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415B1 - 램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415B1
KR102607415B1 KR1020210004724A KR20210004724A KR102607415B1 KR 102607415 B1 KR102607415 B1 KR 102607415B1 KR 1020210004724 A KR1020210004724 A KR 1020210004724A KR 20210004724 A KR20210004724 A KR 20210004724A KR 102607415 B1 KR102607415 B1 KR 10260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mp
dimming
termina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404A (ko
Inventor
김법년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4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404A/ko
Priority to KR1020230159553A priority patent/KR20230165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8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4Voltage stabilisation; Maintaining constant voltage

Landscapes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램프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고정 전압으로 생성하는 밴드갭부; 상기 램프에 연결된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고정 전압을 비교하여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고정 전압이 될 때까지 상기 램프로 전류를 공급하는 출력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되, 디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는 디지털 로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램프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LAMP}
본 발명은 램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램프의 디밍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램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 램프, 스텝 램프 등이 있다. 실내 램프나 스템 램프 등의 차량 램프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과 상관 없이 자동으로 온/오프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문을 열 경우, 실내 램프나 스텝 램프가 온되고, 차량의 문을 닫을 경우, 실내 램프나 스템 램프는 오프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는 다양한 램프가 존재하는데 해당 램프에는 디밍 기능이 구비된다. 디밍 기능이란 램프를 온하거나 오프할 때 불빛이 서서히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밍 기능을 램프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소자, 램프 드라이버 IC 등을 포함하는 램프 제어 장치가 필요한데, 종래 램프 제어 장치는 회로가 복잡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조를 이용하여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램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램프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고정 전압으로 생성하는 밴드갭부; 상기 램프에 연결된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고정 전압을 비교하여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고정 전압이 될 때까지 상기 램프로 전류를 공급하는 출력 제어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되, 디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는 디지털 로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제어 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밍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의 수신시, 상기 디밍 신호 생성부로 상기 디밍 제어 신호의 생성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3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의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토글 모드 또는 푸시 락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온 또는 오프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램프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램프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제어 장치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과열 상태인 경우 과열 플래그를 발생하여 등록하고 과열 상태 해제시 과열 플래그를 제거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과열 플래그 발생시 상기 출력 제어부를 오프할 수 있다.
상기 디밍 제어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램프 제어 장치는, 상기 램프에 연결된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조를 이용하여 램프의 디밍을 제어할 수 있어 램프 제어 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를 소정 값으로 제한함으로써, 램프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램프 제어 장치에 복수의 입력 신호가 있을 때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램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 제어 장치를 램프에 연결하여 적용하였을 때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락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와 토글 모드의 스위치 단자의 신호 간 우선순위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와 푸시 락 모드의 스위치 단자의 신호 간 우선순위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램프 제어 장치를 램프에 연결하여 적용하였을 때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램프 제어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전압 레귤레이터(VR, Voltage Regulator)(110), 밴드갭(BandGap)부(120), 디지털 로직부(130), 온도 검출부(140), 제1 출력 제어부(150), 제2 출력 제어부(160) 및 디밍 신호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전압 레귤레이터(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압(IN)을 이용하여 램프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로 하는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압 레귤레이터(110)는, 기준(REF) 단자에 연결된 션트 저항(RREF)(230)에 걸리는 전압이 일정하게 177mV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션트 저항(RREF)(230)은 램프(210)의 그라운드 경로에 위치함으로써, 램프(210)로 흐르는 동작 전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밴드갭부(1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압의 변화, 온도 변화 및 회로 부하 변화에 관계없이 고정된 전압을 생성하여, 제1 출력 제어부(150)의 비교기의 (+) 단자에 공급한다. 따라서, 밴드갭부(120)에서 생성되는 고정된 전압은 제1 출력 제어부(150)의 비교기에서 상기 션트 저항(RREF)(230)에 걸리는 전압(VREF)과 비교된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제1 입력 단자인 PWM(Pulse Width Modulation) 단자와 제2 입력 단자인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제어부(150) 및 제2 출력 제어부(160)의 전류 출력을 제어한다. 즉, 디지털 로직부(130)는, PWM 단자 또는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한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출력 제어부(150) 및 제2 출력 제어부(160)에서 램프(210, 220)로 전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PWM 단자 또는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램프(210, 220)를 오프하기 위한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출력 제어부(150) 및 제2 출력 제어부(160)에서 램프(210, 220)로 전류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기 위해 제1 출력 제어부(150) 및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램프(210, 220)를 온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램프(210, 220)가 서서히 밝아지도록 제어하고, 그리고 램프(210, 220)를 오프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램프(210, 220)가 서서히 어두워지도록 제어한다. 즉, 디지털 로직부(130)는,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는 과정에서 램프(210, 220)를 디밍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로직부(130)는, 디밍 제어 신호를 기초로 램프(210, 220)를 디밍 제어한다. 이하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제1 입력 단자인 PWM 단자를 통해 통해 디밍 제어를 위한 PW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로직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 단자를 통해 차량의 MCU(260)으로부터 PW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차량의 MCU(260)로부터 PW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PWM 신호의 하이(high) 신호에서는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오프(OFF)하고 PWM 신호의 로우(low) 신호에서는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온(ON)함으로써, 램프(210, 220)를 디밍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디지털 로직부(130)는 일정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2초 동안 PWM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로직부(130)는, PWM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PWM 신호와 디밍 신호 생성부(170)에서 출력되는 디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함께 이용하여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디밍 제어 신호는 PWM 신호일 수 있고, PWM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PWM 신호와 디밍 제어 신호인 PWM 신호의 주기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디지털 로직부(130)는, PWM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PWM 신호를 디밍 제어 신호인 PWM 신호의 주기에 일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제2 입력 단자인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통해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신호가 수신되면,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 디밍 제어 신호, 예를 들어 PWM 신호 생성을 요청하고,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부터 PWM 신호를 수신한다. 즉, PWM 단자로부터는 직접적으로 PWM 신호가 수신되지만, 스위치(SW) 단자로부터는 PWM 신호는 수신되지 않고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 신호만 수신되므로, 디지털 로직부(130)는, 대신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부터 PWM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PWM 신호의 하이(high) 신호에서는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오프(OFF)하고 PWM 신호의 로우(low) 신호에서는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온(ON)한다. 바람직하게, 디지털 로직부(130)는 일정한 시간 동안, 예를 들어 2초 동안 PWM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로직부(130)는,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통해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 디밍 제어 신호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이 아닌,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디밍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램프(210, 220)의 디밍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로직부(130)는, 디밍 신호 생성부(17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PWM 신호를 2초 동안만 이용하여 램프(210, 220)의 디밍을 제어할 수 있다.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신호는 두 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의 스위치 신호이다. 두 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는 토글(toggle) 모드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푸시 락(push lock) 모드이다. 디지털 로직부(130)에서의 각 동작 모드의 인식은, 제3 입력 단자인 모드(MODE) 단자를 통해 모드 스위치(280)로부터 수신되는 모드 신호를 기초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모드 스위치(280)가 오픈 상태이면 토글 모드이고, 그라운드로 연결된 상태이면 푸시 락 모드이다.
토글 모드에서, 동작 스위치(270)에 램프(210, 220)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입력이 가해지면, 일시적으로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온/오프 입력에 대응하는 스위치 신호가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해 동작 스위치(270)를 누르면 일시적으로 온 스위치 신호, 예를 들어 로우(LOW) 신호가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되고, 사용자가 다시 램프(210, 220)를 오프하기 위해 동작 스위치(270)를 누르면 일시적으로 오프 스위치 신호, 예를 들어 로우(LOW) 신호가 다시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된다. 즉, 토글 모드에서 온/오프 스위치 신호는 모두 로우 신호이다.
푸시 락 모드에서, 동작 스위치(270)에 램프(210, 220)를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입력이 가해지면, 동작 스위치(270)에 추가적인 입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온 또는 오프 입력에 대응하는 스위치 신호가 지속적으로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해 동작 스위치(270)를 누르면 다시 동작 스위치(270)를 누르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온 스위치 신호, 예를 들어 로우(LOW) 신호가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되고, 사용자가 램프(210, 220)를 오프하기 위해 동작 스위치(270)를 다시 누르면 다시 동작 스위치(270)를 누르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오프 스위치 신호, 예를 들어 하이(HIGH) 신호가 디지털 로직부(130)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로직부(130)는, PWM 단자와 스위치(SW) 단자를 통해 램프(210, 220)를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단자에서 입력된 복수의 신호를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를 한다. 예를 들어, 푸시 락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를 통해 로우 신호, 즉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PWM 단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PWM 단자로부터의 신호는 무시한다. 그리고 PWM 단자로부터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한 신호, 즉 로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스위치(SW) 단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위치(SW) 단자로부터의 신호는 무시한다. 다른 예에서, 토글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를 통해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PWM 단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PWM 단자로부터의 신호는 무시한다. 그리고 PWM 단자로부터 램프(210, 220)를 온하기 위한 신호, 즉 로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스위치(SW) 단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위치(SW) 단자로부터의 신호는 무시한다.
디밍 신호 생성부(170)는, 디지털 로직부(130)의 제어에 따라 디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로직부(130)로 출력한다. 디밍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PWM 신호이다. 바람직하게, 디밍 신호 생성부(170)는, 일정 시간 동안만 PWM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2초 동안 PWM 신호를 생성한다. 디밍 신호 생성부(170)는, 디밍(DIM) 단자에 연결된 외부 캐패시터(250)를 이용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는 일정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 캐패시터(250)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디밍 제어 신호인 PWM 신호를 생성하는 일정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디밍 신호 생성부(170)는, 디지털 로직부(130)의 제어에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디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로직부(13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온도 검출부(140)는, 램프 제어 장치(100)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여 과열 상태로 판명되면 과열 플래그를 발생하여 등록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과열 플래그를 제거한다. 디지털 로직부(130)는, 온도 검출부(140)에서 과열 플래그가 발생하면,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제어하여 램프(210, 220)를 오프하고, 과열 플래그가 제거되면 정상적으로 제1 출력 제어부(150)와 제2 출력 제어부(160)를 제어한다.
제1 출력 제어부(150)는, 디지털 로직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된 램프(예, LED)(21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 램프(21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제1 출력 제어부(150)는 램프(210)에 150mA까지 전류를 공급한다. 공급 전류량은 기준 단자(REF)에 연결된 션트 저항(RREF) 값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1 출력 제어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와,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N 채널 FET(Field Effect Trsnsistor)와, N 채널 FET의 드레인(Drain) 및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되는 P 채널 FE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출력 제어부(150)의 비교기는 밴드갭부(120)로부터 고정된 전압을 입력받고, 기준 단자(REF)로부터 션트 저항값(230)에 걸리는 전압(VREF)을 입력받는다. 이때, 션트 저항값(230)에 걸리는 전압(VREF)은, 램프(210)에 흐르는 동작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비교기는, 밴드갭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고정 전압과 기준 단자(REF)로부터 입력받는 전압을 비교하여, 기준 단자(REF)로부터 입력받는 전압이 밴드갭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고정 전압보다 작을 때, 비교기에 연결된 N 채널 FET를 온시켜 램프(210)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고, 반대로 기준 단자(REF)로부터 입력받는 전압이 밴드갭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고정 전압보다 클 때는, N 채널 FET를 오프시켜 램프(210)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램프(210)로 공급되는 최대 전류는 150mA로 제한된다.
제2 출력 제어부(160)는, 디지털 로직부(130)의 제어에 따라 제2 출력 단자(OUT2)에 연결된 램프(예, LED)(220)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전류 공급을 중단하여 램프(2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제2 출력 제어부(160)는, 램프(220)에 20mA까지 전류를 공급한다. 제2 출력 제어부(160)는, 제1 출력 제어부(150)와 마찬가지로 비교기와, N 채널 FET, 그리고 P 채널 FE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제1 출력 제어부(150)는 션트 저항값(230)에 걸리는 전압, 즉 램프(210)에 흐르는 동작 전류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이 비교기의 입력으로 사용되지만, 제2 출력 제어부(160)는 램프(220)에 흐르는 동작 전류를 고려하지 않고, 디지털 로직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고정된 전압를 입력으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램프(210, 220)가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램프만 있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 제1, 2 출력 제어부(150, 160) 중 하나의 출력 제어부만 있으면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램프(210, 220)의 온/오프 과정에서의 디밍 제어시, 램프(210, 220)의 밝기는 PWM 신호의 듀티(duty)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램프(210, 220)의 디밍 제어는 램프(210, 220)의 온/오프를 짧은 시간 내에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램프(210, 220)를 짧은 시간 온하였다가 바로 오프하면 램프(210, 220)는 최대 허용 가능한 전류가 흐르기 전에 오프되고 동작 전류가 감소하여, 밝기가 밝아졌다가 어두워진다. 이후 램프(210, 220)를 다시 온하게 되면 램프(210, 220)에 전류가 공급되어 다시 밝아지게 되는데, 밝기가 남은 상태에서 다시 온하기 때문에 이전보다는 더 밝은 상태에서 빛이 나오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온/오프를 짧은 시간 내에 반복하면 사람의 눈에는 램프(210, 220)가 점점 밝아지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램프(210, 220)를 오프하는 경우에는 그 반대의 과정에 따라 사람의 눈에는 램프(210, 220)가 점점 어두워지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PWM 신호의 듀티를 조절하게 되면 궁극적으로 램프(210, 220)의 디밍 제어시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WM 단자로부터 일정한 시간 동안(310) PWM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310a, 310b) 온/오프를 반복한다. 그리고 PWM 단자로부터 로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 동안(320)에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320a, 320b). 그리고 이후 PWM 단자로부터 일정한 시간 동안(330) PWM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330a, 330b) 온/오프를 반복하고, PWM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하이 신호에 따라 램프(210, 220)는 오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글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 단자로부터 일시적으로 로우 신호(410)가 수신되면, 디밍 신호 생성부(270)에서 생성되는 PWM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410a, 410b) 온/오프를 반복한다. 그리고 PWM 신호의 발생 시간이 지나가면,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420a, 420b). 그리고 이후 스위치(SW) 단자로부터 다시 일시적으로 로우 신호(430)가 수신되면, 디밍 신호 생성부(270)에서 생성되는 PWM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430a, 430b) 온/오프를 반복하고, PWM 신호의 발생 시간이 지나가면, 램프(210, 220)는 오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락 모드에서 스위치 단자의 신호에 따른 램프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 단자로부터 로우 신호(510)가 수신되면, 디밍 신호 생성부(270)에서 생성되는 PWM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510a, 510b) 온/오프를 반복한다. 그리고 PWM 신호의 발생 시간이 지나가면, 스위치 단자로부터의 로우 신호(510)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520a, 520b). 그리고 이후 스위치(SW) 단자로부터 하이 신호(530)가 수신되면, 디밍 신호 생성부(270)에서 생성되는 PWM 신호에 따라 제1 출력 단자(OUT1)와 제2 출력 단자(OUT2)의 램프(210, 220)도 소정 지연 시간 후에 PWM 신호의 발생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530a, 530b) 온/오프를 반복하고, PWM 신호의 발생 시간이 지나가면, 램프(210, 220)는 오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와 토글 모드의 스위치 단자의 신호 간 우선순위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동작 스위치(270)만 단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즉, 도 6의 Manual switch operation 구간), 토글 모드의 동작 스위치(270)에서 로우 신호가 발생하면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된 램프(210)는 온되고 동작 스위치(270)에서 다시 로우 신호가 발생하면 램프(210)는 오프된다. 그리고 PWM 단자의 신호만으로 동작하는 상태(즉, 도 6의 PWM operation 구간)에서 PWM 단자의 신호가 로우 신호인 경우에 램프(210)는 온된다. 반면, 램프(210)가 온인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270)와 PWM 단자의 신호가 시차를 두고 발생하는 경우(즉, 도 6의 switch + PWM operation 구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된다. 즉, 동작 스위치(270)의 로우 신호(610)에 따라 램프(210)가 온된 상태에서, PWM 단자로부터 신호(620)가 수신되면, 해당 PWM 단자로부터의 신호(620)는 무시된다. 그리고 PWM 단자로부터 램프(210)를 온하기 위한 신호, 즉 로우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스위치(SW) 단자로부터 로우 신호(630), 즉 램프(210)를 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스위치(SW) 단자로부터의 로우 신호(630)는 무시된다. 그 이후 PWM 단자로부터 하이 신호(640)가 입력될 때 램프(210)는 오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단자의 신호와 푸시 락 모드의 스위치 단자의 신호 간 우선순위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동작 스위치(270)만 단독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즉, 도 7의 Manual switch operation 구간), 푸시 락 모드의 동작 스위치(270)에서 로우 신호가 발생하면 제1 출력 단자(OUT1)에 연결된 램프(210)는 온되고 동작 스위치(270)에서 하이 신호가 발생하면 램프(210)는 오프된다. 그리고 PWM 단자의 신호만으로 동작하는 상태(즉, 도 7의 PWM operation 구간)에서 PWM 단자의 신호가 로우 신호인 경우에 램프(210)는 온된다. 반면, 램프(210)가 온인 상태에서 동작 스위치(270)와 PWM 단자의 신호가 시차를 두고 발생하는 경우(즉, 도 7의 switch + PWM operation 구간),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된다. 즉, 동작 스위치(270)의 로우 신호에 따라 램프(210)가 온된 상태(710)에서, PWM 단자로부터 신호(720)가 수신되면, 해당 PWM 단자로부터의 신호(720)는 무시된다. 그리고 PWM 단자로부터 램프(210)를 온하기 위한 신호, 즉 로우 신호가 입력되어 램프(210)가 온된 상태(730)에서, 스위치(SW) 단자로부터 로우 신호(740), 즉 램프(210)를 오프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스위치(SW) 단자로부터의 로우 신호(730)는 무시된다. 그 이후 PWM 단자로부터 하이 신호가 입력될 때 램프(210)는 오프된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램프 제어 장치
110 : 전압 레귤레이터(VR)
120 : 밴드갭(BandGap)부
130 : 디지털 로직부
140 : 온도 검출부
150 : 제1 출력 제어부
160 : 제2 출력 제어부
170 : 디밍 신호 생성부

Claims (10)

  1.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한 램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고정 전압으로 생성하는 밴드갭부;
    상기 램프에 연결된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상기 고정 전압을 비교하여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상기 고정 전압이 될 때까지 상기 램프로 전류를 공급하는 출력 제어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되, 디밍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의 디밍을 제어하는 디지털 로직부; 및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디밍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의 수신시, 상기 디밍 신호 생성부로부터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램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디밍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제3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램프에 대한 온 또는 오프 신호의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토글 모드 또는 푸시 락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온 또는 오프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2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램프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제1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램프를 온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제어 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과열 상태인 경우 과열 플래그를 발생하여 등록하고 과열 상태 해제시 과열 플래그를 제거하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로직부는,
    상기 과열 플래그 발생시 상기 출력 제어부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제어 신호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에 연결된 외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램프 제어 장치.
KR1020210004724A 2021-01-13 2021-01-13 램프 제어 장치 KR10260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24A KR102607415B1 (ko) 2021-01-13 2021-01-13 램프 제어 장치
KR1020230159553A KR20230165163A (ko) 2021-01-13 2023-11-16 램프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24A KR102607415B1 (ko) 2021-01-13 2021-01-13 램프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9553A Division KR20230165163A (ko) 2021-01-13 2023-11-16 램프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04A KR20220102404A (ko) 2022-07-20
KR102607415B1 true KR102607415B1 (ko) 2023-11-27

Family

ID=826090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724A KR102607415B1 (ko) 2021-01-13 2021-01-13 램프 제어 장치
KR1020230159553A KR20230165163A (ko) 2021-01-13 2023-11-16 램프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9553A KR20230165163A (ko) 2021-01-13 2023-11-16 램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74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54B1 (ko) * 2012-11-02 2013-05-30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
JP2015201430A (ja) * 2014-04-09 2015-11-12 スターデコ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ハイブリッド制御方式を利用したled舞台照明システムの照度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4420A (ja) * 1991-08-29 1993-03-12 Sharp Corp Led輝度補正回路
JPH0785976A (ja) * 1993-09-10 1995-03-31 Hitachi Lighting Ltd 調光制御システム
KR100967569B1 (ko) * 2008-03-25 2010-07-05 심현섭 교류전원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956724B1 (ko) * 2016-11-17 2019-03-11 (주)위너에코텍 엘이디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54B1 (ko) * 2012-11-02 2013-05-30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
JP2015201430A (ja) * 2014-04-09 2015-11-12 スターデコ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ハイブリッド制御方式を利用したled舞台照明システムの照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04A (ko) 2022-07-20
KR20230165163A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6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oads using a DC-DC converter
US6844760B2 (en) LED drive circuit
US8026676B2 (en) Dimming control circuit
JP4381983B2 (ja) 閉ループ電流制御回路及びその方法
US6980181B2 (en) LED drive circuit
US7564196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L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0405386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226350B2 (en) Oscillation circuit
US8258705B2 (en) Scotopically enhanced emergency light and control thereof
TWI500357B (zh) 調光電路與方法
US1041279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verter mode and load configuration control
US8120273B2 (en) Light control system with PWM duty cycle control using current signal feedback
US20090195184A1 (en) Drive circuit for driving a load with pulsed current
EP2337207B1 (en) Step-up and step-down dc-dc converter
US9451673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US10383185B2 (en) Motor vehicle illumination device
US11523478B2 (en) Flexible dimming circuit and a method thereof
US20180029526A1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le lamp
US20190132918A1 (en) Controller,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module
KR102607415B1 (ko) 램프 제어 장치
TW201705664A (zh) 整合過電流保護偵測和過電壓保護偵測的升壓裝置
CN112602378B (zh) 点亮电路及车辆用灯具
JP2004328950A (ja) スイッチング定電流電源装置
KR102621102B1 (ko) 램프 제어 장치
KR101510846B1 (ko) 소비전력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