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84B1 -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84B1
KR102607884B1 KR1020230017287A KR20230017287A KR102607884B1 KR 102607884 B1 KR102607884 B1 KR 102607884B1 KR 1020230017287 A KR1020230017287 A KR 1020230017287A KR 20230017287 A KR20230017287 A KR 20230017287A KR 102607884 B1 KR102607884 B1 KR 10260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kate
detection device
variable rolle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희준
김진범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엘케이
주식회사 대림에이치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엘케이, 주식회사 대림에이치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아이엘케이
Priority to KR102023001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50Safety; Security of things, users, data or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는 고정 롤러의 축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 상기 가변 롤러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및 상기 가변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롤러와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 고리가 체결됨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A FASTENING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WHETHER A SAFETY BELT IS FASTENE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는 높은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나 높은 건물의 도장, 미장, 설비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대는 작동 방식에 따라 슬라이드 타입, 접철 타입 또는 굴절 타입 등 다양하다.
이러한 고소 작업대는 고소 작업대를 상승시키는 대차, 대차의 상단에 설치되어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작동하는 리프트 및 리프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으로 형성된 작업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이러한 고소 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기 위해 리프트가 상 방향으로 연장되면, 고소 작업대는 낮은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전도에 대해서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결국 작업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안전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자신에 고정된 안전 밸트를 작업대에 체결하여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의 착오 또는 바쁘게 진행되는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가 자신에 고정된 안전 밸트를 작업대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낙상 사고가 발생될 경우 작업자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작업대에 체결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작업대에 체결하도록 인지시켜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작업대에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밸트의 체결 고리가 체결 감지 장치에 체결되지 않으면 알람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는 고정 롤러의 축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 상기 가변 롤러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및 상기 가변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롤러와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 고리가 체결됨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체결 감지 장치; 고소 작업대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고소 작업대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체결 감지 장치의 스위치를 통해 안전 밸트의 체결 고리가 고정 롤러 및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되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체결 고리가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알람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 감지 장치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각각에 고정 롤러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 상기 가변 롤러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가변 롤러가 스케이트 이동 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고정 롤러가 스케이트 적재 홈에 고정되고, 스프링이 스프링 적재 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 감지 장치는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된 밀핀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가변 롤러의 이동에 기반하여 이동하여 스위치를 온/오프(ON/OFF)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 감지 장치는 고정 롤러 및 가변 롤러의 각각의 내부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고정 롤러 및 가변 롤러의 관통 홀에는 관통 홀을 통과하는 축을 각각 배치하고, 축의 양 끝 단을 스케이트 적재 홈에 안착되도록 납작한 스케이트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축을 회전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견고한 체결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 감지 장치는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의 각각에 형성된 개구의 가로 길이를 상기 고정 롤러의 지름과 상기 가변 롤러의 지름을 합한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체결 고리가 개구를 통해 체결되는 경우, 가변 롤러가 보이지 않도록 지지판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체결 고리가 고정 롤러 및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착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밸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지지판이 위를 향한 상태의 체결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지지판이 위를 향한 상태의 체결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에 체결 고리를 체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가변 롤러(352)가 고정 롤러(351)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가변 롤러(352)가 고정 롤러(35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착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자(130)는 고소 작업대(110)에 올라탄 상태에서 고공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추락으로부터 자신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 밸트(150)의 후크를 고소 작업대(110)의 고리에 체결할 수 있고 안전모(140)를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업자(130)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작업자(130)가 안전 밸트(150)의 후크를 고소 작업대(110)의 고리에 체결하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고소 작업대(110)에서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밸트(15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120)를 고소 작업대(110)의 일 측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에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밸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대(110)의 일 측에는 작업자(130)에 대한 안전 밸트(15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작업자(130)에 대한 안전 밸트(15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120)는 알람을 출력하는 경광등(210),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예: 초음파 높이 센서)(220), 전자 장치(120)를 고소 작업대(110)에 고정시키는 버켓 고정 볼트(250), 안전 밸트(150)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230), 체결 감지 장치(230)와 연결되는 연결 고리(240), 메모리, 프로세서(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경광등(210)은 작업자(130)가 인지할 수 있는 빛을 출력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광등(210)은 알람부로 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220)는 지상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지상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20)는 통신부(도 9의 920), 센서부(도 9의 940), 전원부(도 9의 950), 인터페이스(도 9의 960), 메모리(도 9의 970), 및 프로세서(도 9의 9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20)는 알람부(도 9의 910) 및 체결 감지 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감지 장치(230)는 가로 길이가 약 180mm이고, 세로 길이가 약 110mm이고, 높이가 약 30mm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지지판이 위를 향한 상태의 체결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지지판이 위를 향한 상태의 체결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체결 감지 장치(230)는 하부 지지판(320)에 형성된 개구(401)를 통해 고소 작업대(1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판(310)의 중앙에는 고정 롤러(351) 및 가변 롤러(352)가 외부로 드러나고 안전 밸트의 체결 고리가 삽입되도록 개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롤러(351) 및 가변 롤러(352)의 각각은 외부에 형성된 파이프와 파이프 내부에 배치된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판(310)은 상부 프레임(330)과 하부 프레임(340)을 사이에 두고 하부 지지판(320)과 결합된다. 상부 지지판(310)은 3mm의 두께의 철제로 체결 고리를 걸어 이를 지지하고 체결 감지 장치의 지지 구조로서 체결 감지 장치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330)과 하부 프레임(340)은 절연체로 사출 또는 NC 가공하여 롤러들, 스프링 및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 감지 장치(230)는 상부 지지판(310)과 하부 지지판(320)을 통해 상부 프레임(330)과 하부 프레임(340)을 결합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 지지판(310)과 하부 지지판(320) 각각은 고정 롤러(351) 및 가변 롤러(352) 사이에 안전 밸트(150)의 체결 고리(도 5의 510)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개구(311, 41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개구(311, 411)는 가로 길이가 약 110mm이고 세로 길이가 약 40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지지판(310) 및 하부 지지판(320)의 각각에 형성된 개구(311, 411)는 세로 길이가 고정 롤러(351)의 지름과 상기 가변 롤러(352)의 지름을 합한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판(310) 및 하부 지지판(320)의 각각에 형성된 개구(311, 411)는 가로 길이가 고정 롤러(351) 또는 가변 롤러(352)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체결 감지 장치(230)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외관은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에 체결 고리를 체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 고리(510)는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개구(311, 411)에 삽입됨으로써 체결 감지 장치(2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고리(510)가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개구(311, 411)에 삽입되면, 스프링에 의해 고정 롤러(351)와 맞닿아 있던 가변 롤러(352)는 체결 고리(510)에 의해 고정 롤러(351)로부터 이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가변 롤러(352)가 고정 롤러(351)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가변 롤러(352)가 고정 롤러(35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하부 프레임(340) 상에는 고정 롤러(351), 가변 롤러(352), 두 개의 스프링(631, 631), 밀핀(620) 및 스위치(6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롤러(351) 및 상기 가변 롤러(352)의 파이프(예: 외경 20mm, 내경 16mm) 각각은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롤러(351) 및 상기 가변 롤러(352)의 관통 홀에는 관통 홀을 통과하는 축(700, 710)(예: 직경 15mm)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축의 양 끝 단은 스케이트 적재 홈과 스케이트 이동 홈에 안착되도록 납작한 판의 스케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롤러(351)의 축(710)의 양 끝 단은 스케이트 적재 홈에 안착되도록 납작한 판의 스케이트(711, 712)의 형상을 갖고, 가변 롤러(352)의 축(700)의 양 끝 단은 스케이트 이동 홈에 안착되도록 납작한 판의 스케이트(701, 702)의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롤러(352)의 축(700)에서, 가변 롤러(352)의 관통 홀에 대응되는 부분(즉, 가변 롤러(352)의 내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가변 롤러(352)가 상기 가변롤러(352)의 축(7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원통형을 가진다. 그리고, 가변 롤러(352)의 축(700)의 양 끝단은 축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스케이트 이동 홈을 따라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납작한 스케이트(701, 702)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의 사이에 체결 고리(510)가 체결되면, 가변 롤러(352)는 체결 고리(510)의 두께만큼 후퇴 격실(640)로 후퇴함으로써, 밀핀(620)은 스위치(610)로부터 이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631, 63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631, 632)의 일 단은 상부 프레임(330)과 하부 프레임(340)에 형성된 스프링 적재 홈의 하단에 밀착 지지되며, 스프링(631, 632)의 타 단은 상기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701, 702)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631, 632)은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701, 702)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 반대 방향으로 향하려고 하는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탄성력으로 인해 밀핀(620)은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702)에 의해 스위치(6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밀핀(620)이 스위치(610)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631, 632)은 가변 롤러(352)를 상하로 밀고 있어서, 체결 고리(510)가 체결되는 외력으로 가변 롤러(352)가 격실로 후퇴하면, 스프링(631, 632)은 압축된다. 그리고, 스프링(631, 632)은 체결 고리(510)를 빼면 가변 롤러(352)를 원위치 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610)는 가변 롤러(352)의 이동에 따라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 사이에 체결 고리(510)가 체결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610)는 밀핀(620)의 물리적 가압에 의해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330)과 하부 프레임(340)의 결합에 의한 면은 버튼의 온/오프(ON/OFF)의 동작이 자유롭도록 스위치(610)와 일정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밀핀(620)이 스위치(610)에 가압되면 스위치(610)는 온(ON) 상태가 되어, 전자 장치(120)는 체결 고리(510)가 체결 감지 장치(230)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밀핀(620)이 스위치(610)에 가압되어 있지 않으면 스위치(610)는 오프(OFF) 상태가 되어, 전자 장치(120)는 체결 고리(510)가 체결 감지 장치(230)에 체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치(610)의 온/오프는 밀핀(620)의 가압 여부에 의해 발생되며, 밀핀(620)은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 사이에 체결 고리(510)가 체결되면 스위치(610)로부터 이격되고,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 사이에 체결 고리(510)가 체결되지 않으면 스위치(610)에 밀착 접촉된다. 이러한 스위치(610)의 온/오프 신호는 배선을 통해 전자 장치(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은 스위치(610)와 함께 배선 홈(611)에 안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위치(610)를 온/오프 스위치인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스위치를 자기 스위치로 대체 가능하다. 이 경우, 밀핀(620)은 자성체로 대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홀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의 하부 프레임(340) 및 상부 프레임(330)의 각각은 고정 롤러(351)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811),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702)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812), 상기 가변 롤러(352)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631)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8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감지 장치(230)의 하부 프레임(340) 및 상부 프레임(330)의 각각은 체결고리(510)가 연결되는 일측에 고정 롤러 축의 스케이트(711)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홈(811), 가변 롤러 축의 스케이트(701)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812), 상기 가변 롤러 축 스케이트(701)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631)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813), 스위치와 배선이 안착되는 배선 홈(611), 상기 스케이트 이동 홈(812)과 배선 홈(611)에 연결되어 밀핀(620)의 안착 및 이동통로가 되는 밀핀 홈(81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401)가 위치하는 반대측에는 고정 롤러 축의 스케이트(712)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816), 가변 롤러 축의 스케이트(702)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817), 상기 가변 롤러 축 스케이트(702)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632)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818)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340) 및 상부 프레임(330)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340) 및 상부 프레임(330)으로 형성된 스케이트 적재 홈(811)은 스케이트의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프링 적재 홈(813, 818)은 스프링(631, 632)이 이완되었을 때의 크기와 직경으로 스케이트 이동 홈(812, 817)보다 깊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적재 홈(813, 818)은 스프링(631, 632)의 수축과 팽창을 안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프레임(340)의 중앙에는 고정 롤러(351) 및 가변 롤러(352)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개구(810)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프레임(330) 역시 하부 프레임(340)의 개구(810)에 대응되는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230)의 상부 프레임(330) 및 하부 프레임(340)의 각각은 고정 롤러(351)의 축의 스케이트(711, 712)가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811, 816), 가변 롤러(352)의 축의 스케이트(701, 702)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812, 817), 상기 가변 롤러(352)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813, 818)), 스위치(610)와 배선이 안착되는 배선 홈(611), 스케이트 이동 홈(812)과 배선 홈(611)에 연결되어 밀핀(620)의 안착 및 이동 통로가 되는 밀핀 홈(8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이트 이동 홈(812, 817)은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 사이에 체결 고리의 체결에 기반하여,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702)가 고정 롤러(35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지지판(310) 및 하부 지지판(320)의 각각은 상부 프레임(330)과 상기 하부 프레임(340)을 결합 고정시켜, 고정 롤러(351) 및 가변 롤러(352) 사이에 안전 밸트(150)의 체결 고리(510)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개구(311, 4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 감지 장치(230)는 가변 롤러(352)의 이동에 따라 고정 롤러(351)와 가변 롤러(352) 사이에 체결 고리(510)가 체결됨을 감지하는 스위치(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610)는 상부 프레임(330)과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 감지 장치(230)는 가변 롤러(352)의 스케이트와 스위치(610) 사이에 배치된 밀핀(6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밀핀(620)은 가변 롤러(352)의 이동에 기반하여 이동하여 스위치(610)를 온/오프(ON/OFF) 동작시키도록 밀핀 홈(81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롤러(352)의 축(700)에서, 가변 롤러(352)의 관통 홀에 대응되는 부분은 가변 롤러(352)가 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원통형이며, 가변 롤러(352)의 축(700)의 양 끝단은 상기 축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케이트 이동 홈(812)을 따라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납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는 알람부(910), 통신부(920), 체결 감지 장치(230), 센서부(940), 전원부(950), 인터페이스(960), 메모리(970), 및 프로세서(9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12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전자 장치(120)의 구성 요소들이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람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예: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910)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알람부(910)는 프로세서(980)의 제어 하에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색을 발광시키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람부(910)는 지상에서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적색으로 발광하고, 지상에서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푸른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920)는 작업자(130)에 대한 위치 정보(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920)는 작업자(130)에 대한 위치 정보(예: GPS 신호)를 작업자(130)가 착용한 안전모(140)에 장착된 GPS 모듈로부터 무선(또는 유선)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920)는 메모리(97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프로세서(980)에 의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920)는 프로세서(980)의 제어 하에, 고소 작업대(110)의 실시간 높이에 대한 정보, 작업자(130)의 안전모(140)에 부착된 GPS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GPS 신호 및 안전 밸트(150)가 고소 작업대(110)의 체결 감지 장치(230)에 체결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감지 장치(230)는 안전 밸트(150)의 후크가 고소 작업대(110)의 고리에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940)는 고소 작업대의 높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940)는 초음파 측정기 및 레이저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940)는 고소 작업대의 높이를 미리 결정된 시간(예: 3초)마다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를 프로세서(980)의 제어 하에 메모리(97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는, 센서부(940)는 고소 작업대의 높이를 1분 마다 측정하여 메모리(97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950)는 고소 작업대(110)에서 작업자(130)에 대한 안전 밸트(15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전자 장치(120)가 동작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960)는 메모리(970)에 저장된 데이터, 프로세서(98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통신부(9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체결 감지 장치(23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 센서부(94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외부 장치(예: C 타입 USB)로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97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970)는 전자 장치(12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980)는 메모리(97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2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70)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7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USB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970)는 상기 전자 장치(12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알람부(910), 통신부(920), 체결 감지 장치(230), 센서부(940), 전원부(950), 인터페이스(960), 프로세서(980) 및 메모리(970))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획득된 정보, 측정된 정보, 제어 신호 등), 및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8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프로세서(98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알람부(910), 통신부(920), 체결 감지 장치(230), 센서부(940), 전원부(950), 인터페이스(960) 및 메모리(970))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80)는 유선 통신 또는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80)는 알람부(910), 통신부(920), 체결 감지 장치(230), 센서부(940), 전원부(950), 인터페이스(960) 및 메모리(970) 등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97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9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98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예: 알람)를 알람부(910)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80)는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에 대한 정보 및 작업자(130)의 안전모(140)에 부착된 GPS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GPS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980)는 획득된 고소 작업대(110)의 높이에 대한 정보 및 GPS 신호를 메모리(97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80)는 안전 밸트(150)의 후크가 고소 작업대(110)의 고리에 체결되었는지를 체결 감지 장치(230)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230)는 가변 롤러의 이동에 따라 고정 롤러와 가변 롤러 사이에 상기 체결 고리가 체결됨을 감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 밸트를 체결했는지를 식별하여 작업장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10: 상부 지지판
320: 하부 지지판
330: 상부 프레임
340: 하부 프레임
351: 고정 롤러
352: 가변 롤러
610: 스위치
611: 배선 홈
620: 밀핀
631, 632: 스프링
640: 가변 롤러 후퇴 격실
700: 가변롤러의 축
710: 고정롤러의 축
701, 702: 가변롤러 축의 스케이트
711, 712: 고정롤러 축의 스케이트
811, 816: 스케이트 적재 홈
812, 817: 스케이트 이동 홈
813, 818: 스프링 적재 홈
815: 밀핀 홈

Claims (11)

  1.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에 있어서,
    고정 롤러의 축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적재 홈,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스케이트 이동 홈, 상기 가변 롤러에 외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적재되는 스프링 적재 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스케이트 적재 홈에 안착되는 상기 고정 롤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스케이트 이동 홈에 배치되는 상기 가변 롤러;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각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적재 홈에 안착되는 상기 스프링; 및
    상기 가변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롤러와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 고리가 체결됨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롤러는,
    상기 고정 롤러와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 고리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 롤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삽입된 체결 고리가 이탈됨에 따라 상기 압축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롤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체결 감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결합 고정시켜,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상기 안전 밸트의 체결 고리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개구가 형성된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체결 감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배치된 밀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핀은 상기 가변 롤러의 이동에 기반하여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ON/OFF) 동작시키도록 홈에 배치되는 체결 감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가변 롤러의 각각은 내부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가변 롤러의 관통 홀에는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는 축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 롤러의 축의 양 끝 단은 상기 스케이트 적재 홈에 안착되도록 납작한 스케이트 형상을 갖는 체결 감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롤러의 축은,
    상기 가변 롤러의 관통 홀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가변 롤러가 상기 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원통형이며,
    상기 가변 롤러의 양 끝단은 상기 축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스케이트 이동 홈을 따라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납작하게 형성되는 체결 감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이동 홈은,
    상기 고정 롤러와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 고리의 체결에 기반하여, 상기 가변 롤러의 스케이트가 상기 고정 롤러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형성된 체결 감지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의 각각에 형성된 개구는,
    가로 길이가 상기 고정 롤러의 지름과 상기 가변 롤러의 지름을 합한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체결 감지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의 각각에 형성된 개구는,
    세로 길이가 상기 고정 롤러 또는 상기 가변 롤러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체결 감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적재 홈의 하단에 밀착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의 타 단은 상기 가변 롤러의 축의 스케이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체결 감지 장치.
  10. 제1 항의 상기 체결 감지 장치;
    고소 작업대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고소 작업대의 높이가 기준 높이를 초과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체결 감지 장치의 스위치를 통해 안전 밸트의 체결 고리가 고정 롤러 및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되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체결 고리가 상기 고정 롤러 및 상기 가변 롤러 사이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알람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은,
    경고 메시지의 출력, 및 발광 소자의 발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30017287A 2023-02-09 2023-02-09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607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287A KR102607884B1 (ko) 2023-02-09 2023-02-09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287A KR102607884B1 (ko) 2023-02-09 2023-02-09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884B1 true KR102607884B1 (ko) 2023-11-29

Family

ID=8896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287A KR102607884B1 (ko) 2023-02-09 2023-02-09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8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JP2009035387A (ja) * 2007-08-02 2009-02-19 Aichi Corp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1079647A (ja) * 2009-10-08 2011-04-21 Hakata Tsushin:Kk 高所作業車の安全確認装置
JP2022039185A (ja) * 2020-08-28 2022-03-1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装置の安全装置
KR20220151389A (ko) * 2021-05-06 2022-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미티드 스위치 기반의 고소차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JP2009035387A (ja) * 2007-08-02 2009-02-19 Aichi Corp 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1079647A (ja) * 2009-10-08 2011-04-21 Hakata Tsushin:Kk 高所作業車の安全確認装置
JP2022039185A (ja) * 2020-08-28 2022-03-10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高所作業装置の安全装置
KR20220151389A (ko) * 2021-05-06 2022-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미티드 스위치 기반의 고소차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0821A (zh) 用于确定支承力的测量系统
CN108665660B (zh) 一种粮食防盗系统及其工作方法
US10043368B1 (en) Fall detection system
CN101680753A (zh) 监控诸如实体结构的结构构件变形的传感器装置
US9989349B2 (en)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ATE465117T1 (de) Vorrichtung zur verschleisserkennung bei tragseilen
US10232198B2 (en) Method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KR101658734B1 (ko) 광산 및 지하 폐쇄지역에 적합한 통합 안전관리 장치
KR101536304B1 (ko)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KR102607884B1 (ko) 안전 밸트의 체결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EP3443547A1 (en) Fall detection system
CN110438891B (zh) 具有位移测量与监测功能的摩擦摆支座
DE602005020044D1 (de) Gateway-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systems mit live-safety-einrichtungen
WO2015038116A1 (en) Braking device for braking a hoisted object relative to a guide member
CN107430026A (zh) 用于监测泵或泵组件的状态的感测模块
KR20150108659A (ko) 문닫힘 압력 및 운동 에너지 측정 장치
CN203772458U (zh) 用于确定在支承结构的支承元件上的支承力的测量系统
US6655219B2 (en) Load cell and roll-over alarming device for a crane
CA2510104A1 (en) Guidance system for a robot
ITMO20100153A1 (it) Impianto per la lavorazione di manufatti
CN203772457U (zh) 用于确定在支承结构的支承元件上的支承力的测量系统
FI20012051A (fi) Etätunnistin- tai anturijärjestelmä, sekä matkaviestin
KR20170142239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00134034A (ko) 작업장 내 사고 예방 및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