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84Y1 -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84Y1
KR200475784Y1 KR2020130007985U KR20130007985U KR200475784Y1 KR 200475784 Y1 KR200475784 Y1 KR 200475784Y1 KR 2020130007985 U KR2020130007985 U KR 2020130007985U KR 20130007985 U KR20130007985 U KR 20130007985U KR 200475784 Y1 KR200475784 Y1 KR 200475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erminal
conductor terminal
base block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일
김창환
양성모
김명진
최준배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주)
Priority to KR2020130007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블록, 이 베이스블록에 구비되어 베이스블록의 일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입력전선과 베이스블록의 타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출력전선을 일대일로 통전시키는 도체바, 및 이웃한 상기 도체바끼리를 쇼트(short)시키거나 쇼트 해제시키는 쇼트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본 고안은 종래 기술과 달리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시티(CT)단자가 쇼트(short) 되도록 하여 시티 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PROTECTIVE TERMINAL AGAINST CT OPEN}
본 고안은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시티(CT)단자가 쇼트(short) 되도록 하여 시티 소손을 방지하고,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동력 수용가 대부분은 154kV 송전계통에서 송?수전하고 초대형 일부 수용가는 345kV 송전계통에서 송,수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154kV 및 345kV의 송전계통에서는 계통보호와 전력설비의 절연협조를 위하여 유효접지계통인 3상 3선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배전계통은 22.9kV 3상 4선식 다중접지계통으로 운용되며, 이는 10,000kW 미만 수용가의 수급계통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력거래 방식은 22.9kV 계통은 3상 4선식(3소자방식)으로 계량되고, 일부 154kV 계통 수용가는 3상 3선식(2소자방식)으로 계량되고 있다.
특히, 단락회로부 터미널 단자대는 쇼트 볼트에 의해 CT회로의 단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터미널 단자대이다. 단락회로부 터미널 단자대는 고정식과 패널 조립식으로 되어 있다.
패널 조립식 단락회로부 터미널 단자대는 필요한 회로수에 따라 유닛 블록의 수를 증감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베이스 패널에는 다수의 유닛 블록이 끼워져 구성된다.
그리고, 각 유닛 블록은 격벽을 가진 몸체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의 저면부에 터미널 단자편이 밀착하여 설치되고, 지지대에는 쇼트블록이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터미널 단자편을 단락 시키게 되어 있다.
종래의 시티단자대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3924호(2005. 01. 12.)에 단락 회로부 터미널 단자대가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시티단자대는 쇼트블록을 조작하지 않고 결선 해체하여 CT소손 작업을 하기 때문에 PT선과 CT선의 혼돈으로 인해 결선 실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시티(CT)단자가 쇼트(short) 되도록 하여 시티 소손을 방지하고,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입력전선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타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출력전선을 일대일로 통전시키는 도체바, 및 이웃한 상기 도체바끼리를 쇼트(short)시키거나 쇼트 해제시키는 쇼트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쇼트설정부는, 이웃하는 상기 도체바 중 어느 한 도체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는 제 1도체단자, 다른 한 도체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도체단자에 접하며 쇼트 유도하는 제 2도체단자, 및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의 접촉 부위에 삽입되며 쇼트 해제시키는 절연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핀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의 접촉 부위 개수만큼 구비되고,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는 대응되는 도체바에 도체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도체단자는 수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도체단자는 상기 수용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는 커버를 벗겨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시티(CT)단자가 쇼트(short) 되도록 하여 시티 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서 플레이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 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로부터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서 플레이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에 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로부터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티(CT) 개방방지용 단자대(100)는 베이스블록(110), 도체바(120) 및 쇼트설정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블록(110)은 단자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체바(120)와 쇼트설정부(130)를 구비하여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을 통전시키도록 안내한다.
베이스블록(110)은 절연체로 이뤄진다.
아울러, 베이스블록(110)은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의 입력장착홈부(114)를 갖도록 격벽(112)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블록(110)은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입력장착홈부(114)에 일대일 대응되는 출력장착홈부(116)를 갖도록 격벽(112)을 형성한다.
편의상, 입력장착홈부(114)와 출력장착홈부(116)는 4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도체바(120)는 베이스블록(110) 내측에 구비된다.
특히, 도체바(120)는 일대일 대응되는 입력장착홈부(114)와 출력장착홈부(116) 중 입력장착홈부(114)에 일측이 노출되고, 출력장착홈부(116)에 타측이 노출된다.
이에 따라, 도체바(120)는 입력장착홈부(114)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베이스블록(110) 내측에 매립된다.
아울러, 입력장착홈부(114)에는 입력전선(2)을 연결한 입력단자(4)가 장착되고, 출력장착홈부(116)에는 출력전선(3)을 연결한 출력단자(5)가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입력전선(2)을 연결한 입력단자(4) 각각은 대응되는 도체바(120)의 일측에 접촉하게 되고, 출력전선(3)을 연결한 출력단자(5) 각각은 대응되는 도체바(120)의 타측에 접촉하게 된다.
각각의 입력전선(2)은 서로 다른 상(phase)을 나타낸다. 예로서, 입력전선(2) 각각은 A상, B상, C상 및 N상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A상인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해당되는 도체바(120)를 통해 통전되고, B상인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해당되는 도체바(120)를 통해 통전된다.
마찬가지로, C상인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해당되는 도체바(120)를 통해 통전되고, N상인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해당되는 도체바(120)를 통해 통전된다.
즉, 각각 A상, B상, C상 및 N상인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서로 독립되도록 베이스블록(110)에 장착되고, 각 도체바(120)는 독립되도록 베이스블록(110)에 매립된다.
한편, 서로 다른 상인 이웃한 도체바(120)가 쇼트(sort)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쇼트설정부(130)가 구비된다. 쇼트설정부(130)는 이웃한 도체바(120)끼리를 쇼트(short)시키거나 쇼트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쇼트설정부(130)는 제 1도체단자(132), 제 2도체단자(134) 및 절연핀부재(136)를 포함한다.
제 1도체단자(132)는 이웃한 도체바(120) 중 어느 한 도체바(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통전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 2도체단자(134)는 이웃한 도체바(120) 중 다른 한 도체바(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통전성을 갖으며, 대응되는 제 1도체단자(132)에 접하며 쇼트 유도한다.
즉, A상인 도체바(120), B상인 도체바(120), C상인 도체바(120) 및 N상인 도체바(120)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특히, B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을 향하는 A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에는 제 1도체단자(132)가 구비되고, A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을 향하는 B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에는 제 2도체단자(134)가 구비된다.
그리고, C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을 향하는 B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에는 제 1도체단자(132)가 구비되고, B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을 향하는 C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에는 제 2도체단자(134)가 구비된다.
아울러, N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을 향하는 C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에는 제 1도체단자(132)가 구비되고, C상인 도체바(120)의 타측을 향하는 N상인 도체바(120)의 일측에는 제 2도체단자(13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는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는 대응되는 도체바(120)에 도체탄성부재(138)에 의해 연결된다. 도체탄성부재(13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가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각 도체바(120)에 접속된 입력전선(2)과 출력전선(3)은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는 접촉 상태에서 접촉 면적이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쇼트 통전성을 향상시키고,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예로서, 제 1도체단자(132)는 제 2도체단자(134) 방향으로 수용돌기(133)를 돌출 형성하고, 제 2도체단자(134)는 수용돌기(13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부(135)를 형성한다.
이때, 수용돌기(133)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절연핀부재(136)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의 접촉 부위에 삽입되며 쇼트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연핀부재(136)는 플라스틱 등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의 접촉 부위 개수만큼 구비된다. 즉, 절연핀부재(136)는 제 1도체단자(132)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물론, 절연핀부재(1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작업자가 절연핀부재(136)를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쇼트 해제된다.
다시 말해서, 절연핀부재(136)는 A상인 도체바(120)와 B상인 도체바(120)의 쇼트를 해제하고, B상인 도체바(120)와 C상인 도체바(120)의 쇼트를 해제하며, C상인 도체바(120)와 N상인 도체바(120)의 쇼트를 해제한다.
따라서, 절연핀부재(136)는 복수 개 구비된다.
특히, 작업자가 일일이 절연핀부재(136)를 대응되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의 접촉 부위에 강제 삽입할 경우 감전 등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모든 절연핀부재(136)는 플레이트(137)에 일체로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플레이트(137)를 잡고 절연핀부재(136)를 접촉하고 있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의 접촉 부위로 강제 삽입하게 된다.
이때, 도체바(120)와 제 1도체단자(132) 및 제 2도체단자(134)는 베이스블록(110) 내측에 매립되거나 내측의 밀폐된 공간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블록(110)은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의 접촉 부위 각각으로 절연핀부재(136)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115)을 형성한다.
한편, 절연핀부재(136)가 대응되는 제 1도체단자(132)와 제 2도체단자(134)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137)는 체결부재(139)에 의해 베이스블록(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결부재(139)는 볼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단자대 110: 베이스블록
120: 도체바 130: 쇼트설정부
132: 제 1도체단자 134: 제 2도체단자
136: 절연핀부재 138: 도체탄성부재

Claims (6)

  1.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복수 개 구비되고, 각각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입력전선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타측을 따라서 독립되게 접속되는 출력전선을 일대일로 통전시키는 도체바; 및
    이웃한 상기 도체바끼리를 쇼트(short)시키거나 쇼트 해제시키는 쇼트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쇼트설정부는, 이웃하는 상기 도체바 중 어느 한 도체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는 제 1도체단자;
    다른 한 도체바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구비되어 대응되는 상기 제 1도체단자에 접하며 쇼트 유도하는 제 2도체단자; 및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의 접촉 부위에 삽입되며 쇼트 해제시키는 절연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핀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의 접촉 부위 개수만큼 구비되고, 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체단자와 상기 제 2도체단자는 대응되는 도체바에 도체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체단자는 수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 2도체단자는 상기 수용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KR2020130007985U 2013-09-26 2013-09-26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KR200475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985U KR200475784Y1 (ko) 2013-09-26 2013-09-26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985U KR200475784Y1 (ko) 2013-09-26 2013-09-26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84Y1 true KR200475784Y1 (ko) 2015-01-05

Family

ID=5258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985U KR200475784Y1 (ko) 2013-09-26 2013-09-26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02A (ja) 1999-05-10 2000-11-24 Nitto Electric Works Ltd Ct内蔵端子台
JP2008041423A (ja) 2006-08-07 2008-0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用保護カバー
JP2011082119A (ja) 2009-10-09 2011-04-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チェックターミナル端子部保護カバー
JP2013105689A (ja) * 2011-11-16 2013-05-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02A (ja) 1999-05-10 2000-11-24 Nitto Electric Works Ltd Ct内蔵端子台
JP2008041423A (ja) 2006-08-07 2008-02-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用保護カバー
JP2011082119A (ja) 2009-10-09 2011-04-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チェックターミナル端子部保護カバー
JP2013105689A (ja) * 2011-11-16 2013-05-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642B2 (en) Busbar system
US3263131A (en) Electric power busway with plug-in branch circuit takeoff
US9343250B2 (en) Compact bus bar assembly, switchin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EP2181487B1 (en) Panelboard
US20160285216A1 (en) Bridging module for a profiled mounting rail
US3218519A (en) Protective device panel assembly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US9831570B2 (en) Terminal strip and terminal strip block
CN104637741A (zh) 塑壳断路器
PT93398B (pt) Dispositivo de montagem e de ligacao para alinhamento lateral de aparelhos electricos modulares
US3229066A (en) Center-fed fusible busway plug
US3769553A (en) Panelboard with insulative snap-in support means
US3211960A (en) Insulating mounting block and circuit interrupting device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US9524842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with a switch PCB over an internal pocket and behind a front cover
GB1447292A (en) Plug-on circuit breaker mounting device
US3333157A (en) Plug-in type control device panel assembly with angularly contrasting contact portions
US2897410A (en) Plug-in type circuit breaker panelboard
KR200475784Y1 (ko) 시티 개방방지용 단자대
EP1346387B1 (en) Supporting base for a circuit breaker
US3309581A (en) Panelboard with contact members having orthogonal engageable surfaces
US2997628A (en) Sequence bus panelboard
US2980824A (en) Load distributing arrangement
US4466678A (en) Mount for high-amp miniature relay on a printed-circuit board
CN108511999B (zh) 一种英标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