, Case 1과 Case 2의 슬릿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형태의 마스크로 적색 서브픽셀(SR), 녹색 서브픽셀(SG) 및 청색 서브픽셀(SB)의 유기발광물질 또는 전극 등을 증착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인한 효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적용 전, 특정한 휘도의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이 혼합되어 기준이 되는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백색광의 색온도는, 벤딩 영역(BA)에서 변화될 수 있다. 즉, 벤딩 각도가 0°인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색온도는, 벤딩 각도가 A1, A2, A3로 증가함에 따라 변화하면서,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색온도와, 벤딩 영역(BA)에서의 색온도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백색광의 색온도 차이는, 비벤딩 영역(NBA)과 벤딩 영역(BA)에서의 색감차를 유발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한 경우, 즉, 벤딩 영역(BA)에서의 적색 서브픽셀(SR2)의 발광영역(OR2)이,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적색 서브픽셀(SR1)의 발광영역(OR1)보다 커지고, 벤딩 영역(BA)에서의 녹색 서브픽셀(SG2) 및 청색 서브픽셀(SB2)의 발광영역(OG2, OB2)이,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녹색 서브픽셀(SG1) 및 청색 서브픽셀(SB1)의 발광영역(OG1, OB1)보다 작아지게 되면서,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가 조절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백색광의 색온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온도를 벤딩 영역(BA)에서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비벤딩 영역(NBA)에서의 적색광의 휘도, 녹색광의 휘도, 청색광의 휘도 비율을, 벤딩 영역(BA)에서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휘도와 색좌표의 편차가 큰 적색광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높여주고, 녹색광과 청색광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낮춰주면, 해당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적용 전, 벤딩 각도가 A1, A2, A3로 변하면서, 적색광의 휘도는 0°인 경우에 비해, 각각 약 0.3%, 약 24%, 약 63%만큼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 후, 벤딩 각도가 A1, A2, A3로 변하면서, 적색광의 휘도가 0°인 경우에 비해, 각각 약 0.5% 증가, 약 21% 감소, 약 58% 감소로, 휘도가 증가했거나 휘도의 감소 비율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용으로 인해 벤딩 각도에 따른 적색광의 휘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는, 본 발명의 적용 후, 벤딩 각도에 따른 휘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휘도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휘도 비율은, 적색 서브픽셀(SR), 녹색 서브픽셀(SG) 및 청색 서브픽셀(SB)의 발광영역(OR, OG, OB)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각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532)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제1 전극(531)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 전 비벤딩 영역(NBA)과 벤딩 영역(BA) 사이에 존재하던 색감차(도 12a)는, 본 발명이 적용됨에 따라, 비벤딩 영역(NBA)과 벤딩 영역(BA) 사이에 색감차가 줄어들게 되므로(도 12b),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의 색감차가 없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벤딩 영역이 디스플레이 성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 사이의 색감차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회로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과 벤딩되지 않은 영역에 포함된 구조물의 재료 개선이나 변경 없이도 색감차를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511 : 기판
530 : 유기발광다이오드 531 : 제1 전극
532 : 유기발광층

Claims (13)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다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벤딩 영역과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은,
    상기 비벤딩 영역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과 상기 벤딩 영역에 배치된 제2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픽셀 및 상기 제2 서브픽셀 각각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서브픽셀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픽셀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서브픽셀의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벤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픽셀은 사선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1 사선 라인 상에는 상기 적색 서브픽셀과 상기 녹색 서브픽셀이 교번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1 사선 라인과 평행한 제2 사선 라인 상에는 상기 녹색 서브픽셀과 상기 청색 서브픽셀이 교번하여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의 크기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녹색, 청색 서브픽셀의 유기발광층의 크기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픽셀의 적색 서브픽셀을 구성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1 전극의 크기는 상기 제2 서브픽셀의 적색 서브픽셀을 구성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1 전극의 크기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적색 서브픽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값에 대응하여 증가하고,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발광영역의 크기는 상기 벤딩 영역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제2 서브픽셀에 포함된 녹색 및 청색 서브픽셀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값에 대응하여 감소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76561A 2017-12-20 2017-12-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61A KR102608509B1 (ko) 2017-12-20 2017-12-2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561A KR102608509B1 (ko) 2017-12-20 2017-12-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74A KR20190074874A (ko) 2019-06-28
KR102608509B1 true KR102608509B1 (ko) 2023-12-01

Family

ID=6706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561A KR102608509B1 (ko) 2017-12-20 2017-12-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8343B (zh) * 2020-05-29 2022-03-1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04262A (ko) 2020-07-03 2022-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광 제어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220100762A (ko) 2021-01-0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83B1 (ko) * 2012-09-13 2020-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배열 구조
KR102061684B1 (ko) * 2013-04-29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874A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7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green sub pixel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red sub pixel and at least one blue sub pixel
US20220271243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3043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560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276641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373985B2 (en) Display device using micro light emitting diode
US105412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03301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10974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9950293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1497B1 (ko) 다중 영상 표시 장치
US20210091151A1 (en) Display apparatus
US11956997B2 (en) Display device
KR102497287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85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111793B2 (ja) 画素アレイ基板およ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929218A (zh) 雙面發光透明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US1030499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20200303477A9 (en)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20240090268A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99147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845639B2 (en) Display device
US20220320472A1 (en) Display device
US11900869B2 (en) Display device
CN218831225U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