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850B1 - 휴대용 아령 - Google Patents

휴대용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850B1
KR102604850B1 KR1020217022239A KR20217022239A KR102604850B1 KR 102604850 B1 KR102604850 B1 KR 102604850B1 KR 1020217022239 A KR1020217022239 A KR 1020217022239A KR 20217022239 A KR20217022239 A KR 20217022239A KR 102604850 B1 KR102604850 B1 KR 102604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lance weight
balance
bas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308A (ko
Inventor
후이 샤오
Original Assignee
후이 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이 샤오 filed Critical 후이 샤오
Publication of KR2021010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1Replaceable resistance units of different strengths, e.g. for swa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8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means for fixing weights on bars, i.e. fixing olympic discs or bumper plates on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5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with variable weights, e.g. weight systems with weight selecting means for bar-bells or dumb-b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36Accessories for stowing, putting away or transporting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아령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연결로드(100),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 베이스(200),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포함하며, 손잡이 연결로드(100)는 연결로드(120)와 손잡이(110)를 포함하고, 분동 베이스(200)는 연결로드(120)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분동 베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210)이 개설되어 분동(400)을 조립하는데 사용하고, 잠금구조(300)는 연결로드(120)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일부를 분동 베이스(200) 내에 수납해 분동(400)을 신속히 조립해 넣어 잠그고 잠금을 해제하여 꺼내는 것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며; 아령으로 헬스하려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중량의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조립해 넣고 잠금구조(300)가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클램핑하여 연결시키며; 분동(400)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잠금구조(300)를 사용하여 분동(400)의 잠금을 해제하고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꺼내므로, 간단하고 편리하며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휴대용 아령
본 발명은 헬스기구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아령에 관한 것이다.
아령은 역도와 헬스 연습의 보조기구이다. 연습할 때 소리가 나지 않으므로,명칭을 아령이라 지었다. 아령은 근력 증강 훈련에 사용하는 간단한 기구이다. 그는 주요 재료가 주철이고 일부가 외부를 한 층의 고무로 피복하고 있다. 이의 용도는 근력 훈련, 근육 복합 동작 훈련에 사용하는 것이다. 운동마비, 통증, 장기간 활동하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근력이 저하된 환자는 손에 아령을 들고 아령의 중량을 이용하여 저항력 능동 운동을 진행해 근력을 훈련할 수 있다. 아령 연습을 장기간 하면 근육 라인을 예쁘게 다듬고 근지구력을 늘릴 수 있으며, 일상적으로 중량이 큰 편인 아령으로 연습하면 근육이 단단해지도록 하고 근섬유가 강건해지도록 하며 근력을 늘릴 수 있다.
현재 아령은 중량고정형과 중량조절가능형 2개가 있다. 중량 조절이 가능한 것은 통상적으로 중량이 다른 다수 개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分銅)을 배치하고 사용자의 수요에 근거해 적절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分銅)을 장착해 헬스 연습을 진행하지만, 이러한 장착과정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번거로워 먼저 너트를 돌려 풀어준 후, 밸런스 웨이트 분동(分銅)을 장착하고, 다시 너트를 단단히 잠그어야 하므로, 장착 또는 분리 과정에서 비교적 시간이 낭비되고 효율이 높지 않다.
따라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分銅)을 신속하게 장착하고 분리하는 휴대용 아령을 제공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휴대용 아령은 손잡이 연결로드,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연결로드는 손잡이와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로드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이 개설되어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일부를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 내에 수납해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신속히 조립해 넣어 잠그고 잠금을 해제하여 꺼내는 것을 제어하는 데 사용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회전스위치,고정축, 분동 버클부재와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에 차단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스위치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씌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 장착하고, 상기 분동 버클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장착하여 일단이 차단블록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단을 분동 버클부재에 장착하고,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의 내층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회전축, 지지대, 위치한정 부재와 장착캡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연결로드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지지대와 회전축은 나사산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위치한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장착캡은 회전축과 나사산을 통해 연결하고 일단이 위치한정 부재와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위치한정 부재에 다수 개의 압력각(pressure angle)을 구비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은 일단에 오목홈이 개설되고 손잡이에 가까운 일단은 곡면구조 또는 사면구조 중 하나이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동 버클부재는 제1 탄성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면이 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 중 하나이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위치한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로드에 씌워 설치하여, 각각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의 위치한정부 및 회전스위치와 서로 밀착해 클램핑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위치한정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에 제1 갭이 개설되고, 상기 위치한정기둥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제1 갭 내에 수납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아령은 제3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 장착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의 일단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각각 제2 갭이 개설되고, 회전스위치 내층에는 제2 갭과 서로 매칭되는 제3 갭이 개설된다.
그 중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구형 구조 또는 원기둥형 구조 또는 다각형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휴대용 아령은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 베이스와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의 매칭 설치를 통해, 아령으로 헬스하려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조립홀 내에 조립해 넣고, 밸런스 웨이트 잠금구조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조립홀 내에 클램핑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탈하는 것을 피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의 잠금을 해제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조립홀로부터 꺼내므로, 간단하고 편리하며 시간이 절약되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조립 구조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하나의 각도의 잠금구조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다른 하나의 각도의 잠금구조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오픈구조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 잠금구조의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손잡이 연결로드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조립구조 설명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아령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과 장점이 더 뚜렷해지고 알기 쉽도록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 실시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세부 사항을 기재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많은 기타의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고,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에 내포된 의미에 위배되지 않는 상황에서 유사한 개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공개한 구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소자를 다른 하나의 소자에 “고정” 또는 “설치”한다는 것은 그가 직접 다른 하나의 소자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중간의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하나의 소자가 다른 하나의 소자를 “연결”한다는 것은 직접 다른 하나의 소자와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중간 소자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본문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수직되는”, “수평되는”, “좌”, “우” 와 유사한 표현은 설명을 목적으로 할 뿐이며, 유일한 실시방식이라는 것은 표시하지 않는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한, 본문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술용어와 과학용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와 같다. 본문 중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본문이 사용하는 용어인 “및/또는”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관련 열거 항의 어느 한 조합과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또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용 아령은 손잡이 연결로드(100),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분동(分銅) 베이스(200),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연결로드(100)는 손잡이(110)와 연결로드(12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110)는 상기 연결로드(120)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는 상기 연결로드(120)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210)이 개설되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는 상기 연결로드(120)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일부를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 내에 수납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신속히 조립해 넣어 잠그고 잠금을 해제하여 꺼내는 것을 제어하는 데 사용한다.
아령으로 헬스하려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조립해 넣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를 통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고정시키고, 더 나아가, 아령으로 헬스 훈련을 진행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잠금을 해제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서 꺼내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교체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아령은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와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의 매칭 설치를 통해, 아령으로 헬스하려 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조립해 넣고 밸런스 웨이트 잠금구조(300)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클램핑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탈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를 사용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잠금을 해제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꺼내므로, 간단하고 편리하며 시간이 절약되고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2, 도 3,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 나아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더 신속히 조립홀(210)에 조립해 넣어지거나 또는 조립홀(21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는 회전스위치(301), 고정축(302), 분동 버클부재(303), 제1 탄성부재(304)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301)에 차단블록(301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스위치(301)는 상기 연결로드(120)의 양단에 씌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302)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에 고정 장착하며, 상기 분동 버클부재(303)는 상기 고정축(302)에 장착하여, 일단이 차단블록(3011)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304)는 일단을 분동 버클부재(303)에 장착하고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의 내층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은 원기둥형 구조로서, 일단에 오목홈(401)이 개설되고 손잡이(110)에 가까운 일단은 곡면구조 또는 사면구조 중 하나이며, 상기 분동 버클부재(303)는 제1 탄성부재(304)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면이 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3031) 중 하나이다.
실시예 1: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에 오목홈(401)이 개설되며, 아령으로 헬스훈련을 진행하려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필요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에 넣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은 원기둥형 구조이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은 자체 중력 또는 외력의 작용 하에,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곡면 또는 사면 구조가 분동 버클부재(303)의 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3031)를 압착해 분동 버클부재(303)를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분동 버클부재(303)가 제1 탄성부재(304)의 변형 복원에 의한 탄력 작용 하에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 내에 포함되도록 하여, 분동 버클부재(303)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잠그도록 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조립홀(210) 내에 고정되도록 하여 이탈하는 것을 피하도록 구성하고, 더 나아가, 아령으로 헬스 훈련을 진행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회전스위치(301)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회전스위치(301)의 차단블록(3011)이 동시에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더 나아가, 버클부재(303)가 회전스위치(301)에 가까운 일단을 움직이고 회전시켜 분동 버클부재(303)가 오목홈(401)과 분리될 때까지 버클부재(303)의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꺼내는 동시에, 제1 탄성부재(304)가 압축되며, 회전스위치(301)를 놓을 경우, 제1 탄성부재(304)는 변형을 복원하고 분동 버클부재(303)를 움직여 미리 설정한 위치로 리턴해야 한다.
이와 같이, 회전스위치(301), 분동 버클부재(303)와 제1 탄성부재(304)의 매칭 설치와 회전스위치(301)의 회전을 통해, 분동 버클부재(303)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에 클램핑하여 연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오목홈을 떠나도록 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잠그려 하는 경우에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자체 중력 또는 외력의 작용 하에,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곡면 또는 사면 구조가 분동 버클부재(303)의 사면 또는 곡면을 압착해 분동 버클부재(303)를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분동 버클부재(303)가 제1 탄성부재(304)의 변형 복원에 의한 탄력 작용 하에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 내에 포함되도록 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꺼내려 하는 경우에는 회전스위치(301)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회전스위치(301)의 차단블록(3011)이 동시에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더 나아가, 버클부재(303)가 회전스위치(301)에 가까운 일단을 움직이고 회전시키어 분동 버클부재(303)가 오목홈(401)과 분리될 때까지 버클부재(303)의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에서 꺼내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는 데 편리하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 나아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는 회전축(305), 지지대(306), 위치한정 부재(307)와 장착캡(308)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5)의 일단은 상기 연결로드(120)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지지대(306)와 회전축(305)은 나사산을 통해 연결하고, 상기 위치한정 부재(307)는 상기 지지대(306)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장착캡(308)은 회전축(305)과 나사산으로 연결하고 일단이 위치한정 부재(307)와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위치한정 부재(307)에 다수 개의 압력각(pressure angle)(3071)을 구비한다.
실시예 2: 아령으로 헬스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중량의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에 조립해 넣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손잡이(110)의 일단과 멀어지고 조립홀(210)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며, 위치한정 부재(307)를 회전하고, 더 나아가, 지지대(306)를 움직여 회전축(305)에서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압력각(pressure angle)(3071)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단단히 압착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아령으로 헬스 훈련을 진행하며;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교체하려는 경우에는 위치한정 부재(307)를 회전하고, 더 나아가, 지지대(306)를 움직여 회전축(305)에서 시계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한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압력각(pressure angle)(3071)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으로부터 옮겨지도록 하고, 더 나아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꺼낸다.
이와 같이, 지지대(306)와 위치한정 부재(307)의 매칭 설치를 통해 위치한정 부재(307)를 회전시키고, 더 나아가, 압력각(3071)을 움직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내에 잠그거나 또는 조립홀(210)로부터 옮겨지도록 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신속히 조립홀(210)에 조립해 넣어지거나 또는 조립홀(21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5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 나아가, 회전스위치(301)가 더 신속히 원래 위치로 자동 리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는 제2 탄성부재(309)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에 위치한정부(20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309)는 상기 연결로드(120)에 씌워 설치하여 각각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의 위치한정부(201) 및 회전스위치(301)와 서로 밀착해 클림팽된다.
조립홀(210)로부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꺼내려 하는 경우, 회전스위치(301)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 방향을 향해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하고, 제2 탄성부재(309)는 위치한정부(201)와 회전스위치(301)의 공동 작용력 하에 변형이 발생하고, 회전스위치(301)를 회전하여 미리 설정한 각도에 도달한후, 분동 버클부재(303)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에서 이탈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튕겨 나온 다음,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꺼내며, 제1 탄성부재(304)의 변형 복원이 분동 버클부재(303)가 제1 미리 설정된 위치로 리턴하도록 하고, 따라서, 다시 회전스위치(301)가 제2 미리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며, 제2 탄성부재(309)의 변형 복원은 회전스위치(301)가 최초 위치로 복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탄성부재(309)의 설치를 통해, 회전스위치(301)가 최초 위치로 자동 복원될 수 있도록 하고, 아령의 사용효율이 더 향상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회전스위치(301)의 회전각도를 더 잘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는 위치한정기둥(3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301)에 제1 갭(3012)이 개설되고, 상기 위치한정기둥(310)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해 상기 제1 갭(3012) 내에 수납한다.
이와 같이, 회전스위치(301)를 회전할 때 위치한정기둥(310)이 구성되어 회전스위치(301)의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아주 잘 한정하며, 회전각도가 너무 크거나 또는 회전방향이 틀려 아령의 일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아령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에서 꺼내는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아령은 제3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에 고정 장착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일단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된다.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중에 넣고 일단이 제3 탄성부재와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 중에 잠그고, 제3 탄성부재가 압축되며,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교체하려 하는 경우에는 회전스위치(301)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을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회전스위치(301)의 차단블록(3011)이 동시에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하고, 더 나아가, 버클부재(303)가 회전스위치(301)에 가까이하는 일단을 움직이고 회전시켜 분동 버클부재(303)가 오목홈(401)과 분리될 때까지 버클부재(303)의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의 오목홈(40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꺼내고, 제3 탄성부재는 변형을 복원하고,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조립홀(210)로부터 튕겨 나온다.
이와 같이, 제3 탄성부재의 설치를 통해,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300)가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으로부터 옮겨질 때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을 조립홀(210)로부터 튕겨 내보내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편리하게 조립홀(21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 나아가, 회전스위치(301)를 잘못 회전시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110)의 양단에 각각 제2 갭(111)이 개설되고, 회전스위치(301) 내층에 제2 갭과 서로 매칭되는 제3 갭이 개설된다.
이와 같이, 제2 갭(111)과 제3 갭의 매칭 설치를 통해, 아령으로 헬스 훈련할 때 제2 갭(111)과 제3 갭이 함께 클램핑하여 연결시키고 회전스위치(301)가 임의로 회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아령으로 헬스하는 과정에서 회전스위치(301)를 잘못 회전시키고 잠금을 해제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400)이 조립홀(210)로부터 이탈되고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또는 시설이 파손되는 것을 피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200)는 구형 구조 또는 원기둥형 구조 또는 다각형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특징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으며, 서술이 간단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중의 각 기술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전부 설명하지 않지만, 이러한 기술특징의 조합은 모순만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몇 개 실시방식만 표현하였고 그 설명이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에 근거하여 발명의 특허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는 이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을 이탈하지 않는 전제 하에, 다수 개의 변형과 개선도 가능하며,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범위는 부가된 청구항을 기준으로 확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휴대용 아령에 있어서,
    손잡이 연결로드,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연결로드는 손잡이와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로드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홀이 개설되어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조립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고 일부를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 내에 수납해 밸런스 웨이트 분동을 신속히 조립해 넣어 잠그고 잠금을 해제하여 꺼내는 것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회전스위치, 고정축, 분동 버클부재와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에 차단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스위치는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에 씌워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 장착하고, 상기 분동 버클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장착하여 일단이 차단블록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단을 분동 버클부재에 장착하고, 다른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의 내층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은 일단에 오목홈이 개설되고 손잡이에 가까운 일단은 곡면구조 또는 사면구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동 버클부재는 제1 탄성부재와 멀리 떨어진 일면이 사면구조 또는 곡면구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위치한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연결로드에 씌워 설치하여, 각각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의 위치한정부 및 회전스위치와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잠금구조는 위치한정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스위치에 제1 갭이 개설되고, 상기 위치한정기둥은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제1 갭 내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아령은 제3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에 고정 장착하여 밸런스 웨이트 분동의 일단과 서로 밀착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각각 제2 갭이 개설되고, 회전스위치 내층에는 제2 갭과 서로 매칭되는 제3 갭이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분동 베이스는 구형 구조 또는 원기둥형 구조 또는 다각형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아령.
  9. 삭제
  10. 삭제
KR1020217022239A 2019-05-06 2019-05-30 휴대용 아령 KR102604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70164.6A CN109999407B (zh) 2019-05-06 2019-05-06 便携式哑铃
CN201910370164.6 2019-05-06
PCT/CN2019/089345 WO2020224019A1 (zh) 2019-05-06 2019-05-30 便携式哑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308A KR20210101308A (ko) 2021-08-18
KR102604850B1 true KR102604850B1 (ko) 2023-11-21

Family

ID=6717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239A KR102604850B1 (ko) 2019-05-06 2019-05-30 휴대용 아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78198B2 (ko)
JP (1) JP7185122B2 (ko)
KR (1) KR102604850B1 (ko)
CN (1) CN109999407B (ko)
AU (1) AU2019444826B2 (ko)
WO (1) WO2020224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0520A1 (en) * 2020-08-07 2022-02-10 Andrew Van Tran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WO2022241573A1 (en) * 2021-05-21 2022-11-24 Lift Science Inc. Adjustable weightlifting apparatus
US20220401786A1 (en) * 2021-06-17 2022-12-22 Jianguang Zhang Adjustable dumbbell
KR102395322B1 (ko) * 2021-10-20 2022-05-09 주식회사 이고진 무게조절용 조립식 아령
CN115487466A (zh) * 2022-10-25 2022-12-20 南通铁人运动用品有限公司 可调节重量铃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225A1 (en) * 2012-03-01 2013-09-05 Andy Shozda Bullet-pocket dumbbell exercise apparatus
CN205323101U (zh) * 2016-01-06 2016-06-22 浙江百事特工贸有限公司 多功能健腹轮
CN205683473U (zh) * 2016-04-14 2016-11-16 燕山大学 一种多功能哑铃
CN206152171U (zh) * 2016-10-28 2017-05-10 南通宝鹏健身器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重量可调式杠铃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964A (en) * 1906-09-22 1907-04-23 Joseph Edouard Lucien Pelletier Dumb-bell.
US4482151A (en) * 1983-06-01 1984-11-13 Questor Corp. Exercising device
JPS6412557U (ko) * 1987-07-13 1989-01-23
US6224520B1 (en) * 2000-05-17 2001-05-01 Wen-Chung Hsu Dumbbell
US6837833B2 (en) * 2002-10-03 2005-01-04 Miles Elledge Specialty weigh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GB2413288A (en) * 2004-04-20 2005-10-26 Suffolk Punch Ltd Training apparatus with variable weight
CN101199888A (zh) * 2006-11-10 2008-06-18 众成工业股份有限公司 可调整配重的重量训练装置
US7927264B2 (en) * 2009-07-24 2011-04-19 Fitness Iq Llc Low-impact inertial exercise device
KR101233360B1 (ko) * 2012-05-24 2013-02-19 김홍래 무게 가변형 아령
US8992396B2 (en) * 2012-07-27 2015-03-31 Beto Engineering & Marketing Co., Ltd. Adjustable dumbbell
US9717943B2 (en) 2012-08-20 2017-08-01 Michael Klonoski Retractable dumbbell support
US9327159B1 (en) * 2013-12-31 2016-05-03 Richard Anthony Medina Convertible variable weight exercise system
US10518123B2 (en) * 2014-06-13 2019-12-31 Nautilus, Inc. Adjustable dumbbell system
TWI606855B (zh) 2014-09-30 2017-12-01 愛康運動與健康公司 用於多個啞鈴的重量選擇器
CN205198832U (zh) * 2015-12-14 2016-05-04 浙江百事特工贸有限公司 多用途健腹轮
CN205667698U (zh) * 2015-12-16 2016-11-02 浙江百事特工贸有限公司 三功能健腹轮
US20170274240A1 (en) * 2016-03-23 2017-09-28 T Pong Company Easy to assemble/disassemble adjustable monetary coin-weighted dumbbell
CN207203297U (zh) * 2017-09-14 2018-04-10 苏州依卡蒂运动器材有限公司 配重式哑铃
CN208176813U (zh) * 2018-04-17 2018-12-04 温州大学 一种快捷调节型哑铃
US10933272B2 (en) * 2018-06-22 2021-03-02 Glenn Polinsky Auto-adjustable weight device, system, and method
CN209933928U (zh) * 2019-05-06 2020-01-14 邵晖 便携式哑铃
US20220040520A1 (en) * 2020-08-07 2022-02-10 Andrew Van Tran Adjustable Weight Training Apparatus
US20220054879A1 (en) * 2020-08-18 2022-02-24 Jianguang Zhang Adjustable dumbbell
US20220062683A1 (en) * 2020-09-01 2022-03-03 Jianguang Zhang Exercise apparatus
US20220062686A1 (en) * 2020-09-01 2022-03-03 Jianguang Zhang Exercise apparatus
US20220401786A1 (en) * 2021-06-17 2022-12-22 Jianguang Zhang Adjustable dumbbell
CN215275598U (zh) * 2021-06-28 2021-12-24 李晓春 配重可调哑铃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225A1 (en) * 2012-03-01 2013-09-05 Andy Shozda Bullet-pocket dumbbell exercise apparatus
CN205323101U (zh) * 2016-01-06 2016-06-22 浙江百事特工贸有限公司 多功能健腹轮
CN205683473U (zh) * 2016-04-14 2016-11-16 燕山大学 一种多功能哑铃
CN206152171U (zh) * 2016-10-28 2017-05-10 南通宝鹏健身器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重量可调式杠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5122B2 (ja) 2022-12-07
US11878198B2 (en) 2024-01-23
JP2022517148A (ja) 2022-03-04
AU2019444826B2 (en) 2022-09-29
CN109999407A (zh) 2019-07-12
KR20210101308A (ko) 2021-08-18
CN109999407B (zh) 2024-05-03
WO2020224019A1 (zh) 2020-11-12
AU2019444826A1 (en) 2021-07-29
US20210331022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850B1 (ko) 휴대용 아령
US5800323A (en) Adjustable hip and thigh execiser
US20140162853A1 (en) Exercise apparatus
US7513856B2 (en) Weight plate retention collar
US11529542B2 (en) Adjustable kettlebell device
US81236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ally coupling incremental weights to exercise apparatus
US20180280750A1 (en) Trampoline
US9636538B2 (en) Full body multidirection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9486670B2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286660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US20160354630A1 (en) Hand held exercise device
WO2012143710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90275365A1 (en) Punching Handle V.1
US20220323289A1 (en) Fitness, exercise and massage roller
CN209933928U (zh) 便携式哑铃
US20220355155A1 (en) Exercising apparatus
CN107970561B (zh) 一种健身锻炼设备及其组件和相关方法
JP6997014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11878201B2 (en) Adjustable kettlebell device
CA2675186A1 (en) Rotative handle
CA2189385A1 (en) Adjustable hip and thigh exerciser
CN215195286U (zh) 一种用于神经内科康复护理的手指屈伸运动设备
US11813493B2 (en) Weight lifting device
KR102455185B1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KR20100013695A (ko) 운동보조기구 장착용 체결구 및 이것이 구비된 다기능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