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71B1 -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71B1
KR102605371B1 KR1020220075294A KR20220075294A KR102605371B1 KR 102605371 B1 KR102605371 B1 KR 102605371B1 KR 1020220075294 A KR1020220075294 A KR 1020220075294A KR 20220075294 A KR20220075294 A KR 20220075294A KR 102605371 B1 KR102605371 B1 KR 10260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oil
hydraulic oil
transfer pipe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371B9 (ko
KR20230108686A (ko
Inventor
기형호
Original Assignee
삼영플랜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플랜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영플랜트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0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71B1/ko
Publication of KR1026053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7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2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 F15B21/0427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5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viscosity o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00/00Condition of lubricant
    • F16N220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70/00Controlling
    • F16N2270/50Condition
    • F16N2270/56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에 저장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와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에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오일 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오일펌프; 상기 제 1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히터부 또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키는 절환밸브; 및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를 연결시키는 제3 이송관;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Heating system for circulating}
본 출원은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크러싱 플랜트의 빠른 작동을 위한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 폐기물, 채석장이나 광산에서 채취된 골재 등은 파쇄기를 통해 일정 크기로 분쇄되는 분쇄 과정을 갖는다. 파쇄기는 비교적 큰 덩어리의 골재를 파쇄하는 죠 크러셔와, 죠 크러셔로부터 파쇄된 골재를 더 작은 크기로 파쇄시키는 콘 크러셔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크러싱 플랜트는 상기 콘 크러셔, 죠 크러셔 등을 포함하여, 폐기물 또는 골재 등을 파쇄하는 기계를 통칭한다. 이와 같이 골재를 파쇄하기 위해 파쇄부를 움직여 골재를 타격하거나 파쇄부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해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이처럼 크러싱 플랜트에 구비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동유가 순환되어야 하고, 작동유가 순환됨에 따라 작동유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므로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을 경우, 작동유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작동유의 성질을 잃게 되므로, 대부분의 크러싱 플랜트에는 작동유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Oil Cooler)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냉각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5-131519호에서는 쿨링부와 동력부 사이에 팬과 팬 구동용 유압 모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계용 냉각 장치 및 작업 기계용 냉각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절기 또는 혹한지역에서 크러싱 플랜트를 구동시키는 경우 작동유의 온도가 너무 낮아 유압동작이 느리거나 작동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5-131519호, KOMATSU LTD, 2005.05.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크러싱 플랜트의 빠른 작동을 위한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에 저장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와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에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오일 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오일펌프; 상기 제 1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히터부 또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키는 절환밸브; 및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를 연결시키는 제3 이송관;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제3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1히터; 및 일단이 상기 제1히터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2히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는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동안 제1 유량으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로 공급하며,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의 작동 RPM은 상기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에 정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환밸브는,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히터부에 연결시키고, 여름철 또는 상온 환경에서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따르면,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보다 높아진 경우, 히터부가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상온의 기설정된 점도로 또는 그 이하로 변화시킴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히터부(30)의 직렬 히팅코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펌프(50)의 유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100), 상기 오일 탱크(100)에서 나오는 작동유를 이송하는 제1 이송관(200), 상기 제1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된 작동유를 통과시켜 고점도의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히터부(300) 및 상기 히터부(300)를 거쳐 나온 작동유를 다시 상기 오일 탱크(100)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탱크(100)는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고점도의 작동유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관(200)은 상기 오일 탱크(100)의 출구에 연결되며, 고점도의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3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히터부의 직렬 히팅코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히터부(300)는 상기 제1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된 고점도의 작동유를 통과시켜 고점도의 작동유에 열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부(300)는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히팅코일(300-1, ?? , 300-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코일(300-n)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 형태의 금속관일 수 있으며, 재질이나 꼬임 횟수, 꼬임 방향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팅코일(300-n)은 복수 개 마련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1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코일(300-n)은 직렬로 복수 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2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코일(300-n)은 병렬로 연결된 히팅코일(300-n)들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히팅코일(300-n)은 병렬 및 직렬로 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이송관(200) 측에 연결된 상기 히팅코일(300-n)이 직렬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제2 이송관(400) 측에는 병렬로 연결된 상기 히팅코일들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이송관(200) 측에 연결된 상기 히팅코일(300-n)이 병렬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제2 이송관(400) 측에는 직렬로 연결된 상기 히팅코일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히터부(300)를 통과한 고점도의 작동유는 저점도의 작동유 혹은 일반적인 작동유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관(400)은 상기 오일 탱크(100)의 입구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부(300)를 거쳐 나온 저점도의 작동유를 다시 상기 오일 탱크(1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오일펌프의 유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상기 오일탱크(100)와 상기 제1 이송관(200) 사이에 작동유를 펌핑시키는 오일펌프(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펌프(500)는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 동안 제1 유량(P1)으로 고점도 오일을 상기 히터부로 공급하고,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유량(P1)보다 큰 제2 유량(P2)으로(P1<P2) 고점도 오일을 상기 히터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겨울철 또는 극저온 환경에 처했을때, 매우 높은 점도의 작동유가 저장된 경우라도, 초기 유량을 제1 유량(P1)으로 제어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초기 유량보다 큰 제2 유량(P2)으로 제어하여 효율성이 좋은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제어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저장탱크(100)에 저장된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준 온도 이하인 경우,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디젤 엔진 또는 외부수전 설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일정한 조건에 따라 파워 소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액추에이터의 빠른 작동을 위해 작동유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101), 상기 오일 탱크(101)에 저장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2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터부(30), 상기 히터부(30)와 상기 오일 탱크(10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30)에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오일 탱크(101)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40),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2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오일펌프(50), 상기 제 1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관(20)을 상기 히터부(30) 또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키는 절환밸브(60), 상기 절환밸브(60)와 상기 히터부(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환밸브(60)와 상기 히터부(30)를 연결시키는 제3 이송관(7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오일 탱크(101)가 구비된다. 오일 탱크(10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부로 실시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입구 온도센서(84)가 구비될 수 있다. 입구 온도센서(84)는 후술하는 히터부(30)에서 오일 탱크(101)로 이송된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한다. 입구 온도센서(84)는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타측에는 출구 온도센서(85)가 구비될 수 있다. 출구 온도센서(85)는 오일 탱크(101)에서 제1 이송관(20)으로 이송되는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한다. 출구 온도센서(85)는 측정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정측면에는 유면 게이지(86)가 구비될 수 있다. 유면 게이지(86)는 오일 탱크(101)에 저장된 고점도 작동유의 저장량이 수위(水位)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오일 탱크(101)가 구비되는 바디(102), 및 상기 바디(102)에 결합되어 상기 오일 탱크(101)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탱크(10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오일 탱크(101)에는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된다. 고점도 작동유는 상술한 크러싱 플랜트에 구비된 유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고점도 작동유는 상온에서 점도가 100VG 내지 150VG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고점도 작동유는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고점도 작동유가 바로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송될 경우, 유압동작 속도가 저하되거나 작동불량 등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이송관(20)은 케이스(10)에 구비된다. 제1 이송관(20)은 오일 탱크(101)에 저장된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킨다. 제1 이송관(20)은 고점도 작동유를 오일펌프(5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히터부(3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부(30)는 케이스(10)의 정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부(30)가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해질 수 있게 된다.
히터부(30)는 제1 이송관(20)에 연결된다. 히터부(30)는 후술하는 제3 이송관(70)을 통해 제1 이송관(20)에 연결될 수 있다.
히터부(30)는 제1 이송관(20)을 통해 이송된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 경우, 목표 온도는 10℃ ~ 15℃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히터부(30)는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상온의 기설정된 점도로 또는 그 이하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이송관(40)은 히터부(30)와 오일 탱크(101) 사이에 구비된다. 제2 이송관(40)은 히터부(30)와 오일 탱크(101)를 연결시킨다. 제2 이송관(40)은 히터부(30)에서 가열된 고점도 작동유를 오일 탱크(101)로 이송시킨다. 이에 따라, 오일 탱크(101)에는 히터부(30)에서 가열된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된다.
오일펌프(50)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오일펌프(50)는 케이스(10)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오일펌프(50)가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구조가 콤팩트해질 수 있게 된다.
오일펌프(50)는 제1 이송관(20)에 구비된다. 오일펌프(50)는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킬 수 있다. 오일펌프(50)는 제1 이송관(20)으로 유동되는 고점도 작동유를 히터부(30)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송시킨다.
오일펌프(50)의 작동 RPM은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에 정비례할 수 있다. 히터부(30)가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는 경우, 오일펌프(50)의 작동 RPM은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에 정비례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펌프(50)의 작동 RPM은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에 정비례하고, 바람직하게는 300RPM 내지 1200RPM으로 실시될 수 있다.
즉,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가 낮은 경우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오일펌프(50)에 저항이 증가되어, 오일펌프(50)의 작동 RPM이 낮게 실시된다.
또한,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가 높은 경우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오일펌프(50)에 저항이 감소되어, 오일펌프(50)의 작동 RPM이 높게 실시될 수 있다.
오일펌프(50)는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동안 제1 유량으로 고점도 작동유를 히터부(30)로 공급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오일펌프(50)가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동안 제1 유량으로 고점도 작동유를 히터부(30)로 공급하면, 기준 시간동안 히터부(30)에서 고점도 작동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일정 수준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일정 수준으로 저하되므로 오일펌프(50)에 저항이 감소되어, 오일펌프(50)가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고점도 작동유를 히터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펌프(50)가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30)로 공급하면, 히터부(30)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고점도 작동유를 다시 목표 온도로 가열시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기설정된 점도 또는 그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겨울철 또는 극저온 환경에서, 높은 점도의 작동유가 저장된 경우라도, 초기 유량을 제1 유량(P1)으로 제어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초기 유량보다 큰 제2 유량(P2)으로 제어하여 효율성이 좋은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일 펌프는 상기 제1 이송관(2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펌핑시키는 펌핑부(52), 및 상기 펌핑부(52)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펌핑부(52)와 구동부(51)는 커플러(53)로 연결될 수 있다.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에 구비된다.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을 히터부(30)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을 후술하는 제3 이송관(70)에 연결시켜, 제1 이송관(20)을 히터부(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을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공급구(81)에 연결시켜, 제1 이송관(20)을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절환밸브(60)는 수동 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여름철 또는 상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는 기설정된 점도 또는 그 이하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을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킨다.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는 상술한 것과 같이 기설정된 점도 이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절환밸브(60)는 제1 이송관(20)을 히터부(30)로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온도에 맞추어 고점도 작동유의 가열 여부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어, 여름철 또는 상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의 가열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에너지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이송관(70)은 절환밸브(60)와 히터부(30) 사이에 구비된다. 제3 이송관(70)은 절환밸브(60)와 히터부(30)를 연결시킨다. 이 경우, 절환밸브(60)를 통해 제3 이송관(70)으로 이송된 고점도 작동유는 히터부(30)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따르면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히터부(30)가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켜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상온의 기설정된 점도로 또는 그 이하로 변화시킴에 따라 유압 액추에이터의 작동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30)는, 상기 제3 이송관(7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1히터(301), 및 일단이 상기 제1히터(301)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이송관(40)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2히터(302)를 포함한다.
제1히터(301)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제1히터(301)는 케이스(10)의 정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구성이 콤팩트해진다.
제1히터(301)는 제3 이송관(70)에 연결된다. 제1히터(301)는 절환밸브(60)에 연결된 제3 이송관(70)에 연결되어,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받는다. 제1히터(301)는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제2히터(302)는 케이스(10)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제2히터(302)는 케이스(10)의 정측면에 구비된다. 제2히터(302)는 제1히터(301)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의 구성이 콤팩트해진다.
제2히터(302)는 일단이 제1히터(301)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2히터(302)는 일단이 제1히터(301)에 연결호스(303)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히터(302)는 제1히터(301)에서 1차적으로 가열된 고점도 작동유를 2차적으로 가열시킨다. 제2히터(302)는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제2히터(302)는 타단이 제2 이송관(4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목표 온도로 가열된 고점도 작동유가 제2 이송관(40)을 통해 오일 탱크(101)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수된 오일을 상기 오일 탱크(101)로 저장시키는 회수구(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수구(82)와 케이스(10) 사이에는 필터모듈(8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모듈(83)은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 회수된 오일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여과된 고점도 작동유를 오일탱크로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오일 탱크(101)에 저장된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출구 온도센서(85)에서 제1 이송관(20)으로 이송되는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출고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가 목표 온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절환밸브(60)를 제어하여, 제1 이송관(20)으로 이송된 고점도 작동유를 히터부(3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입구 온도센서(84)에서 고점도 작동유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여,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는 절환밸브(60)를 제어하여 제1 이송관(20)으로 이송된 고점도 작동유를 공급구(81)로 이송시켜 최종적으로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20 : 제1 이송관
30 : 히터부 40 : 제2 이송관

Claims (5)

  1. 크러싱 플랜트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빠른 작동을 위해 작동유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고점도 작동유가 저장되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에 저장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가열시키는 히터부; 상기 히터부와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에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오일 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이송시키는 오일펌프; 상기 제 1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히터부 또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로 연결시키는 절환밸브; 및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환밸브와 상기 히터부를 연결시키는 제3 이송관; 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1히터;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히터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히터에 직렬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가열시키는 제2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에서 1차적으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목표 온도로 2차적으로 가열시켜, 상기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기설정된 점도 이하로 저하시키고,
    상기 오일펌프는 상기 제1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펌핑시키는 펌핑부; 및 상기 펌핑부와 커플러로 연결되며 상기 펌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펌프가 상기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부터 기준 시간동안 제1 유량으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로 공급하면, 기준 시간동안 상기 히터부에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켜, 상기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일정 수준 저하시키고,
    상기 오일펌프가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히터부로 공급하면, 상기 히터부에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기 고점도 작동유를 상기 목표 온도로 가열시켜, 상기 고점도 작동유의 점도를 기설정된 점도 이하로 저하시키고,
    상기 오일펌프의 작동 RPM은 상기 고점도 작동유의 온도에 정비례하는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밸브는,
    겨울철 또는 저온 환경에서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히터부에 연결시키고,
    여름철 또는 상온 환경에서 상기 제1 이송관을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연결시키는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KR1020220075294A 2022-01-11 2022-06-21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KR102605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747 2022-01-11
KR20220003747 2022-01-11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686A KR20230108686A (ko) 2023-07-18
KR102605371B1 true KR102605371B1 (ko) 2023-11-23
KR102605371B9 KR102605371B9 (ko) 2024-02-08

Family

ID=8742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94A KR102605371B1 (ko) 2022-01-11 2022-06-21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37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640A (ko) * 2014-06-02 2015-12-10 (주)제이.케이.에스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작동유압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90045446A (ko) * 2017-10-24 2019-05-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작동유 온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371B9 (ko) 2024-02-08
KR20230108686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9814B2 (en) Heat exchange compressor
US4192456A (en) Heating system for machine operator&#39;s cab
CN107420383B (zh) 一种控制液压油温度的系统和方法
US11821657B2 (en) Waste-heat recovery system in oil-cooled gas compressor
CN107035501A (zh) 一种带温控的自适应散热系统
CN104968942A (zh) 油冷式气体压缩机的余热回收系统
CN103080555A (zh) 油冷式气体压缩机
JP2008196590A (ja) 水素供給ステーション
CN202348405U (zh) 动力装置散热系统
CN102562248A (zh) 液压行走机械的冷却系统及其冷却方法、液压挖掘机
CN102380939A (zh) 模具温度调节装置
CN103348200A (zh) 空气调节热水供给系统
US9360005B2 (en) Auxiliary device for an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CN106680101B (zh) 一种真三轴岩石试验机及其温控系统和温控方法
CN110242626A (zh) 闭式液压驱动系统及破碎机
KR102605371B1 (ko) 크러싱 플랜트의 순환오일 히팅 시스템
CN106680069B (zh) 一种带有温控系统的真三轴岩石试验机及其温控方法
CN106640796A (zh) 一种履带装甲车辆风扇液压传动系统
JP2013234840A (ja) 太陽熱を用いた冷・暖房マットシステム
CN105556134A (zh) 改进控制液压流体供给的机具运载器
CN202290197U (zh) 带外循环冷却的卧式搅拌磨
WO2008068490A1 (en) Trailer mounted power washer
US11434805B2 (en) Flameless fluid heater
CN204100643U (zh) 一种污泥余热收集装置
CN208704170U (zh) 一种减压器辅助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