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220B1 -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220B1
KR102606220B1 KR1020210077626A KR20210077626A KR102606220B1 KR 102606220 B1 KR102606220 B1 KR 102606220B1 KR 1020210077626 A KR1020210077626 A KR 1020210077626A KR 20210077626 A KR20210077626 A KR 20210077626A KR 102606220 B1 KR102606220 B1 KR 10260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handle
wire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067A (ko
Inventor
박술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길
Priority to KR102021007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2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빨래를 널어 건조하는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통해 빨래건조봉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롤러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빨래건조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축 결합되는 회전작동기어와, 상기 회전작동기어에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감김부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와 와이어감김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연결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회전연결축은 핸들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케이스 내측에는 회전연결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Handle type semi-automatic clothes dryer}
본 발명은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빨래건조봉과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절하고, 이와 같이 조절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정 부착식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대의 중간지점에 결착된 로프(rope)를 천정의 고정대에 형성한 롤러(roller)를 거치게 하여 로프를 당김 및 늦춤 동작으로 빨래건조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빨래건조대의 높, 낮이 조절시 멈춤장치가 기어형의 2개의 롤러 사이에 로프가 끼었다 풀렸다 하므로서 가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빨래건조대는 로프를 직접 잡아당겨 무거운 빨래를 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로우프가 기어형 롤러 사이에서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로프가 끊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모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감았다 풀었다 할 수 있으며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한 전동식 자동 빨래건조대가 개발되었으나 제조원가가 높아 일반적으로 사용되기가 어렵고 정전 시에 모터의 작동이 불가능하여 빨래건조대를 사용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물에 젖어있는 빨래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수동식 빨래건조대와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반자동 빨래건조대가 제안되었다.
즉, 기존 수동식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로프를 직접 잡아당겨야 하므로 무거운 빨래를 올리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로프가 기어형 롤러의 사이에서 작동됨에 따라서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로프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를 권취하여 자동으로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제조원가가 높아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정전시에는 모터가 구동되지 못하여 그 사용이 불가하며물에 젖은 빨래를 취급함에 따라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봉에 연결된 와이어를 천장 롤러 및 각도조절롤러를 경유하여 와이어드럼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드럼은 핸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작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서 기존의 수동식 또는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갖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16480호의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출원, 등록한 바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빨래건조봉과, 이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이동롤러와, 상기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권취되는 와이어드럼이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기술의 와이어권취장치는 스프링드럼과, 상기 스프링드럼에 내설되며 그 양끝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돌기가 구비된 멈춤조절스프링과, 상기 2개의 돌기를 수용하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일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며 상기 멈춤조절스프링의 2개 돌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가 구비된 와이어드럼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와이어권취장치는 회전드럼에 구비된 홀에 핸들의 축을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면, 회전드럼이 회전되면서 멈춤조절스프링을 밀게 되고 상기 멈춤조절스프링에 풀림현상이 발생하여 와이어드럼과 함께 회전하며, 빨래건조봉에 걸려진 빨래의 무게에 의해 상기 와이어드럼이 스스로 회전되려고 할 때 상기 와이어드럼의 돌기가 상기 멈춤조절스프링을 밀면서 잠김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이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해당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빨래건조봉의 높낮이가 반자동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각각의 빨래건조봉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한 와이어드럼에 축 결합된 핸들을 분리하여 다른 와이어드럼의 축에 다시 결합 사용해야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상기 핸들과 와이어드럼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에 의해 와이어권취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멈춤조절스프링은 건조봉에 널린 빨래의 무게 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어 와이어로프를 통한 건조봉의 높낮이 조절 시 주어진 높낮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고, 이는 곧 빨래와 건조봉의 추락 사고로 이어져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 빨래건조봉 선택 작동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개선하고, 빨래건조봉의 추락을 예방하여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6480호(2004. 02. 11. 공고) '반자동 빨래건조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핸들과 와이어감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연결축에 각각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감김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회전 작동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연결축에 의해 회전연결기어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연결기어가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연결축에 연결된 와이어감김부의 회전을 자동으로 방지함에 따라, 빨래건조봉의 조절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한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빨래를 널어 건조하는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통해 빨래건조봉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롤러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빨래건조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축 결합되는 회전작동기어와, 상기 회전작동기어에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감김부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와 와이어감김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연결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회전연결축은 핸들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케이스 내측에는 회전연결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와이어감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제어커버와, 상기 회전제어커버가 결합되는 회전제어받침 및 상기 회전제어커버와 회전제어받침의 내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감김부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회전제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받침에는 수평이동돌기가 형성되고, 케이스에는 수평이동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핸들축홀이 형성되어 핸들이 축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홀의 외측에는 회전연결축이동홀이 형성되어 회전연결축의 단부가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은 핸들축홀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의 내벽에는 회전연결축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과 가까워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과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는 케이스의 내측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연결기어의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에 대해 외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연결축에 연결된 회전연결기어가 회전작동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연결기어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자동으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핸들과 와이어감김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연결축에 각각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감김부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회전 작동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연결축에 의해 회전연결기어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연결기어가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연결축에 연결된 와이어감김부의 회전을 자동으로 방지함에 따라, 빨래건조봉의 조절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작동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1회전축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2회전축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함께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봉(10)과, 와이어(20)와, 지지롤러(30)와, 각도조절롤러(40) 및 높이조절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걸어 말리기 위한 골조 구조물로써, 와이어와 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를 직접 잡아당기거나 풀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빨래건조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조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빨래건조봉(10)은 빨래를 널기 위한 공간에 수평으로 설치된 다수의 봉으로써, 양측이 와이어(20)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0) 및 지지롤러(30)에 의해 수평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빨래건조봉(10)은 천장으로부터 내려온 와이어(20)에 매달려 위치하며, 사용자의 키나 빨래의 길이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는 빨래건조봉(10)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후술할 높이조절장치(50)와 고정되어 상기 높이조절장치(5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빨래건조봉(1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롤러(30)는 와이어(20)를 통해 빨래건조봉(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세탁을 마친 빨래를 건조하기 위한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어 와이어(2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30)는 빨래건조봉(10)을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각각 빨래건조봉(10)의 양측 단부와 와이어(20)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롤러(40)는 와이어(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세탁을 마친 빨래를 건조하기 위한 공간의 측벽에 설치되어 와이어(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롤러(40)는 지지롤러(3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와이어(20)의 방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높이조절장치(50)와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도면에서는 상기 빨래건조봉(10)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빨래건조봉(10)의 개수는 빨래건조대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크기나 건조하기 위한 빨래의 양 또는 빨래건조대의 설치 비용 및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맞게 와이어(20)와 지지롤러(30)와 각도조절롤러(40)의 개수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는 와이어(20)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0)를 감거나 풀면서 빨래건조봉(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와이어(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미 작동 시 와이어(20)가 빨래의 무게에 의해 임의대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높이조절장치(5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50)는 케이스(51)와, 핸들(52)과, 회전작동기어(53)와, 회전연결기어(54)와, 와이어감김부(55)와, 회전연결축(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케이스(51)는 다른 구성들이 결합 또는 안착되며, 케이스본체(51a)와 상기 케이스본체(51a)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케이스커버(51b)로 이루어져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51a)와 케이스커버(51b)는 서로 언더컷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용이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51a)의 내부 바닥면에는 수평이동홈(51a-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와이어(2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홀(51a-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관통홀(51a-2)은 회전연결축(56)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와이어(20) 역시 좌, 우로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직선으로 연장된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커버(51b)의 일면에는 핸들축홀(51b-1)이 형성되어 핸들(52)이 축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홀(51b-1)의 외측에는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이 형성되어 회전연결축(56)의 단부가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축홀(51b-1)은 케이스커버(51b)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은 핸들축홀(51b-1)을 중심으로 인접한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은 핸들축홀(51b-1)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의 내벽에는 회전연결축(56)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51b-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회전연결축이돌홀(51b-2) 내에서 어느 한 쪽으로 이동된 회전연결축(56)이 작동 중 반대편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연결축(56)이 안정적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핸들(5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으로, 케이스커버(51b)의 중앙을 관통하여 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52)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52a)와 상기 파지부(52a)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52b) 및 상기 연결부(52b)의 외주면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커버(51b)의 핸들축홀(51b-1)로 삽입되는 핸들축(5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축(52c)의 일부분은 외주연이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작동기어(53)에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은 외주연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케이스커버(51b)의 핸들축홀(51b-1)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핸들축(52c)이 회전작동기어(53)와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핸들축홀(51b-1) 내에서 별다른 제약없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52)의 파지부(52a)와 연결부(52b) 및 핸들축(52c)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약 90도정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 부분이 별도로 형성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회전작동기어(53)는 핸들(52)의 핸들축(52c)에 결합되어 케이스(51)의 내측에 위치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52)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회전연결기어(54)에 회전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작동기어(53)는 테두리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기어(gear,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 사이에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회전연결기어(54)는 회전작동기어(53)와 동일선 상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51)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 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리거나, 이격되어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기어(54)는 위 회전작동기어(53)와 마찬가지로 테두리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기어(gear,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 사이에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작동기어(53)와 회전연결기어(54)는 서로 크기(직경)을 다르게 하여 회전작동기어(53)의 회전에 따른 회전연결기어(54)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핸들(5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작동기어(53)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54)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하면 핸들(52)의 회전 속도 대비 회전연결기어(54)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반대로 상기 핸들(5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작동기어(53)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54)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하면 상기 핸들(52)의 회전 속도 대비 회전연결기어(54)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와이어감김부(55)는 와이어(20)의 일측 단부와 연결 고정되며, 제자리 회전되면서 와이어(20)를 감거나 풀어 해당하는 빨래건조봉(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감김부(55)는 양측 단부에 원판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써, 상기 원판 사이에 외주연을 따라 와이어(20)가 감기게 되고, 상기 원판에 의해 와이어(20)가 와이어감김부(5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감김부(55)는 중앙으로 회전연결축(56)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연결축(56)에 의해 회전연결기어(54)와 함께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와이어감김부(55) 중앙에 형성된 홀의 내벽은 회전연결축(56)의 외표면과 대응되는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장치(50)의 회전연결축(56)은 케이스(51)의 일면에서 핸들(52)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회전연결기어(54)와 와이어감김부(55)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축(56)은 케이스(51)의 회전연결축이동홀(51b-2) 내에서 좌, 우로 슬라이딩 되어 회전작동축(53)과 맞물림에 따라 핸들(52)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며, 그 단부는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연결축(56)은 회전연결축이동홀(51b-2)에 의해 이동 방향이 가이드 되는 동시에 왕복 이동 구간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52)의 핸들축(52c)과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연결축(56)의 일부분은 외주연이 각진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연결기어(54) 및 와이어감김부(55)와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은 외주연이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케이스커버(51b)의 회전연결축이동홀(51b-2)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결축(56)은 와이어감김부(55)와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회전연결축이동홀(51b-2) 내에서 별다른 제약없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높이조절장치(50)의 회전연결축(56)이 핸들(52)과 가까워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53)와 회전연결기어(54)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회전연결축(56)이 핸들(52)과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53)와 회전연결기어(54)가 서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감김부(55)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회전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51)의 내측에는 와이어감김부(55)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스토퍼부재(60)는 케이스(51)의 케이스커버(51b)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연결기어(54)의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며, 그 단부는 회전연결기어(54)의 톱니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도면에서는 상기 스토퍼부재(60)가 케이스(51)의 케이스커버(51b) 내측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커버(51b)의 측면 내벽 또는 케이스본체(51a)의 내측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토퍼부재(60)는 회전연결기어(54)와 동일선 상에 위치되도록 케이스커버(51b) 측면 내벽의 일정한 높이에 형성되거나, 케이스본체(51a)의 내측 일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스토퍼부재(60)는 회전연결기어(54)가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리게 되면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이격되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기어(54)가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작동기어(53)와 떨어지게 되면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맞물려 회전연결기어(54)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결합된 회전연결축(56),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감김부(55)로부터 와이어(20)가 임의대로 풀리는 것을 막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상기 회전연결축(56)이 핸들(52)에 대해 외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연결축(56)에 연결된 회전연결기어(54)가 회전작동기어(53)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연결기어(54)가 케이스(51)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60)와 자동으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연결축(56)에 축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가 빨래의 무게 변화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장치(50)는 와이어감김부(55)의 일측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제어커버(57)와, 상기 회전제어커버(57)가 결합되는 회전제어받침(58) 및 상기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의 내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감김부(55)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회전제어스프링(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 및 회전제어스프링(59)은 회전연결축(56)의 슬라이딩 조작 시 상기 회전연결축(56)과 함께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어스프링(59)은 비틀림을 받아서 탄성변형(彈性變形)하는 코일 스프링으로써,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회전제어커버(57)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절곡되어 회전제어받침(58)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전제어커버(57)가 와이어감김부(55)에 의해 어느 한 쪽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제어스프링(59)이 비틀리면서 상기 와이어감김부(55)에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받침(58)의 외측면에는 수평이동돌기(58a)가 형성되어 케이스(51)에 형성된 수평이동홈(51a-1)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51)의 수평이동홈(51a-1)과 회전제어받침(58)의 수평이동돌기(58a) 구성을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51a) 내에서 상기 회전제어받침(58)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회전제어받침(58)의 수평 이동 구간을 일정하게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본체(51a)의 수평이동홈(51a-1)은 케이스커버(51b)의 회전연결축이동홀(51b-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살펴본 높이조절장치(50)의 회전연결기어(54)와 와이어감김부(55)와 회전연결축(56)과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 및 회전제어스프링(59) 구성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이 연결된 구성들의 집합체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높이조절장치(50)의 구성들이 한 쌍으로 형성될 경우 핸들(52)을 중심으로 양쪽 외측에 설치되며, 셋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각 구성의 크기를 조절(축소)하여 핸들(52)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방사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1회전축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2회전축을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함께 이동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라 빨래건조봉이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사용자가 높이조절장치(50)의 핸들(52)을 어느 한 방향을 회전시켜 복수의 빨래건조봉(10)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승강시키면서 높이를 조절하게 되고, 높이조절장치(50)에 설치된 와이어감김부(55)의 작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52)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 회전연결축(56)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핸들(5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회전연결기어(54)가 핸들(52)에 결합된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리면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와 상기 와이어감김부(55)와 결합된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 및 회전제어스프링(59) 역시 함께 수평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회전연결축(56)은 케이스커버(51b)의 회전연결축이동홀(51b-2) 내에서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되고, 상기 회전제어받침(58)의 수평이동돌기(58a)는 케이스본체(51a)의 수평이동홈(51a-1) 내에서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된다.
이후, 도 7 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52)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52)과 함께 회전작동기어(53)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작동기어(53)와 맞물린 회전연결기어(54)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축 결합된 회전연결축(56),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감김부(55) 내측에 감긴 와이어(20)를 풀거나 감게 되어 상기 와이어(20)와 연결된 빨래건조봉(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감김부(55)에 결합된 회전제어커버(57)는 회전되는 반면, 상기 케이스본체(51)에 결합된 회전제어받침(58)은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에 각각 고정 결합된 회전제어스프링(59)이 비틀어지면서 상기 회전제어커버(57) 및 회전제어커버(57)와 연결된 와이어감김부(55)를 탄력적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52)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 회전연결축(56)을 모두 상기 핸들(52)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상기 복수의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회전연결기어(54)가 핸들(52)에 결합된 회전작동기어(53)의 양쪽으로 맞물리면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각각의 와이어감김부(55)와 상기 와이어감김부(55)와 결합된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 및 회전제어스프링(59) 역시 함께 수평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회전연결축(56)은 케이스커버(51b)의 회전연결축이동홀(51b-2) 내에서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되고, 상기 회전제어받침(58)의 수평이동돌기(58a)는 케이스본체(51a)의 수평이동홈(51a-1) 내에서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된다.
이후,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핸들(52)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52)과 함께 회전작동기어(53)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작동기어(53)의 양쪽으로 맞물린 회전연결기어(54) 및 상기 각각의 회전연결기어(54)와 축 결합된 회전연결축(56), 그리고 상기 각각의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가 회전되면서 상기 와이어감김부(55) 내측에 감긴 와이어(20)를 풀거나 감게 되어 상기 와이어(20)와 연결된 복수의 빨래건조봉(10)을 모두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감김부(55)에 결합된 회전제어커버(57)는 회전되는 반면, 상기 케이스본체(51)에 결합된 회전제어받침(58)은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제어커버(57)와 회전제어받침(58)에 각각 고정 결합된 회전제어스프링(59)이 비틀어지면서 상기 회전제어커버(57) 및 회전제어커버(57)와 연결된 와이어감김부(55)를 탄력적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빨래건조봉(10)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정한 다음, 상기 핸들(52)의 양쪽에 형성된 회전연결축(56)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핸들(5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회전연결기어(54)가 핸들(52)에 결합된 회전작동기어(53)와 이격되면서 연결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51)의 내측에 설치된 스토퍼부재(60)와 회전연결기어(54)가 맞물려 회전연결기어(54)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54)와 결합된 회전연결축(56),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축(56)에 결합된 와이어감김부(55)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감김부(55)로부터 와이어(20)가 임의대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빨래건조봉 20: 와이어
30: 지지롤러 40: 각도조절롤러
50: 높이조절장치 51: 케이스
52: 핸들 53: 회전작동기어
54: 회전연결기어 55: 와이어감김부
56: 회전연결축 57: 회전제어커버
58: 회전제어받침 59: 회전제어스프링
60: 스토퍼부재

Claims (8)

  1. 빨래를 널어 건조하는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통해 빨래건조봉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롤러 및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면서 빨래건조봉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축 결합되는 회전작동기어와, 상기 회전작동기어에 맞물리는 회전연결기어와,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고정 연결되는 와이어감김부 및 상기 회전연결기어와 와이어감김부에 축 결합되는 회전연결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회전연결축은 핸들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케이스 내측에는 회전연결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는 핸들축홀이 형성되어 핸들이 축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홀의 외측에는 회전연결축이동홀이 형성되어 회전연결축의 단부가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을 관통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은 핸들축홀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회전연결축이동홀의 내벽에는 회전연결축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와이어감김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제어커버와, 상기 회전제어커버가 결합되는 회전제어받침 및 상기 회전제어커버와 회전제어받침의 내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감김부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회전제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받침의 외측면에는 수평이동돌기가 형성되고, 케이스에는 수평이동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제어받침의 수평이동돌기는 케이스본체의 수평이동홈 내에서 일정 구간 슬라이딩 되며,
    상기 수평이동홈과 수평이동돌기는,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서 상기 회전제어받침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회전제어받침의 수평 이동 구간을 일정하게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과 가까워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과 멀어지게 슬라이딩 이동되면 회전작동기어와 회전연결기어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케이스의 내측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연결기어의 중심축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축이 핸들에 대해 외측으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연결축에 연결된 회전연결기어가 회전작동기어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연결기어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자동으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20210077626A 2021-06-15 2021-06-15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260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26A KR102606220B1 (ko) 2021-06-15 2021-06-15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26A KR102606220B1 (ko) 2021-06-15 2021-06-15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67A KR20220168067A (ko) 2022-12-22
KR102606220B1 true KR102606220B1 (ko) 2023-11-29

Family

ID=8457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626A KR102606220B1 (ko) 2021-06-15 2021-06-15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2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80B1 (ko) * 2003-10-24 2004-02-11 주식회사 참길 반자동 빨래건조대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47B1 (ko) * 2012-11-28 2014-11-10 (주)웰테크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80B1 (ko) * 2003-10-24 2004-02-11 주식회사 참길 반자동 빨래건조대
KR200444131Y1 (ko) * 2008-10-30 2009-04-10 남효식 반자동 핸들식 이중자바라 빨래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67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9052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EP1536096B1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blind
CN109906302B (zh) 用于卷帘的可调节的弹簧系统和方法
TW201712211A (zh) 用於窗戶遮蓋物之偏斜調整機構
JP3965151B2 (ja)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KR101492020B1 (ko) 롤 블라인드
KR102606220B1 (ko)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JP6045274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KR101440071B1 (ko) 세탁물 건조대 승/하강 장치
JP5162277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6745215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6473313B2 (ja) 遮蔽装置
KR101416983B1 (ko) 무대 커튼 승,하강용 와이어 안내장치
JP4400346B2 (ja) 減速装置付きローマンシェード
JP6704285B2 (ja) ブラインド
KR101415339B1 (ko)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1103887B1 (ko) 전동 브라인드
JP6727694B2 (ja) 遮蔽装置
JP7431668B2 (ja) ブラインド用巻取装置
KR970007702B1 (ko) 베니스식 블라인드의 승강코오드터미날장치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JP6345526B2 (ja) セーフティツール
JP2014034445A (ja) 線状体の巻取り装置
JP4744475B2 (ja)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6655262B2 (ja) 横型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