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360B1 - 무게 가변형 아령 - Google Patents

무게 가변형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360B1
KR101233360B1 KR1020120055526A KR20120055526A KR101233360B1 KR 101233360 B1 KR101233360 B1 KR 101233360B1 KR 1020120055526 A KR1020120055526 A KR 1020120055526A KR 20120055526 A KR20120055526 A KR 20120055526A KR 101233360 B1 KR101233360 B1 KR 10123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ainer
dumbbell
liquid
conn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김홍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래 filed Critical 김홍래
Priority to KR102012005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무게를 변경할 수 있는 무게 가변형 아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량체 용기, 상기 중량체 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중량체 용기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량체 용기 중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을 감싸는 일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구 및 상기 복수의 주입구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주입구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게 가변형 아령{Weight variable dumbbells}
본 발명은 무게 가변형 아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를 이용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 가변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팔, 어깨 등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좌우 또는 전후로 흔드는 운동 방식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운동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운동 기구로서는, 이른바 '역기'라고 칭하며 양 손으로 파지하여 들게 되는 비교적 커다란 크기의 바벨(barbell)과, '아령'이라고 칭하며 사용자의 한쪽 손으로 파지하여 들게 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덤벨(dumbbell)이 있다.
종래의 아령 및 역기에 있어서, 운동하는 중량을 결정하는 중량체인 플레이트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역기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중량체 플레이트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무게를 조절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면, 아령에는 무게 가감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령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공되며, 들어올려지기만 하는 역기와는 달리 여러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종래의 아령은 대부분 그 아령 자체가 일정 무게를 가지도록 완성 형태로 제공되며, 사용자가 일정 중량의 아령으로 운동을 하다가 다른 중량으로 운동을 하고자 할 때에는 무게와 크기가 다른 별개의 아령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의 중량체를 포함한 아령은 그 무게를 변경시킬 수 없어 휴대 시 무겁고 보관 시 보관하는 장소에 있어 제약이 따르며, 보관 중 무거운 금속의 중량체를 낙하하는 경우 사용자가 발가락 등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0482호와 같이 액체를 수용한 페트병을 중량체로 하여 아령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통하여 아령의 중량을 조절하는 경우, 액체의 양을 사용자가 운동하고자 하는 정확한 무게로 조절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중량을 조절하고자 할 때마다 용기에 액체를 넣거나 용기로부터 액체를 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액체로 채워진 중량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경우 중량체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액체의 유입 및 토출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무게 가변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액체로 채워진 중량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경우 중량체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중량체를 구성하는 액체를 유입 또는 토출시키지 않고도 원할 때 마다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무게 가변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중량체 용기, 상기 중량체 용기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중량체 용기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중량체 용기 중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을 감싸는 일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구 및 상기 복수의 주입구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주입구 캡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분리된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연결 케이스,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케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연결 케이스와 결합하는 복수의 중량체 용기, 상기 복수의 중량체 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중량체 용기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구 및 상기 복수의 주입구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주입구 캡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에 의하면,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중량체를 구성하는 액체를 토출시킴으로써 아령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보관 또는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격벽을 통해 구분된 여러 개의 공간 중 일부에만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따로 무게를 재지 않고도 일정 크기 간격으로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무게 가변형 아령에 의하면,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연결 케이스와 중량체 용기의 결합을 해제시켜 아령의 무게를 줄여 보관 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동일한 무게 또는 상이한 무게를 갖도록 액체가 채워진 여러 개의 중량체 용기 중 일부만을 연결 케이스에 더 체결하거나 연결 케이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중량체 용기로부터 액체를 토출시키거나 중량체 용기에 추가적으로 액체를 유입시키기 않고도 아령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을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게 가변형 아령은 손잡이 봉(10), 중량체 용기(100), 하나 이상의 격벽(120), 복수의 주입구(112) 및 복수의 주입구 캡(110)을 포함한다.
손잡이 봉(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손잡이 봉(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쥘 수 있을 정도의 길이 및 둘레를 갖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부재의 지름은 중량체 용기(100)의 지름에 비해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 봉(10)을 쥐고 운동할 때 손잡이 봉(1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손잡이 봉(10)의 표면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 용기(100)는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중량체 용기(100) 내에 수용되는 액체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물일 수 있다. 중량체 용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홀(102)이 형성된 환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홀(102) 내부에는 손잡이 봉(10)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봉(10)의 상기 말단에는 나사산(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102)을 통과하여 중량체 용기(100) 바깥으로 돌출된 손잡이 봉(10)의 상기 말단은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 캡(104)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손잡이 봉(10)의 상기 말단과 고정 캡(104)의 결합을 통해 중량체 용기(100)는 손잡이 봉(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고정 캡(104)을 회전시켜 중량체 용기(100)와 손잡이 봉(10)을 손쉽게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체 용기(10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체 용기(100)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 중량체 용기(100) 자체의 무게는 크지 않기 때문에 아령의 무게 중 대부분이 중량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부피를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중량체 용기(100)로부터 액체를 모두 토출시키는 경우 아령이 가벼워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진다. 또한, 아령의 무게 중 중량체 용기(100) 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중량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아령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격벽(120)은 중량체 용기(100) 내부에 형성되어 중량체 용기(100)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한다. 상기 복수의 공간은 서로 개별적으로 분리되며, 격벽(120)은 각각의 복수의 공간을 밀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중량체 용기(100)가 일정 모양의 밑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격벽(120)은 상기 기둥 형상의 중량체 용기(100)의 밑면, 윗면 및 측면을 모두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입구(112)는 하나 이상의 격벽(120)에 의하여 분리된 중량체 용기(100) 내부의 공간 각각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된 복수의 공간을 이루는 중량체 용기(100) 각 부분에 형성된다. 복수의 주입구(112)를 통해 액체를 중량체 용기(100)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중량체 용기(100)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복수의 주입구(112) 중 하나를 통해서만 액체를 주입하면, 상기 주입된 액체는 중량체 용기(100) 내부 중에서도 격벽(120)에 의해 분리된 일정 공간, 즉 상기 주입구(112)가 형성된 공간에만 채워진다. 사용자는 복수의 주입구(112) 중 하나를 택함으로써 액체가 주입되고나 토출되는 중량체 용기(100) 내부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주입구 캡(110)은 복수의 주입구(112) 각각에 대응되어 복수의 주입구(112)를 개폐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주입구(112)를 통해 액체를 중량체 용기(100)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중량체 용기(100)로부터 토출시킨 후, 주입구 캡(110)으로 주입구(112)를 닫아 격벽(120)으로 나누어진 중량체 용기(100) 내부 각각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주입구(112) 각각의 외측 표면에는 나사산이, 복수의 주입구 캡(110) 각각의 내측 표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주입구(112)와 상기 주입구(112)에 대응되는 주입구 캡(110)은 나사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주입구 캡(110)을 회전시켜 간편하게 주입구(11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120)이 형성된 중량체 용기(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격벽(120)은 중량체 용기(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중량체 용기(100)가 전술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환형의 밑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격벽(120)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경우, 각 격벽(120)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은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격벽(120)을 통해 중량체 용기(100) 내부 공간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1) 각각은 그 부피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도 3a에 따르면, 중량체 용기(100) 내부에 형성된 4개의 격벽(120)은 4개의 분리된 공간(1)을 형성하는데, 상기 4개의 격벽(120)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상기 4개의 분리된 공간(1)은 모두 동일한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리된 공간(1) 각각의 부피는 특정 액체가 가득 채워지는 경우 특정 무게를 갖는 크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분리된 공간(1) 각각은 물이 가득 채워지는 경우 0.5kg을 갖는 크기, 즉 500ml의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에 고정된 두 개의 중량체 용기(100) 모두에서 하나의 공간을 물로 가득 채우면 1kg의 무게를 가진 아령을, 각 중량체 용기(100) 모두에서 두 개의 공간을 물로 가득 채우면 2kg의 무게를 가진 아령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동일한 부피를 가진 공간(1) 중 일부 공간에만 액체를 유입시켜 원하는 무게의 아령을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일정량의 액체가 채워진 아령의 무게를 직접 재지 않고도 무게 가변형 아령이 특정 무게를 갖도록 중량체 용기(100) 내의 액체 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격벽(120)을 통해 중량체 용기(100) 내부 공간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 각각은 그 부피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격벽(120)을 통해 분리된 중량체 용기(100) 내부 공간은 모두 4개(1, 2, 3, 4)일 수 있으며, 상기 4 개의 복수의 공간(1, 2, 3, 4)은 물로 채워진 경우 1:2:3:4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분리된 공간 각각의 부피는 물로 채워진 경우 각각 0.5kg(1), 1kg(2), 1.5kg(3) 및 2kg(4)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즉, 중량체 용기(100) 내 분리된 4개의 공간(1, 2, 3, 4) 중 가장 작은 공간(1)은 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0.5kg의 무게를 갖도록 500ml의 부피로 형성되고, 두번째로 작은 공간(2)은 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1kg의 무게를 갖도록 1L의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세번째로 작은 공간(3)은 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1.5kg의 무게를 갖도록 1.5L의 부피로 형성되고, 가장 큰 공간(4)은 물이 가득 채워진 경우 2kg의 무게를 갖도록 2L의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120)으로 분리된 중량체 용기(100) 내 복수의 공간(1, 2, 3, 4) 중 적어도 하나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공간(1, 2, 3, 4) 모두 또는 전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 때 사용자는 물이 채워지는 공간의 개수를 조절하여 아령의 무게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0)에 의해 분리된 중량체 용기(100) 내 공간(1, 2, 3, 4)의 부피가 서로 상이한 경우, 물이 채워지는 공간의 부피에 따라 아령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 용기(100)의 내부가 네 개의 격벽(120)에 의해 물로 채워진 경우 각각 0.5kg, 1kg, 1.5kg 및 2kg의 중량을 갖는 부피의 공간(1, 2, 3, 4)으로 분리된 경우, 이 중 어떠한 조합의 공간에 물을 채우느냐에 따라 1kg 단위로 1kg부터 10kg까지의 무게의 아령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에 고정된 두 개의 중량체 용기(100) 모두에서 물로 채워진 경우 0.5kg의 중량을 갖는 공간(1)과 2kg의 중량을 갖는 공간(4)을 물로 채우면, 총 5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만약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에 고정된 두 개의 중량체 용기(100) 모두에서 물로 채워진 경우 1.5kg의 중량을 갖는 공간(3)과 2kg의 중량을 갖는 공간(4)을 물로 채우면 총 7kg 무게의 아령이 되고, 물로 채워진 경우 0.5kg의 중량을 갖는 공간(1), 1.5kg의 중량을 갖는 공간(3) 및 2kg의 중량을 갖는 공간(4)을 물로 채우면 총 8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다른 예로, 두 개의 중량체 용기(100) 모두에서 모든 공간(1, 2, 3, 4)을 물로 채우면 총 10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의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게 가변형 아령은 손잡이 봉(10), 연결 케이스(400),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 복수의 주입구(412) 및 복수의 주입구 캡(414)을 포함한다. 손잡이 봉(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표면에 마찰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케이스(400)는 상기와 같은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분리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연결 케이스(400)는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가 수용되어 안착할 수 있는 일종의 틀로써 작용하며, 연결 케이스(40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슷하게 손잡이 봉(10)의 말단이 연결 케이스(40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후 고정 캡과 나사결합함으로써 손잡이 봉(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판 위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칸막이(404)와 원형 판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 방사형의 칸막이(402)를 통해 각각의 중량체 용기(410)가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수용부는 각각 부채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채꼴 기둥 형상의 수용부에 수용될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 또한 각각 복수의 수용부에 대응되는 부채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 케이스(400)는 중량체 용기(410)를 연결 케이스(400)에 더 기밀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수단은 탄성 후크, 스냅 핏 부재, 홈과 돌출부 등 그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중량체 용기(410)가 연결 케이스(400)의 수용부 내에 안착된 후 중량체 용기(410)가 연결 케이스(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그 종류 및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는 각각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연결 케이스(400)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연결 케이스(400)와 결합한다.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에는 각각 중량체 용기(410)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중량체 용기(410)로부터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는 주입구(412)가 형성되며, 복수의 주입구 캡(414)이 각각 주입구(412)를 개폐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주입구(412)와 주입구 캡(414)은 서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액체가 채워진 중량체 용기(410)는 중량체 용기(410)를 고정하는 틀로써 작용하는 연결 케이스(400)에 수용되어 연결 케이스(400)와 결합함으로써 무게 가변형 아령의 중량체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체 용기(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판 위에 칸막이(402, 404)를 통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 케이스(400)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중량체 용기(410)가 연결 케이스(400)의 수용부에 삽입되면, 별도의 결합 수단을 통해 중량체 용기(410)가 연결 케이스(4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는 각각 상이한 부피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의 개수는 4개일 수 있으며, 상기 4개의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는 물로 채워진 경우 1:2:3:4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 각각의 부피는 물로 채워진 경우 각각 0.5kg(410), 1kg(420), 1.5kg(430) 및 2kg(440)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네 개의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 중 일부만 연결 케이스(4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어떠한 조합의 중량체 용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무게 가변형 아령의 무게가 1kg 단위로 1kg부터 10kg까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에 고정된 두 개의 연결 케이스(400) 모두에 물로 채워져 0.5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 (410)와 2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440)를 결합시키면, 총 5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만약 손잡이 봉(10)의 양 말단에 고정된 두 개의 연결 케이스(400) 모두에 물로 채워져 1.5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430)와 2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440)를 결합시키면 총 7kg 무게의 아령이 되고, 물로 채워져 0.5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 (410), 1.5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430) 및 2kg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용기(440)를 결합시키면 총 8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연결 케이스(400) 모두에 네 개의 중량체 용기(410, 420, 430, 440)를 모두 결합시키면 총 10kg 무게의 아령이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손잡이 봉
100, 410, 420, 430, 440: 중량체 용기
120: 격벽
112, 412: 주입구
110, 414: 주입구 캡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 말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분리된 복수의 수용부가 형성된 연결 케이스;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케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연결 케이스와 결합하는 복수의 중량체 용기;
    상기 복수의 중량체 용기에 상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중량체 용기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주입구; 및
    상기 복수의 주입구 각각을 개폐하는 복수의 주입구 캡을 포함하는 무게 가변형 아령.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량체는 4개이며,
    상기 4 개의 복수의 중량체는 물로 채워진 경우 1:2:3:4의 중량비를 갖는 무게 가변형 아령.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는 각각 부채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중량체 용기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응되는 부채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무게 가변형 아령.
KR1020120055526A 2012-05-24 2012-05-24 무게 가변형 아령 KR10123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26A KR101233360B1 (ko) 2012-05-24 2012-05-24 무게 가변형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526A KR101233360B1 (ko) 2012-05-24 2012-05-24 무게 가변형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360B1 true KR101233360B1 (ko) 2013-02-19

Family

ID=4789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526A KR101233360B1 (ko) 2012-05-24 2012-05-24 무게 가변형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3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05A (ko) * 2018-10-01 2020-04-09 장근용 무게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WO2020224019A1 (zh) * 2019-05-06 2020-11-12 邵晖 便携式哑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958U (ko) * 1990-08-21 1992-04-16
JPH09299505A (ja) * 1996-05-20 1997-11-25 Sakairi Kako:Kk ダンベ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4958U (ko) * 1990-08-21 1992-04-16
JPH09299505A (ja) * 1996-05-20 1997-11-25 Sakairi Kako:Kk ダンベ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05A (ko) * 2018-10-01 2020-04-09 장근용 무게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KR102151771B1 (ko) 2018-10-01 2020-09-03 장근용 무게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
WO2020224019A1 (zh) * 2019-05-06 2020-11-12 邵晖 便携式哑铃
US11878198B2 (en) 2019-05-06 2024-01-23 Hui Shao Portable dumbb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587A (en) Liquid fillable dumbell
AU2015100381A4 (en) A sports and/or mixing bottle
US4079932A (en) Athletic conditioning apparatus
US4720098A (en) Exerciser with beverage reservoir
US20130267390A1 (en) Liquid fillabl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6758795B2 (en) Adjustable water-fillable exercise weights
US5509877A (en) Portable weight lifting device
JP6413155B2 (ja) 内容物受取装置、開閉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容器
KR101233360B1 (ko) 무게 가변형 아령
EP0621797A1 (en) Exercise apparatus
US7179210B2 (en) Club-weight(s)
US201202830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 conditioning
WO2017106201A1 (en) Container assembly
US20170282001A1 (en) Barbell Drinking Fluid Container
US20160317854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170274240A1 (en) Easy to assemble/disassemble adjustable monetary coin-weighted dumbbell
US20140045658A1 (en) Exercise apparatus
GB2528105A (en) A fluid impermeable exercise device
AU2001254568B2 (en) Adjustable water-fillable exercise weights
KR20160147589A (ko) 물로 조절하는 아령
KR101523932B1 (ko) 양념통
US20160331580A1 (en) Massaging device having fluid container
AU2001254568A1 (en) Adjustable water-fillable exercise weights
KR20200067363A (ko) 애완동물 산책시 사용을 위한 용기
US20190255378A1 (en) Device for the use of bottles for gym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