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203B1 -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203B1
KR102606203B1 KR1020230085820A KR20230085820A KR102606203B1 KR 102606203 B1 KR102606203 B1 KR 102606203B1 KR 1020230085820 A KR1020230085820 A KR 1020230085820A KR 20230085820 A KR20230085820 A KR 20230085820A KR 102606203 B1 KR102606203 B1 KR 10260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eight
counterweight
fram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재식
이기정
Original Assignee
한국분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분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분동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형추 프레임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형태를 박스형태로 변경하고, 그 내부에 분상물을 충진하도록 하여 웨이트의 삽입 또는 취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해소하기 위한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는, 균형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는, 케이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완충기에 대면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스형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Box weights for elevators and counterweights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형추 프레임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형태를 박스형태로 변경하고, 그 내부에 분상물을 충진하도록 하여 웨이트의 삽입 또는 취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해소하기 위한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사람 또는 화물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지(cage)(10)와, 상기 케이지(10)를 승강 가능하도록 케이지에 권상로프를 감아 올리는 권상기(20)와, 상기 권상기(20)의 권상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권상기(20)를 중심으로 케이지(10) 반대측에서 승강되는 균형추(30)와, 케이지(10)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지(10)의 승강로 벽면에 설치되는 케이지 레일(rail)(40)과, 균형추(30)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도록 균형추(30)의 승강로 벽면에 설치되는 균형추 레일(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균형추는, 케이지의 자중에 적재용량의 약 40-50%를 더한 중량을 보상시키기 위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권상로프의 반대편에 연결된 중량물로서, 케이지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며 시소와 같은 원리를 가지고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균형추(30)는, 케이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31a)과, 완충기에 대면되는 하부 프레임(31b)과, 상기 상부 프레임(31a) 및 상기 하부 프레임(31b)과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31c)을 포함하는 균형추 프레임(31)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31)의 적재 공간에 매수 조절이 가능하게 적재되는 웨이트(32)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나태낸 바와 같이 균형추 프레임(31)에 웨이트(32)를 설치하기 위해서 삽입 또는 취출과정에서 약 40kg의 중량물인 웨이트(32)에 의해 산업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조원에 제조된 웨이트(32)를 승강기 설치현장에서 작업자가 균형추 프레임(31)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웨이트(32)는 철판 또는 주철 등으로 규격화를 위해 절단 또는 성형 공정이 필요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0985338호{등록일자 2010년09월28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균형추 프레임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형태를 박스형태로 변경하고, 그 내부에 분상물을 충진하도록 하여 웨이트의 삽입 또는 취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해소하기 위한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는, 균형추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으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분상물은, 쇼트볼, 산화철, 폐철슬러지, 피에스볼, 철광석, 석회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는, 케이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완충기에 대면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스형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형 웨이트가 둘이상 구성되며, 상하부가 관통되어 분상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충진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균형추 프레임 상에 로드셀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형 웨이트에 투입구에 분상물은 설치현장에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투입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플렉시블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져 분상물의 이송되는 통로가 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 이송되어진 분상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는, 균형추 프레임에 설치되는 웨이트의 형태를 박스형태로 변경하고, 그 내부에 분상물을 충진하도록 하여 웨이트의 삽입 또는 취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산업재해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에 웨이트를 제조하여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에 웨이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에 적용된 박스형 웨이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에 적용된 웨이트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의 웨이트를 제조하여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에 웨이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상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에 적용된 박스형 웨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에 적용된 웨이트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의 웨이트를 제조하여 운반 및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균형추에 웨이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상물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균형추(100)는, 균형추 프레임(110) 및 박스형 웨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균형추 프레임(110)은, 케이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111), 완충기에 대면되는 하부 프레임(112),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12)과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형 웨이트(120)는 균형추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121) 및 배출구(122)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분상물(130)은, 쇼트볼, 산화철, 폐철슬러지, 피에스볼, 철광석, 석회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분상물(130)의 비중은 2.0 ~ 3.0 사이가 바람직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21)는 상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2)는 전방 하부면에 형성되며, 덮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스형 웨이트(120)가 둘이상 구성되며, 상하부가 관통되어 분상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충진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균형추 프레임(110) 상에 로드셀(114)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114)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115)이 형성되도록 하여 필요한 중량에 맞게 박스형 웨이트(120)에 분상물(130)을 조절하여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형 웨이트(120)의 투입구(121)에 충진되어지는 분상물(130)은 설치현장에서 이송장치(140)를 이용하여 투입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이송장치(140)는, 구동모터(141)와, 상기 구동모터(141)에 플렉시블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코일스프링(142a)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져 분상물(130)의 이송되는 통로가 되는 튜브(142)와, 상기 튜브(142)의 상단부에 이송되어진 분상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튜브(14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분상물(130)이 채워진 운반대차(150)에 이송장치(140)의 튜브(142)를 연결한후 배출튜브(143)를 박스형 웨이트(120)의 투입구(121)에 연결하여 분상물(130)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강기용 균형추(100)는 균형추 프레임 상에 박스형 웨이트(120)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며, 두개 이상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호 연통되게 설치하여 분상물(130)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현장에 운반대차(150)를 이용하여 분상물(130)을 이동시키고, 운반대차(150)에 채워진 분상물(130)을 이송장치의 튜브(142)를 연결하게 되면, 튜브(142) 내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42a)이 구동모터(141)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튜브(143)로 배출시키고, 상기 배출튜브(143)를 통해 배출된 분상물(130)을 박스형 웨이트(120)의 투입구(121)를 통해 충진하게 된다.
또한, 승강기용 균형추(100)에 설치된 설치된 로드셀(114) 의해 원하는 중량이 채워질 때 까지 이송장치(140)를 이용하여 박스형 웨이트(120)에 분상물(130)을 채워 넣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종래의 중량물인 웨이트의 설치과정에서 발생되던 산업재해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승강기용 균형추
110: 균형추 프레임
111: 상부 프레임
112: 하부 프레임
113: 사이드 프레임
114: 로드셀
115: 표시창
120: 박스형 웨이트
121: 투입구
122: 배출구
130: 분상물
140: 이송장치
141: 구동모터
142: 튜브
142a: 코일스프링
143: 배출튜브
150: 이동대차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케이지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완충기에 대면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과 볼트 체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균형추 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에 분상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박스형 웨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상물은, 쇼트볼, 산화철, 폐철슬러지, 피에스볼, 철광석, 석회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박스형 웨이트가 둘이상 구성되며, 상하부가 관통되어 분상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충진가능하고,
    상기 박스형 웨이트의 투입구에 투입되는 분상물은 설치현장에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투입시키도록 하며,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플렉시블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져 분상물의 이송되는 통로가 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 이송되어진 분상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균형추.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 프레임 상에 로드셀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무게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창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균형추.
  6. 삭제
  7. 삭제
KR1020230085820A 2023-06-14 2023-07-03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 KR102606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76228 2023-06-14
KR1020230076228 2023-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203B1 true KR102606203B1 (ko) 2023-11-29

Family

ID=8896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820A KR102606203B1 (ko) 2023-06-14 2023-07-03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38B1 (ko) 2009-03-27 2010-10-04 민병익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JP2011157159A (ja) * 2010-01-29 2011-08-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338B1 (ko) 2009-03-27 2010-10-04 민병익 엘리베이터용 균형추
JP2011157159A (ja) * 2010-01-29 2011-08-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4843B (zh) 用于电梯部件的并行运送和安装的装置和方法
CA2811622C (en) Counterweight system for an industrial machine
US11524838B2 (en) Method for discharging granular powder brought into fixed state inside hollow structure
KR102606203B1 (ko) 승강기용 박스형 웨이트 및 승강기용 균형추
CN105129577B (zh) 自爬式物料垂直运输系统
JP5354898B2 (ja)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JPH061568A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の据付方法及び釣合重り
TWI649251B (zh) 電梯平衡重錘之搬出搬入方法
KR20010082667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JP41078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92514B1 (ja) かご吊り車組立体
CN112110317A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物料提升机
KR20090076025A (ko) 무인 주차관리용 공압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JP2007262688A (ja) 建物の解体工法
TW201636294A (zh) 電梯平衡重錘之搬出搬入裝置
KR200394650Y1 (ko)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JP6542309B2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
CN112203967B (zh) 电梯的对重框组装辅助装置和电梯的对重框组装方法
CN220845065U (zh) 一种用于刚性填埋场上料的安全吊装装置
CN219507555U (zh) 一种物料提升机用防坠装置
CN214114274U (zh) 一种移动式料斗
CN216974139U (zh) 一种爬架起升机构
CN217780461U (zh) 一种物料提升机用安全防护围栏
CN107381261A (zh) 一种防护式电梯操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