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650Y1 -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650Y1
KR200394650Y1 KR20-2005-0018206U KR20050018206U KR200394650Y1 KR 200394650 Y1 KR200394650 Y1 KR 200394650Y1 KR 20050018206 U KR20050018206 U KR 20050018206U KR 200394650 Y1 KR200394650 Y1 KR 200394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fixed
hoist
shea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래
Original Assignee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고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고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략 사각 틀형상으로 고정레일(112)을 상부에 형성하여 호이스트(1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11)을 형성하고, 호이스트(10)의 하부에 하중을 부가하는 검사중량체(113)를 후크(12)에 결합하도록 형성한 호이스트 고정부(11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검사중량체(113)에 하부 양측으로 상부에 힌지형태의 결합부(122)로 이퀄라이징(121)을 결합형성하고, 이퀄라이징(121)의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도록 상부에 연결핀(125)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축형태로 형성된 고정축(126)에 일측으로 부가쉬브(127)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하중부가하우징(124)을 형성하여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의 일측으로 고정된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하중을 배가시키는 하중부가부(120)와,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하부에 하부고정프레임(131)을 형성하고, 하부고정프레임(131)의 상부측으로 복수로 결합되도록 연결핀(133)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고정축(134)을 형성하여 하중부가하우징(124)의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에 연결하면서 중량물(20)과 결합하여 하중을 고정부가하도록 복수의 고정부가쉬브(135)를 삽입 고정시킨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하중부가하우징(124)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물(20)의 하중을 고정부가하는 고정하중부가부(13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20)의 상부를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을 형성하고,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의 각 모서리부분에 중량물(20)을 상하로 이송하도록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2)를 형성하며, 와이어고정부(142)의 상부를 가이드하도록 상부의 고정프레임(111)에 상부안내쉬브(143)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정하중부가부(130)의 고정부가쉬브(135)와 연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안내쉬브(144)를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142)에 고정된 와이어를 상부안내쉬브(143)와 하부안내쉬브(144)로 가이드하면서 호이스트(10)에 연결시킨 하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Load Testing Device for Hoist}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의 부하를 검사하기 위해서 고정프레임에 호이스트를 안착한 상태에서 복수의 쉬브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권상시키는 기중기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호이스트의 정격하중의 일정비율의 작은 중량의 중량물을 복수의 쉬브로 상하 연결시켜 쉬브를 통과하면서 중량이 배가되어 호이스트의 정격하중을 검사할 수 있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 조립 등에 사용된다.
이런,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감기통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捲上用) 로프 끝에 훅(hook)을 장치하여 화물을 들어올린다.
상기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의 전동기(電動機), 행성(行星)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捲胴),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 때의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荷重)브레이크 등을 좁은 용기 공간에 집중시킨 소형권상기(捲上機)이다. 지브(jib) 끝에 붙이거나 또는 아이(I)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 데 쓰인다. 땅에서 로프를 조작하여 전동기를 움직이는 방식, 버튼을 움직이는 방식, 원격조작(遠隔操作)하는 방식 등이 있다. 호이스트는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천장이 낮은 곳에서 사용하는 로헤드형, 2개의 레일 위를 주행하는 더블레일형 등이 있으며, 탄광이나 화학공장에서는 가스폭발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공기 호이스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중량이 무거운 중량물을 상부로 권상하여 횡행이송하는 호이스트는 정격하중이 0.5톤에서 200여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중량을 이송하는 호이스트를 생산하는데 있어,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호이스트의 안전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정격하중을 미리 검사하여 중량물의 이송 시에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정격하중 검사방법은 단순히 정격하중의 중량물을 호이스트의 후크에 안치하여 권상시켜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비교적 저 하중의 호이스트는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으나, 200톤에 달하는 대형호이스트의 경우에는 200톤의 중량물을 검사용으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검사능률이 감소하고, 생산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이스트를 검사하기 위한 중량물을 단지 검사용으로 사용용도의 범용성이 감소되어 보관 면적을 차지하고 무거운 중량으로 배치와 이송에 큰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중량물을 거치한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던 중 호이스트의 이상으로 중량물이 낙하하면 대형의 경우 200톤이 넘는 중량물이 한번에 바닥으로 추락하여 지반이 약한 지형의 경우에는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특허출원번호 제 10-1995-6100호에서 개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의 전동호이스트의 부하시험장치는 유압유니트로 호이스트의 부하변동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험공간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하여 장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압유니트를 호이스트의 후크에 장착하여 유압의 힘으로 호이스트의 부하를 시험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전동호이스트 부하시험장치는 웨이트와 같은 중량물 대신에 유압실린더를 활용하는 것으로 대용량의 유압실린더가 웨이트와 비교하여 공간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켰지만, 높은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으로 비용의 감소는 이루지 못하고 대용량으로 갈수록 오히려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전동호이스트 부하시험장치는 호이스트의 하부에 유압유니트를 형성하여 유압의 작동으로 부하를 호이스트에 전달하여 시험하는 장치로써, 유압의 이상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압력이 감소하면서 호이스트에 가해지던 중량이 제거되어 호이스트가 상부로 상승되어 추락하거나 후크가 호이스트와 충돌하여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의 전동호이스트 부하시험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호이스트의 부하를 가하는 것으로 유압에 따른 부수적인 시설인 유압탱크 및 각종 밸브류와 유압의 작용을 올바로 조작할 수 있고 설치할 수 있는 고도의 숙련도를 가진 작업자를 요하고 운용에 있어서도 많은 시설 및 장비 그리고 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시험장비로써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호이스트를 고정하도록 고정레일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하부에 형성된 후크에 검사중량체를 후크고정링크로 결합하고, 검사중량체의 양측으로 형성된 이퀄라이징으로 균형을 맞추면서 와이어를 부가쉬브에서 권선되어 일측을 고정축에 고정시켜 작용점을 형성하는 하중부가하우징을 복수로 형성한 하중부가부와 중량물과 연결되어 복수의 하중부가하우징의 부가쉬브와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대응되는 수량의 고정부가쉬브를 형성한 고정하중부가하우징을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호이스트의 구동으로 하중부가부와 고정하중부가부의 부가쉬브와 고정부가쉬브를 통해 중량물을 상승시키면 복수로 권선되어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된 와이어가 상호작용에 의해 하중의 중량을 배가시키도록 결합시켜 작은 동력으로 큰 물체를 들 수 있는 도르래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복수의 쉬브의 결합으로 작은 중량물로 큰 하중인 정격하중에 도달함으로써, 중량물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설치비와 시설비 및 보관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프레임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연결하여 정격하중을 검사하는 하중부와 호이스트 사이에 횡형태의 이탈방지프레임을 형성하여 유동에 의한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호이스트와 결합되는 검사중량체의 하부에 양측으로 중앙에 결합부로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부의 하중을 배가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하중부가부의 수에 따라 중량의 균형이 맞도록 연결하는 균형연결구를 형성한 이퀄라이징을 형성하여 검사중량체에 중량을 양측으로 정확한 중량으로 균형있게 전달하여 검사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물을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에 각 모서리부분으로 와이어고정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상부안내쉬브를 거쳐 하부에 형성된 하부안내쉬브에 연결시키며, 하부안내쉬브에서 안내된 와이어를 고정하중부가부의 복수로 형성된 고정부가쉬브를 통하여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형성된 부가쉬브를 거쳐서 고정부가쉬브로 다시 권선한 상태로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시키고, 하중부가하우징은 균형을 유지하는 이퀄라이징으로 호이스트 결합된 검사중량체에 결합되어 호이스트를 작동시키면 와이어가 상부로 이송되면서 상하부 안내쉬브로 연결되어 와이어고정부로 고정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면서 부가쉬브와 고정부가쉬브가 복수로 권선되어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된 와이어를 작용점으로 권선된 쉬브의 갯수의 증가에 따라 하중을 증가시켜서 작은 중량으로 호이스트에 큰 하중을 작용시키도록 형성하여 하중의 증분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 검사장치는 대략 사각 틀형상으로 고정레일을 상부에 형성하여 호이스트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형성하고, 호이스트의 하부에 하중을 부가하는 검사중량체를 후크에 결합하도록 형성한 호이스트 고정부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의 검사중량체에 하부 양측으로 상부에 힌지형태의 결합부로 이퀄라이징을 결합형성하고, 이퀄라이징의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도록 상부에 연결핀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축형태로 형성된 고정축에 일측으로 부가쉬브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하중부가하우징을 형성하여 부가쉬브와 고정축의 일측으로 고정된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하중을 배가시키는 하중부가부와, 상기 하중부가부의 하부에 하부고정프레임을 형성하고, 하부고정프레임의 상부측으로 복수로 결합되도록 연결핀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고정축을 형성하여 하중부가하우징의 부가쉬브와 고정축에 연결하면서 중량물과 결합하여 하중을 고정부가하도록 복수의 고정부가쉬브를 삽입 고정시킨 고정하중부가하우징을 하중부가하우징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고정부가하는 고정하중부가부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의 상부를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을 형성하고, 중량물고정프레임의 각 모서리부분에 중량물을 상하로 이송하도록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를 형성하며, 와이어고정부의 상부를 가이드하도록 상부의 고정프레임에 상부안내쉬브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정하중부가부의 고정부가쉬브와 연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안내쉬브를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에 고정된 와이어를 상부안내쉬브와 하부안내쉬브로 가이드하면서 호이스트에 연결시킨 하중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고정부의 고정프레임에 고정된 호이스트와 중량물 사이에 복수로 횡방향의 이탈방지프레임을 형성하여 중량물의 상하강 시에 유동으로 인한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호이스트를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고정부의 검사중량체는 상부에 결합핀으로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양측으로 후크고정링크의 하부를 힌지결합시키고, 후크고정링크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으로 호이스트의 쉬브와 결합된 후크를 결합핀을 중심으로 후크고정링크를 회전시켜 고정핀으로 호이스트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부가부의 이퀄라이징은 상부를 힌지형태의 결합부로 검사중량체에 결합시키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의 균형이 맞는 간격으로 균형연결구를 복수로 형성하여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하중부가하우징에서 발생하는 중량물에서 배가되는 하중의 균형이 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중부가부의 부가쉬브와 중량물과 결합된 고정하중부가부의 고정부가쉬브에 와이어를 권선한 상태에서 부가쉬브가 고정된 고정축의 일측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결합하여 하중부가하우징과 고정하중부가하우징을 복수로 형성시켜 중량물에서 부가되는 하중을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배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평면을 나타내는 주요부분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호이스트 부하검사장치는 호이스트(10)를 고정하는 호이스트고정부(11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에 고정된 호이스트(10)와 연결되어 하중을 배가시키는 하중부가부(120)와, 상기 하중부가부(120)와 중량물(20)을 연결시켜 상호 작용으로 하중을 배가하도록 고정된 고정하중부가부(13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후측으로 중량물(20)에 고정되어 하중을 부가시키는 하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호이스트 고정부(110)는 대략 사각 틀형상으로 고정레일(112)을 상부에 형성하여 호이스트(1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11)을 형성하고, 호이스트(10)의 하부에 하중을 부가하는 검사중량체(113)를 후크(12)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고정프레임(111)에 고정된 호이스트(10)와 중량물(20) 사이에 복수로 횡방향의 이탈방지프레임(117)을 형성하여 중량물(20)의 상하강 시에 유동으로 인한 중량물(20)의 이탈을 방지하여 호이스트(10)를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검사중량체(113)는 상부에 결합핀(116)으로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양측으로 후크고정링크(114)의 하부를 힌지결합시키고, 후크고정링크(114)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115)으로 호이스트(10)의 쉬브(11)와 결합된 후크(12)를 결합핀(116)을 중심으로 후크고정링크(114)를 회전시켜 고정핀(115)으로 호이스트(1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부가부(120)는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검사중량체(113)에 하부 양측으로 상부에 힌지형태의 결합부(122)로 이퀄라이징(121)을 결합형성하고, 이퀄라이징(121)의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도록 상부에 연결핀(125)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축형태로 형성된 고정축(126)에 일측으로 부가쉬브(127)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하중부가하우징(124)을 형성하여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의 일측으로 고정된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하중을 배가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이퀄라이징(121)은 상부를 힌지형태의 결합부(122)로 검사중량체(113)에 결합시키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의 균형이 맞는 간격으로 균형연결구(123)를 복수로 형성하여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하중부가하우징(124)에서 발생하는 중량물(20)에서 배가되는 하중의 균형이 맞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하중부가부(130)는 하중부가부(120)의 하부에 하부고정프레임(131)을 형성하고, 하부고정프레임(131)의 상부측으로 복수로 결합되도록 연결핀(133)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고정축(134)을 형성하여 하중부가하우징(124)의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에 연결하면서 중량물(20)과 결합하여 하중을 고정부가하도록 복수의 고정부가쉬브(135)를 삽입 고정시킨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하중부가하우징(124)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물(20)의 하중을 고정부가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부가쉬브(127)와 중량물(20)과 결합된 고정하중부가부(130)의 고정부가쉬브(135)에 와이어를 권선한 상태에서 부가쉬브(127)가 고정된 고정축(126)의 일측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결합하여 하중부가하우징(124)과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복수로 형성시켜 중량물(20)에서 부가되는 하중을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배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부(140)는 호이스트고정부(110)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20)의 상부를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을 형성하고,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의 각 모서리부분에 중량물(20)을 상하로 이송하도록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2)를 형성하며, 와이어고정부(142)의 상부를 가이드하도록 상부의 고정프레임(111)에 상부안내쉬브(143)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정하중부가부(130)의 고정부가쉬브(135)와 연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안내쉬브(144)를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142)에 고정된 와이어를 상부안내쉬브(143)와 하부안내쉬브(144)로 가이드하면서 호이스트(10)에 연결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프레임(111)의 고정레일(112)에 호이스트(10)를 고정시키고, 호이스트(10)의 후크(12)에 검사중량체(113)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고정링크(114)를 결합핀(116)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하여 후크고정링크(114)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115)이 후크(12)의 상부측에 삽입고정되면서 검사중량체(113)를 호이스트(10)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호이스트(10)에 검사중량체(11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검사중량체(113)의 하부 양측으로 하부에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중량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균형연결구(123)를 복수로 형성한 이퀄라이징(121)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122)로 힌지결합하고, 균형연결구(123)에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이 내부에 구비된 하중부가하우징(124)을 연결핀(125)으로 이퀄라이징(121)의 균형이 맞도록 복수로 결합시켜 하중부가부(120)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하중부가부(120)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하부고정프레임(131)을 형성하고, 하부고정프레임(131)의 상부측으로 내부에 복수의 고정부가쉬브(135)를 고정축(134)으로 고정형성한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하중부가하우징(124)에 대응하는 위치와 갯수로 설치하고, 고정프레임(111)의 후측으로 하중부가부(120)와 고정하중부가부(130)의 쉬브 갯수에 따른 중량의 증감을 고려한 중량물(20)을 안치한 상태에서 상부를 고정하도록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을 설치하며,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의 상부의 각 모서리측으로 와이어고정부(142)를 형성하고, 중량물(20)의 상부에 고정프레임(111) 측으로 와이어를 상부로 가이드하는 상부안내쉬브(143)와 중량물(20)의 하측으로 상부로 가이드된 와이어를 고정하중부가부(130) 측으로 결합시키도록 하부로 가이드하는 하부안내쉬브(144)를 설치한다.
이렇게, 중량물(20)과 호이스트(10)에 검사장치(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중량물(20)의 상부에 형성된 와이어고정부(142)로 고정시킨 와이어를 상부안내쉬브(143)와 하부안내쉬브(144)를 거쳐서 고정하중부가부(13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부가쉬브(135)와 상부에 형성된 하중부가부(120)의 부가쉬브(127)에서 수회 권선한다.
상기와 같이, 부가쉬브(127)와 고정부가쉬브(135)에 수회 권선한 후에 부가쉬브(127)가 고정된 고정축(134)에 일측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킨 상태로 연결시키고, 연결된 부가쉬브(127)가 구비된 하중부가하우징(120)을 복수로 이퀄라이징(1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퀄라이징(121)은 균형을 조정하면서 호이스트(10)와 연결된 검사중량체(113)에 하중을 부가시키도록 형성하여 작은 힘으로 큰 동력을 발생하는 기중기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작은 중량으로 큰 하중을 발생시키도록 하중을 배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량물(20)을 결합한 상태에서 호이스트(10)를 작동하면 하중부가부(120)와 고정하중부(130)의 와이어의 상호작용에 의한 하중증가분과 중량물(20)의 하중이 합쳐진 하중의 총량으로 호이스트(10)의 전격하중에 도달하도록 형성하여 중량물(20)의 무게를 감소시켜 생산비와 보관유지비를 대폭감소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는 호이스트를 고정하도록 고정레일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에 호이스트를 설치하여 하부에 형성된 후크에 검사중량체를 후크고정링크로 결합하고, 검사중량체의 양측으로 형성된 이퀄라이징으로 균형을 맞추면서 와이어를 부가쉬브에서 권선되어 일측을 고정축에 고정시켜 작용점을 형성하는 하중부가하우징을 복수로 형성한 하중부가부와 중량물과 연결되어 복수의 하중부가하우징의 부가쉬브와 와이어가 권선되도록 대응되는 수량의 고정부가쉬브를 형성한 고정하중부가하우징을 연동되도록 형성하여 호이스트의 구동으로 하중부가부와 고정하중부가부의 부가쉬브와 고정부가쉬브를 통해 중량물을 상승시키면 복수로 권선되어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된 와이어가 상호작용에 의해 하중의 중량을 배가시키도록 결합시켜 작은 동력으로 큰 물체를 들 수 있는 도르래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복수의 쉬브의 결합으로 작은 중량물로 큰 하중인 정격하중에 도달함으로써, 중량물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설치비와 시설비 및 보관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는 고정프레임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을 호이스트에 연결하여 정격하중을 검사하는 하중부와 호이스트 사이에 횡형태의 이탈방지프레임을 형성하여 유동에 의한 중량물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는 호이스트와 결합되는 검사중량체의 하부에 양측으로 결합부로 결합하도록 형성하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부의 하중을 배가하도록 복수로 형성된 하중부가부의 수에 따라 중량의 균형이 맞도록 연결하는 균형연결구를 형성한 이퀄라이징을 형성하여 검사중량체에 중량을 양측으로 정확한 중량으로 균형있게 전달하여 검사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는 중량물을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에 각 모서리부분으로 와이어고정부를 형성하고, 상부에 상부안내쉬브를 거쳐 하부로 형성된 하부안내쉬브에 연결시키며, 하부안내쉬브에서 안내된 와이어를 고정하중부가부의 복수로 형성된 고정부가쉬브를 통하여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형성된 부가쉬브를 거쳐서 고정부가쉬브로 다시 권선한 상태로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시키고, 하중부가하우징은 균형을 유지하는 이퀄라이징으로 호이스트 결합된 검사중량체에 결합되어 호이스트를 작동시키면 와이어가 상부로 이송되면서 상하부 안내쉬브로 연결되어 와이어고정부로 고정된 중량물을 상승시키면서 부가쉬브와 고정부가쉬브가 복수로 권선되어 하중부가하우징의 고정축에 고정된 와이어를 작용점으로 권선된 쉬브의 갯수의 증가에 따라 하중을 증가시켜서 작은 중량으로 호이스트에 큰 하중을 작용시키도록 형성하여 하중의 증분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의 평면을 나타내는 주요부분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이스트 11 : 쉬브
12 : 후크 20 : 중량물
100 : 검사장치 110 : 호이스트고정부
111 : 고정프레임 112 : 고정레일
113 : 검사중량체 114 : 후크고정링크
115 : 고정핀 116 : 결합핀
117 : 이탈방지프레임 120 : 하중부가부
121 : 이퀄라이징 122 : 결합부
123 : 균형연결구 124 : 하중부가하우징
125 : 연결핀 126 : 고정축
127 : 부가쉬브 130 : 고정하중부가부
131 : 하부고정프레임 132 : 고정하중부가하우징
133 : 연결핀 134 : 고정축
135 : 고정부가쉬브 140 : 하중부
141 : 중량물고정프레임 142 : 와이어고정부
143 : 상부안내쉬브 144 : 하부안내쉬브

Claims (5)

  1. 대략 사각 틀형상으로 고정레일(112)을 상부에 형성하여 호이스트(1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11)을 형성하고, 호이스트(10)의 하부에 하중을 부가하는 검사중량체(113)를 후크(12)에 결합하도록 형성한 호이스트고정부(11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검사중량체(113)에 하부 양측으로 상부에 힌지형태의 결합부(122)로 이퀄라이징(121)을 결합형성하고, 이퀄라이징(121)의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도록 상부에 연결핀(125)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축형태로 형성된 고정축(126)에 일측으로 부가쉬브(127)를 형성하고 타측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키도록 하중부가하우징(124)을 형성하여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의 일측으로 고정된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하중을 배가시키는 하중부가부(120)와,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하부에 하부고정프레임(131)을 형성하고, 하부고정프레임(131)의 상부측으로 복수로 결합되도록 연결핀(133)을 형성하되, 내부에 중앙으로 고정축(134)을 형성하여 하중부가하우징(124)의 부가쉬브(127)와 고정축(126)에 연결하면서 중량물(20)과 결합하여 하중을 고정부가하도록 복수의 고정부가쉬브(135)를 삽입 고정시킨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하중부가하우징(124)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하여 중량물(20)의 하중을 고정부가하는 고정하중부가부(130)와,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후부 측으로 중량물(20)의 상부를 고정하는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을 형성하고, 중량물고정프레임(141)의 각 모서리부분에 중량물(20)을 상하로 이송하도록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부(142)를 형성하며, 와이어고정부(142)의 상부를 가이드하도록 상부의 고정프레임(111)에 상부안내쉬브(143)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정하중부가부(130)의 고정부가쉬브(135)와 연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하부안내쉬브(144)를 형성하여 와이어고정부(142)에 고정된 와이어를 상부안내쉬브(143)와 하부안내쉬브(144)로 가이드하면서 호이스트(10)에 연결시킨 하중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고정프레임(111)에 고정된 호이스트(10)와 중량물(20) 사이에 복수로 횡방향의 이탈방지프레임(117)을 형성하여 중량물(20)의 상하강 시에 유동으로 인한 중량물(20)의 이탈을 방지하여 호이스트(10)를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고정부(110)의 검사중량체(113)는 상부에 결합핀(116)으로 중앙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양측으로 후크고정링크(114)의 하부를 힌지결합시키고, 후크고정링크(114)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115)으로 호이스트(10)의 쉬브(11)와 결합된 후크(12)를 결합핀(116)을 중심으로 후크고정링크(114)를 회전시켜 고정핀(115)으로 호이스트(1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이퀄라이징(121)은 상부를 힌지형태의 결합부(122)로 검사중량체(113)에 결합시키고,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중량의 균형이 맞는 간격으로 균형연결구(123)를 복수로 형성하여 하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하중부가하우징(124)에서 발생하는 중량물(20)에서 배가되는 하중의 균형이 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가부(120)의 부가쉬브(127)와 중량물(20)과 결합된 고정하중부가부(130)의 고정부가쉬브(135)에 와이어를 권선한 상태에서 부가쉬브(127)가 고정된 고정축(126)의 일측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결합하여 하중부가하우징(124)과 고정하중부가하우징(132)을 복수로 형성시켜 중량물(20)에서 부가되는 하중을 와이어의 상호작용으로 배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KR20-2005-0018206U 2005-06-23 2005-06-23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KR200394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06U KR200394650Y1 (ko) 2005-06-23 2005-06-23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06U KR200394650Y1 (ko) 2005-06-23 2005-06-23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680A Division KR100668778B1 (ko) 2005-06-23 2005-06-23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650Y1 true KR200394650Y1 (ko) 2005-09-02

Family

ID=4369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06U KR200394650Y1 (ko) 2005-06-23 2005-06-23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6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9063A (zh) * 2013-02-05 2014-08-06 舟山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手拉葫芦负荷试验台
CN111595570A (zh) * 2020-05-29 2020-08-28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全自动手扳葫芦静负荷试验装置
KR102299636B1 (ko) * 2021-06-23 2021-09-07 최진한 호이스트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9063A (zh) * 2013-02-05 2014-08-06 舟山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手拉葫芦负荷试验台
CN111595570A (zh) * 2020-05-29 2020-08-28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全自动手扳葫芦静负荷试验装置
KR102299636B1 (ko) * 2021-06-23 2021-09-07 최진한 호이스트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7664C (en) Wind turbine blade removal and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CA2879012C (en) Cask transport assembly
US9587622B2 (en) Lifting tool for servicing of wind turbine gearbox components and method of servicing using such a tool
RU2622435C1 (ru) Крупнотоннажный погрузчик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строительстве большого корабля или мор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200394650Y1 (ko)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KR100668778B1 (ko) 호이스트의 부하검사장치
CN101100267A (zh) 一种吊机起升装置
CN107324210A (zh) 低净空起升装置及起升系统
CN102701086A (zh) 提高臂架侧向载荷能力的方法、装置和起重机
CN103574158A (zh) 超大直径压力钢管斜井三吊点安装方法
KR100846209B1 (ko)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US20180162702A1 (en) Variable speed single failure proof lifting device
CN101613057B (zh) 一种多吊点起重机起升机构
CN215974476U (zh) 上行超速保护装置
CN107389366A (zh) 大拉力试验台
CN205370860U (zh) 风力发电机组用塔筒
CN102887442B (zh) 一种岸边起重臂的俯仰传动系统
CN218371559U (zh) 一种调平装置
CN213265636U (zh) 一种便于维修的提升机收尘管道
CN100537404C (zh) 一种大吨位平台吊机
CN220520050U (zh) 一种三立柱升降设备
KR101573743B1 (ko) 도교 인양 장치
CN216190589U (zh) 一种自带储能模块的塔式起重机
CN113830641B (zh) 上行超速保护装置
CN219826351U (zh) 立体车库升降设备及立体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