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536B1 -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536B1
KR102605536B1 KR1020200187757A KR20200187757A KR102605536B1 KR 102605536 B1 KR102605536 B1 KR 102605536B1 KR 1020200187757 A KR1020200187757 A KR 1020200187757A KR 20200187757 A KR20200187757 A KR 20200187757A KR 102605536 B1 KR102605536 B1 KR 10260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protein
vector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548A (ko
Inventor
김정범
이현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슈파인세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슈파인세라퓨틱스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1008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2Glial cells, e.g. astrocyte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0Nerves; Brain; Eyes; Corneal cells; Cerebrospinal fluid; Neuronal stem cells; Neuronal precursor cells; Glial cell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Astroglia; Astrocytes; Choroid plexus; Spinal cor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6Viral v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58Neurologic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8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ells of the nervous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i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neuroglia)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직접 교차분화 유도 인자 발현을 통해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전분화능(Pluripotency) 단계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어, 면역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널리 활용될 것이다.

Description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Composition and method for inducing neuroglia and use thereof}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neuroglia)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아 줄기세포 및 유도 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를 이용한 신경교세포(neuroglia) 분화 방법은 배아를 파괴하여 배아 줄기세포를 확립하거나 체세포에서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한 후에 신경교세포로의 분화(Differentiation) 단계를 거쳐야 제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할 경우 분화를 수행하는 단계에 있어서 시간적, 금전적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고, 인위적인 분화능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수율이 낮아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험관(in vitro) 수준에서 약물 대사와 독성 검증에 요구되는 충분한 수의 세포를 확보하기 어렵고, 신경교세포 기능 재생을 위한 세포 치료를 적용 단계에서 미분화세포로부터 유래한 기형종(teratoma)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 안전성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형종 형성의 위험성을 없애기 위하여, 만능 줄기세포 상태를 통하지 않고 체세포를 다른 계통의 체세포로 또는 다분화능 줄기세포로 직접 교차분화(direct conversion)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직접 교차분화 과정의 유도를 위해 사용된 유전자의 수가 너무 많아 자세한 기작을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 밝혀진 수준이 미미한 상태이다. 또한, 체세포로부터 특정 유전자 조합을 발현시켜 신경교세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세포에서 신경교세포로의 직접 교차분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특정 유전자 조합을 체세포에 도입하여 이소성 발현을 유도하면 효과적으로 체세포를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세포에 특정 유전자 조합의 도입 또는 특정 단백질 조합의 발현을 통하여 신경교세포(neuroglia)로의 직접 교차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체세포를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경교세포를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신경교세포를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 스크리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양상은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neuroglia)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직접 교차분화(Direct Conversion)"는 고등생물에서 전혀 다른 세포 타입을 가지는 성숙한(분화가 끝난) 세포간의 전환을 유도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체세포를 유도 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로 리프로그래밍 하고 이를 재분화하여 목적하는 세포로 만들어야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배아 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 및 유도 만능 줄기세포와 같은 만능 줄기세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목적하는 세포로의 전환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지며, 현재 직접 교차분화는 질병 모델링과 신약 개발 등에 이용될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어 유전자 치료 및 재생 의학 등에도 응용될 수 있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일 양상에서 제공되는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은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PU.1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및 RUNX1 및 IRF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체세포에 도입하여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용어 "벡터"는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요소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신호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발현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DNA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바이러스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벡터,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벡터, MLV(Murineleukemia virus)벡터, ASLV(Avian sarcoma/leukosis) 벡터, SNV(Spleen necrosis virus)벡터, RSV(Rous sarcoma virus)벡터, MMTV(Mouse mammary tumor virus) 벡터,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벡터,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벡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벡터 및 에피조말(episomal) 벡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1종 이상의 벡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로,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및 IRF8 단백질은 인간,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포유 동물 유래의 모든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및 IRF8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또는 IRF8 단백질은 이들의 야생형(wild type)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및 IRF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의 변이체(예컨대, 각 단백질의 아형(subtype)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또는 IRF8 단백질의 변이체란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또는 IRF8 단백질의 천연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천연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서열을 가지면서 천연(wild-type) 단백질의 고유의 생물학적 기능을 유지하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변이체는 천연 단백질과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적 등가물이거나 필요에 의해서 단백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변형된 변이체일 수 있고, 물리, 화학적 환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거나 생리학적 활성이 증대된 변이체일 수 있다.
상기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IRF8 단백질 또는 이의 변이체는 천연에서 분리되거나, 재조합적 또는 합성적으로 제조된(non-naturally occurring)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또는 IRF8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은 야생형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변이체 형태의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또는 IRF8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로서, 하나 이상의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변이될 수 있으며, 천연에서 분리되거나 화학적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U.1 단백질, RUNX1 단백질 및 IRF8 단백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갖는 핵산은 단쇄 또는 이중쇄일 수 있으며, DNA 분자(게놈, cDNA) 또는 RNA(mRNA) 분자일 수 있다.
용어 "체세포"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모든 세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인간,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등의 포유 동물 유래의 것 또는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세포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상피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모발세포, 모근세포, 모낭세포, 구강상피세포, 소변에서 추출한 체세포, 위점막세포, 배상세포, G세포, B세포, 주피세포, 별아교세포(astrocyte), 혈액세포, 신경 줄기세포, 조혈모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로, 신경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용어 "신경교세포(neuroglia)"는 중추 신경계의 조직을 지지하는 세포로 뇌와 척수의 내부에서 신경세포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고 신경세포의 활동에 적합한 화학적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로서, 혈관과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하여 신경세포의 지지, 영양 공급, 노폐물 제거, 식세포 작용 등을 담당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신경교세포는 소교세포(microglias), 별아교세포(astrocytes),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및 상의세포(ependymal cell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로, 소교세포 일 수 있다.
용어 "소교세포(microglia)"는 중배엽에서 유래한 중추 신경 계통의 신경 아교 세포로서, 핵의 모양은 길쭉하고 돌기에 잔가지가 있는데 조직 안에서 물질의 운반, 파괴, 제거를 담당하고 아메바성으로 포식 작용을 하는 세포를 말한다. 외부 자극으로 활성화 되었을 때 M1 소교세포 또는 M2 소교세포로 면역 반응성을 띄는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다.
용어 "유도된 소교세포" 및 "iMG"은 예를 들어, 일 양상에 따른 직접 교차분화를 통하여 체세포로부터 유도된 소교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체세포에 접촉 또는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험관 내에서 체세포를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직접 교차분화 방법은 체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한 체세포에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삽입한 벡터를 형질전환(transformation)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염된 체세포를 직접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 배양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접 교차분화 방법에서는 핵산 분자는 다음과 같은 유전자의 조합일 수 있다: PU.1; PU.1 및 RUNX1; PU.1 및 IRF8; 또는 PU.1, RUNX1 및 IRF8.
상기 체세포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당해 분야에서 체세포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를 모두 포함한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세포를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 유도할 수 있는 배양조건은 당해 분야에서 체세포에 대하여 직접 교차분화를 유도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 및/또는 통상적인 배양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체세포에 도입하는 단계를 통하여, PU.1, RUNX1 및 IRF8의 직접 교차분화 인자들의 이소성 발현(Ectopic expression)을 유도할 수 있다. 이소성 발현이란, 어떤 유전자가 원래 발현하는 조직이나 세포 외에서 발현하는 것, 또는 원래 발현하는 시기와 다른 시기에 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양상의 방법에 따르면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가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체세포에 접촉 또는 삽입시켜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하여 유도된 신경교세포는 유래된 본래 체세포 특이적 마커를 발현하지 않으면서 신경교세포 특이적 마커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유도된 신경교세포가 신경교세포 특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된 신경교세포는 세포 증식능 및 포식작용 능력이 있으며, 대식세포 등의 면역 반응성 세포로의 분화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라 제조된 신경교세포는 면역계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면역 질환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용어 "예방"은 면역 질환의 병인을 제거하거나 조기 발견하여 해당 질환을 막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치료"는 면역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한 상기 면역 질환은 예컨대 자가 면역 질환, 이식 거부, 관절염, 이식 편대 숙주병, 세균 감염, 패혈증 및 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면역 질환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크론씨병, 홍반병,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악성빈혈, 에디슨씨 병, 제1형 당뇨, 루프스, 만성 피로 증후군, 섬유근육통, 갑상선 기능 저하증, 항진증, 경피증, 베체트병, 염증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중증 근무력증,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군(Guilian-Barre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백반증, 자궁내막증, 건선, 백반증, 전신성 경피증, 천식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면역계의 기능 저하, 소실, 및/또는 비정상적 기능에 의하여 야기되는 모든 질병 및/또는 병적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도된 신경교세포와 함께 면역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예컨대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예컨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하여 일 양상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는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예를 들어 약 1,000~10,000 세포/회, 1,000~100,000세포/회, 1,000~1000,000 세포/회, 1,000~10,000,000, 1,000~100,000,000 세포/회, 1,000~1,000,000,000세포/회, 1,000~10,000,000,000 세포/회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에 분할 투여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또는 피하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용어 "개체"란 면역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직접 교차분화 시켜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용어 "세포 치료제"는 조직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하여 자가(autologous), 동종(allogenic), 이종(xenogenic) 세포를 이용한 치료제로,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치료제를 의미한다. 상기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세포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세포 치료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예컨대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HSA(Human serum albumin) 및 이들 성분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세포 치료제는 예컨대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 스크리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약물 스크리닝용 조성물을 면역 질환의 치료 후보 물질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신경교세포의 반응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면역 질환의 치료제를 스크리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면역 질환의 회복 또는 치료에 중요한 세포로서 후보 물질에 대한 독성 또는 약효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독성의 평가는 치료 후보 물질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또는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신경교세포의 IC50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독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효의 평가는 치료 후보 물질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신경교세포가 손상된 면역 세포의 재생, 또는 대식세포(macrophage)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면역 세포로의 분화능을 촉진하는 등 당업계에서 면역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직접 교차분화 유도 인자 발현을 통해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전분화능(Pluripotency) 단계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으로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어, 면역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다른 양상에 따른 직접 교차분화 유도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도 신경교세포는 자가 재생능 및 대식세포(macrophage) 및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면역 세포로의 분화능이 있으므로, 환자 특이적인 면역세포의 제작이 가능하여 면역 거부 반응을 배제할 수 있어 면역 질환 치료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신경 줄기세포로부터 직접 교차분화하여 소교세포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교세포의 조직학적 형태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소교세포에 대하여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수행하여IBA-1, CD11b, CX3CR1, P2RY12, CD45, TMEM119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소교세포에 대하여 RT-PCR을 수행하여, 유전자 발현 패턴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소교세포의 포식작용 능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소교세포에 대하여 면역세포화학염색을 Ki-67 단백질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일 양상에 따른 유도된 소교세포를 활성화시킨 후, 세포 모양 변형과 면역 반응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클로닝 및 렌티바이러스 플라스미드의 패키징
전사 인자(PU.1, RUNX1 및 IRF8)를 HepG2의 cDNA를 이용하여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으로 증폭시켰다. 이후, 상기 증폭된 전사 인자를 렌티바이러스 벡터에 도입하고 염기 서열 분석으로 이를 확인하였다. 렌티바이러스의 패키징을 X-tremeGENE 9 DNA Transfection Reagent(Roche, 06365787001)를 사용하여 렌티바이러스 트랜스퍼 플라스미드(lentiviral transfer plasmid), 패키징 플라스미드(packaging plasmid, psPAX2) 및 엔벨로프 플라스미드(envelope plasmid, VSV-G)를 각각 3 대 2 대 1 비율로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DMEM(Gibco, 10313-021)을 첨가하여 총 부피를 200 ㎕로 한 혼합물을 50% 컨플루언시(confluency) 상태의 293T 세포(Thermo Fisher Scientific)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형질전환시켰다. 이후, 세포 배양 배지를 초원심분리기에서 1시간 30분 동안 80,000 g로 원심 분리하였으며, 이후 원심 분리된 상등액에서 수득한 렌티바이러스 펠렛을 1 ㎖의 DMEM에 희석하였다.
실시예 2. 면역세포화학염색
세포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4% 파라 포름 알데히드(Tech & Innovation, BPP-9004)로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DPBS, Corning, 21-031-CV)로 3번 세척하였다. 이후, 실온에서 10분 동안 0.1% Triton X-100(Sigma, T9284)을 포함한 DBPS를 처리하여 세포를 투과성으로 만들었다. DPBS로 3회 세척한 후, 4% FBS를 포함한 D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다. 세포를 실온에서 1차 항체와 함께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0.05% Tween-20(Sigma, P7949)을 포함하는 DPBS로 3회 세척하였다. 이후, 2차 형광 항체를 처리하고, 암소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중 염색이 필요하면 상기의 절차에 따른 1차 항체를 처리하기 전 30분 동안 추가적인 차단(blocking) 단계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3. RT-PCR
DNA가 없는 전체 RNA를 RNeasy mini kit(Qiagen)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반응 당 총 500 ng의 RNA를 이용하여 SuperScript®III 역전사효소(Invitrogen)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총 부피 20ul로 LightCycler 480 SYBR Green I Mastermix(Roche)을 이용하여 주형으로 사용하고, Taq DNA 중합효소 재조합체(Invitrogen)를 이용하여 35 사이클로 RT-PCR을 수행하였다. 면역 반응 관련 유전자에 대하여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고, 항존 유전자(housekeeping gene) GAPDH로 정상화하였다. 유전자 발현은 Ct값 계산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직접 교차분화 인자에 의한 유도 소교세포(induced microglia)의 제조
체세포로부터 소교세포를 직접 교차분화 하기 위하여, 신경 줄기세포를 6-웰 플레이트 위에 1 × 104 cells로 분주하고, 24시간 후에 6 ㎍/㎖의 프로타민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렌티바이러스 발현 시스템을 통하여 전사 인자인 PU.1; PU.1 및 RUNX1; PU.1 및 IRF8; PU.1, RUNX1 및 IRF8의 조합을 신경 줄기세포에 형질전환시켰다. 24시간 경과 후, 바이러스 상층액을 제거하고 배지를 소교세포 분화 교체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유도된 소교세포 군집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고 젤라틴 코팅된 플레이트에서 유도 소교세포를 선별(picking) 및 계대배양(subculture) 하였다. 상기 실험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교세포의 조직학적 형태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렌티바이러스로 형질전환 이후 7일 정도에 세포 집합체가 형성되며, 이를 3차원 배양 시킨 후 7일째가 되면 전형적인 소교세포의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유도된 소교세포는 실제 소교세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유도된 소교세포의 특징 확인
실험예 2.1. 면역세포화학염색
실험예 1에서 유도된 소교세포가 소교세포 특이적 마커인 IBA-1, CD11, CXCR3, CD45, P2RY12, TMEM119를 발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된 소교세포가 IBA-1, CD11, CXCR3, CD45, P2RY12, TMEM119를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경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소교세포는 소교세포의 특성을 가지는것을 확인하여,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을 통하면 효율적으로 소교세포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2. RT-PCR
실험예 1에서 유도된 소교세포의 유전자 발현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RT-PCR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된 소교세포가 Fcrls, P2ry13, Mac1, P2ry12, Entpd1, CQ1, Csfr1, Pros1, Tmem119, Mertk, Cx3cr1와 같은 소교세포 특이적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유도된 소교세포의 포식작용(phagocytosis) 능력 확인
실험예 1에서 유도된 소교세포가 면역 세포의 대표적인 특성인 포식작용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액에 녹색 형광 표지된 latex bead를 처리하고, 포식 작용을 통해 bead가 세포질에 유입되는지 여부를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된 소교세포의 세포질 내로 녹색의 bead가 유입된 것을 통하여 유도된 소교세포가 외부 물질을 포식하는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유도된 소교세포의 자가재생(self-renewal) 특성 확인
실험예 1에서 유도된 소교세포가 자가재생 및 자가증식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증식 마커인 Ki67 단백질에 대해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염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도된 소교세포는 세포 증식 마커인 Ki67를 발현하는 것을 통하여 유도된 소교세포가 세포 증식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유도된 소교세포의 면역 반응(immune response) 확인
소교세포는 면역 세포로서, 외부물질이나 병원균에 의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M1 소교세포 또는 항염증 작용을 하는 M2 소교세포로 활성화 된다. 실험예 1에서 유도된 소교세포의 배양액에 면역 반응 유발 물질 LPS, IL-4, TGFb1를 각각 또는 조합으로 처리하여 유도된 소교세포를 활성화시킨 후, 세포 형태를 관찰하고,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면역 반응 관련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실시간 RT-PCR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소교세포는 포식작용 세포의 특징인 납작한 아메바 모양 또는 막대기 모양의 세포 형태를 나타내고, 염증 작용 또는 항염증 작용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로서, PU.1 및 IRF8의 조합을 제외한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섬유아세포(fibroblast), 상피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모발세포, 모근세포, 모낭세포, 구강상피세포, 소변에서 추출한 체세포, 위점막세포, 배상세포, G세포, B세포, 주피세포, 별아교세포(astrocyte), 혈액세포, 신경 줄기세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조혈모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neuroglia)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경교세포는 소교세포(microglias), 별아교세포(astrocytes),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 및 상의세포(ependymal cell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U.1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및
    RUNX1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바이러스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벡터,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벡터, MLV(Murineleukemia virus)벡터, ASLV(Avian sarcoma/leukosis) 벡터, SNV(Spleen necrosis virus)벡터, RSV(Rous sarcoma virus)벡터, MMTV(Mouse mammary tumor virus) 벡터,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벡터,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벡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벡터 및 에피조말(episomal) 벡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세포로부터 신경교세포로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6.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로서, PU.1 및 IRF8의 조합을 제외한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체세포에 접촉 또는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세포는 섬유아세포(fibroblast), 상피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모발세포, 모근세포, 모낭세포, 구강상피세포, 소변에서 추출한 체세포, 위점막세포, 배상세포, G세포, B세포, 주피세포, 별아교세포(astrocyte), 혈액세포, 신경 줄기세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조혈모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시험관내에서 체세포를 신경교세포로 직접 교차분화하는 방법.
  7. (1) PU.1(Spleen focus forming virus proviral integration oncogene, SPI1; SFPI1) 단백질, RUNX1(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1) 단백질 및 IRF8(Interferon regulatory factor 8)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로서, PU.1 및 IRF8의 조합을 제외한 단백질;
    (2)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및
    (3) 상기 핵산 분자가 도입된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섬유아세포(fibroblast), 상피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모발세포, 모근세포, 모낭세포, 구강상피세포, 소변에서 추출한 체세포, 위점막세포, 배상세포, G세포, B세포, 주피세포, 별아교세포(astrocyte), 혈액세포, 신경 줄기세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조혈모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및 중간엽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체세포에 삽입시켜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
  8. 청구항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면역 질환은 크론씨병, 홍반병,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악성빈혈, 에디슨씨 병, 제1형 당뇨, 루프스,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갑상선기능저하증, 항진증, 경피증, 베체트병, 염증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중증 근무력증,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근(Guilian-Barre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백반증, 자궁내막증, 건선, 백반증, 전신성 경피증, 천식 및 궤양성 대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청구항 7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 치료제.
  11. 청구항 7의 직접 교차분화 유도된 신경교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 스크리닝용 조성물.
KR1020200187757A 2019-12-30 2020-12-30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605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17 2019-12-30
KR20190178517 201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48A KR20210086548A (ko) 2021-07-08
KR102605536B1 true KR102605536B1 (ko) 2023-11-24

Family

ID=7668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757A KR102605536B1 (ko) 2019-12-30 2020-12-30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5536B1 (ko)
WO (1) WO20211376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306A4 (en) * 2014-03-07 2018-02-14 UNIS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inducing direct transdifferentiation into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from somatic cells and use thereof
KR20160141223A (ko) * 2015-05-29 2016-12-0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비-바이러스성 벡터를 이용한 체세포 유래 유도신경줄기세포의 직접교차분화방법
KR102010840B1 (ko) * 2017-10-12 2019-08-14 대한민국 비-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체세포의 간세포로의 직접교차분화용 조성물 및 직접교차분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ell Rep. 2018 Jul 3;24(1):130-141
J Neuroinflammation. 2017 May 5;14(1):99.
Neurobiol Aging. 2015 Aug; 36(8): 2443.e9-2443.e20
Stem Cell Reports. 2017 Jun 6;8(6):1727-1742.
Stem Cell Res. 2020 Oct 14;49:10204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641A1 (ko) 2021-07-08
KR20210086548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i et al. Exosomes derived from hypoxia‐preconditioned mesenchymal stromal cells ameliorate cognitive decline by rescuing synaptic dysfunction and regulating inflammatory responses in APP/PS1 mice
KR101792757B1 (ko)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의 직접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Dey et al. Genetically engineered mesenchymal stem cells reduce behavioral deficits in the YAC 128 mouse model of Huntington's disease
Ford et al. Human pluripotent stem cells-based therapie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JP6474549B2 (ja) 幹細胞の培養産物の評価指標及びその利用
Duan et 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or ischemic stroke treatment
Han et al.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muscle‐derived stem cells via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spinal cord injury model
Ye et al. Transplantation of bone marrow stromal cells containing the neurturin gene in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JP7016556B2 (ja) 脳由来神経栄養因子を発現する間葉系幹細胞およびその用途
US20210246422A1 (en) Method to generate induced oligodendrocyte-lineage cells and treatment using such cells
JP2022514088A (ja) ハイブリッドプロモーターおよび療法における使用、特にii型コラーゲン異常症を治療するための使用
Huang et al. Neural stem cells transplantation combined with ethyl stearate improve PD rats motor behavior by promoting NSCs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KR102605536B1 (ko) 면역계 신경교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90128961A (ko) Sox2, c-Myc를 이용하여 비신경 세포로부터 직접 리프로그래밍된 유도신경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05530B1 (ko) 골수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위한 조성물과 방법 및 이의 용도
CN113439120A (zh) 用于将神经干细胞分化为星形胶质细胞的基于直接细胞转化的方法
KR102217496B1 (ko) 체세포로부터 운동뉴런으로의 직접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Wong et al. Therapeutic potentials of neural stem cells in Alzheimer's disease
US20230340405A1 (en) Composition for Inducing Direct Cross Differentiation of Somatic Cell into Motor Neuron,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2095483B1 (ko) 체세포로부터 간 비실질세포로의 직접교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방법
RU2762855C1 (ru) Генно-клеточный везикулярны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и способ терапии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посредством трансплантации генно-клеточного везикулярного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препарата
Huang et al. Overexpression of NT3P75-2 gene modified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supernatant promotes neurological function recovery in ICH rats
KR102184341B1 (ko) 역분화 만능 유도세포 유도용 조성물
RU2521225C2 (ru)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спинного мозга с помощью генетическ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клеток крови пуповины человека
Smith et al.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exogenous adult stem cells for the injured central nervou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