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93B1 -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93B1
KR102606793B1 KR1020230076013A KR20230076013A KR102606793B1 KR 102606793 B1 KR102606793 B1 KR 102606793B1 KR 1020230076013 A KR1020230076013 A KR 1020230076013A KR 20230076013 A KR20230076013 A KR 20230076013A KR 102606793 B1 KR102606793 B1 KR 10260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stening part
receiving groove
fastening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쥬미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쥬미에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쥬미에르
Priority to KR102023007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09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of the r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체결부를 수용홈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장신구용 연결구를 설계하여 연결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높이며, 사용자가 연결구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CONNECTORS FOR JEWELRY WITH INCREASE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체결부를 수용홈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장신구용 연결구를 설계하여 연결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높이며, 사용자가 연결구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목걸이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기 위하거나, 목걸이를 벗기 위해서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9는 일반적인 목걸이 연결고리 제품 사진이다.
종래의 목걸이 연결고리 제품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연결고리의 돌출된 부분(1)을 가압하게 되면, 돌출된 부분(1)과 하나의 부품을 이루는 체결 부분(3)이 돌출된 부분(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고, 이로 인해, 본체의 고리 끝 부분(2)과 멀어져 이격된 틈이 형성되고, 틈으로 링이 형성된 맞은편 목걸이를 삽입하여 본체의 고리 부분에 체결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놓게 되면, 스프링으로 인해 원복되어 체결 부분(3)과 본체의 고리 끝 부분(2)이 다시 만나게 되고, 폐구역이 형성되어 링이 형성된 맞은편 목걸이가 고리에서 이탈되지 않아 연결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목걸이 연결고리는 체결 부분(3)이 고리의 끝 부분(2)과 근접하도록 맞닿아 폐구역을 형성하는 원리이므로, 어느 하나의 부분이 잦은 사용으로 인해 휘어지는 경우에는 폐구역을 형성할 수 없어 연결고리로서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으며, 휘어진 부분을 원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억지로 힘을 가하는 경우, 해당 부분이 부러져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내구성이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휘어짐으로 폐구역이 사라져 목걸이 등의 장신구가 이탈되어 고가의 장신구를 분실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목걸이 연결고리는 이러한 휘어짐에 약하므로 불가피하게 금의 순도를 낮춰 강성을 보강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목걸이 전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분(3)이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본체의 고리 끝 부분(2)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경사진 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에 상보적으로 본체의 고리 끝 부분(2) 또한 경사진 면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경사진 면의 단부가 날카로운 구조가 형성되었으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손을 뒤로 한 채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연결 고리를 사용하므로, 사용 과정에서 날카로운 부분으로 인해 손이 베이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날카로운 부분이 사용자의 옷에 걸리게 되고, 걸림으로 인해 옷이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7120호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 동작을 수행하는 체결부를 수용홈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장신구용 연결구를 설계하여 연결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높이며, 사용자가 연결구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는 고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되, 일단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고리부의 타단에 수용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틸팅부의 일단을 가압하면, 상기 틸팅부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틸팅하여 상기 고리부의 타단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틸팅부의 타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틸팅부의 타단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의 상기 틸팅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브릿지부를 관통하되,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누름부;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는 토션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부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체결부가 원복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의 상기 누름부는 라운드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높이며, 사용자가 연결구를 활용하여 장신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손이 베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부의 내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가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반적인 목걸이 연결고리 제품 사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본체부(100), 고리부(200), 틸팅부(300) 및 토션스프링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하우징(110) 및 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수직 방향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목걸이의 일단이 결합된다.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축(120)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하우징(110)에만 결합되고, 축(120)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하우징(1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고리부(2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축(120)에는 축홀(340)이 결합되며, 이로 인해,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고리부(200)가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축(120)을 중심으로 고리부(200)가 틸팅하게 되는 것이다.
고리부(2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된다. 고리부(200)는 브릿지부(210) 및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브릿지부(210)의 일단은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용부(220)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브릿지부(210)는 일 예로 고리 형상으로 라운드 진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 형성된 수용부(220)는 본체부(1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수용부(220)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틸팅부(3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며,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틸팅부(300)는 베이스부(310), 체결부(320) 및 누름부(3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10)는 본체부(100)의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틸팅부(300) 전체가 본체부(100)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틸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베이스부(310)에는 폭 방향으로 돌출된 축홀(340)이 형성되며, 축홀(340)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중공부(341)가 형성된다. 중공부(341)에는 전술한 베이스부(310)의 축(120)이 결합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축(120)을 중심으로 베이스부(310)가 틸팅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부(310)의 일단에는 누름부(330)가 연장 형성된다. 누름부(330)는 본체부(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누름부(330)를 가압하게 된다. 누름부(330)는 라운드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사용 과정에서 날카로운 부분을 최소화하여 누름부(330)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가 베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타단에는 체결부(320)가 형성된다. 체결부(320)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누름부(330)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체결부(320)는 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누름부(330)를 가압하는 경우, 누름부(330)는 축(120)을 중심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있던 체결부(320) 또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용부(22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체결부(320)와 수용부(2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목걸이의 타단에 형성된 링을 간격에 삽입하여, 링을 브릿지부(210)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누름부(330)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게 되면, 후술하겠지만 토션스프링부(400)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누름부(3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체결부(320) 또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원복되어 수용부(220)에 수용된다. 이로 인해, 폐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목걸이의 타단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연결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고리의 끝 부분(2)과 체결 부분(3)이 미세한 틈을 가지고 이격되는 구조였기에 지속적인 사용 시 휨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회전 반경으로 인해 경사진 면이 형성되어 날카로운 부분에 사용자의 손이 베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격되는 구조가 아닌 체결부(320)가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구조이므로 수용부(220)가 체결부(320)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체결부(32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휨 문제가 최소화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후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연결구 전체에 날카로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손에 베이는 문제 등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강성 확보를 위해 금의 순도를 낮출 필요가 없어 제품 품질 전체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토션스프링부(400)는 축홀(340)과 베이스부(310) 사이에 삽입되며, 좀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하우징(110) 사이에 위치된다. 토션스프링부(400)의 구성으로 인해, 누름부(330)가 가압되어 틸팅한 후 더 이상 누름부(330)를 가압하지 않게 되면, 탄성회복력에 기인하여 별도의 외력없이 틸팅부(300)의 위치를 원복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은 브릿지부(210)의 내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체부(100)와 연결된 브릿지부(210) 지점에는 관통홈(212)이 형성되며, 관통홈(212)에 틸팅부(300)의 누름부(330)가 관통한다. 이로 인해, 누름부(330)가 고리부(200)의 브릿지부(210)와 간섭되지 않고 틸팅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브릿지부(210)의 내측 일 지점에는 한 쌍의 지지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11)는 제1 지지대(2111) 및 제2 지지대(2112)를 포함하며, 제1 지지대(2111)는 브릿지부(210)의 내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 지지대(2112)는 제1 지지대(2111)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대(2112)와 제1 지지대(2111)는 폭 방향으로 길이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상세하게는 제2 지지대(2112)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제1 지지대(211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지지대(211) 사이에는 토션스프링부(400)의 단부가 삽입되며, 이로 인해 토션스프링부(400)가 고리부(200)에 고정된다. 이때, 제2 지지대(2112)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제1 지지대(211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되면, 한 쌍의 지지대(211) 사이의 간격이 내측(좀 더 상세하게는 축(120) 방향으로 갈수록)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구조이므로 토션스프링부(400)의 단부가 한 쌍의 지지대(211)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22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32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32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체결부(320)가 수용부(220)에 수용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체결부(320)를 설명하도록 한다. 체결부(320)는 제1 체결부(321) 및 제2 체결부(322)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321)에서 제2 체결부(322)로 갈수록 수직 방향의 상방에서 하방으로의 방향이다.
제1 체결부(321)는 수직 방향의 하방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2 체결부(322)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길게 된다. 따라서, 제1 체결부(321)와 제2 체결부(322)와의 폭 방향의 길이 차이로 인해, 제1 체결부(321)의 하부에는 폭 방향의 단차(3211a)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체결부(322)는 수직 방향의 하방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베이스부(310)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으며, 베이스부(310)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체결부(320) 전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T' 형상이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320)와 수용부(220)의 결합이 '가이드 레일 - 가이드 홈' 구조로 체결되면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므로, 두 부품 간 결합 안정성이 향상되고, 삽입 및 탈거가 손쉬우며, 슬라이딩 동작으로 인해 부드럽게 삽입 및 탈거되므로 마모가 적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체결부(321)의 코너 지점은 라운드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220) 또한 상보적인 위치에 라운드진 부분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마모가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322)와 베이스부(310)의 연결지점에는 라운드부(323)가 형성되며, 라운드부(323)는 도 5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라운드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체결부(322)가 수용부(220)에 삽입 또는 탈거되는 과정에서 마모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220) 또한 상보적인 위치에 라운드진 부분(2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321)를 전면부 및 후면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체결부(320)의 전면부에는 제1 체결부 전면(3211), 제2 체결부 전면(322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제1 체결부 후면(3212) 및 제2 체결부 후면(3222)이 형성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단차 또한 단차 전면(3211a) 및 단차 후면(3212a)로 구분하며, 라운드부(323) 또한 라운드부 전면(3231) 및 라운드부 후면(3232)로 구분한다.
이때, 제1 체결부 후면(3212)은 제2 체결부 후면(3222)보다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체결부 후면(3212)과 단차 후면(3212a)의 경계 지점에는 수직 방향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 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체결부 전면(3211)과 제2 체결부 전면(3221)과와는 달리,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 후면(3212)은 제2 체결부 후면(3222)보다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마치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지니게 되고, 이는 수용부(220)에 수용되었을 때 지지 안정성이 향상되어 체결부(320) 전체가 수용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라운드 진 바 마모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반해, 제1 체결부 전면(3211)과 제2 체결부 전면(3221)은 길이 방향의 길이 차이가 거의 없다. 이는, 제1 체결부 전면(3211)과 제2 체결부 전면(3221)은 수용부(220)에 수용되더라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길이 방향의 단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의 단차가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경우 단차 부분에 옷이 걸리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베일 수 있어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 후면(3222)은 제2 체결부 전면(3221)과는 달리 수직 방향을 따라서 라운드지게 된다. 체결부 전체(320)가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2 체결부 후면(3222)은 수용부(220)의 특정 지점(226)과 맞닿게 되는데(후술), 이때, 수직 방향을 따라 라운드지게 하여 마치 특정 지점(226)을 감싸는 것과 같은 형상이 구현된다. 따라서, 마모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원리로, 제1 체결부 후면(3212) 또한, 수직 방향을 따라서 라운드지게 되며, 전술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수용부(220)를 설명하도록 한다.
수용부(220)에는 체결부(32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치에 따라 제1 수용홈(226) 및 제2 수용홈(227)으로 구분하도록 한다.
제1 수용홈(226)에는 제1-1 수용부(222) 및 제1-2 수용부(223)를 포함한다. 제1-1 수용부(222)는 제1 체결부(321)를 수용하며, 제1-2 수용부(223)는 단차(3211a, 3212a)를 수용한다. 또한, 제2 수용홈(227)에는 제2-1 수용부(224) 및 제2-2 수용부(225)를 포함한다. 제2-1 수용부(224)는 제2 체결부(322)를 수용하며, 제2-2 수용부(225)는 라운드부(323)를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220)는 체결부(320)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수용홈(226)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제2 수용홈(227)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길이 방향의 단차로 인해, 전술한 제1 체결부(3212)의 갈고리 부분이 길이 방향의 단차에 지지되어 체결부(320)와 수용부(220)의 결합 시 체결 지지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체결부(320)가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체결부(320)가 수용홈에 수용될 때, 체결부(320)와 수용홈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수용홈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기준으로 도면부호 'a'로 표기된 간격을 기준으로, 도면부호 'b', 'c'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것이다.
체결부(320)가 틸팅하여 수용홈에 수용되는 동작은, 체결부(320)가 수용홈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동작이다. 따라서, 최초 체결부(320)가 수용홈에 삽입되기 시작되는 시점에서는 수용홈과 체결부(320)간 다소 이격된 간격을 확보하여 체결부(32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하고, 체결부(320)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에는 이격된 간격을 최소화하여 체결부(320)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용 편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고리부,
300 : 틸팅부,
400 : 토션스프링부.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는 고리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되, 일단이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고리부의 타단에 수용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틸팅부의 일단을 가압하면, 상기 틸팅부의 타단이 상기 본체부를 중심으로 틸팅하여 상기 고리부의 타단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되, 상기 본체부와 이격되는 브릿지부; 및
    상기 브릿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틸팅부의 타단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틸팅부의 타단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함몰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수직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부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의 후면은 상기 제2 체결부의 후면보다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되, 수직 방향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용홈은 제1 수용홈; 및
    수직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용홈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2 수용홈;을 포함하여,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 수용홈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 체결부가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것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브릿지부를 관통하되,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누름부;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체결부;를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는 토션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스프링부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체결부가 원복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라운드진 것인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KR1020230076013A 2023-06-14 2023-06-14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KR10260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013A KR102606793B1 (ko) 2023-06-14 2023-06-14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013A KR102606793B1 (ko) 2023-06-14 2023-06-14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93B1 true KR102606793B1 (ko) 2023-11-29

Family

ID=8896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013A KR102606793B1 (ko) 2023-06-14 2023-06-14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20Y1 (ko) 2003-03-19 2003-06-25 김원구 목걸이용 연결고리
JP3136049U (ja) * 2007-07-06 2007-10-11 株式会社ギリオン アクセサリー用連結具
KR20170011833A (ko) * 2015-07-24 2017-02-02 이지윤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
KR20190135593A (ko) * 2018-05-29 2019-12-09 이요한 악세사리용 고리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120Y1 (ko) 2003-03-19 2003-06-25 김원구 목걸이용 연결고리
JP3136049U (ja) * 2007-07-06 2007-10-11 株式会社ギリオン アクセサリー用連結具
KR20170011833A (ko) * 2015-07-24 2017-02-02 이지윤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에 사용되는 스프링
KR20190135593A (ko) * 2018-05-29 2019-12-09 이요한 악세사리용 고리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5621B (zh) 一种折叠机构及移动终端
CN101977528B (zh) 带扣
EP1972230B1 (en) Sliding track assembly
JP5713369B2 (ja) 装身具用連結構造
EP1161970B1 (en) Combination of strap and buckle for diving fins
US20190324288A1 (en) Articulated temple for eyewear
KR10260679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장신구용 연결구
JP2981744B1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CN111902766A (zh) 眼镜腿组件及眼镜
US3798712A (en) Eyeglass clip for headsets
US6757401B2 (en) Microphone holder
JP4134217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CN112313562B (zh) 用于眼镜的柔性镜腿
CN109709689B (zh) 用于眼镜框架的可拆卸弹性铰链
US6146164A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with foldable card release bar
CN108572464B (zh) 眼镜换片结构
US8098874B2 (en) Hanging type earphone with a hinge unit
CN107272219B (zh) 一种眼镜架
US20020085171A1 (en) Eyeglass frame with tilt-adjustable bows
JP4022564B1 (ja) 眼鏡
US3574248A (en) Clip for currency and other papers
KR102600249B1 (ko)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CN207037247U (zh) 一种眼镜架
CN221125004U (zh) 一种ar眼镜
CN212117324U (zh) 手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