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883B1 -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883B1
KR102605883B1 KR1020230090476A KR20230090476A KR102605883B1 KR 102605883 B1 KR102605883 B1 KR 102605883B1 KR 1020230090476 A KR1020230090476 A KR 1020230090476A KR 20230090476 A KR20230090476 A KR 20230090476A KR 102605883 B1 KR102605883 B1 KR 10260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unit
wireless
lower ca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서동준
안대령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AP부 및 미세먼지측정부가 하부케이싱에 배치되되, 무선AP부는 특수한 고정부재들에 의하여 끼워지고 미세먼지측정부는 복수의 모듈밀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무선AP와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사이즈가 감소하고 미세먼지센서의 정확도가 향상된,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Wireless AP Integrated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AP부 및 미세먼지측정부가 하부케이싱에 배치되되, 무선AP부는 특수한 고정부재들에 의하여 끼워지고 미세먼지측정부는 복수의 모듈밀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무선AP와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사이즈가 감소하고 미세먼지센서의 정확도가 향상된,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가정, 교실,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각각의 실내공간마다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하에서는, 미세먼지측정장치)를 보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직접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치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통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시스템을 개시하며 특허문헌 2는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등 시스템을 개시한다. 조명장치는 실내 공간에 대부분 설치되는 장치 중 하나이기 때문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하기에 적합할 수 있지만,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장치들은 모두 조명 장치와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즉 상기 장치들은 조명장치와 미세먼지측정장치를 단순히 결합한 구조에 해당하여 부피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미관을 헤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은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장치는 유선네트워크 신호를 무선네트워크 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장치로서, 현대에는 대부분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장치 중 하나이기 때문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하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장치 역시 미세먼지측정장치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결합하는 구조에 대해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AP장치와 같이 실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치와 결합되면서도 실내의 미관을 헤치지 않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유하고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4633호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47107호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IOT 기반 스마트 조명등 자동제어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6572호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본 발명은 무선AP부 및 미세먼지측정부가 하부케이싱에 배치되되, 무선AP부는 특수한 고정부재들에 의하여 끼워지고 미세먼지측정부는 복수의 모듈밀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무선AP와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사이즈가 감소하고 미세먼지센서의 정확도가 향상된,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로서, 중심부영역에 이더넷단자삽입홀이 형성되고 제1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1환기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에 미세먼지측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2환기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의 일부에 고정되는 센서고정부; 상기 센서고정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미세먼지센서부;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3색LED표시부를 포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측정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의 다른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더넷단자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이더넷단자와 연결되는 AP제어부; 및 상기 AP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무선AP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AP부에 의하여 이더넷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무선인터넷 신호로 전환하고 실내에 상기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미세먼지측정부에 의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농도를 PM-2.5 및 PM-10단위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3색LED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제어부는 모서리영역에 위치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에는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AP제어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AP제어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 각각은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본체, 상기 끼움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부날개부재, 및 상기 끼움부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단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본체, 및 상기 위치고정부본체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부는 상기 위치고정홀에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돌기가 관통되고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 각각에 포함된 끼움부단차부재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테나부는 막대형상의 복수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에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세부안테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은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는 RS-485통신을 통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VOC센서부 및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통신부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의 측정값, VOC센서부의 측정값, 및 온도센서부의 측정값 각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고정부는, 미세먼지센서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모듈고정부; 및 일면이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의 위에 위치하는 LED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 및 상기 LED투과부의 일면은 서로 연통되어 실내의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로 유입되고, 상기 모듈고정부는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복수의 모듈밀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밀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측으로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유출 없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는 무선AP장치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는 3색LED모듈의 빛이 미세먼지측정홀 및 LED투과돌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투과되는 구성에 의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싱은 복수의 제1환기홀이 형성되고 하부케이싱은 복수의 제2환기홀이 형성됨에 따라 방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AP제어위치고정부를 포함함에 따라 미세먼지측정부 및 무선AP부 각각의 일부가 Z축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사이즈가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안테나고정부를 포함함에 따라, AP제어부 및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하부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측정부는 VOC센서부 및 온도센서부를 포함함에 따라, 통합적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측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미세먼지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밀착부재가 미세먼지센서부를 미세먼지측정홀과 연통된 모듈고정부의 일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배치된 AP제어고정부 및 AP안테나고정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 및 무선AP부의 배치구성에 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 및 무선AP부의 저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제어에 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 및 하부케이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이 때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짐에 따라 실내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공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예를 들어 조명장치)에 미세먼지센서를 결합한 장치들이 개시되었다. 다만 상기 장치들은 두 가지 장치를 단순히 결합한 것으로서, 결합구조가 분명하지 않아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거나 실내공간의 미관을 헤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장치 중 하나인 무선AP장치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한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고정부재가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일부 구성요소들이 Z축상에서 겹쳐서 배치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들이 단순히 끼우는 공정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어, 사이즈가 감소하여 실내의 미관을 헤치지 않으며 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는, 중심부영역에 이더넷단자삽입홀(1100)이 형성되고 제1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1환기홀(1200)이 형성된 상부케이싱(1000); 상기 상부케이싱(10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에 미세먼지측정홀(2100)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2환기홀(2200)이 형성된 하부케이싱(2000);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의 일부에 고정되는 센서고정부(3100); 상기 센서고정부(3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미세먼지센서부(3200);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3색LED표시부(3310)를 포함하는 메인제어부(3300);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의 다른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더넷단자삽입홀(1100)을 통해 삽입된 이더넷단자와 연결되는 AP제어부(4100); 및 상기 AP제어부(4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4200);를 포함하는 무선AP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AP부(4000)에 의하여 이더넷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무선인터넷 신호로 전환하고 실내에 상기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미세먼지측정부(3000)에 의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농도를 PM-2.5 및 PM-10단위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3색LED표시부(331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케이싱(1000) 및 하부케이싱(2000)은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케이싱(1000)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의 중앙부영역, 및 상기 중앙부영역의 외주면에서부터 연장된 경사면 형태의 제1테두리영역으로 이루어진 접시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영역에는 이더넷단자(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이더넷단자삽입홀(110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케이싱(1000)은 실내 공간의 천장에 연결된 이더넷단자(미도시)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천장에 부착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싱(1000)의 외주면에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고정브라켓(50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싱(2000)은 전체적으로 포물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싱(1000)의 원주부와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원주부가 서로 맞닿아 고정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상기 무선AP부(4000)가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이룰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일부 영역에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로 유입되도록 하는 미세먼지측정홀(2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의 일부가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케이싱(20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미세먼지농도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싱(1000)의 제1테두리영역에는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복수의 제1환기홀(120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제2테두리영역에는 복수의 제2환기홀(2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자연대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환기홀(1200) 및 복수의 제2환기홀(2200)을 통해 공기가 환기되어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싱(1000)은 복수의 제1환기홀(1200)이 형성되고 하부케이싱(2000)은 복수의 제2환기홀(2200)이 형성됨에 따라 방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실내공간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기설정된 규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그 판단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에 의하여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유입된 실내 공간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2.5-PM단위 및 10-PM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PCB기판으로 구현되며,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하단면에 상기 3색LED표시부(3310)에 포함된 3색LED모듈(3311)이 실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ㄴ’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3색LED모듈(3311)이 실장된 영역이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값을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질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의 3가지 척도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상기 3색LED표시부(3310)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내공간의 미세먼지농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상기 메인제어부(3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신부(3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3400)에 의하여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실내 공간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실내 공간의 미세먼지농도에 대한 사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세먼지센서부(3200)에 의하여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미세먼지측정홀(2100) 및 3색LED표시부(3310) 및 통신부(3400)에 의하여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AP부(4000)는 상기 이더넷단자를 통해 연결된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하여 실내 공간에 상기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선AP부(4000)는 상기 상부케이싱(1000)의 이더넷단자삽입홀(1100)을 통해 삽입된 이더넷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AP제어부(4100), 및 상기 AP제어부(4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안테나부(4200)를 포함한다.
상기 AP제어부(4100)는 PBC기판으로 구현되며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안테나부(4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모듈로 구성되어,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무선AP부(4000)는 2.4GHz, 및 5.0GHz의 두 가지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무선AP부(4000)는 이더넷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무선인터넷 신호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전환된 신호를 실내 공간에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AP부(400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형성된 특수한 고정부재들에 의하여 나사고정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는 무선AP장치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배치된 AP제어고정부(2300) 및 AP안테나고정부(24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제어부(4100)는 모서리영역에 위치고정홀(4000-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싱(2000)에는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및 AP제어위치고정부(2320)를 포함하는 AP제어고정부(2300)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각각은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본체(2311), 상기 끼움부본체(2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부날개부재(2312), 및 상기 끼움부본체(2311)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단차부재(2313)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본체(2321), 및 상기 위치고정부본체(2321)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돌기(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AP제어부(4100)는 상기 위치고절홀에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돌기(2322)가 관통되고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각각에 포함된 끼움부단차부재(2313)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는 상기 AP제어부(4100)를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 중에서 제2테두리영역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는 AP제어부(4100)의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AP제어부(4100)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AP제어부(4100)의 길이와 같거나 조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중 어느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각각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면이 단면보다 넓은 형상을 가지는 끼움부본체(2311)에 끼움부날개부재(2312)가 상기 끼움부본체(2311)의 넓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끼움부본체(2311)를 상기 끼움부날개부재(2312)가 지지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각각은 그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각각은 상기 끼움부본체(2311)의 상부에 끼움부단차부재(2313)가 끼움부본체(2311)의 넓은면에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AP제어부(4100)가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의 사이에 끼워졌을 때 AP제어부(4100)가 상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제어위치고정부(232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 중에서 제2테투리영역보다 내측에 위치한 다른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면이 단면보다 넓은 형상을 가지는 위치고정부본체(2321)에 위치고정부날개부재(2323)가 상기 위치고정부본체(2321)의 넓은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위치고정부본체(2321)를 상기 위치고정부날개부재(2323)가 지지함에 따라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그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상기 위치고정부본체(2321)의 상단면에 위치고정부돌기(2322)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P제어부(4100)의 모서리영역에는 위치고정홀(4000-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위치고정홀(4000-1)에 상기 위치고정부돌기(2322)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AP제어부(4100)는 최적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는 메인제어부(33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2320)은 상기 메인제어부(3300) 및 AP제어부(4100)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메인제어부(3300) 및 AP제어부(4100)가 고정되는 최적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AP제어부(4100)가 끼워지는 최적의 위치가 지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AP제어부(4100)를 분해 및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부(4200)는 막대형상의 복수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2000)에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세부안테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은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AP부(4000)는 무선인터넷신호를 송출하고 막대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부(4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부(4200)는 제1저주파안테나모듈(4210), 제1고주파안테나모듈(4220), 제2저주파안테나모듈(4230), 및 제2고주파안테나모듈(4240)의 4개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모듈은 저주파 및 고주파에 해당하는 두 개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는 상기 안테나부(4200)를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 영역 중에서 제2테두리영역 혹은 제2테두리영역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을 고정할 수 있도록 4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2400) 각각은 7개의 세부안테나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2000)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및 안테나고정부를 포함함에 따라, AP제어부(4100) 및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하부케이싱(20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무선AP부(4000)의 구성에 대한 사항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싱(2000)에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무선AP부(4000)가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싱(2000)에 통신부(3400)를 제외한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무선AP부(4000)가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AP제어부(4100)는 PBC기판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양단부는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에 의하여 끼워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AP제어위치고정부(2320)에 포함된 위치고정부돌기(2322)에 상기 AP제어부(4100)의 모서리에 형성된 위치고정홀(4000-1)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AP제어부(4100)를 최적의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AP제어부(4100)가 AP제어끼움부(2310) 및 AP제어위치고정부(2320)에 의하여 하부케이싱(2000)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AP제어부(4100)는 하부케이싱(2000)에 나사결합을 하지 않고도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제어부(4100)는 하부케이싱(2000)으로부터 Z축상으로 띄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므로, 미세먼지측정부(3000)의 일부와 상기 AP제어부(4100)가 Z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천장 영역 중에 최소한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어 미관 상의 방해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2000)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2310) 및 AP제어위치고정부(2320)를 포함함에 따라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무선AP부(4000) 각각의 일부가 Z축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사이즈가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에 포함된 통신부(34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싱(10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3400)는 상부케이싱(1000)의 일부 영역에 나사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무선AP부(4000)의 저면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제어에 대한 사항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RS-485통신을 통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VOC센서부(3320) 및 온도센서부(3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 및 상기 통신부(34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통신부(3400)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값, VOC센서부(3320)의 측정값, 및 온도센서부(3330)의 측정값 각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에 포함된 메인제어부(3300)는 하부면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ppm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VOC센서모듈(3321) 및 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모듈(3331)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에는 통신부(3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3400)는 RS-485통신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값, VOC센서부(3320)의 측정값, 및 온도센서부(3330)의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월패드(wall pad)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값과 온도 측정값을 통해 종합적인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병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제어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미세먼지센서부(3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부(3000)에 의하여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3300)의 3색LED표시부(3310)는 상기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좋음, 보통, 나쁨의 3단계 척도로 분류하여 공기질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3색LED표시부(3310)에 포함된 3색LED모듈(3311)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류된 공기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이 좋음으로 분류될 경우, 상기 3색LED표시부(3310)에 포함된 3색LED모듈(3311) 중에서 초록색 모듈이 ON될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이 나쁨으로 분류될 경우, 상기 3색LED표시부(3310)에 포함된 3색LED모듈(3311) 중에서 빨간색 모듈이 ON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천장에 설치된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를 보는 것만으로도 실내 공간의 공기질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3300)는 통신부(3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통신부(3400)는 RS-485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에 의하여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인센서부에 실장된 VOC센서모듈(3321) 및 온도센서모듈(3331)에 의하여 측정된 이산화탄소농도 측정값, 및 온도 측정값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에 이산화탄소농도와 온도 측정값을 추가하여 종합적인 공기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AP제어부(4100)는 유선이더넷신호를 전달하는 이더넷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AP제어부(4100)는 입력된 유선이더넷신호를 수신받는 입력수신부(4110), 상기 수신된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하는 유무선전환부(4120), 및 상기 메인제어부(3300)의 전원 및 유무선환부의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는 상태표시부(4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표시부(4130)는 복수의 LED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부(4130)에 포함된 복수의 LED모듈이 위치하는 곳의 하측에 위치한 하부케이싱(2000)의 일부 영역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상태표시부(4130)에 포함된 복수의 LED모듈의 ON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AP제어부(4100)는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할 수 있고, 사용자는 AP제어부(41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P제어부(4100)는 무선인터넷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4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테나부(4200)는 서로 상이한 두 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무선인터넷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저주파안테나모듈(4210), 제1고주파안테나모듈(4220), 제2저주파안테나모듈(4230), 및 제2고주파안테나모듈(4240)의 4개의 안테나모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무선AP부(400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인터넷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VOC센서부(3320) 및 온도센서부(3330)를 포함함에 따라, 통합적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미세먼지측정부(30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미세먼지측정부(3000)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30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측정부(3000) 및 하부케이싱(20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고정부(3100)는, 미세먼지센서부(3200)를 내측에 수용하는 모듈고정부(3110); 및 일면이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의 위에 위치하는 LED투과부(3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 및 상기 LED투과부(3120)의 일면은 서로 연통되어 실내의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로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실내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특히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미세먼지측정홀(21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구(3210)가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타면에는 메인제어부(3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연결구(32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고정부(3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상자형태를 이루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를 상기 상자형태의 내측에 수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나사고정되지 않고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내측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모듈고정부(311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고정부(3110)는 바닥면의 일부가 사선으로 잘려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싱(2000)에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와 직접 맞닿는 내측면 영역에 모듈수용홈(2000-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수용홈(2000-1)으로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내측면이 포물면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하부면이 평면형상을 가지는 미세먼지센서부(32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상기 공기유입구(3210)가 형성된 일면이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에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공기유입구(3210)가 미세먼지측정홀(2100)과 연통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 내측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LED투과부(3120)는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의 일부가 연장된 형태이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LED투과부(31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상기 공기유입구(321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부(312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부(3121)의 바닥면에서부터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 측으로 돌출되어 일부가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LED투과돌출부재(3122)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메인제어부(3300)에 실장된 3색LED모듈(3311)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LED모듈수용홈부(31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투과부(3120)를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포물면형상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LED투과부(3120)는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포물면을 따라 형성된 LED투과부(3120)고정부재(3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내의 공기는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LED투과부(312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3121)를 통해 가이드되어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된 상기 공기유입구(32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투과돌출부재(3122)의 폭은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는 유출을 최소화하며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로 유입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투과돌출부재(3122) 및 상기 LED모듈수용홈부(3123)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LED모듈수용홈부(3123)의 내측으로 수용된 3색LED모듈(3311)이 ON 되었을 경우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외측으로 돌출된 LED투과돌출부재(3122)를 통해 상기 3색LED모듈(3311)의 빛이 상기 하부케이싱(2000)의 외측으로 투과되어 사용자가 실내의 미세먼지농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1)는 3색LED모듈(3311)의 빛이 미세먼지측정홀(2100) 및 LED투과돌출부재(3122)를 통해 사용자에게 투과되는 구성에 의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고정부(3110)는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복수의 모듈밀착부재(3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상기 복수의 모듈밀착부재(3111)에 의하여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측으로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측정홀(2100)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유출 없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상기 타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모듈밀착부재(3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밀착부재(3111)는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에 포함된 공기유입구(3210)는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일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32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밀착부재(3111)가 미세먼지센서부(3200)를 미세먼지측정홀(2100)과 연통된 모듈고정부(3100)의 일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고정부(311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모듈위치고정돌출부(31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싱(2000)에는 상기 모듈위치고정부재(3112)와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모듈위치고정홈부(2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미세먼지센서부(3200)는 상기 하부케이싱(20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는 무선AP장치에 미세먼지측정장치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선이더넷신호를 무선인터넷신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는 3색LED모듈의 빛이 미세먼지측정홀 및 LED투과돌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투과되는 구성에 의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질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싱은 복수의 제1환기홀이 형성되고 하부케이싱은 복수의 제2환기홀이 형성됨에 따라 방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AP제어위치고정부를 포함함에 따라 미세먼지측정부 및 무선AP부 각각의 일부가 Z축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의 사이즈가 감소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싱은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안테나고정부를 포함함에 따라, AP제어부 및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하부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며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측정부는 VOC센서부 및 온도센서부를 포함함에 따라, 통합적인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측정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미세먼지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밀착부재가 미세먼지센서부를 미세먼지측정홀과 연통된 모듈고정부의 일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1000: 상부케이싱 1100: 이더넷단자삽입홀
1200: 제1환기홀 2000: 하부케이싱
2000-1:모듈수용홈 2100: 미세먼지측정홀
2200: 제2환기홀 2300: AP제어고정부
2310: AP제어끼움부 2311: 끼움부본체
2312: 끼움부날개부재 2313: 끼움부단차부재
2320: AP제어위치고정부 2321: 위치고정부본체
2322: 위치고정부돌기 2323: 위치고정부날개부재
2400: AP안테나고정부 2410: 제1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20: 제2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30: 제3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40: 제4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50: 제5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60: 제6세부안테나고정부재 2470: 제7세부안테나고정부재
2500: 센서고정부고정부재 3000: 미세먼지측정부
3100: 센서고정부 3110: 모듈고정부
3111: 모듈밀착부재 3112: 모듈위치고정부재
3120: LED투과부 3121: 가이드홈부
3122: LED투과돌출부재 3123: LED모듈수용홈부
3124: LED투과부고정부재 3200: 미세먼지센서부
3210: 공기유입구 3220: 제어연결구
3300: 메인제어부 3310: 3색LED표시부
3311: 3색LED모듈 3320: VOC센서부
3321: VOC센서모듈 3330: 온도센서부
3331: 온도센서모듈 3400: 통신부
4000: 무선AP부 4100: AP제어부
4100-1: 위치고정홀 4110: 입력수신부
4120: 유무선전환부 4130: 상태표시부
4200: 안테나부 4210: 제1저주파안테나모듈
4220: 제1고주파안테나모듈 4230: 제2저주파안테나모듈
4240: 제2고주파안테나모듈 5000: 천장고정브라켓

Claims (5)

  1.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로서,
    중심부영역에 이더넷단자삽입홀이 형성되고 제1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1환기홀이 형성된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에 미세먼지측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테두리영역에 복수의 제2환기홀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복수의 AP제어끼움부 및 AP제어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AP제어고정부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의 일부에 고정되는 센서고정부; 상기 센서고정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미세먼지센서부; 및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의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3색LED표시부를 포함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측정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의 다른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더넷단자삽입홀을 통해 삽입된 이더넷단자와 연결되는 AP제어부; 및 상기 AP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무선AP부;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무선AP부는 하부케이싱으로부터 z축상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상기 미세먼지측정부의 일부와 상기 무선AP부의 일부는 z축상에서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무선AP부에 의하여 이더넷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무선인터넷 신호로 전환하고 실내에 상기 무선인터넷 신호를 송출하는 동시에, 미세먼지측정부에 의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농도를 PM-2.5 및 PM-10단위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3색LED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고,
    상기 센서고정부는,
    미세먼지센서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모듈고정부; 및
    일면이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의 위에 위치하는 LED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먼지측정홀,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 및 상기 LED투과부의 일면은 서로 연통되어 실내의 공기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로 유입되고,
    상기 모듈고정부는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복수의 모듈밀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는 상기 복수의 모듈밀착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듈고정부의 일면측으로 가압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미세먼지측정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의 공기가 유출 없이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로 유입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P제어부는 모서리영역에 위치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 각각은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끼움부본체, 상기 끼움부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끼움부날개부재, 및 상기 끼움부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끼움부단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위치고정부는 상기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본체, 및 상기 위치고정부본체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AP제어부는 상기 위치고정홀에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부돌기가 관통되고 양단부가 상기 복수의 AP제어끼움부 각각에 포함된 끼움부단차부재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막대형상의 복수의 안테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싱에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복수의 세부안테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모듈 각각은 상기 복수의 AP안테나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짐으로써,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도 하부케이싱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는 RS-485통신을 통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VOC센서부 및 온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센서부 및 상기 통신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통신부은 상기 미세먼지센서부의 측정값, VOC센서부의 측정값, 및 온도센서부의 측정값 각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전송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5. 삭제
KR1020230090476A 2023-07-12 2023-07-12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KR10260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476A KR102605883B1 (ko) 2023-07-12 2023-07-12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476A KR102605883B1 (ko) 2023-07-12 2023-07-12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883B1 true KR102605883B1 (ko) 2023-11-23

Family

ID=8897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476A KR102605883B1 (ko) 2023-07-12 2023-07-12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83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074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煙感知器
KR101647561B1 (ko) * 2014-11-25 2016-08-10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101785357B1 (ko) * 2016-06-13 2017-10-17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KR102140667B1 (ko) * 2019-08-08 2020-08-03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기 흡입영역과 배출영역의 분리구조를 가지는 실내환경 센서 설치장치
KR102174633B1 (ko) 2018-04-13 2020-11-05 주식회사 더밸류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102184545B1 (ko) * 2018-12-07 2020-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KR102296572B1 (ko) 2019-07-26 2021-08-31 김경구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342864B1 (ko) * 2019-11-28 2021-12-24 김동환 먼지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22098118A (ja) * 2020-12-21 2022-07-01 神栄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清浄度監視装置
KR102438304B1 (ko) * 2022-04-06 2022-09-01 주식회사 스마트라인 공기질 측정장치
KR102447107B1 (ko) 2020-07-27 2022-09-27 김상조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iot 기반 스마트 조명등 자동제어시스템
KR20230043768A (ko)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파이퀀트 공기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성분 분석 시스템
KR20230049253A (ko) * 2021-10-06 2023-04-13 (주)알엠테크 IoT 공기질 측정기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074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煙感知器
KR101647561B1 (ko) * 2014-11-25 2016-08-10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101785357B1 (ko) * 2016-06-13 2017-10-17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KR102174633B1 (ko) 2018-04-13 2020-11-05 주식회사 더밸류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102184545B1 (ko) * 2018-12-07 2020-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KR102296572B1 (ko) 2019-07-26 2021-08-31 김경구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가지는 공기질 측정 장치
KR102140667B1 (ko) * 2019-08-08 2020-08-03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기 흡입영역과 배출영역의 분리구조를 가지는 실내환경 센서 설치장치
KR102197138B1 (ko) * 2019-09-30 2020-12-30 이노디지털(주) 옥외용 미세먼지 수집 측정 장치
KR102342864B1 (ko) * 2019-11-28 2021-12-24 김동환 먼지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47107B1 (ko) 2020-07-27 2022-09-27 김상조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한 iot 기반 스마트 조명등 자동제어시스템
JP2022098118A (ja) * 2020-12-21 2022-07-01 神栄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清浄度監視装置
KR20230043768A (ko) * 2021-09-24 2023-03-31 주식회사 파이퀀트 공기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성분 분석 시스템
KR20230049253A (ko) * 2021-10-06 2023-04-13 (주)알엠테크 IoT 공기질 측정기
KR102438304B1 (ko) * 2022-04-06 2022-09-01 주식회사 스마트라인 공기질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551B2 (ja) 照明器具
US20130136454A1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KR102605883B1 (ko) 천장에 설치되는 무선ap일체형 미세먼지측정장치
US10274137B1 (en) Lamp assembly and lamp using the lamp assembly
CN206847679U (zh) 一种无线温湿度甲醛三合一传感器终端
CN210693934U (zh) 一种网络中继设备
JP5523203B2 (ja) 煙感知器
US2010023279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light guiding members used therein
CN109816924B (zh) 一种对射式烟雾传感器
CN210319584U (zh) 一种景观照明灯具
CN213398428U (zh) 一种多功能空气质量监测装置
CN219390963U (zh) 一种探头组件及空调器
CN219018980U (zh) 耳机充电盒
CN220210643U (zh) 一种人体感应装置及灯具
CN209992461U (zh) 空气质量检测仪
US10465897B2 (en) Lighting device with connector for add on electrical device
CN210041865U (zh) 一种低辐射无线路由设备
CN220104993U (zh) 一种气体流量传感器封装结构
CN220038391U (zh) 一种红外感应led灯
CN219082895U (zh) 一种方便装配且散热好的led车灯
CN217212877U (zh) 一种基于Zigbee内置天线电量表装置
CN211507984U (zh) 模拟传感器的信号传输结构
CN219104718U (zh) 一种基于ndir技术的二氧化碳传感器
CN220152799U (zh) 一种电磁炉
CN217004327U (zh) 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