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290B1 -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290B1
KR102605290B1 KR1020180094996A KR20180094996A KR102605290B1 KR 102605290 B1 KR102605290 B1 KR 102605290B1 KR 1020180094996 A KR1020180094996 A KR 1020180094996A KR 20180094996 A KR20180094996 A KR 20180094996A KR 102605290 B1 KR102605290 B1 KR 10260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y
information
dock
mobil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453A (ko
Inventor
황인혁
강태선
박인하
박정서
이정훈
최성인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2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선소 현장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선소 현장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로, 상기 조선소 현장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작업을 다수의 베이에 배분하고,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배분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키오스크 허브;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고정 설치되며,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도크; 및 상기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허브에 연계되고, 상기 베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베이 도크가 설치된 베이에 상응하는 상기 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Ta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kiosk hub}
본 발명은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건조를 위한 조선소 작업장의 경우 상당히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수의 베이(bay)에서 다양한 작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조선소 작업장이라는 환경 특성에 의해 LTE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현장이 있다.
따라서, 프린트를 통해 해당 현장과 관련한 작업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같은 구역에서 작업하고 있지만 중거리에 위치하는 작업자 간에 편리한 소통 방법이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30975호 (선박 건조 작업의 공종별/반별/개인별 통합작업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허브로 활용하여 무선 메쉬망을 구축함으로서 모바일 기기와 연계하여 각종 작업 지시 및 작업자간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작업 모니터링이 가능한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선소 현장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선소 현장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로, 상기 조선소 현장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작업을 다수의 베이에 배분하고,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배분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키오스크 허브;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고정 설치되며,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도크; 및 상기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허브에 연계되고, 상기 베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베이 도크가 설치된 베이에 상응하는 상기 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키오스크 허브는,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하여 베이 단위로 제작할 블록을 정하고, 상기 블록의 제작을 위해 요구되는 인력요건 및 자재요건에 맞춰 작업자 배분, 자재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업을 배분하는 작업 배분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베이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작업 정보 요청에 포함된 상기 베이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베이 위치에 따른 베이에 배분된 작업에 관한 상기 작업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응답으로 전송하는 작업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 도크는, 상기 베이 도크가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상기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정보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인터페이스가 수립되게 하는 도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수립된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베이 정보를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프로젝트에 관한 작업 정보에 접근을 승인받은 단말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베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와의 인터페이스가 수립되게 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상기 베이 도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베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베이의 위치를 확인하는 베이 정보 분석부; 상기 베이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키오스크 허브와 통신하여 상기 베이의 위치에 상응하는 작업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작업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키오스크 허브로부터 상기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작업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작업 정보를 단말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선소 현장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작업 관리 방법으로서, 키오스크 허브에서 상기 조선소 현장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작업을 다수의 베이에 배분하고,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배분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고정 설치된 베이 도크에서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임의의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베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베이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키오스크 허브로 상기 베이 위치에 기초하여 작업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키오스크 허브에서 상기 작업 정보 요청에 따른 상기 베이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베이 위치에 상응하여 상기 베이에 배분된 작업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수신한 상기 작업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오스크를 허브로 활용하여 무선 메쉬망을 구축함으로서 모바일 기기와 연계하여 각종 작업 지시 및 작업자간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작업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베이 도크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키오스크 허브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베이 도크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7은 키오스크 허브와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베이 도크에 거치된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키오스크 허브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베이 도크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모바일 단말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7은 키오스크 허브와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10)은 키오스크를 허브로 활용하여 광범위한 작업 구역에 대해 각각 구분된 베이(bay)마다 네트워크 연결된 무선 메쉬망을 구축하고, 베이 도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과 연계하여 작업의 배분 및 지시, 작업자간의 소통, 작업 모니터링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해양 프로젝트(예컨대, 선박 건조, 해양 플랜트 건조 등)를 진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각종 블록(block)들이 다수의 베이(bay)마다 배분되어 제작되는 조선소 현장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 관리 시스템(10)은 키오스크 허브(100)와, 다수의 베이에 고정 설치된 베이 도크(200)와, 베이 도크(200)에 장착 가능한 모바일 단말(300)을 포함한다.
키오스크 허브(100)는 선박 건조 등의 작업이 수행되는 조선소 현장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인 키오스크(KIOSK)이다. 터치스크린과 멀티미디어 기기(예컨대, 사운드카드, 그래픽카드, 통신카드 등)가 구비되어 있어 근처에 위치한 작업자 혹은 관리자에게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을 통해 시청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키오스크 허브(100)는 조선소 현장의 초입에 설치되어, 조선소 현장을 방문한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키오스크 허브(100)는 현장 작업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예컨대, 프로젝트 명, 프로젝트 완료 계획, 프로젝트 참여 베이, 베이별 담당 블록 명, 베이별 완료 계획, 베이별 자재 리스트, 베이별 배원/배량 등)이 디스플레이(예.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키오스크 허브(100)는 동일 프로젝트에 속하는 블록들에 대한 작업이 수행되는 베이들에 배치된 베이 도크(200) 및/또는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300)과의 통신을 위해 구축된 무선 메쉬망의 허브로서 기능한다.
베이 도크(200)는 동일 프로젝트에 속하는 블록들이 각각 배분되어 제작 작업이 수행되는 현장인 베이마다 고정 설치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300)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홈으로 이루어진 도크 인터페이스부(220)를 구비하고 있어 모바일 단말(30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베이 도크(200)에는 현재 베이 도크(200)가 설치된 베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정보 저장부(210)가 포함될 수 있다. 베이 정보로는 베이의 위치 정보(예. GPS 좌표)가 포함될 수 있다.
베이 도크(200)의 제어부(230)는 도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현재 모바일 단말(300)이 거치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거치된 모바일 단말(300)로 베이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베이 정보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현재 거치된 모바일 단말(300)에서 전달받은 단말 식별 정보를 통해 베이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승인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승인된 단말에 한정하여 베이 정보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단순 충전을 위해 베이 도크(200)를 활용하는 모바일 단말이나 승인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프로젝트 관련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베이마다 설치되는 베이 도크(200)는 호환 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조(거치 홈)를 가지고 있어, 모바일 단말(300)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 도크(200)는 전원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현재 거치된 모바일 단말(300)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300)에 대한 충전은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단자 접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단자 접촉 없이도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충전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직접 소지한 상태로 다닐 수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비되고 터치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마이크, 아이트랙커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태블릿 PC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300)은 단말 인터페이스부(310), 베이 정보 분석부(320), 통신부(330), 작업 정보 분석부(340), 출력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단말 인터페이스부(310)를 구비하고 있어, 베이 도크(200)의 도크 인터페이스부(220)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한다. 즉, 단말 인터페이스부(310)와 도크 인터페이스부(220) 간에 수립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과 베이 도크(200)는 상호 간에 각종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베이 도크(200)에서 모바일 단말(300)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바일 단말(30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말 인터페이스부(310)는 도크 인터페이스부(220)와의 인터페이스가 수립되면, 단말 식별 정보를 베이 도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식별 정보는 모바일 단말(300)마다 할당된 고유의 식별 코드로서, 예를 들어 단말 식별 코드(IMEI)일 수 있다. 단말 식별 정보는 해당 모바일 단말(300)이 베이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승인된 단말인지를 베이 도크(200)에서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베이 정보 분석부(320)는 베이 도크(200)로부터 수신한 베이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300)이 위치한 베이를 파악하게 한다. 조선소 작업 현장의 경우 선박 블록의 제조 작업 시 외부 환경에의 노출을 방지하고자 각종 보호 설비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장소에서는 GPS 신호의 수신이 어려울 수 있다.
모바일 단말(300)을 소지한 작업자 혹은 관리자는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관련된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각종 지시나 작업 현황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위치 파악을 위해 베이 정보를 활용하게 된다.
베이 정보에는 베이 도크(200)가 설치된 베이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 정보 분석부(320)에서는 베이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모바일 단말(300)이 위치한 베이가 어디에 위치한 베이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부(330)를 통해 키오스크 허브(100)와 통신하여 현재 위치한 베이에 관한 베이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베이 정보에 상응하여 키오스크 허브(100)에서 검색된 해당 베이에 배분된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작업 정보로는 해당 베이에서 작업 중인 블록 명, 설계 도면, 완료 계획, 자재 리스트, 배원/배량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작업 정보 분석부(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한 작업 정보를 분석하고, 출력부(350)를 통해 모바일 단말(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키오스크 허브(100)는 작업 배분부(110), 요청 수신부(120), 작업 정보 전송부(130)를 포함한다.
작업 배분부(110)는 키오스크 허브(100)가 설치된 작업 현장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에 관련하여 베이 단위로 작업을 배분한다. 베이마다 제작할 블록이 정해지면, 각 블록의 제작을 위해 요구되는 인력요건 및 자재요건에 맞춰 작업자 배분, 자재 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작업 배분부(110)에 의해 배분된 작업은 베이별 작업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20)는 모바일 단말(300)로부터의 작업 정보 요청을 수신한다. 작업 정보 요청에는 베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작업 정보 전송부(130)는 작업 정보 요청에 포함된 베이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베이에 배분된 작업 정보를 작업 정보 요청을 송신한 모바일 단말(300)에 응답으로 전송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키오스크 허브(100)의 작업 배분부(110)는 관리 중인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연계된 다수의 베이에 대해 베이 단위로 작업을 배분한다(단계 S400). 베이마다 제작할 블록을 할당하고, 해당 블록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인력요건, 자재요건을 고려하여 인력 배분, 자재 배분이 이루어지게 한다. 키오스크 허브(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작업 배분 화면이 도 7의 (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 도크(200)는 다수의 베이마다 하나 혹은 둘 이상이 설치되며, 설치된 베이에 관한 베이 정보(즉, 베이 위치 정보)를 베이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한다(단계 S405).
단계 S400과 S405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혹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작업자 혹은 관리자가 모바일 단말(300)을 소지한 상태로 특정 베이로 이동한 이후, 해당 베이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해당 베이에서의 작업 지시를 받고자 할 때, 해당 베이에 설치된 베이 도크(200)에 모바일 단말(300)을 거치시킨다(단계 S410).
모바일 단말(300)이 베이 도크(200)에 거치된 것을 확인한 경우, 베이 도크(200)는 베이 정보를 거치된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15). 이 때 모바일 단말(300)에서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이 작업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승인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승인된 단말에 한하여 단계 S415가 진행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베이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300)은 베이 정보 분석부(320)를 통해 현재 베이의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420). 베이 위치는 단계 S415에서 수신한 베이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모바일 단말(300)은 통신부(330)를 통해 키오스크 허브(100)로 현재 베이 위치에 근거한 작업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425).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300)은 베이 정보를 작업 정보 요청에 포함시켜 키오스크 허브(100)로 전송할 수 있다.
키오스크 허브(100)는 요청 수신부(120)를 통해 작업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작업 정보 전송부(130)에서는 작업 정보 요청에 포함된 베이 정보에 상응하여 베이 위치를 확인한다(단계 S430).
그리고 확인된 베이 위치에 상응하여 해당 베이에 배분된 작업 정보를 검색하여 요청을 전송한 모바일 단말(300)로 전송한다(단계 S435).
모바일 단말(300)은 작업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작업 정보 분석부(340)를 통해 이를 단말 화면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하고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한다(단계 S440). 모바일 단말(300)을 통해 출력되는 작업 정보는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작업 관리 시스템
100: 키오스크 허브 110: 작업 배분부
120: 요청 수신부 130: 작업 정보 전송부
200: 베이 도크 210: 베이 정보 저장부
220: 도크 인터페이스부 230: 제어부
300: 모바일 단말 310: 단말 인터페이스부
320: 베이 정보 분석부 330: 통신부
340: 작업 정보 분석부 350: 출력부

Claims (6)

  1. 조선소 현장에서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조선소 현장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단말기로, 상기 조선소 현장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관련된 작업을 다수의 베이에 배분하고,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배분된 작업 정보를 저장하는 키오스크 허브;
    상기 다수의 베이마다 고정 설치되며,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도크; 및
    상기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 허브에 연계되고, 상기 베이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베이 도크가 설치된 베이에 상응하는 상기 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 도크는,
    상기 베이 도크가 설치된 베이의 위치에 관한 상기 베이 정보를 저장하는 베이 정보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인터페이스가 수립되게 하는 도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가 수립된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베이 정보를 전송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베이 도크는 상기 도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단자 접촉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을 충전시키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전송된 단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프로젝트에 관한 작업 정보에 접근을 승인받은 단말인지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베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며,
    승인되지 않은 단말의 경우에는 상기 도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단순 충전만 가능하게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허브는,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하여 베이 단위로 제작할 블록을 정하고, 상기 블록의 제작을 위해 요구되는 인력요건 및 자재요건에 맞춰 작업자 배분, 자재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업을 배분하는 작업 배분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베이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작업 정보 요청에 포함된 상기 베이 정보에 기초하여 베이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베이 위치에 따른 베이에 배분된 작업에 관한 상기 작업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응답으로 전송하는 작업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베이 도크에 거치되면, 상기 베이 도크와의 인터페이스가 수립되게 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상기 베이 도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베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베이의 위치를 확인하는 베이 정보 분석부;
    상기 베이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키오스크 허브와 통신하여 상기 베이의 위치에 상응하는 작업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작업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키오스크 허브로부터 상기 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작업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작업 정보를 단말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6. 삭제
KR1020180094996A 2018-08-14 2018-08-14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96A KR102605290B1 (ko) 2018-08-14 2018-08-14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96A KR102605290B1 (ko) 2018-08-14 2018-08-14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53A KR20200019453A (ko) 2020-02-24
KR102605290B1 true KR102605290B1 (ko) 2023-11-23

Family

ID=6963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96A KR102605290B1 (ko) 2018-08-14 2018-08-14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263A (ko) 2021-01-15 2022-07-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오스크 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주문 결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748B2 (ja) * 2014-12-17 2017-04-19 日本郵船株式会社 船舶内の復旧作業管理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6674A (en) * 1979-02-28 1980-09-08 Asahi Glass Co Ltd Manufacture of silicon nitride sintered body
KR20090130975A (ko) 2008-06-17 2009-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작업의 공종별/반별/개인별 통합작업관리시스템
KR20120005156A (ko) * 2010-07-08 2012-01-16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조선 작업 현장의 생산 작업 지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7781A (ko) * 2011-02-25 2012-09-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조선 내업 블럭 작업 진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6748B2 (ja) * 2014-12-17 2017-04-19 日本郵船株式会社 船舶内の復旧作業管理の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53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55665B (zh) 生产计划生成方法以及装置
CN101710976B (zh) 安防管理系统及监控方法
CN104636868A (zh) 核电站设备维修信息的应用管理系统及其应用方法
CN105933372A (zh) 任务分配执行方法、服务器及终端
US201901221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ng physical equipment replacement and maintenance
US20080288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aging work tickets
CN105183408A (zh) 信息处理系统和显示控制方法
EP14823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search of portable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464353A (zh) 一种移动终端寻车的方法及系统
US201703008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egating tasks to technicians, utilizing a back-end and mobile serviceability application
EP3091487A1 (en) Network deployment for cellular, backhaul, fiber optic and other network infrastructure
CN103200196A (zh) 一种用户设备及访问目标间的接入访问方法、系统及装置
Zekavat et al. Holonic construction management: Unified framework for ICT-supported process control
KR102605290B1 (ko) 키오스크 허브를 이용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860410A (zh) 一种基于微信的大型土木工程施工安全隐患管理系统
US201601799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ools
US6393333B1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CN107219825A (zh) 自我控制
CN112651583A (zh) 固定资产盘点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4662888A (zh) 作业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6128433A (zh) 核电厂设备信息管理系统及方法、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06168794B (zh) 一种搅拌站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CN111865929B (zh) 光纤与设备资源及链路管理方法及系统
CN113780706A (zh) 一种基于视觉增强的现场运维作业方法及装置
JP7368937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