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17B1 -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 - Google Patents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17B1
KR102605117B1 KR1020160098720A KR20160098720A KR102605117B1 KR 102605117 B1 KR102605117 B1 KR 102605117B1 KR 1020160098720 A KR1020160098720 A KR 1020160098720A KR 20160098720 A KR20160098720 A KR 20160098720A KR 102605117 B1 KR102605117 B1 KR 10260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system
bus module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7762A (ko
Inventor
주르 뮬렌 패트릭 알렉산더 본
Original Assignee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filed Critical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1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3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blade typ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1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plug-in typ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01H2085/2055Connections to bus bars in an installation with screw in type fuses or knife blade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01H2085/206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being tappable, e.g. terminals on the fuse or base being arranged so as to permit an additional connector to be engag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Fuses (AREA)

Abstract

배전 시스템의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배전 시스템은 다수의 라인측 단자를 갖는 퓨즈 홀더를 구비한다. 배전 시스템은 또한 포위체와, 상기 포위체 내에 배치되는 전도체를 갖는 버스 모듈을 구비한다. 전도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 부재를 갖는 빗-형태 버스를 구비하고, 각각의 분기 부재는 상기 퓨즈 홀더의 라인측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현한다.

Description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FUSE HOLDER AND CONFIGURABLE BUS MODULE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그 버스 부품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일부의 종래 배전 시스템은 단 하나의 라인측 단자와 다수의 부하측(load-side) 단자를 갖는 퓨즈 블록 형태의 퓨즈 홀더를 구비한다. 이런 식으로, 퓨즈 블록은 다수의 부하측 회로에 단 하나의 라인측 회로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종래의 배전 계획은 일부 용도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각종 상이한 배전 계획을 수행하기 위해 융통성을 갖는 배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배전 시스템 구조 및 제조 방법에 대해 후술한다.
이러한 구조 및 방법은 전술한 단점 및 문제를 해결하는 배전 시스템의 제공을 촉진한다. 특히, 후술하는 구조 및 방법은 극히 낮은 전압 및/또는 보조 배전 시스템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믿어지지만, 하기 기술은 저전압 및 고전압 또는 비보조 배전 시스템까지도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설명은 제한보다는 예시를 위한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개념이 도면에 도시된 하기 특정 실시예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이고 비포괄적인 실시예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여러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조 부호로 지칭된다.
도 1은 배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전 시스템의 버스 모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쉘의 웨브 구역의 확대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버스 바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스 바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전 시스템의 퓨즈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퓨즈 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퓨즈 홀더에 연결된 도 2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버스 모듈의 단자가 다른 배전 계획에 맞도록 분리된 후의 도 2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버스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버스 모듈에 사용하기 위한 캡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수정된 버스 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버스 모듈에 부착되는 도 13에 도시된 캡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퓨즈 홀더에 연결되는 도 14에 도시된 수정된 버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라인측 회로[예를 들면, 제 1 라인 와이어(104)를 통한 제 1 라인측 회로(102), 제 2 라인 와이어(108)를 통한 제 2 라인측 회로(106) 및/또는 제 3 부하 와이어(112)를 통한 제 3 라인측 회로(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하측 회로[예를 들면, 제 1 부하 와이어(116)를 통한 제 1 부하측 회로(114), 제 2 부하 와이어(120)를 통한 제 2 부하측 회로(118), 제 3 부하 와이어(124)를 통한 제 3 부하측 회로(122) 및/또는 제 4 부하 와이어(128)를 통한 제 4 부하측 회로(126)]로의 배전을 촉진하는 배전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하기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다수의 미리 결정된 배전 계획 사이에서 보다 쉽게,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즉,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 중의 어떤 하나 이상이 라인측 회로(102, 106, 110) 중 어떤 하나 이상에 의해 급전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배전 시스템(100)은 광범위한 작동 전압 하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상이한 범위의 전류를 전도할 수 있다. 전류는 전압보다 제한 요인이 더 많은 경향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전 시스템(100)의 설계는 전도체의 치수 변경 및 전략적 재료 선택과 더불어 상이한 전류 범위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후술되는 개념과 조화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배전 시스템(100)의 버스 모듈(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버스 모듈(200)은 포위체(202) 및 상기 포위체(20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도체(204)를 구비한다. 포위체(202)는 쉘(shell)(206), 쉘(206)에 체결되는 백 패널(208), 및 쉘(206) 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210)을 갖는다. 전도체(204)는 버스 바아(212) 및 상기 버스 바아(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러그 커넥터(214)(광의로 전류 입력 단자)를 갖는다[예를 들어, 전류 입력 단자는 일부 실시예에서 버스 바아(2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버스 바아(212)와 별개로 형성되어 버스 바아에 적절히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듯이, 도시된 버스 모듈(200)은 퓨즈 홀더에 대해 신속한 연결 및 분리를 수립하도록 구조적으로 구성된다[예를 들어, 버스 모듈(200)은 퓨즈 홀더에 대한 풀(pull)-타입 분리 및 푸시(push)-타입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버스 모듈(200)의 다른 실시예는 퓨즈 홀더와 같은 가용(fusible) 부품 이외의 다양한 배전 시스템 부품과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버스 바아(212)는 판금을 스탬핑하여 블랭크를 형성하고 이 블랭크를 도시된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제조되는 일체로 형성된 부품이다. 판금은 임의의 바람직한 통전 능력에 어울리도록 임의의 적절한 재료(예를 들면, 구리, 황동, 알루미늄, 합금 또는 복합 재료) 및 임의의 적절한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버스 바아(212)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버스 바아(212)는 상호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브레이징에 의해 적절하게 함께 결합되는 다수의 버스 바아 피스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스 바아(212)는 빗(comb) 형태의 것이며, 기복있는(undulating) 프로파일을 갖는 베이스 부재(216)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216)는 다수의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바, 즉 제 1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18), 제 2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0), 제 3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2) 및 제 4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4)를 갖는다.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18, 220, 222, 224)는 다수의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에 의해 이격되는 바, 즉 제 1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6)가 제 1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18)를 제 2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0)에 접합시키고;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는 개구(230)를 구비하고 제 2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0)를 제 3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2)에 접합시키며; 제 2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32)가 제 3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2)를 제 4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4)에 접합시킨다.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6, 232)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도시된 관점에서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 아래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6, 228, 232)는 전체적으로 베이스 부재(216)의 전방 외측 에지(234) 및 후방 외측 에지(236)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216)에 추가적으로, 버스 바아(212)는 또한 분기(branch) 부재의 어레이, 즉 제 1 분기 부재(238), 제 2 분기 부재(240), 제 3 분기 부재(242) 및 제 4 분기 부재(244)를 구비한다. 분기 부재(238, 240, 242, 244)는 베이스 부재(216)의 전방 외측 에지(234)로부터 단일 방향으로 및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분기 부재(238)는 제 1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18)로부터 연장되고 제 2 분기 부재(240)는 제 2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0)로부터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 3 분기 부재(242)는 제 3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2)로부터 연장되고 제 4 분기 부재(244)는 제 4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4)로부터 연장된다. 분기 부재(238, 240, 242, 244)의 각각은 종방향 분기 세그먼트(246) 및 한 쌍의 아암 세그먼트(248)를 갖는다. 각각의 아암 세그먼트(248)는, 아암 세그먼트(248)의 원위 면(252)이 종방향 분기 세그먼트(246)의 내면(254)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거의 평행하게 배향되어 각각의 분기 부재(238, 240, 242, 244)의 대략 M-형 슬롯(256)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분기 부재(238, 240, 242, 244)와 베이스 부재(216)의 접합부 근처에 형성된 릴리프(250)에서 종방향 분기 세그먼트(246) 위로 절첩된다.
각각의 분기 부재(238, 240, 242, 244)가 그 고유 슬롯(256)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분기 부재(238, 240, 242, 244)는 각각 버스 바아(212)의 암형 단자를 구현하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바아(212)는 제 1 분기 부재(238)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암형 단자(258), 제 2 분기 부재(240)에 의해 구현되는 제 2 암형 단자(260), 제 3 분기 부재(242)에 의해 구현되는 제 3 암형 단자(262), 및 제 4 분기 부재(244)에 의해 구현되는 제 4 암형 단자(264)를 갖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암형 단자(258, 260, 262, 264)의 각각은 이후 보다 상세하게 제시되는 수형 단자를 수용하도록 크기형성된 전방 개구(266), 및 각각의 암형 단자(258, 260, 262, 264) 내로의 수형 단자 삽입의 제한을 촉진하기 위해 릴리프(250) 사이에 배치된 제한 정지부(27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블로킹되는 후방 개구(268)를 갖는다.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부재(216)의 기복있는 프로파일로 인해, 암형 단자(258, 260, 262, 264)는 상호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버스 바아(212)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예를 들면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암형 단자를 가질 수 있거나, 버스 바아(212)의 암형 단자가 대신에 수형 단자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체(204)의 러그 커넥터(214)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버스 바아(212)에 대한 전류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버스 바아(212)를 적절한 배선[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라인 와이어(104, 108, 112) 중 하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러그 커넥터(214)는 볼트(272)(때때로 단자 스터드로 지칭되기도 함)와 볼트(272) 상에 체결되는 너트(274)를 구비한다. 볼트(272)는 너트(274)와의 연결을 위해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 아래로부터 버스 바아(212)의 구멍(230)을 통해서 삽입되도록 크기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예를 들어 블레이드 단자(링 또는 스페이드 단자와 같은)를 갖는 와이어 러그가 볼트(272) 주위에 끼워질 때, 블레이드 단자는 와이어 러그를 러그 커넥터(214) 및 버스 바아(2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너트(274)와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러그 커넥터(214) 이외의 커넥터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러그 커넥터(214)를 대신하여 전도체(204)는 전기 배선에 대한 버스 바아(212)의 전기적 연결을 촉진하고 버스 모듈(200)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물을 갖고 구성될 수 있다. 버스 바아(212)와 외부 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수많은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포위체(202)는 예를 들어 강성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전기적 및 열적 절연성 재료로 제조되며 이는 경우에 따라서 전기적 및 열적 절연성 재료[예를 들면, 유연성(또는 탄성) 재료]의 적절한 층(들)으로 라이닝될 수 있다. 더욱이, 포위체(202)는 버스 바아(212)의 암형 단자(258, 260, 262, 264)의 전방 개구(266)(도 2에 도시됨) 이외의 전체 전도체(204)와,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 볼트(272) 및 너트(274)(도 3에 도시됨)를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버스 모듈이 라인 와이어[예를 들면, 제 1 라인 와이어(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버스 모듈(200)은 설명대로 버스 모듈(200)을 취급 및 사용할 때 사용자가 전도체(204)가 라인 와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여기될 때 전도체(204)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및 열 에너지로부터 보호된다는 의미에서 '터치 안전'하다고 일컬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도체의 쉘(206)은 허브 구역(282) 및 허브 구역(282)의 양쪽에 각각 존재하는 한 쌍의 플랭크(flank) 구역, 즉 도 4의 사시도에서 볼 때 허브 구역(282) 좌측의 좌측 플랭크 구역(284) 및 허브 구역(282) 우측의 우측 플랭크 구역(286)을 갖는다. 좌측 플랭크 구역(284)은 제 1 웨브 구역(288)을 가로질러 허브 구역(282)에 연결되며, 우측 플랭크 구역(286)은 제 2 웨브 구역(290)을 가로질러 허브 구역(282)에 연결된다.
특히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쉘(206)은 다수의 슬리브를 갖는 바, 즉 좌측 플랭크 구역(284)에 형성되는 제 1 슬리브(292), 허브 구역(282)에 형성되는 제 2 및 제 3 슬리브(294, 296), 및 우측 플랭크 구역(286)에 형성되는 제 4 슬리브(298)를 갖는다. 쉘(206)은 또한 제 2 및 제 3 슬리브(294, 296) 뒤에서 허브 구역(282)에 형성되는 허브 구획(300)을 갖는다. 제 1 슬리브(292)는 제 1 암형 단자(258)가 제 1 슬리브(292)의 개방 전면(302)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16)의 제 1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18) 및 제 1 분기 부재(238)를 수용한다. 제 4 슬리브(298)는 제 4 암형 단자(264)가 제 4 슬리브(298)의 개방 전면(304)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16)의 제 4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4) 및 제 4 분기 부재(244)를 수용한다. 제 2 및 제 3 슬리브(294, 296)는 제 2 암형 단자(260) 및 제 3 암형 단자(262)가 제 2 슬리브(294)의 개방 전면(306) 및 제 3 슬리브(296)의 개방 전면(308)을 통해서 각각 접근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16)의 제 2 및 제 3 분기 부재(240, 242)를 각각 수용한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216)의 제 2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0), 제 3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222) 및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는 너트(274)가 허브 구획(300)의 개방 상면(310)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허브 구획(300)에 배치된다. 더욱이, 베이스 부재(216)의 제 1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6)는 제 1 웨브 구역(288) 내에 배치되며, 제 2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32)는 제 2 웨브 구역(290) 내에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전도체(204)는 백 패널(208)에 의해 쉘(206) 내에 봉쇄되며, 백 패널은 적절한 접합 방법(예를 들면, 접착 본드,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쉘(206)의 개방 후면(312)에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서, 쉘(206) 내의 수량 슬리브는 쉘(206) 내에 수용된 버스 바아(212) 상의 암형 단자의 수량에 맞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쉘(206)은 버스 바아(212) 상의 네 개의 암형 단자(258, 260, 262, 264)에 맞게 네 개의 슬리브(292, 294, 296, 298)를 갖지만, 쉘(206)의 일부 실시예는 버스 바아(212) 상의 암형 단자의 수량에 맞게 임의의 수량의 슬리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어, 쉘(206)의 일 실시예는 버스 바아(212) 상의 여덟 개의 암형 단자에 맞게 여덟 개의 슬리브를 가질 수 있거나, 쉘(206)의 다른 실시예는 버스 바아(212) 상의 열여섯 개의 암형 단자에 맞게 열여섯 개의 슬리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 쉘(206)의 슬리브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플랭크 구역(284, 286)과 허브 구역(282) 사이에 할당될 수 있다[즉, 쉘(206)의 일 실시예는 좌측 플랭크 구역(284)에 두 개의 슬리브, 허브 구역(282)에 하나의 슬리브, 및 우측 플랭크 구역(286)에 두 개의 슬리브를 가질 수 있거나; 쉘(206)의 다른 실시예는 좌측 플랭크 구역(284)에 하나의 슬리브, 허브 구역(282)에 하나의 슬리브, 및 우측 플랭크 구역(286)에 세 개의 슬리브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쉘(206)은 하나 이상의 슬리브가 배치되는 하나의 플랭크 구역만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허브 구역(282)은 한 쌍의 플랭크 구역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쉘(206)의 허브 구역(282)은 한 쌍의 레일(314)을 가지며, 각각의 레일은 허브 구획(300)의 부분을 획정하는 종방향 벽(318)의 상부 에지(316) 근처에 형성된다. 편리하게, 뚜껑(210)은 레일(314)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가요성 클립(320)을 가지며, 따라서 뚜껑(210)은 쉘(206)에 대한 뚜껑(210)의 수동 잡아당김(또는 스냅-오프) 결합해제 및 푸싱(또는 스냅-온) 결합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러그 커넥터(214)의 너트(274)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뚜껑(210)은 전술했듯이 와이어 러그를 러그 커넥터(2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러그 커넥터(214)에 대한 와이어 액세스를 허용하는 배면 개구(322)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뚜껑(210)은 뚜껑(210)이 본 명세서에 기재하듯이 기능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웨브 구역(288, 290)의 각각은 앞면(324), 뒷면(326), 상면(328) 및 하면(330)을 갖는다. 상면 및 하면(328, 330)의 각각에는 홈(332) 및 리브(334)가 형성되며, 따라서 각각의 웨브 구역(288, 290)의 홈(332)은 상호 대향적으로 정렬되고 각각의 웨브 구역(288, 290)의 리브(334) 또한 상호 대향적으로 정렬된다. 이제 도 3을 또한 참조하면, 각각의 홈(332)은 백 패널(208)에 형성된 노치(336)와 정렬하여 각각의 웨브 구역(288, 290)의 앞면(324)에서 뒷면(326)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홈(332)은 허브 구역(282)의 그 최근접 슬리브(294, 296)에 거의 평행하게 배향된다. 각각의 리브(334)는 그 각각의 홈(332)과 허브 구역(282)의 최근접 슬리브(294, 296) 사이에 배치되며, 리브(334)의 각각은 각각의 홈(332)과 거의 평행한 배향으로 각각의 웨브 구역(288, 290)의 앞면(324)으로부터 백 패널(208)의 탭(338)을 향해서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각각의 웨브 구역(288, 290)의 상면 및 하면(328, 330)의 각각은 그 각각의 리브(334)와 허브 구역(282) 사이에 배치되는 허브측 세그먼트(340)를 갖는다.
도 8 및 도 9는 배전 시스템(100)의 퓨즈 홀더(4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퓨즈 홀더(400)는 하우징(402)과, 상기 하우징(402)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퓨즈 소켓, 즉 제 1 퓨즈 소켓(404), 제 2 퓨즈 소켓(406), 제 3 퓨즈 소켓(408) 및 제 4 퓨즈 소켓(410)을 구비한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의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은 낮은 전류용량, 자동차-타입 퓨즈를 수용하도록 크기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의 퓨즈 소켓은 예를 들어 자동차 타입이 아닌 높은 전류용량 퓨즈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의 퓨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도시된 퓨즈 홀더(400)는 네 개의 이러한 퓨즈 소켓을 갖지만, 퓨즈 홀더(400)의 대체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퓨즈 소켓(예를 들면, 여덟 개 또는 열여섯 개의 퓨즈 소켓)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퓨즈 소켓(404)은 제 1 퓨즈의 블레이드가 제 1 퓨즈 소켓(404)의 라인측 및 부하측 클립(416, 418) 내에 삽입될 때 제 1 퓨즈(도시되지 않음)를 가로질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수형 라인측 단자(412) 및 제 1 수형 부하측 단자(414)를 갖는다. 제 2 퓨즈 소켓(406)은 제 2 퓨즈의 블레이드가 제 2 퓨즈 소켓(406)의 라인측 및 부하측 클립(424, 426) 내에 삽입될 때 제 2 퓨즈(도시되지 않음)를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수형 라인측 단자(420) 및 제 2 수형 부하측 단자(422)를 갖는다. 제 3 퓨즈 소켓(408)은 제 3 퓨즈의 블레이드가 제 3 퓨즈 소켓(408)의 라인측 및 부하측 클립(432, 434) 내에 삽입될 때 제 3 퓨즈(도시되지 않음)를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3 수형 라인측 단자(428) 및 제 3 수형 부하측 단자(430)를 갖는다. 제 4 퓨즈 소켓(410)은 제 4 퓨즈의 블레이드가 제 4 퓨즈 소켓(410)의 라인측 및 부하측 클립(440, 442) 내에 삽입될 때 제 4 퓨즈(도시되지 않음)를 가로질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4 수형 라인측 단자(436) 및 제 4 수형 부하측 단자(438)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퓨즈 홀더(400)의 각각의 퓨즈 소켓은 클립(또는 다른 퓨즈 연결 기구)의 임의의 적절한 배치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된 단자의 임의의 적절한 배치[예를 들면, 수형 라인측 단자(412, 420, 428, 436) 및/또는 수형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가 대신에 암형 단자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의 단자로서 제공될 수 있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시된 하우징(402)은 베이스 판(444) 및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이 수용되는 하우징(402)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판(444) 상에 장착되는 커버(446)를 갖는다. 커버(446)는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이 상호 병렬 배치되도록 그리고 각각의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의 클립(416, 418, 424, 426, 432, 434, 440, 442)이 그 안에 퓨즈가 삽입될 수 있게 액세스 가능하도록 다양한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의 클립(416, 418, 424, 426, 432, 434, 440, 442)을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슬롯(448)을 갖는다. 또한, 커버(446)는 수형 단자(412, 414, 420, 422, 428, 430, 436, 438)가 관련 회로[예를 들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제시되는 방식으로 라인측 회로(들)(102, 106, 110) 및 부하측 회로(들)(114, 118, 122, 126)]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액세스 가능하도록 다양한 수형 단자(412, 414, 420, 422, 428, 430, 436, 438)를 수용 및 지지하는 다수의 슬릿(450)을 갖는다. 적절하게, 하우징(402)[예를 들면, 베이스 판(444)]은 또한 퓨즈 홀더(400)를 예를 들어 자동차의 프레임과 같은 적절한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해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 또는 나사)를 수용하도록 크기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452)을 갖는다.
이제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의 하나 이상은 퓨즈 홀더(400)에 구비된 퓨즈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급전되기 위해 퓨즈 홀더(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 예로서 사용되는 다양한 배전 계획에서,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 각각은 부하 와이어(116, 120, 124, 128)의 적절한 연결에 의해 퓨즈 홀더(400)의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 각각에 연결된다[예를 들어, 제 1 부하측 회로(114)는 제 1 부하 와이어(116)를 거쳐서 제 1 부하측 단자(414)에 연결되고, 제 2 부하측 회로(118)는 제 2 부하 와이어(120)를 거쳐서 제 2 부하측 단자(422)에 연결되며, 제 3 부하측 회로(122)는 제 3 부하 와이어(124)를 거쳐서 제 3 부하측 단자(430)에 연결되고, 제 4 부하측 회로(126)는 제 4 부하 와이어(128)를 거쳐서 제 4 부하측 단자(438)에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의 각각은 퓨즈 홀더(400)의 각각의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에 구비되는 그 전용 퓨즈를 갖는다. 또한 이하에 제공되는 예시적 배전 계획을 제외한 일부 배전 계획에서 퓨즈 홀더(400)는 각각의 부하측 회로가 점유하는 그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 전체가 없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예를 들어,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의 하나 이상은 비점유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고, 버스 모듈(200)은 따라서 비점유된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가 배전 시스템(100)의 사용 중에 탈여기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다시 특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버스 모듈(200)을 고려하면, 사용자는 뚜껑(210)을 쉘(206)의 레일(314)에서 스냅 오프시키고 제 1 라인 와이어(104)의 와이어 러그(예를 들면, 블레이드 단자)를 볼트(272) 주위의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8)와 너트(274) 사이에 클램핑시킴으로써 제 1 라인 와이어(104)를 버스 바아(212)의 러그 커넥터(214)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 1 라인 와이어(104)를 러그 커넥터(214)에 연결한 후, 뚜껑(210)은 제 1 라인 와이어(104)가 뚜껑(210)의 배면 개구(322)를 통과하도록 레일(314) 상에 스냅 백될 수 있으며, 제 1 라인 와이어(104)와 러그 커넥터(21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사용자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차단하고 예를 들어 습기 및 먼지와 같은 환경적 관심사에 대한 노출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뚜껑(210)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기술된 것처럼 버스 모듈(200)을 제 1 라인 와이어(10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전에, 사용자는 먼저 버스 모듈(200)의 어떤 구조가 자신이 원하는 배전 계획에 최상으로 맞는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 제시된 것은 버스 모듈(200)의 적응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여러가지 배전 계획 중 몇 가지에 불과하다.
이제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버스 모듈(200)의 도시된 구조[이하에서, 버스 모듈(200)의 표준 구조로 지칭됨]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 전체가 제 1 라인측 회로(102)를 사용하여 급전되는 제 1 배전 계획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전술한 방식으로 버스 모듈(200)을 제 1 라인 와이어(104)에 연결하며, 이후 사용자는 간단히 퓨즈 홀더(400)의 수형 라인측 단자(412, 420, 428, 436)의 각각을 버스 모듈(200)의 암형 단자(258, 260, 262, 264) 각각의 전방 개구(266) 내에 삽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배전 계획은 표준 구조의 버스 모듈(200)을 하기 방식으로 퓨즈 홀더(400)에 연결함으로써 실행된다: 퓨즈 홀더(400)의 제 1 수형 라인측 단자(412)는 버스 모듈(200)의 제 1 슬리브(292) 내의 제 1 암형 단자(258)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고; 퓨즈 홀더(400)의 제 2 수형 라인측 단자(420)는 버스 모듈(200)의 제 2 슬리브(294) 내의 제 2 암형 단자(260)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며; 퓨즈 홀더(400)의 제 3 수형 라인측 단자(428)는 버스 모듈(200)의 제 3 슬리브(296) 내의 제 3 암형 단자(262)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고; 퓨즈 홀더(400)의 제 4 수형 라인측 단자(436)는 버스 모듈(200)의 제 4 슬리브(298) 내의 제 4 암형 단자(264)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된다. 제 1 라인측 회로(102)로부터의 전력은 이후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의 각각이 퓨즈 홀더(400)의 각각의 퓨즈 소켓(404, 406, 408, 410)의 각각에 구비된 퓨즈에 의해 과전류로부터 보호되도록 부하측 회로(114, 118, 122, 126) 전체에 그 각각의 부하측 단자(414, 422, 430, 438) 및 부하 와이어(116, 120, 124, 128)를 거쳐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버스 모듈(200)을 그 표준 구조에서 제 1 수정 구조로 변환하면, 사용자는 대신에 제 1, 제 2 및 제 3 부하측 회로(114, 118, 122)가 제 1 라인측 회로(102)에 의해 급전되고 제 4 부하측 회로(126)가 제 2 라인측 회로(106)에 의해 급전되는 제 2 배전 계획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을 간략히 참조하면, 버스 모듈(200)은 간단히 예를 들어 적절한 가위 쌍과 같은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제 2 웨브 구역(290)에서 우측 플랭크 구역(286)을 허브 구역(28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그 제 1 수정 구조(도 14에 도시됨)로 쉽게 변환될 수 있다. 우측 플랭크 구역(286)의 분리 시에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것은 제 2 웨브 구역(290)의 홈(332)과 백 패널(208)의 노치(336)이며, 이는 절단 장치 정렬 특징부로서 및 절단 장치가 보다 쉽게 통과할 수 있는 얇은(또는 취약한) 부위로서 작용한다. 고려되는 실시예에서도, 얇거나 취약한 부위는 절단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스냅 오프-타입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런 식으로 제 2 웨브 구역(290)에서 우측 플랭크 구역(286)을 허브 구역(28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도체(204)의 제 2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32)는 그 절단 단부(454)에서 절단되고 노출된다. 도 13에 도시하듯이, 버스 모듈(200)에는 제 2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32)의 절단 단부(454)를 사용자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차단하고 환경적 관심사(예를 들면, 습기, 먼지 등)에 대한 노출로부터 차단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는 캡(456)이 제공된다. 도시된 캡(456)은 개방 단부(458), 폐쇄 단부[또는 단부 벽(460)], 및 가이드 벽(462) 사이에서 실드 벽(464)이 연장되도록 상기 개방 단부(458)로부터 단부 벽(460)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가이드 벽(462)을 갖는다. 가이드 벽(462)의 각각은 개방 단부(458)로부터 단부 벽(460)을 향해서 연장되는 채널(468)이 형성되는 내표면(466)을 가지며, 가이드 벽(462)의 각각은 또한 개방 단부(458)에 형성되는 멈춤부(470)를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4를 집단적으로 참조하면, 캡(456)은 리브(334) 각각을 멈춤부(470)가 백 패널(208)의 탭(338) 상에 가요적으로 클립될 때까지 개방 단부(458)를 통해서 각각의 채널(468) 내로 이 채널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 2 웨브 구역(290)의 허브측 세그먼트(34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캡(456)이 제 2 웨브 구역(290)의 허브측 세그먼트(340)에 부착되면, 버스 모듈(200)은 그 제 1 수정된 구조[이하에서 수정 버스 모듈(200')로 지칭됨]에 있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적절하게, 분리된 우측 플랭크 구역(286)이 배전 시스템(100)에서 더 이상 유용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이제 분리된 우측 플랭크 구역(286)을 적절한 방식으로 폐기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도 15를 참조하면, 수정 버스 모듈(200')을 사용하여 제 2 배전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수정 버스 모듈(200')을 전술한 러그 커넥터(214)를 거쳐서 제 1 라인 와이어(104)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이후 간단히 수형 라인측 단자(412, 420, 428)를 수정 버스 모듈(200')의 각각의 암형 단자(258, 260, 262) 내에 삽입함으로써 제 1 라인측 회로(102)를 사용하여 제 1, 제 2 및 제 3 부하측 회로(114, 118, 122)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배전 계획은 수정 버스 모듈(200')을 하기 방식으로 퓨즈 홀더(400)에 연결함으로써 실행된다: 퓨즈 홀더(400)의 제 1 수형 라인측 단자(412)는 수정 버스 모듈(200')의 제 1 슬리브(292) 내의 제 1 암형 단자(258)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고; 퓨즈 홀더(400)의 제 2 수형 라인측 단자(420)는 수정 버스 모듈(200')의 제 2 슬리브(294) 내의 제 2 암형 단자(260)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되며; 퓨즈 홀더(400)의 제 3 수형 라인측 단자(428)는 수정 버스 모듈(200')의 제 3 슬리브(296) 내의 제 3 암형 단자(262)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퓨즈 홀더(400)의 제 4 수형 라인측 단자(436)는 제 2 라인 와이어(108)에 부착된 적절한 암형 커넥터 단자(500) 및 제 2 라인측 회로(106) 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하기 위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식으로, 제 1 라인측 회로(102)로부터의 전력이 제 1, 제 2 및 제 3 부하측 단자(414, 422, 430)를 가로질러 제 1, 제 2 및 제 3 부하측 회로(114, 118, 122)에 공급될 수 있으며[이들 부하측 회로(114, 118, 122)의 각각은 퓨즈 홀더(400)의 제 1, 제 2 및 제 3 퓨즈 소켓(404, 406, 408)에 구비된 퓨즈의 각각에 의해 과전류로부터 보호됨], 제 2 라인측 회로(106)로부터의 전력이 제 4 부하측 단자(438)를 가로질러 제 4 부하측 회로(126)에 공급될 수 있다[제 4 부하측 회로(126)는 퓨즈 홀더(400)의 제 4 퓨즈 소켓(410)에 구비된 퓨즈에 의해 과전류로부터 보호됨].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로 버스 모듈(200)은 제 3 배전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제 3 수정 구조로 변환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 1 부하측 회로(114)는 제 3 라인측 회로(110)에 의해 급전되고; 제 2 및 제 3 부하측 회로(118, 122)는 제 1 라인측 회로(102)에 의해 급전되며; 제 4 부하측 회로(126)는 제 2 라인측 회로(106)에 의해 급전된다. 버스 모듈(200)을 그 제 3 수정 구조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버스 모듈(200)을 그 표준 구조에서 전술한 그 제 1 수정 구조로 변환한다. 이후, 수정 버스 모듈(200')에 대해서, 사용자는 앞서 제 2 웨브 구역(290)에서 우측 플랭크 구역(286)이 허브 구역(282)으로부터 분리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웨브 구역(288)에서 좌측 플랭크 구역(284)을 허브 구역(282)으로부터 분리한다[즉, 제 1 웨브 구역(288)을 절단하고 제 1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226)의 결과적 절단 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제 1 웨브 구역(288)에 도 13의 캡(456)과 같은 캡을 부착함으로써].
그 제 3 구조에 있는 버스 모듈(200)이 퓨즈 홀더(400)의 제 2 및 제 3 수형 라인측 단자(420, 428)에 연결될 때, 제 1 및 제 4 수형 라인측 단자(412, 436)는 각각 제 3 및 제 2 라인측 회로(110, 106)를 각각 사용하여 제 1 및 제 4 부하측 회로(114, 126)에 각각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 3 및 제 2 라인 와이어(112, 108)의 암형 러그 커넥터의 연결을 위해 접근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배전 계획과 같이, 제 2 및 제 3 부하측 회로(118, 122)는, 제 3 배전 계획의 경우에, 제 1 라인 와이어(104) 및 이제 두 번 수정된 버스 모듈(200)의 제 2 및 제 3 퓨즈 소켓(406, 408) 각각에 삽입된 관련 퓨즈를 가로질러 제 1 라인측 회로(102)에 의해 여전히 급전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가 다수의 미리 결정된 배전 계획 사이에서 보다 쉽게,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선택[즉, 어떤 하나 이상의 부하측 회로가 하나 이상의 퓨즈를 가로질러 어떤 하나 이상의 라인측 회로에 의해 급전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버스 모듈(200) 및/또는 퓨즈 홀더(400)를 갖는 배전 시스템의 제공을 촉진한다. 적절하게, 버스 모듈(200)은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배전 계획의 실행을 촉진하기 위해 퓨즈 홀더(400)의 소정 개수의 라인측 단자와의 그 연결에 맞게 수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배전 시스템(100)은 또한 퓨즈 홀더(400)의 소정 개수의 부하측 단자에 대한 부하측 버스 모듈의 연결을 촉진하여, 더 넓은 세트의 배전 계획의 실행을 촉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버스 모듈(200)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부하측 버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개념의 이점과 장점은 이제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된 것으로 믿어진다.
배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배전 시스템은 다수의 라인측 단자를 갖는 퓨즈 홀더를 구비한다. 배전 시스템은 또한 포위체와 포위체 내에 배치된 전도체를 갖는 버스 모듈을 구비한다. 전도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 부재를 갖는 빗-형태 버스를 구비하고, 각각의 분기 부재는 상기 퓨즈 홀더의 라인측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현한다.
경우에 따라, 퓨즈 홀더는 자동차-타입 퓨즈를 수용하도록 각각 크기형성된 다수의 퓨즈 소켓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퓨즈 홀더의 라인측 단자의 각각은 수형 타입일 수 있고, 버스 모듈의 단자의 각각은 암형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암형 단자의 각각은 전방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버스 모듈은 암형 단자의 전방 개구가 포위체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그 안에 버스 바아가 배치되는 포위체를 구비할 수 있다. 포위체는 버스 바아로부터 암형 단자 중 하나 이상의 제거를 촉진하는 취약 부위와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버스 모듈은 제거된 암형 단자 대신에 포위체에 부착될 수 있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버스 모듈은 푸시-타입 연결 및 풀-타입 분리에 의해 퓨즈 홀더에 연결될 수 있다.
배전 시스템용 버스 모듈의 실시예도 개시되었다. 버스 모듈은 전류 입력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빗-형태 버스 바아를 구비한다. 상기 버스 바아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 부재를 가지며, 상기 분기 부재의 각각은 버스 바아의 암형 단자를 구현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입력 단자는 버스 바아와 별도로 형성되어 버스 바아에 결합되는 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분기 부재는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추가로, 분기 부재는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복있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형 단자의 각각은 전방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버스 모듈은 암형 단자의 전방 개구가 포위체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그 안에 버스 바아가 배치되는 포위체를 구비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포위체는 버스 바아로부터 암형 단자 중 하나 이상의 절단 또는 제거를 촉진하는 취약 부위와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모듈은 제거된 암형 단자 대신에 포위체에 부착될 수 있는 캡을 구비할 수 있다.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의 실시예도 개시되었다. 이 퓨즈 홀더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퓨즈 소켓, 및 상기 퓨즈 소켓의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형, 라인측 단자를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상기 라인측 단자의 하나가 퓨즈 클립의 각각과 일체로 몰딩되도록 퓨즈 클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자동차-타입 퓨즈를 수용하도록 크기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자동차-타입 퓨즈의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각각 크기형성된 한 쌍의 퓨즈 클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 홀더는 퓨즈 소켓의 각각이 하나의 관련 부하측 단자 및 하나의 관련 라인측 단자를 갖도록 퓨즈 소켓의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하측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최선의 양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또한 통상의 기술자가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의 제조 및 사용과 임의의 통합된 방법의 수행을 포함하는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예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 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되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청구범위의 문언과 다르지 않은 구성 요소를 가질 경우에 또는 청구범위의 문언과 별 차이가 없는 균등한 구성 요소를 가질 경우에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0: 배전 시스템
102, 106, 110: 라인측 회로
104, 108, 112: 제 1 라인 와이어
114, 118, 122, 126: 부하측 회로
116, 120, 124, 128: 부하 와이어
200, 200': 버스 모듈 202: 포위체
204: 전도체 212: 버스 바아
214: 러그 커넥터(전류 입력 단자)
216: 베이스 부재
218, 220, 222, 224: 종방향 베이스 세그먼트
226, 232: 하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
228: 상부 측방 베이스 세그먼트
238, 240, 242, 244: 분기 부재
246: 종방향 분기 세그먼트
248: 아암 세그먼트 258, 260, 262, 264: 암형 단자
272: 볼트 274: 너트
282: 허브 구역 284, 286: 플랭크 구역
288, 290: 웨브 구역 292, 294, 296, 298: 슬리브
300: 허브 구획 400; 퓨즈 홀더
402: 하우징 404, 406, 408, 410: 퓨즈 소켓
412, 414, 420, 422, 428, 430, 436, 438: 수형 단자
416, 418, 424, 426, 432, 434, 440, 442: 클립
444: 베이스 판 446: 커버
456: 캡 460: 단부 벽
462: 가이드 벽 464: 실드 벽
500: 암형 커넥터 단자

Claims (20)

  1. 배전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라인측 단자를 포함하는 퓨즈 홀더 ― 상기 퓨즈 홀더의 라인측 단자의 각각은 수형 타입임 ―; 및
    포위체와, 상기 포위체 내에 배치되는 전도체를 포함하는 버스 모듈 ― 상기 전도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 부재를 갖는 빗-형태 버스 바아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기 부재는 상기 퓨즈 홀더의 라인측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는 암형 단자를 구현함 ― 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모듈의 암형 단자의 각각은 암형 타입이며, 상기 암형 단자의 각각은 전방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아는 암형 단자의 전방 개구가 포위체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포위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포위체는 버스 바아로부터 암형 단자 중 하나 이상의 절단 또는 제거를 촉진하는 취약 부위와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모듈은 제거된 암형 단자 대신에 포위체에 부착될 수 있는 캡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홀더는 퓨즈를 수용하도록 각각 크기형성된 다수의 퓨즈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모듈은 푸시-타입 연결 및 풀-타입 분리에 의해 퓨즈 홀더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8. 배전 시스템용 버스 모듈에 있어서,
    전류 입력 단자;
    상기 전류 입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빗-형태 버스 바아 ― 상기 버스 바아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 부재의 각각은 버스 바아의 암형 단자를 구현하며, 상기 암형 단자의 각각은 전방 개구를 포함함 ―;
    상기 암형 단자의 전방 개구가 포위체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그 안에 버스 바아가 배치되는 포위체 ― 상기 포위체는 버스 바아로부터 암형 단자 중 하나 이상의 절단 또는 제거를 촉진하는 취약 부위와 정렬 특징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및
    제거된 암형 단자 대신에 포위체에 부착될 수 있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입력 단자는 빗-형태 버스 바아와 별도로 형성되어 빗-형태 버스 바아에 결합되는 러그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 부재는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기복있는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홀더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다수의 퓨즈 소켓; 및
    상기 퓨즈 소켓의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형, 라인측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상기 라인측 단자의 하나가 퓨즈 클립의 각각과 일체로 몰딩되도록 퓨즈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퓨즈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켓의 각각은 퓨즈의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각각 크기형성된 한 쌍의 퓨즈 클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퓨즈 소켓의 각각이 하나의 관련 부하측 단자 및 하나의 관련 라인측 단자를 갖도록 퓨즈 소켓의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하측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시스템.
KR1020160098720A 2015-08-05 2016-08-03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 KR102605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18,543 US9691580B2 (en) 2015-08-05 2015-08-05 Fuse holder and configurable bus module for power distribution system
US14/818,543 2015-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762A KR20170017762A (ko) 2017-02-15
KR102605117B1 true KR102605117B1 (ko) 2023-11-24

Family

ID=5805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720A KR102605117B1 (ko) 2015-08-05 2016-08-03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1580B2 (ko)
KR (1) KR102605117B1 (ko)
CN (1) CN106449329B (ko)
TW (1) TWI705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048B2 (en) * 2015-05-15 2018-04-17 Yazaki North America, Inc. Splitter terminal and connector
US10395878B2 (en) * 2016-05-24 2019-08-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dular fuse holder and arrangement and connection thereof
US11189450B2 (en) * 2018-06-06 2021-11-30 Littelfuse, Inc. Low profile integrated fuse module
USD888102S1 (en) * 2018-06-19 2020-06-23 Curtis O'Hare Flat air manifold and connector
KR102383612B1 (ko) * 2018-09-19 2022-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시트 및 자기장 차폐시트의 제조방법
CN111224266A (zh) * 2020-01-08 2020-06-02 深圳市欣旺达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桥接件及直通式接线端子
WO2022109594A1 (en) * 2020-11-20 2022-05-27 Wohner Besitz Gmbh Fuse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6621A (zh) * 2007-04-10 2008-10-15 李尔公司 电力分配箱
CN101341567A (zh) * 2005-11-07 2009-01-07 库帕技术公司 功率分配熔断器保持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5319A1 (de) * 1982-07-07 1984-01-12 Zünderwerk Rudolf Brüggemann, 5300 Bonn Bausatz von bauelementen mit klemmhaltern zum loesbaren befestigen von sicherungselementen, insbesondere zur absicherung von stromkreisen in fahrzeugen
DE3581138D1 (de) * 1984-08-07 1991-02-07 Sumitomo Wiring Systems Steckverbindervorrichtung zum anschliessen von elektrischen kabeln.
JPH073588Y2 (ja) * 1990-06-27 1995-01-30 矢崎総業株式会社 中継端子
AU703483B2 (en) * 1997-04-24 1999-03-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on box having a junction block therein
US6227913B1 (en) * 1998-06-22 2001-05-0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bus member and connector assembly
US6302709B1 (en) * 2000-06-05 2001-10-16 Power-One, Inc. Multiple function high current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bus bar
US6558198B2 (en) * 2000-11-30 2003-05-0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Fuse device and fuse device connecting structure
JP3958704B2 (ja) * 2003-04-22 2007-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誤挿入防止栓
US7499262B1 (en) * 2007-09-11 2009-03-03 Lea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us bar
US8665056B2 (en) * 2010-05-18 2014-03-04 Littlefuse, Inc. Fuse assembly
CN203573926U (zh) * 2013-09-26 2014-04-30 德尔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组合式保险丝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1567A (zh) * 2005-11-07 2009-01-07 库帕技术公司 功率分配熔断器保持器
CN101286621A (zh) * 2007-04-10 2008-10-15 李尔公司 电力分配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2718A (zh) 2017-04-01
US9691580B2 (en) 2017-06-27
CN106449329A (zh) 2017-02-22
KR20170017762A (ko) 2017-02-15
CN106449329B (zh) 2020-06-02
TWI705469B (zh) 2020-09-21
US20170040777A1 (en)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117B1 (ko) 배전 시스템용 퓨즈 홀더 및 설정 가능한 버스 모듈
US7618265B2 (en) Electrical connection-and junction box for a solar cell module
JP6267716B2 (ja) エネルギバスシステムを備えた電気的モジュール構成
DE19924911B4 (de) Stromverteilerblock
US8684758B2 (en) Terminal unit having fused combiner/distribution bus bar assembly
US20150111426A1 (en) Contact protection system for power busbars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US6753754B1 (en) Variably fusable power distribution block kit
US9937798B2 (en) Wrap around bus bar for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JP2014022303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CN111095468A (zh) 低轮廓集成熔断器模块
JP7033595B2 (ja) バッテリー端子ヒューズモジュール
US20110147175A1 (en) Terminal Reversing Block
KR101873066B1 (ko)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7420205B2 (ja) 電気接続箱
EP1130683A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EP2131381B1 (fr) Boîtier de fusible à faible encombrement
CN213243057U (zh) 一种配电箱汇流排
JP2004127704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KR20170034666A (ko)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CN109193443A (zh) 包括中性点连接装置的配电系统及其组装方法
WO2018192584A1 (zh) 通用单元以及电池模块
CN108475861B (zh) 用于高压电缆的电连接的封壳
KR200475784Y1 (ko)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