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400B1 - 인공 장루 - Google Patents

인공 장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400B1
KR102607400B1 KR1020210162128A KR20210162128A KR102607400B1 KR 102607400 B1 KR102607400 B1 KR 102607400B1 KR 1020210162128 A KR1020210162128 A KR 1020210162128A KR 20210162128 A KR20210162128 A KR 20210162128A KR 102607400 B1 KR102607400 B1 KR 10260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stomy
anastomosis
internal
valve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690A (ko
Inventor
김남두
Original Assignee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엔비테크 filed Critical (주)메디엔비테크
Priority to KR102021016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4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61F2005/4455Implan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 중공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측 인공장루요소;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내부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외측 인공장루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내부 중공에 내장이 문합되는 내장문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문합부는 내장과 생체적합적으로 결합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공 장루{Artificial Ostomy}
본 발명은 인공 장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 장루의 내부에 메쉬 구조의 부재를 포함시켜 내장과의 문합을 유지하고, 인공 장루 요소의 내부에 팽창을 억제하는 지지부를 삽입하여 내장과의 문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인공 장루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식생활이 서구화 되어감에 따라 대장암, 직장암의 발생률이 증가되고 있다.
대장암, 직장암이 발생할 경우, 종양으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장을 절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는 대변 배설이 불가능하게 됨으로 장루를 장착하는 시술을 받게 된다.
장루는 대변 또는 소변 배설이 어려운 환자에게 시술되는 것으로써, 복벽을 통해 체외로 대변 또는 소변을 배설하기 위하여 만든 구멍으로 인공항문 역활을 하게 된다.
장루는 내장과 문합되어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일부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고 일부는 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은 생체적합성이 있는 의료용 실리콘 부재가 적용된다. 이러한 실리콘 부재로 형성된 인공 장루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여, 이 중공 부분에 내장을 삽입하며 문합하고 인공 장루를 통해 내장의 배설물을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실리콘 부재와 내장을 문합함에 있어 문합이 용이하지 않고, 문합을 한 경우에도 이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의료용 실리콘 부재가 적용된 인공 장루에 내장을 문합하여도 인체 내부의 습도로 인해 실리콘 부재가 팽창하여 내장이 인공 장루 내면에 조여지지 못하고 문합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601호 (2017.01.3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내장과의 문합이 유지되도록 하는 메쉬 구조가 포함된 인공 장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공 장루에 문합된 내장이 인공 장루의 내면에 의해 조여질 수 있도록 문합을 지지하는 부재가 삽입된 인공 장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 중공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측 인공장루요소;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내부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외측 인공장루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내부 중공에 내장이 문합되는 내장문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문합부는 내장과 생체적합적으로 결합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내장과의 문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에 삽입되어 문합을 지지하는 문합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 장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내장문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과, 상기 내장문합부의 반대 단부측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함입되도록 형성된 걸림턱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면에 근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근육고정공을 포함하는 근육고정부;와,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둘레의 일부분에 축방향으로 개구되고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면에 복수의 조임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조임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 장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 중공에 형성된 밸브부재;와,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재를 개폐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밸브지지부; 및, 상기 밸브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를 닫으면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 중공을 밀폐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돌출변형부;와, 상기 핸들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핸들지지부; 및, 상기 핸들지지부를 둘러싸는 외측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장루는 내부에 메쉬 구조를 포함하여 내장과의 문합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장루는 문합을 지지하는 부재가 삽입되어 문합된 내장이 인공 장루의 내면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공 장루(1)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와 인체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인공장루요소(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인공장루요소(10)는 일측에 내장이 삽입되는 부분인 내장문합부(100)를 포함할 수 있고, 내장문합부(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인공장루요소(10)는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근육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근육고정부(110)의 돌출된 넓은 면에는 인체 내부의 근육과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이격된 근육고정공(111)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타측은 중공에 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용부(130)는 외측 인공장루요소(20)가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는 일측이 개구되어 이를 밀폐할 수 있는 캡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 중공에는 배설물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외측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피부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측 인공장루요소(20)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수용부(13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삽입부(230)의 외경은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수용부(130)의 내경보다 크며, 삽입부(230)의 외경과 수용부(130)의 내경 사이에 메쉬부(102)가 삽입될 있도록 이격될 수 있다.
내측 인공장루요소(10)는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임체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조임체결부(120)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를 조일 수 있는 결합부재(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조임체결공(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의 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삽입부(230)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수용부(130)에 삽입될 수 있고,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근육고정부(110)가 돌출된 위치의 길이까지 삽입될 수 있다.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수용부(130)는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삽입부(230)를 수용할 수 있고,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피부고정부(220)와 이격된 위치의 길이까지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의 저면도이다. 도 4와 도5를 참조하면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외측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피부고정부(220)에는 피부와 고정할 수 있는 결합부재(미도시)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이격된 피부고정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재(200)의 둘레 반경보다 피부고정부(220)의 둘레 반경이 피부고정공(221)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피부고정부(220)의 둘레 반경보다 근육고정부(110)의 둘레 반경이 근육고정공(111)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조임체결부(120)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돌출될 수 있고, 돌출 방향은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원주 방향일 수 있으며, 돌출 방향은 원주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원형 중공의 중심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벌어진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장루(1)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측 인공장루요소(10)는 근육고정부(110)의 길이 방향 위치를 기준으로 인체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내장문합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장문합부(100)는 내부에 중공이 있어 내장이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내장은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조임체결부(120)를 조임으로서 내장문합부(10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내장의 단부는 내장문합부에 포함된 메쉬부(102)의 단부와 문합될 수 있고, 메쉬부(102)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수용부(130)와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삽입부(230)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단부에 돌출되는 걸림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고, 걸림돌기(131)는 삽입부(230)의 걸림턱 요홈(231)에 걸림 고정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31)와 걸림턱 요홈(231)의 사이에 메쉬부(102)가 포함될 수 있다.
수용부(130)는 내면에 복수의 끼움홈(132)을 형성할 수 있고, 내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230)의 복수의 끼움돌기(232)와 결합할 수 있다.
끼움홈(132)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그에 대응하여 수용부(130)의 외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삽입부에는 복수의 끼움돌기(232)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끼움홈(132)과 결합될 수 있고, 끼움돌기(232)와 끼움홈(132)의 사이에는 메쉬부(102)가 포함될 수 있다.
메쉬부(102)는 걸림돌기(131)와 걸림턱 요홈(231) 사이에서부터 복수의 끼움돌기(232)와 복수의 끼움홈(132) 사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연장된 일측은 내장문합부(100)에서 내장과 문합될 수 있다.
메쉬부(102)와 문합된 내장이 조여지도록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조임체결부(120)를 조일 수 있고, 인체 내부의 습도로 인하여 의료용 실리콘 부재로 형성된 내측 인공장루요소(10)가 팽창하게 되면서 내장이 조여지지 않고 문합이 풀릴 수 있는데, 팽창 억제를 위해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내부에는 내장문합을 지지할 수 있는 문합지지부(101)가 포함될 수 있다.
문합지지부(101)는 내측 인공장루요소(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팽창을 억제하고 조임을 지지할 수 있고, 문합지지부(101)는 지지를 위해 강성이 있는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또는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문합지지부(101)의 지지를 위해 강성이 있는 소재는 PE 또는 PP로 한정되지 않으며, 문합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이 유지되고, 인공 장루(1)의 의료용 실리콘 부재와 화학적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생성할 염려가 없는 모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문합지지부(101)는 인체 내부 및 내장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측이 의료용 실리콘으로 덮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는 외부와 내부에 걸쳐 개폐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개폐부(210)는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외부에 배치된 핸들부재(211)와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내부 중공에 배치된 밸브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재(211)는 내부에 핸들지지부(211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외부에서 둘러싸는 구조의 외측핸들부(2112)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핸들부(2112)는 외측 인공장루요소(20)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재(211)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핸들을 회전시킴에 있어 파지 및 회전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내부에 핸들지지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지지부(2111)는 밸부지지부(2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핸들부재(211)의 회전력을 밸브부재(212)로 전달할 수 있다.
밸브부재(212)는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며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내부 중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내부 중공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원형 부재일 수 있다.
밸브부재(212)는 회전 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밸브지지부(2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재(212)는 외측 둘레방향에 돌출되어 변형되는 돌출변형부(2123)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변형부(2123)는 회전 개폐시에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내부 중공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의 개폐부(210)의 양끝 단부의 직경은 삽입부(230)의 내부 직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개폐부(210)의 중간에 밸브부재(212)가 형성되는 부분의 직경은 양끝 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인공장루요소(20)는 내부 중공에 밸브부재(212)와 돌출변형부(2123)를 포함하기 위해 내부 중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큰 직경은 밸브부재(212)의 회전으로 인한 돌출변형부(2123)의 탄성 변형을 통해 밀폐될 수 있는 최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인공장루요소(10)와 외측 인공장루요소(20)는 생체적합성이 있는 의료용 소재로 실리콘(SILICON)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의료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부(102)는 생체적합성이 있는 의료용 메쉬일 수 있으며, 의료용 메쉬의 소재는 생체고분자재료인 콜라겐(COLLAGEN), 다당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의료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의료용 소재는 의용 합성고분자재료인 폴리비닐크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NYLONS, POLYAMID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EMETHACRYULATE), 실리콘(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의료용 소재는 의용세라믹인 알루미나(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수산화아파타이트, TCP(TRICALCIUM PHOSPHATE)를 포함할 수 있고, 의용금속재료인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Co-Cr 합금, 티타늄(Ti) 및 티타늄 합금, 형상기억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인공장루
10 내측 인공장루요소
100 내장문합부
101 문합지지부
102 메쉬부
110 근육고정부
111 근육고정공
120 조임체결부
121 조임체결공
130 수용부
131 걸림돌기
132 끼움홈
20 외측 인공장루요소
200 캡부재
210 개폐부
211 핸들부재
2111 핸들지지부
2112 외측핸들부
212 밸브부재
2121 밸브지지부
2122 외측밸브부
2123 돌출변형부
220 피부고정부
221 피부고정공
230 삽입부
231 걸림턱 요홈
232 끼움돌기

Claims (5)

  1. 인체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 중공에 수용부를 포함하는 내측 인공장루요소;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내부 중공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외측 인공장루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내부 중공에 내장이 문합되는 내장문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문합부는 내장과 생체적합적으로 결합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쉬부는, 생체고분자재료인 콜라겐(COLLAGEN), 및 다당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의 의료용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내장과의 문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에 삽입되어 문합을 지지하는 문합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문합지지부는,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및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내장문합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과, 상기 내장문합부의 반대 단부측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축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끼움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와 체결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함입되도록 형성된 걸림턱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는,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면에 근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근육고정공을 포함하는 근육고정부;와,
    상기 내측 인공장루요소의 둘레의 일부분에 축방향으로 개구되고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면에 복수의 조임체결공이 구비되어 있는 조임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 장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 중공에 형성된 밸브부재;와,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운동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부재를 개폐하는 핸들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밸브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밸브지지부;와
    상기 밸브부재의 둘레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부를 닫으면 상기 외측 인공장루요소의 내부 중공을 밀폐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돌출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재는,
    상기 핸들부재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핸들지지부; 및,
    상기 핸들지지부를 둘러싸는 외측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장루.

KR1020210162128A 2021-11-23 2021-11-23 인공 장루 KR10260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28A KR102607400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 장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128A KR102607400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 장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690A KR20230075690A (ko) 2023-05-31
KR102607400B1 true KR102607400B1 (ko) 2023-11-29

Family

ID=86544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128A KR102607400B1 (ko) 2021-11-23 2021-11-23 인공 장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2904A1 (en) 1995-04-20 1996-10-24 Sava Kranj, Industrija Gumijevih, Usnjenih In Kemic^¿Nih Izdelkov, P.O. Prosthesis for bowel evacuation control-colostomy tube
US20030220621A1 (en) 2002-04-16 2003-11-27 Dr. William Arkinstall Valved ostomy drainage device
EP1059902B1 (en) 1998-02-25 2008-07-30 Zassi Medical Evolutions, Inc. Continent ostomy port
US20200038228A1 (en) 2018-08-06 2020-02-06 Covidien Lp Connection devices for ostomy procedur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2005A (ja) * 1985-11-21 1988-08-11 フトゥラプロデュクテ−ル・ホ−ベ− ストミ−バッグのための固定装置
KR101700601B1 (ko) 2015-11-02 2017-01-31 한국원자력의학원 인공 장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2904A1 (en) 1995-04-20 1996-10-24 Sava Kranj, Industrija Gumijevih, Usnjenih In Kemic^¿Nih Izdelkov, P.O. Prosthesis for bowel evacuation control-colostomy tube
EP1059902B1 (en) 1998-02-25 2008-07-30 Zassi Medical Evolutions, Inc. Continent ostomy port
US20030220621A1 (en) 2002-04-16 2003-11-27 Dr. William Arkinstall Valved ostomy drainage device
US20200038228A1 (en) 2018-08-06 2020-02-06 Covidien Lp Connection devices for ostomy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690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9375T3 (es) Implante.
JP5991920B2 (ja) 医療用閉鎖装置
JP5844281B2 (ja) オストミー器具、医療器具の流体流制御弁及びオストミー挿入機構
JP4463557B2 (ja) 肥満の治療のためのガストリックリング
ES2260940T3 (es) Dispositivo de anastomosis.
US2012002233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taneous use of multiple instruments
EP3607921A1 (en) Connection devices for ostomy procedures
EP0520126A1 (en) Artificial venous value
US20010020189A1 (en) Sutureless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peroral implantation thereof
US200502285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JP2009131716A (ja) 細長い物体をシール状態で受け入れる弁組立体
JP2010148896A (ja) カニューレ組立体
US8668711B2 (en) Medical instrument with a flexible sealing system via spherical heads
RU2009107844A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и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EP2869798B1 (en) Ostomy devices
JP2006142032A (ja) 脳室開窓術レザバー
US20190083295A1 (en) Ostomy belt system
KR102607400B1 (ko) 인공 장루
SK78093A3 (en)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fluid conducts for medical purposes
US20040184876A1 (en) Coupling for coupling two devices and method for using the coupling
US20230023513A1 (en) Self-switching transmission assembly, balloon, and prosthesis for use in shoulder joint
JP2020185335A (ja) 人工肛門用開閉自在口形成装具
KR102385997B1 (ko) 인공 장루 장치
KR102462913B1 (ko) 인공 장루
JPS6338446A (ja) スト−マ用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