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339B1 -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339B1
KR101415339B1 KR1020130059616A KR20130059616A KR101415339B1 KR 101415339 B1 KR101415339 B1 KR 101415339B1 KR 1020130059616 A KR1020130059616 A KR 1020130059616A KR 20130059616 A KR20130059616 A KR 20130059616A KR 101415339 B1 KR101415339 B1 KR 10141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ying
laundry
winding device
dry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곤
Original Assignee
(주)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테크 filed Critical (주)웰테크
Priority to KR102013005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339B1/ko
Priority to CN201420265158.7U priority patent/CN203977174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이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과,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와, 상기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이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와이어에 전달하여 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 견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빨래걸이봉에 무거운 빨래가 널어져 있어도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빨래걸이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기능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설치시 빨래걸이봉의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LIFTING CLOTHES-HORSE}
본 발명은 빨래를 건조하기 위한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빨래건조봉의 상승 및 하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수동식 빨래건조대와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즉, 기존 수동식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로프를 직접 잡아당겨야 하므로 무거운 빨래를 올리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로프가 기어형 롤러의 사이에서 작동됨에 따라서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로프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를 권취하여 자동으로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제조원가가 높아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정전시에는 모터가 구동되지 못하여 그 사용이 불가하며 물에 젖은 빨래를 취급함에 따라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반자동 빨래건조대는 빨래건조봉에 연결된 와이어를 천장 롤러 및 각도조절롤러를 경유하여 와이어감김부에 연결하고, 이 와이어감김부은 핸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빨래건조봉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조작이 간편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서 기존의 수동식 또는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00)는 빨래건조봉(110)과, 이 빨래건조봉(110)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120)와, 상기 와이어(120)를 가이드하기 위한 건조봉 지지롤러(130)와, 상기 와이어(1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140) 및, 상기 와이어(120)의 타단이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이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반자동 빨래건조대(100)는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150)의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12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20)와 연결된 상기 빨래건조봉(11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반자동 빨래건조대(100)는 상기 빨래건조봉(110)에 무거운 빨래가 널어진 경우 그 무게 때문에 상기 와이어권취장치(150)의 핸들을 회전시키기 어렵고, 이에 따라 상기 빨래건조봉(110)의 상승 또는 하강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소비자에게 반자동 빨래건조대(100)의 작동시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00)의 설치시 2개의 와이어(120) 단부를 상기 빨래건조봉(110)에 각각 체결한 후, 상기 빨래건조봉(110)이 수평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20)를 상기 와이어권취장치(150)에 고정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상기 빨래건조봉(110)의 수평이 자꾸 틀어지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120)를 풀어서 다시 빨래건조봉(110)의 수평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따라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00)의 설치시 작업성이 저하되어 과다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반자동 빨래건조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 견인수단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와이어권취장치를 작동시켜 빨래건조봉을 승하강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설치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건조봉와이어; 상기 건조봉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 일측에는 상기 건조봉와이어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승하강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에 전달하여 건조봉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견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권취장치는 내부에 다수의 기어부품을 수용하면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커버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과 연결됨으로써 핸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회전체와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됨과 동시에 승하강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회전되어 승하강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된 와이어감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기어에는 돌출턱이 돌출 형성되고, 회전체의 외면에는 양측 끝단에 절곡대가 형성되는 가압스프링이 감기며, 상기 회전체에는 구동기어의 돌출턱과 접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감김부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견인수단은 승하강와이어가 권선되어, 상기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에 따라 건조봉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빨래건조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은, 상기 승하강와이어가 권선되는 도르레,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부재, 상기 도르레가 삽입되는 슬롯이 마련되고 격벽에 의해 고정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외측벽 및 격벽에는 와이어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고정부재의 끼움공은 상기 본체의 외측벽 및 격벽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봉 지지롤러의 하우징은 그 중앙부에 와이어 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출홀에서 인출된 와이어의 하부에 걸림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에 의하면, 빨래걸이봉에 무거운 빨래가 널어져 있어도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빨래걸이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기능이 향상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설치시 빨래걸이봉의 수평을 간편하게 맞출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와 와이어 견인수단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견인수단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견인수단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에서 건조봉 지지롤러의 하우징 및 걸림추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설치시 빨래걸이봉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구조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는 크게 빨래건조봉(10)과 건조봉와이어(20)와 건조봉지지롤러(30)와 각도조절롤러(40)와 와이어권취장치(50) 및 와이어 견인수단(60)으로 구성되어 와이어권취장치(50)의 작동을 통해 승하강와이어(20a)를 감아주거나 풀어줌으로써 건조봉와이어(20)와 연결된 빨래건조봉(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를 구성하는 상기 빨래건조봉(10)은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다수개가 수평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상기 건조봉와이어(20)는 빨래건조봉(10)에 그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건조봉 지지롤러(30)는 건조봉와이어(20)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다.
각도조절롤러(40)는 건조봉와이어(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는 승하강와이어(20a)가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핸들(51)에 의해 작동된다.
와이어 견인수단(60)은 상기 각도조절롤러(40)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 사이에 설치되어 건조봉와이어(20)와 승하강와이어(20a)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와이어권취장치(50)의 회전력에 의해 승하강와이어(20a)가 권선되면서 각도조절롤러(40)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20)가 견인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반자동 빨래건조대(1)는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승하강와이어(20a)를 감아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사용자가 와이어권취장치(50)의 핸들(51)을 회전시켜 승하강와이어(20a)를 감아주게 되면,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을 매개로 상기 건조봉와이어(20)가 당겨지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빨래건조봉(10)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은 그 내부에 도르레(61)가 설치되어 이 도르레(61)의 작동으로 적은 힘으로도 큰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빨래건조봉(10)에 무거운 빨래가 널려있어도 와이어권취장치(50)의 핸들(51)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의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와이어권취장치(50)는 내부에 다수의 기어부품을 수용하면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커버(52)가 설치된 케이스(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52)의 내측에는 핸들(5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54)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구동기어(54)의 외측면에는 와이어감김부(55)가 결합된다.
구동기어(54)에는 돌출턱(54a)이 돌출 형성되고, 구동기어(54)의 외면에는 가압스프링(56)이 감긴다. 또한, 가압스프링(56)의 양측 끝단에는 절곡대(56a)(56b)가 형성된다. 와이어감김부(55)에는 구동기어(54)의 돌출턱(54a)과 접하는 걸림턱(55a)이 돌출 형성된다. 와이어감김부(55)에는 승하강와이어(20a)가 감긴다.
즉,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의 케이스(53) 중앙에 핸들(51)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핸들(51)의 단부는 상기 커버(52)에 설치된 상기 구동기어(54)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54)에 상기 와이어감김부(55)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핸들(51)의 회전을 통해 구동기어(54)가 작동되어 와이어감김부(55)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감김부(55)에 감겨진 승하강와이어(20a)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를 구성하는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을 도 5와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와이어(20a)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건조봉와이어(20)를 당기거나 풀어주어 빨래건조봉(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권취장치(50)를 작동함으로써 도르레(61)의 작동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빨래건조봉(10)을 손쉽게 당겨 올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은 도르레(61)와 본체(62) 및 와이어 고정부재(63), 그리고, 커버(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르레(61)는 승하강와이어(20a)가 권선되어 와이어권취장치(5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체(62)의 일측에는 도르레(61)가 삽입되는 슬롯(62a)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와이어 고정부재(63)가 수용되기 위한 고정부재삽입홈(62b)이 격벽(62c)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체(62)의 외측에서 고정부재삽입홈(62b) 및 격벽(62c)에는 와이어삽입공(62d)(62e)이 형성된다.
와이어 고정부재(63)는 각도조절롤러(40)와 연결된 승하강와이어(2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공(63a)이 형성되고, 나사에 의해 본체(62)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나사결합구(63b)가 형성된다. 이때, 끼움공(63a)은 본체(62)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62d)(62e)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측면 또는 상하측으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64)는 본체(62)를 덮어주기 위하여 하방이 개방된 형태로 된 것으로서, 일측에는 본체(62)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62d)과 일치하도록 와이어삽입공(64a)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64)의 와이어삽입공(64a)을 통해 삽입된 승하강와이어(20)는 본체(62)의 와이어삽입공(62d)에 삽입된 후, 와이어 고정부재(63)의 끼움공(63a)에 끼워지고, 이는 다시 본체(62)의 격벽(62c)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62e)에 끼워진다.
본체(62)의 일측에 마련된 슬롯(62a)에는 승하강와이어(20a)가 권선된 도르레(61)가 삽입되어 나사에 의해 본체(62)에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본체(62)의 외측에서 와이어 고정부재(63)의 나사결합구(63b)에 나사를 결합하여 와이어 고정부재(63)를 본체(62)의 고정부재삽입홈(62b)에 견고히 고정한다. 이때, 본체(62)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62d)(62e)과 와이어 고정부재(63)의 끼움공(63a)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어긋나 있으므로, 와이어 고정부재(63)에 끼워진 건조봉와이어(20)가 압지되어 고정된다.
본체(62)의 외측에 커버(64)를 덮어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권취장치(50)의 핸들(51)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54)가 회전하면서 돌출턱(54a)이 가압스프링(56)의 일측 절곡대(56a)를 밀게 된다. 그리고, 가압스프링(56)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면서 와이어감김부(55)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승하강와이어(20a)가 와이어감김부(55)에 감기게 된다.
승하강와이어(20a)가 와이어감김부(55)에 감기면서 와이어 견인수단(60)을 하강시키게 되고, 와이어 견인수단(60)의 타단에 결합된 건조봉와이어(20)를 당기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견인수단(60)의 도르레(61)를 휘감아 도는 승하강와이어(20a)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무거운 빨래건조봉(10)을 쉽게 상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빨래의 무게가 대략 30kg 정도가 되어도 이를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60)을 통해 손쉽게 상기 빨래건조봉(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의 또 다른 특징을 도 7과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건조봉 지지롤러의 하우징(31)은 그 중앙부에 와이어 인출홀(31a)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출홀(31a)에서 인출된 건조봉와이어(20)의 하부에 걸림추(70)가 설치된 것으로, 상기 와이어 인출홀(31a)에 상기 걸림추(70)가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건조봉와이어(20)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기 빨래건조봉(10)의 수평을 맞추어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반자동 빨래건조대(1)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빨래건조봉(1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건조봉 지지롤러(30)의 하우징(31)에 각각 설치된 4개의 건조봉와이어(20)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걸림추(70)가 하우징(31)의 와이어 인출홀(31a)에 걸리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건조봉와이어(20)들을 와이어 견인수단(60)에 연결 고정시키게 되면, 빨래건조봉(10)의 수평이 자동으로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와이어 견인수단(60)을 통해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빨래건조봉(10)을 상승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의 설치시 빨래건조봉(10)의 수평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맞춰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반자동 빨래건조대(1)의 기능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구매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 반자동 빨래건조대 10 : 빨래건조봉
20 : 건조봉와이어 20a : 승하강와이어
30 : 건조봉 지지롤러 31 : 하우징
31a : 와이어 인출홀 40 : 각도조절롤러
50 : 와이어권취장치 51 : 핸들
52 : 커버 53 : 케이스
54 : 구동기어 55 : 와이어감김부
56 : 가압스프링 60 : 와이어 견인수단
61 : 도르레 62 : 본체
62a : 슬롯 63 : 와이어 고정부재
64 : 커버 70 : 걸림추

Claims (8)

  1.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건조봉와이어;
    상기 건조봉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
    일측에는 상기 건조봉와이어가 고정되며, 내부에 다수의 기어부품을 수용하면서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커버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내측 중앙부에 설치되어 핸들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 및 회전체와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됨과 동시에 승하강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회전되어 승하강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된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상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에 전달하여 건조봉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에는 돌출턱이 돌출 형성되고, 회전체의 외면에는 양측 끝단에 절곡대가 형성되는 가압스프링이 감기며,
    상기 회전체에는 구동기어의 돌출턱과 접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감김부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2.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건조봉와이어;
    상기 건조봉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
    일측에는 상기 건조봉와이어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에 전달하여 건조봉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견인수단은 승하강와이어가 권선되어, 상기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에 따라 건조봉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빨래건조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은,
    상기 승하강와이어가 권선되는 도르레,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부재,
    상기 도르레가 삽입되는 슬롯이 마련되고 격벽에 의해 고정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외측벽 및 격벽에는 와이어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4.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건조봉와이어;
    상기 건조봉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
    일측에는 상기 건조봉와이어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에 전달하여 건조봉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견인수단은,
    상기 승하강와이어가 권선되는 도르레,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단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와이어고정부재,
    상기 도르레가 삽입되는 슬롯이 마련되고 격벽에 의해 고정부재삽입홈이 형성되며 외측벽 및 격벽에는 와이어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정부재의 끼움공은 상기 본체의 외측벽 및 격벽에 형성된 와이어삽입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지 않고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6. 빨래를 널 수 있도록 된 다수의 빨래건조봉;
    상기 빨래건조봉에 그 일단이 고정된 건조봉와이어;
    상기 건조봉와이어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그 외측에 접시형의 하우징이 설치된 건조봉 지지롤러;
    상기 건조봉와이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롤러;
    일측에는 상기 건조봉와이어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승하강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감김부가 내장되며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와이어권취장치 및,
    상기 각도조절롤러와 상기 와이어권취장치 사이에 상기 승하강와이어를 매개로 연결설치되어 와이어권취장치의 회전력을 각도조절롤러에 연결된 건조봉와이어에 전달하여 건조봉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와이어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봉 지지롤러의 하우징은 그 중앙부에 와이어 인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출홀에서 인출된 와이어의 하부에 걸림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인출홀에 상기 걸림추가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와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기 빨래건조봉의 수평을 맞추어 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빨래건조대.
  8. 삭제
KR1020130059616A 2013-05-27 2013-05-27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141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6A KR101415339B1 (ko) 2013-05-27 2013-05-27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CN201420265158.7U CN203977174U (zh) 2013-05-27 2014-05-22 方便调节晾衣杆的升降的半自动晾衣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16A KR101415339B1 (ko) 2013-05-27 2013-05-27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339B1 true KR101415339B1 (ko) 2014-07-04

Family

ID=517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16A KR101415339B1 (ko) 2013-05-27 2013-05-27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5339B1 (ko)
CN (1) CN2039771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93Y1 (ko) 2015-12-09 2016-10-20 박장훈 빨래 건조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6982A (zh) * 2018-09-06 2018-11-23 九牧智能厨卫(安徽)有限公司 一种晾衣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80B1 (ko) * 2003-10-24 2004-02-11 주식회사 참길 반자동 빨래건조대
KR20060061775A (ko) * 2006-05-15 2006-06-08 남종희 빨래건조대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20011672A (ko) * 2010-07-29 2012-02-08 정해경 와이어 견인 윈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80B1 (ko) * 2003-10-24 2004-02-11 주식회사 참길 반자동 빨래건조대
KR20060061775A (ko) * 2006-05-15 2006-06-08 남종희 빨래건조대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20011672A (ko) * 2010-07-29 2012-02-08 정해경 와이어 견인 윈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93Y1 (ko) 2015-12-09 2016-10-20 박장훈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977174U (zh)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968B1 (ko) 자동승강식 건조장치
KR101415339B1 (ko) 빨래건조봉의 승하강 조절이 간편한 반자동 빨래건조대
JP5618992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太陽電池パネル取付装置
CN205775435U (zh) 一种新型晾衣设备
KR100416480B1 (ko)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1460047B1 (ko) 반자동 빨래건조대의 와이어권취장치
CN210262388U (zh) 一种手摇升降晾衣架
JP2009028273A (ja) 昇降物干し装置
KR100733819B1 (ko) 빨래 건조대
KR200445813Y1 (ko) 전선케이블 릴
KR200454176Y1 (ko) 반자동 승/하강 장치
CN209759835U (zh) 用于晾衣杆的安装装置及晾衣装置
CN110565342A (zh) 一种自动晾衣装置
JP6467210B2 (ja) 物干し装置
KR101192393B1 (ko) 빨래 건조대
KR102606220B1 (ko) 핸들식 반자동 빨래건조대
KR101672160B1 (ko) 핸들식 구동 장치
CN215405189U (zh) 便于拆卸的晾衣机
CN210783865U (zh) 一种珠线摇臂式衣架升降装置
KR101186565B1 (ko) 빨래 건조대
CN115029902B (zh) 一种晾衣架
KR200468161Y1 (ko)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와이어 안전장치
CN213866927U (zh) 一种智能晾衣架
CN211112791U (zh) 一种自动快捷收晾衣架
CN218521479U (zh) 一种晾衣机主机和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