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797B1 -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797B1
KR102604797B1 KR1020160161322A KR20160161322A KR102604797B1 KR 102604797 B1 KR102604797 B1 KR 102604797B1 KR 1020160161322 A KR1020160161322 A KR 1020160161322A KR 20160161322 A KR20160161322 A KR 20160161322A KR 102604797 B1 KR102604797 B1 KR 10260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nection device
groove
electric charging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775A (en
Inventor
정윤영
박종석
한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797B1/en
Priority to US16/345,412 priority patent/US20190267758A1/en
Priority to PCT/KR2017/013850 priority patent/WO2018101748A1/en
Publication of KR2018006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9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충전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a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the mobile fram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bile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and the mobile frame includes a guide gea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Description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본 실시예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is actively underway as they are the most likely alternative to solving automobile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In general, electric vehicles are vehicles that obtain power by driving an AC or DC motor using battery power. They are broadly classified into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use battery power to The motor is driven and recharged when the power is used up,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can run the engine to generate electricity, charge the battery, and use this electricity to drive the electric motor to drive the car.

따라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력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장된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충전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외부의 충전스테이션과 차량의 배터리를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an electric vehicle, a charging means is needed that can receive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tore it in a built-in battery. Generall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accomplished by interconnecting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s battery using a physical ca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전기충전 접속장치(1)와 전기충전 결합장치(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는 외부의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ccomplished by combining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 and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 is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6 is provided at the end of a cable extending from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는 하우징(2)의 일면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가 끼워지는 수용홈(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에는, 상기 수용홈(3)에 삽입 시 상기 충전 단자(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플러그(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의 단부 측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에 결합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 has a receiving groove 3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 into which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6 is inserted, and one or more charging terminals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3. (4)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is formed with a charging plug 5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4 w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Therefore, with a portion of the end side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by engaging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It can be done.

상기와 같은 충전 접속장치에 의할 때,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의 결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When using the above-mentioned charging connection device, the coupling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전기자동차에는 고압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의 결합이 견고해야만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의 외면과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의 외면에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의 단면적을 상기 수용홈(3)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First, since high-voltage power energy is supplied to electric vehicles, the safety of charging can be ensured onl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 is strong. Therefor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 is provided,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is divided into the receiving groove.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3)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

그러나, 상기의 결합력 강화 수단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를 상기 수용홈(3)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홈(3)으로부터 분리 시에 과도한 힘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반복되는 충전으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6)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는 파손되기 쉽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 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above means of strengthening the coupling force, the user uses excessive force when inserting or separating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into the receiving groove 3,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There is. In particular,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6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 made of plastic are prone to damage due to repeated charging, and this causes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to become watertight. It can be destroyed.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와 충전의 안전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convenience of use and safety of cha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charging and improve convenience of us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a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the mobile fram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bile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and the mobile frame includes a guide gea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충전을 위한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한다.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wherein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a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the mobile fram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bile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and the mobile frame includes a guide gea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본 실시예를 통해 가이드돌기를 멈춤홈에 안착시켜 이동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충전 시 전기충전 결합장치와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결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during charging by fixing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frame by seating the guide protrusion in the stop groove.

또한, 전기충전 결합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충전 접속장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이 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requiring less for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호 분리 상태에서의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홈에서 가이드 경로의 이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n a mutually separated stat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uide gear and a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ath in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emplary drawings. When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are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component and that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전기자동차란,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금속연료전지 자동차, 리튬 이온 배터리 자동차, 니켈 이온 배터리 자동차 등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이를 구동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electric vehicles include various vehicles that charge electricity into the battery and use it as a driving power source, such as hybrid vehicles, hydrogen fuel cell vehicles, metal fuel cell vehicles, lithium-ion battery vehicles, and nickel-ion battery vehicles.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이하에서,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전방은 전기충전 결합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후방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전방은 전기충전 접속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후방은 전기충전 결합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s coupled, and the rear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or. Likewise,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s coupled, and the rear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사시도 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와, 충전 스테이션의 케이블 선단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결합장치(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mounted on the vehicle, and an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mounted on the cable end of the charging station. ) includes.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The charging station stores electrical energy need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ic energy supplies the necessary electric energy to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는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로 전달된다.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is mounted on a vehicle.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can be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by being placed exposed to the external area of the vehicle or installed inside and selectively exposed to the external area.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는, 일면 상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가 장착되는 장착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12)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12)의 커넥터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결합홈(14, 도 5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가 상기 장착부(12)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에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2 on one side of which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200 is mounted. The mounting portion 12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4 (see FIG. 5) into which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12 is inserted. And,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formed at the tip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2 so that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can be connected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선단에 구비되는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01)는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선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다.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ncludes a body 201 held by a user, and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dy 201. The body 201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charging station and can be held in the user's hand.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는 상기 몸체(201)의 선단, 즉 상기 몸체(201) 단면(20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20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전면에는 충전 플러그(214)가 수용되는 플러그 수용홈(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는 상기 몸체(201)의 단면 상에서 상기 충전단자(42)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충전 플러그(214)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의 충전단자(42)와 접촉 또는 결합되어,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body 201, that is, the end surface 201 of the body 201.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201. In addition, a plug receiving groove 212 in which the charging plug 214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Accordingly,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is understood to form a boundary of the charging terminal 42 on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201. The charging plug 214 is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42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This comes true.

한편, 상기 몸체(201)의 단면(201) 중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와 이격되는 어느 일측에는, 상기 단면(201)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의 장착부(12), 즉 상기 결합홈(14)의 외주면에도 상기 걸림부(22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돌기(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0)와 상기 걸림 돌기(13)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가 결합 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호 선택적인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Meanwhile, a locking portion 220 protruding from the end face 20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face 201 of the body 201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13 that engages the locking portion 220 is formed protru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2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that is, the coupling groove 14. The locking portion 2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3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are coupled, so that mutually selective locking and unlocking can be achieved. You can.

상세히, 상기 걸림부(220)의 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리브(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리브(222)와 상기 걸림 돌기(13)가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13a, 222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경사면(13a, 222a)에 의해 상기 걸림 리브(222)가 상기 걸림 돌기(13)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13)와 상기 걸림 리브(222)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In detail, a locking rib 22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is formed at an end of the locking portion 220. In addition, inclined surfaces 13a and 222a of corresponding shapes are formed on surfaces where the locking rib 2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13 face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the locking rib 222 easily passes through the locking protrusion 13 by the inclined surfaces 13a and 222a. can do. And,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the locking protrusion 13 and the locking rib 222 are locked as shown in FIG. 3. The bonded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충전 접속을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or charging connection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6은 상호 분리 상태에서의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단면도 이다.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n a mutually separated state.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는, 상기 충전 플러그(214)가 삽입되는 결합홈(14)을 포함하는 베이스(10)와, 상기 충전 플러그(2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42)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40)과, 상기 고정프레임(40)과 상기 베이스(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결합에 따라 전, 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20) 및 상기 이동프레임(20)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5, and 6,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including a coupling groove 14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214 is inserted; , a fixed frame 40 having a charging terminal 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214,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40 and the base 10 ( It includes a movable frame 2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movable frame 200 and an elastic member 60 that contacts the movable frame 20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frame 20.

상기 베이스(10)는 전면에 상기 장착부(12)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0)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의 전면 중 일부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2)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커넥터 결합부(210)가 삽입되도록 결합홈(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4)은 상기 장착부(12)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1)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4)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충전단자(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base 10 has the mounting portion 12 formed on the front side. In detail, the base 10 includes a plate-shaped plate 11 and a mounting portion 12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11 protrudes forward. A coupling groove 14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2 to allow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to be inserted. The coupling groove 14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12 to the rear of the plate 11, and the charging terminal 42 of the fixing frame 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by the coupling groove 14. may be exposed.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커넥터 결합부(210)는 상기 상기 장착부(12)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와 결합 시,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홈(14)의 내주면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단면적은 상기 결합홈(14)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중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단면적을 상기 결합홈(14)에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가 상기 결합홈(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2. To this end,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with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10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4. To this e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may correspond to or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groove 14. Among these,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groove 1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 .

한편, 상기 플레이트(11)와 상기 장착부(12)의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11)와 상기 장착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는 단면적이 상기 플레이트(11)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장착부(12)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4)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부(15)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의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 몸체(23)가 안착된다. Meanwhile, a connecting portion 15 connecting the plate 11 and the mounting portion 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ate 11 and the mounting portion 12. The connecting portion 15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plate 11 and larger than that of the mounting portion 12,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4 mov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body 23 of the frame moving frame 20 is seated.

상기 고정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전면, 즉 상기 베이스(10)와 마주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충전단자(42)가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충전단자(42)는 5개의 단자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xing frame 4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se 10. One or more charging terminals 42 ar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40, that is, on the side facing the base 10. For example, the charging terminal 42 may have five termina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세히, 상기 고정프레임(40)은, 고정프레임 몸체(41)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탄성부재(60)가 수용되는 수용홈(45)을 구비하는 탄성부재 수용부(44)와,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와 이격되는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가이드기어(80)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50)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fixed frame 40 includes a fixed frame body 41 and a receiving groove 45 that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fixed frame body 41 and accommodates an elastic memb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and a guide portion 50 extending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fixed frame body 41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to guide the guide gear 80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s.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는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베이스(10)의 가장 자리 영역과 나사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네 모서리에는 나사(70)가 관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나사홀에 상기 나사(70)가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fixed frame body 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10 by screwing an edge area to an edge area of the base 10. As an example, screw holes through which screws 70 pass may be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ixed frame body 41, and the screws 70 may be inserted into the screw holes to be coupled to the base 10. there is.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는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60)가 수용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용홈(4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45)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xed frame body 41. In addition, a receiving groove 45 extending rearward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body 41 to accommodate the elastic member 60.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45 can be understood as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body 4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상기 가이드부(50)도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배면 중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와 이격되는 어느 일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40)에는 가이드홈(51)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50)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기어(8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5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고정프레임 몸체(41)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The guide portion 50 is also disposed in an area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frame body 41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And, the fixed frame 40 includes a guide groove 51. In detail, the guide part 50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50 from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body 41 so that the guide gear 80 is selectively inse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movable frame 20. A guide groove 51 extending to the rear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guide groove 51 is understood to be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body 41 toward the re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50.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고정프레임(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은, 상기 결합홈(14)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몸체(23)와,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2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후면에는 가이드 결합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2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10 and the fixed frame 40. In detail,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20 includes a moving frame body 23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14, and a stopper 2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ving frame body 23. do. A guide coupling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body 23.

이동프레임 몸체(23)상기 스토퍼(21)는 상기 연결부(15)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토퍼(21)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15)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14)의 단면적은 상기 스토퍼(21)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홈(14)이 원형 일 경우, 상기 결합홈(14)의 직경이 상기 스토퍼(2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oving frame body 23 The stopper 21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15. To this e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21 may correspond to or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ng portion 15. Additional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upling groove 14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21. This can be understood as, when the coupling groove 14 is circular,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14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er 21.

상기 스토퍼(2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탄성부재 결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24)에는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단이 끼워져, 상기 이동프레임(20)에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0)를 선택적으로 압축 시킨다. 즉, 상기 탄성부재(60)는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20)의 일면, 즉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24)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45)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부재(60)가 압축되면서, 인장되려는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24)는 상기 탄성부재(6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4 protruding backwar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topper 21.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4,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selectively compressed as it moves on the moving frame 20. That i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moving frame 20, that is,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4,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45. ) can be accepted. And, when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backward,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generating an elastic force to be stretched.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4 may be disposed on the rear of the movable frame body 23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lastic members 60.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이동프레임(20)의 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재(60)는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이동프레임(20)의 후방으로 이동 시에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44)에 수용된 상태로 압축되고 이동프레임(20)의 전방으로 이동 시에는 전방을 향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And, the elastic member 60 provides elastic force for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0.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a spring. That is, when moving to the rear of the moving frame 20, the elastic member 60 is compress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portion 44, and when moving to the front of the moving frame 20, it moves forward. Elastic force is provided so that the moving frame 20 can be easily moved.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는 상기 스토퍼(21)의 일부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는, 상기 스토퍼(21)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상기 스토퍼(21)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내부에는 상기 충전단자(42)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The moving frame body 23 is formed with a portion of the stopper 21 protruding forward. That is, the moving frame body 23 is formed with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21 protruding forward so as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topper 21. At this time, a hollow is formed inside the moving frame body 23 to selectively accommodate the charging terminal 42.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가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가 상기 결합홈(14)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단면 형상은 상기 결합홈(1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커넥터 결합부(210)가 상기 결합홈(14)에 장착 시,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Before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100, the moving frame body 23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14. To this e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ving frame body 23 may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14. And, when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coupling groove 14,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moves the moving frame body 23 backward by the user's pressing force. push it out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에 이동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42)가 선택적으로 통과되기 위한 관통홀(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2)은 상기 충전단자(42)에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이 장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충전단자(42)는 상기 관통홀(22)을 통과하면서 상기 충전단자(42)와 상기 충전플러그(214, 도 4)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22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oving frame body 23 through which the charging terminal 42 selectively passes as the moving frame 20 moves. The through holes 22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charging terminals 42.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mounted and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rearward, the charging terminal 4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 and connects the charging terminal 42 and the charging terminal 42. The plugs 214 (FIG. 4) may contact each other.

상기 가이드 결합부(30)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30)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충전단자(42)가 끼워지는 통과홀(3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결합부(30)의 배면에는 가이드기어(80)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기어(80)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의 위치를 고정 또는 변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결합부(3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guide coupl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body 23. Likewise, a passing hole 30 in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4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guide coupling portion 30. And, as shown in FIG. 6, a guide gear 8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30. The guide gear 80 is a component for fixing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moving frame 20,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guide coupling portion 30. extends axially toward

그리고, 상기 가이드기어(80)의 선단에는 가이드돌기(8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81)는 상기 이동프레임이동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50)의 내부에 형성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0)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dditionally, a guide protrusion 81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guide gear 80. The guide protrusion 81 moves on a path formed inside the guide portion 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0, and fixes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frame 20 or makes it easier to move. Make sure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기어와 가이드부의 단면도 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gear and the guid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기어(80)와 상기 가이드부(50)는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40) 및 이동프레임(20)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기어(80)의 선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가이드홈(51)을 따라 이동하도록,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81)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6 to 8, the guide gear 80 and the guide portion 50 ar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40 and the moving frame 20, respectively,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a guide protrusion 8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guide gear 80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so as to move along a guide groove 5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5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이동되는 경로인 가이드홈(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가이드부(5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기어(8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81)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가이드홈(51)을 따라 설정된 경로 상을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20)의 이동된 배치 상태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0) 전방으로 이동될 시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And as shown in FIG. 8, a guide groove 51, which is a path along which the guide protrusion 81 moves,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50. The guide groove 51 is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guide portion 50 toward the rear, and sets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rotrusion 8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uide gear 80. That is, when the movable frame 20 is moved backward, the guide protrusion 81 moves on a set path along the guide groove 51 and fixes the moved arrangement state of the movable frame 20. And, when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forward, a moving path is set so that it can move in a set direction.

상세히, 상기 가이드홈(51)은 입구 및 출구 측에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52)을 시작으로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인입되는 인입로(53)와,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인출되는 인출로(57)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로(53)와 상기 인출로(57) 사이에는 경계벽(5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경사면(52)은, 상기 가이드돌기(81)를 상기 인입로(53)로 안내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guide groove 51 has an inlet path 53 through which the guide protrusion 81 is introduced, starting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the inlet and outlet sides, and the guide protrusion 81. Lead-out passages 57 are each formed. Additionally, a boundary wall 59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path 53 and the outlet path 57. That i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side of the guide groove guides the guide protrusion 81 into the inlet path 53.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돌기(81)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돌기(81)가 구비된 상기 가이드기어(80)가 상기 가이드부(50)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81)는 상기 제 1 경사면(52)에 의해 인입로(53)로 가이드된다. Based on FIG. 8, the guide protrusion 81 can be moved counterclockwise. That is, when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backward, the guide gear 80 provided with the guide protrusion 81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50.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81 is guided to the inlet path 53 by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

그리고, 상기 인입로(53)의 바닥면, 즉 상기 인입로(53) 측 상기 가이드홈(51)의 바닥면에는 제 2 경사면(54)이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경사면(54)은 상기 가이드돌기(81)를 상기 경계벽(59)의 후면에 형성된 안착홈(55)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안착홈(55)에 접촉 시 상기 가이드돌기(8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55)은, 상기 인입로(53)와 상기 인출로(57)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안착된다. 이는,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이 상호 결합된 상태, 즉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인 상태로서,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54 is similar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et path 53,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51 on the inlet path 53 sid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4 is for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81 to the seating groove 55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boundary wall 59, and the guide protrusion 81 contacts the seating groove 55. During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81 can be fixed. The seating groove 55 is formed between the inlet path 53 and the outlet path 57,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81 is seated. This i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is being charged, and is used to fix the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backward. It can be understood that

다음으로, 상기 이동프레임(20)에 후방을 향한 가압력이 다시 작용되면, 상기 가이드홈(51) 중 상기 안착홈(55)과 마주하는 바닥면, 즉 상기 인출로(57) 측 상기 가이드홈(51)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3 경사면(56)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인출로(57)로 가이드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인출로(57)를 따라 상기 가이드부(50)에서 이탈되는 상태는, 상기 이동프레임(20)이 전방으로 다시 이동되는 상태 즉,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이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81)는 상기 인출로(57)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0)이 상기 결합홈(1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Next, when the back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again to the moving frame 20, the bottom surface facing the seating groove 55 among the guide grooves 51, that is, the guide groove on the draw-out path 57 side ( The guide protrusion 81 is guided to the lead-out path 57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5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51).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81 is separated from the guide portion 50 along the lead-out path 57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frame 20 is moved forward again, that is,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can be understood as being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81 deviates from the guide groove 51 along the lead-out path 57, and the moving frame 20 can move forward to be locat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14.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접속장치와 전기충전 결합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홈에서 가이드 경로의 이동 경로를 보인 단면도 이다.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ath in the guid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커넥터 결합부(210)가 충전을 위해 상기 결합홈(14)에 끼워진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홈(14)에 수용 중이던 상기 이동프레임(20)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42)는 상기 이동프레임 몸체(23)에 형성된 관통홀(22)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충전 플러그(214)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6, 9, and 10, first,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 for charging. Due to this, the moving frame 20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groove 14 is moved rearward. In addition, the charging terminal 4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moving frame body 23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harging plug 214 of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thereby enabling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t comes true.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60)가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45)에 수용되어 압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60)에는 전방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가이드홈(51) 중 상기 안착홈(55)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0)의 후방 이동 상태, 즉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100)와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의 단면적을 상기 결합홈(14) 보다 작게 형성하더라도, 상기 가이드홈(51) 및 안착홈(55)의 지지 구조로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as the moving frame 20 moves, the elastic member 60 is received and compressed in the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45, and as a result,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60 toward the front. And, the guide protrusion 81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5 of the guide groove 51, and the rearward moving state of the moving frame 20, that is,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electric charg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oupling device 200 is fixed. Therefor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oupling groove 14,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 51 and the seating groove 55.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irmly maintained.

다음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결합장치(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결합부(210)가 상기 이동프레임(20)을 가압하도록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안착홈(55)에 안착 중이던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제 3 경사면에 의해 상기 인출로(58)로 가이드 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2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81)가 상기 인출로(58)를 따라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이탈되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한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60)이 신장됨으로써 상기 이동프레임(20)은 용이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프레임(20)은 최초 위치, 즉 상기 결합홈(14)의 내측에 위치한다. Next,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the user holds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200 and applies a force applied backwards so that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210 presses the moving frame 20. do. As a result, the guide protrusion 81, which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55, is guided to the draw-out path 58 by the third inclined surface, and the moving frame 20 moves forward. That is, the force by which the guide protrusion 81 deviates from the guide groove 51 along the lead-out path 58 i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elastic member 60 is elongated to The moving frame 20 can be easily moved forward.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20 is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inside the coupling groove 14.

본 실시예를 통해 가이드돌기를 멈춤홈에 안착시켜 이동프레임의 이동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충전 시 전기충전 결합장치와 전기충전 접속장치의 결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nd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during charging by fixing the moving state of the moving frame by seating the guide protrusion in the stop groove.

또한, 전기충전 결합장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기충전 접속장치로부터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이 들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 charging coupl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ng device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requiring less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just becaus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기어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인입로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출되는 인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로와 상기 인출로는 경계벽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the moving fram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The moving frame includes a guide gea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gea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groove includes an inlet path through which the guide projection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ath through which the guide projection is withdrawn,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 which the inlet path and the outlet path are divided into different areas based on a boundary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결합홈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를 가지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frame is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having a moving frame body disposed inside the coupling groove and a stoppe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결합홈은 상기 스토퍼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base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탄성부재 수용홈에 수용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the other end is accommodated in an elastic member receiving groove of the fixed fr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로와 상기 인출로 사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경계벽의 단부면에 형성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guide projection is seated between the inlet path and the outlet path,
The seating groove is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med on an end surface of the boundary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플러그와 결합 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안착홈에 위치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6,
When combined with the charging plug, the guide protrusion is loc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측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trance side of the guide groov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상기 인출로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6,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seating groove to guide the guide protrusion to the draw-out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기어와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guide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guide gear in the moving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충전단자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frame is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harging terminal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결합홈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s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후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워지는 탄성부재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전기충전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inserted at the rear of the stopper.
충전을 위한 전기충전 접속장치를 구비하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충전 접속장치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충전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접촉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부에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기어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입되는 인입로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인출되는 인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로와 상기 인출로는 경계벽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으로 구획되는 전기자동차.
In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an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The electric charging connection device,
A base including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harging plug is inserted;
A fixed fram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ug;
a moving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xed frame and the base; and
It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contacts the moving frame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frame,
The fixed frame includes a guide groove therein,
The moving frame includes a guide gear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gea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groove includes an inlet path through which the guide projection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ath through which the guide projection is withdrawn,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inlet road and the outlet road are divided into different areas based on a boundary wall.
KR1020160161322A 2016-11-30 2016-11-30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KR102604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2A KR102604797B1 (en) 2016-11-30 2016-11-30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US16/345,412 US2019026775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PCT/KR2017/013850 WO201810174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2A KR102604797B1 (en) 2016-11-30 2016-11-30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75A KR20180061775A (en) 2018-06-08
KR102604797B1 true KR102604797B1 (en) 2023-11-22

Family

ID=626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322A KR102604797B1 (en) 2016-11-30 2016-11-30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7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6498B1 (en) * 2019-03-22 2020-08-2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erminal heat exchang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102233171B1 (en) * 2019-09-02 2021-03-29 주식회사 스필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N110843563B (en) * 2019-11-19 2021-03-23 安徽天鹏电子科技有限公司 New energy automobile fills electric pile self-lock device
KR102481777B1 (en) * 2020-06-12 2022-12-27 주식회사 유라 Charge Inlet Ca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6143A (en)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9810B2 (en) * 1993-12-28 1999-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KR20130032960A (en) * 2011-09-26 201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use in electric vehicle
KR101416771B1 (en)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6143A (en)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75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797B1 (en)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US8944845B2 (en) Power plug,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electrical charger assembly
US20180269619A1 (en) Car charging plug-in connector
JP5711574B2 (en) connector
KR20180113906A (en) Battery Pack with extendible battery module
CN108963123B (en) Battery cell securing assembly and method
KR20150142338A (en) Battery pack having bushing for coupling end plate
US20070210744A1 (e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US9312523B2 (en) Non-stop battery exchanging system
WO2019024886A1 (en) Battery box, bracket and battery box assembly
US9412993B2 (en) Battery module equipped with sensing modules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KR20180031203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CN101615703A (en) Charging device
KR102647877B1 (en)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KR102317507B1 (en) Battery pack
CN109075282B (en) Battery pack
KR102179788B1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N111816820A (en) Battery pack, tool system and charging system
CN107571766B (en) New energy automobile auxiliary fixture that charges
CN218182598U (en) High-voltage connector with positioning structure
JP2021051976A (en) Power supply device and branch connector device
KR20170056306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KR101720617B1 (en) Battery pack having interlock pin
KR20150049284A (en) Over-charging preventing apparatus for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