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77B1 -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 Google Patents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77B1
KR102647877B1 KR1020160161323A KR20160161323A KR102647877B1 KR 102647877 B1 KR102647877 B1 KR 102647877B1 KR 1020160161323 A KR1020160161323 A KR 1020160161323A KR 20160161323 A KR20160161323 A KR 20160161323A KR 102647877 B1 KR102647877 B1 KR 102647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device
charging plug
electric charging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776A (en
Inventor
정재후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77B1/en
Priority to US16/345,412 priority patent/US20190267758A1/en
Priority to PCT/KR2017/013850 priority patent/WO2018101748A1/en
Publication of KR2018006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7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housing; a control uni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lock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when coupled with the vehicle connector;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whose inclination changes as the operating unit moves;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moving toward the vehicle connector as the moving part moves, wherein the pressing par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and presses the vehicle connector as the moving part moves.

Description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본 실시예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Research on electric vehicles is actively underway as they are the most likely alternative to solving automobile pollution and energy problems. In general, electric vehicles are vehicles that obtain power by driving an AC or DC motor mainly using battery power. They are broadly classified into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Battery-only electric vehicles use battery power to The motor is driven and recharged when the power is used up,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can run the engine to generate electricity, charge the battery, and use this electricity to drive the electric motor to drive the car.

따라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력에너지를 공급받아 내장된 배터리에 저장할 수 있는 충전수단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은, 외부의 충전스테이션과 차량의 배터리를 물리적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an electric vehicle, a charging means is needed that can receive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and store it in a built-in battery. Generall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accomplished by interconnecting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s battery using a physical cab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은, 차량 커넥터(1)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차량 커넥터(1)는 전기자동차에 장착되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는 외부의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1,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ccomplished by combining a vehicle connector 1 and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The vehicle connector 1 is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and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provided at the end of a cable extending from an external charging station.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하우징(2)의 일면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가 끼워지는 수용홈(3)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충전단자(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에는, 상기 수용홈(3)에 삽입 시 상기 충전단자(4)가 끼워지는 충전 플러그(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부 측 일부 영역이 상기 수용홈(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에 결합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vehicle connector (1) has a receiving groove (3)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 into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inserted, and one or more charging terminals (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3). )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formed with a charging plug 5 in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4 is inserted w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Therefore, with a portion of the end sid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by engaging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It can be done.

상기와 같은 충전 접속장치에 의할 때, 상기 차량 커넥터(1)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결합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When using the above charging connection device, the coupling of the vehicle connector 1 and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전기자동차에는 고압의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이 견고해야만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외면과 상기 차량 커넥터(1)의 외면에 양자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의 단면적을 상기 수용홈(3)의 단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First, since high-voltage power energy is supplied to electric vehicles, the safety of charging can be ensured only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and the vehicle connector 1 is strong. Therefore, a separate configuration is provided for coup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connector 1, 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s adjusted to the receiving groove 3. )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and the vehicle connector 1.

그러나, 상기의 결합력 강화 수단으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를 상기 수용홈(3)에 삽입 또는 상기 수용홈(3)으로부터 분리 시에 과도한 힘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반복되는 충전으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6)와 상기 차량 커넥터(1)는 파손되기 쉽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4)와 상기 충전 플러그(5)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above coupling force strengthening means, the user uses excessive force when inserting or separat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into the receiving groove 3,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There is. In particular,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6) and the vehicle connector (1) made of plastic are prone to breakage due to repeated charging, which may cause the watertightness of the charging terminal (4) and the charging plug (5) to be destroyed. You can.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는 사용상의 편의와 충전의 안전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convenience of use and safety of cha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충전의 안전성을 담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charging and improve convenience of us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한다.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control uni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lock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when coupled with the vehicle connector; a moving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whose inclination changes as the operating unit moves;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moving toward the vehicle connector as the moving part moves, wherein the joining par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and presses the vehicle connector as the moving part moves.

본 실시예를 통해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 시, 가입축이 바닥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the joining shaft presses the bottom surface,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can be easily separated.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Because of this, the user can operate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without exerting additional force,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vehicle connector and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tach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ase excluding the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emplary drawings. When assign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are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component and that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between elements.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전기자동차란,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금속연료전지 자동차, 리튬 이온 배터리 자동차, 니켈 이온 배터리 자동차 등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한 후 이를 구동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electric vehicles include various vehicles that charge electricity into the battery and use it as a driving power source, such as hybrid vehicles, hydrogen fuel cell vehicles, metal fuel cell vehicles, lithium-ion battery vehicles, and nickel-ion battery vehicles.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이하에서, 차량 커넥터의 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차량 커넥터의 후방은 상기 차량 커넥터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전방은 차량 커넥터와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후방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전방의 반대 방향, 즉 케이블이 결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s coupled, and the rear of the vehicle connector refers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Likewise,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and the rear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refers to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le is coupl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커넥터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사시도 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vehicle connector and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a vehicle connector and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커넥터(200)와, 충전 스테이션의 케이블 선단에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connector 200 mounted on a vehicle, and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ed on the cable end of the charging station ( 100).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The charging station stores electrical energy need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ic energy supplies the necessary electric energy to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에 장착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로 전달된다.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차량의 외부 영역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영역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mounted on a vehicle.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attery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The vehicle connector 200 can be coupled to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by being disposed exposed to the external area of the vehicle or installed inside and selectively exposed to the external area.

상기 차량 커넥터(200) 전면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장착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가 구비된다. 상세히, 베이스(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가 결합되는 장착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22)에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홀(222)의 내측에 상기 장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on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In detail,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210 is formed with a mounting hole 222 to which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coupled. The mounting part 120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and the mounting part 120 can be disposed inside the mounting hole 222.

상기 장착홀(222)의 내부에는 차량에 배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230)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단자(230)는 후술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접속단자(124, 도 4 참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side the mounting hole 222, a charging terminal 230 is provided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placed in the vehicle. The charging terminal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4 (see FIG. 4)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electric vehicle can be charged.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은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0)은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L)의 선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다.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30 and the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30. The housing 130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cable (L) extending from the charging station and can be held by the user's hand.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케이스(201)의 선단, 즉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하우징(13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0)의 전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접속단자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상기 접속단자(124)의 형성 영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24)는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충전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The mounting portion 12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end 130a of the case 201, that is, the front surface 130a of the housing 130.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120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using 130. Additionally, a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groove 122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120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terminal 124. Accordingly, the mounting portion 120 is understood to form a boundary of the area where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3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3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되고 이로 인해, 상기 충전단자(130)와 상기 접속단자(1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장착부(120)의 단면적을 상기 장착홀(222)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장착부(120)를 상기 장착홀(222)에 삽입하거나,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상기 장착부(120)를 이탈시킬 수 있다.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are combined, the mounting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and thereby the charging terminal 13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is e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120 may correspond to or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hole 222. Among these,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ounting hole 222, the user can more easily insert the mounting portion 120 into the mounting hole 222 or insert the mounting portion 120 into the mounting hole 222. ) can be remov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20.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130a)에 형성된 노출홀(136, 도 5 참조)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연장된다. 외부로 연장된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에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12)가 형성된다. Meanwhile,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10 for fixing the coupled stat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locking portion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30, and its e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30 through an exposure hole 136 (see FIG. 5) formed on the front surface 130a of the housing 130. extends outward. At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locking portion 110, a locking protrusion 11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 외주면에도 상기 걸림돌기(112)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리브(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가 결합 시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구비되어, 상호 선택적인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리브(240)에 개수는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서로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locking rib 240 that engages the locking protrusion 1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Accordingly,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corresponding areas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are coupled, thereby selectively locking and releasing the lock. can be accomplished. The locking portion 110 and the locking rib 24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상세히,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가 마주하는 외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242, 113)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될 때에는, 상기 경사면(242, 113)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면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단부측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돌기(112)의 배면이 상기 걸림리브(240)의 배면에 접촉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inclined surfaces 242 and 113 of corresponding shapes are formed on outer surfaces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face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engaging protrusion 112 easily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rib 240 due to the inclined surfaces 242 and 113. can do. In addition,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are caught, so that the coupled state can be maintained firmly.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caught by conta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locking rib 240, so that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한편,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해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Bel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착모듈을 제외한 케이스의 내부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e excluding the detachab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에는 탈착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거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를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분리시킨다. Referring to Figures 5 to 7,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module 300. The detachment module 300 fixes the coupled state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or separates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상세히, 상기 탈착모듈(30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200)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조작부(140)와, 상기 조작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150) 및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1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200)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detachable module 3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140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and an operation unit 1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40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and a moving unit 150 tha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140 and whose inclina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unit 140, and that is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150 and moves the mov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unit 150. It includes a pressing portion 160 that moves toward the connector 200.

상기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이동부(150)과 상기 걸림부(110)에 전달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부(141)와,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힘 전달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41)와 상기 힘 전달부(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140 transmits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to the moving unit 150 and the locking unit 110. In detail, the manipulation unit 140 includes a button portion 14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and a for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30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141. Includes part 142. The button portion 141 and the force transmission portion 142 may be formed integrally.

상기 버튼부(141)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30)을 파지 시, 손가락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푸쉬(push)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에는 상기 버튼부(14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조작홀(133, 도 8)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부(141)가 눌러지면, 상기 버튼부(141)에 작용된 가압력이 상기 힘 전달부(142) 로 전달되어, 상기 힘 전달부(142)도 하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The button portion 141 may be pushed by the user's body, including a finger, when the user holds the housing 130. An operation hole 133 (FIG. 8)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30 to expose the button portion 141 to the outside. When the button portion 141 is pressed by the user,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button portion 141 is transmitted to the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2, and the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2 may also be moved downward. .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버튼부(141)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110) 및 상기 이동부(150)에 전달한다. The force transmitting part 14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part 141.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its lower end approaches the front of the housing 130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transmits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unit 141 to the locking unit 110 and the moving unit 150.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힘 전달부(142)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홀(133)에 하부 영역에 형성된 제 1 공간부(135)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135)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힘 전달부(14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35 formed in the lower area of the manipulation hole 133 inside the housing 130. . The first space 135 may form a movement path of the force transmission unit 142 inside the housing 130.

가압축(190)은,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와 연결되는 상기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조작부(1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 플러그(200) 중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벽면을 가입한다. The pressing shaft 190 includes the moving part 150 and the pressing part 160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50. One end of the pressing shaft 19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unit 140, and joins the wall surface where the charging terminal 230 of the charging plug 200 is 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140.

상세히, 상기 가압축(190)은, 일단이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제1축(182)을 통해 결합되는 이동부(150)와, 상기 이동부(15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단자(230)가 형성되는 바닥면(252, 도 10참조)을 가압하는 가압부(160)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pressing shaft 190 has one end coupled to the moving part 150 coupled through the force transmitting part 142 and the first axis 182,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art 150 to It includes a pressing part 160 that pressurizes the bottom surface 252 (see FIG. 10) where the charging terminal 230 is formed.

상기 제1축(182)은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단과 상기 이동부(150)의 상단 중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힘 전달부(142)과 상기 이동부(150)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즉,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상기 조작부(1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150)도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axis 182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orce transmitting unit 142 and the upper end of the moving unit 150, thereby forming the force transmitting unit 142 and the moving unit 150. forms the center of rotation. That is, when the manipulation unit 140 moves downward through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moving unit 150 may also rotate around the first axis 182.

상기 가압부(160)는 일단이 제2축(184)을 통해 상기 이동부(15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에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pressing part 1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50 through the second axis 184,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front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ccordingly, the pressing portion 160 may be substantially positioned horizontal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in the housing 130.

따라서, 상기 가압부(160)는 상기 힘 전달부(142) 및 상기 이동부(150)에 의해 전달된 가입력을 통해,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sing part 16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side the housing 130 through the added force transmitted by the force transmitting part 142 and the moving part 150.

이는, 상기 가압부(160)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160)은 일단이 상기 이동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측 단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부(150)이 이동되기 위한 관통홀(138, 도 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38)은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 중 상기 접속단자(124)가 수용되는 상기 접속단자 수용홈(122)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20)가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삽입될 때, 상기 가압부(160)은 이동에 의해 상기 바닥면(252)을 가압할 수 있다. 이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pressing part 160 moving linearly back and forth inside the housing 130. Also, when the pressing unit 160 moves forward, a part of the pressing unit 160 may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That is, while one end of the pressing unit 160 is coupled to the moving unit 150, the front end are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30. To this end, a through hole 138 (FIG. 5) through which the moving part 150 moves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30. The through hole 138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groove 122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124 is accommod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30. Therefore, when the mounting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of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pressing portion 160 can press the bottom surface 252 by moving. .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가압축(19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 중 하면의 인접한 제 2 공간부(13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137)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축(19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sing shaft 19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37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30. The second space 137 may form a movement path of the pressing shaft 190 inside the housing 130.

상기 걸림부(110)는 일단이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30)에 형성된 상기 노출홀(136)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축(182)을 중심으로 상기 걸림부(110)도 회동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182, and the other end extends outward through the exposed hole 136 formed in the housing 130. Accordingly, when the force transmitting unit 142 is moved downward by manipulating the operating unit 140, the locking unit 110 may also be rotated around the first axis 182.

한편,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축(13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영역 중 양 측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1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제1축(18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 전달부(142)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의 회전 시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므로,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된 일단은 하방으로 이동되고 반대편 타단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축(134)은 상기 걸림부(110)의 받침점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eanwhile, a support shaft 134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30. The support shaft 134 may be connected at both ends to both sides of the inner region of the housing 130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support shaft 134 may be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the first shaft 182 based on the center of the engaging portion 110. Therefore, since the lower surfac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134 when the locking portion 110 is rotated by the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2,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182 moves downward and the opposite side The other end can be moved upward. In other words, the support shaft 134 can be understood as serving as a fulcrum for the engaging portion 110.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하단이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70)의 결합을 위한 탄성부재 결합부(132)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7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n elastic member 1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portion 110.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tching portion 110, and the upper end may be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132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170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Meanwhile, the elastic member 170 may include a spring.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110)를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걸림부(110)는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장착 시,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접촉에 의해 상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70)는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130)의 하면과 상기 걸림부(1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압축되게 되고, 하방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의 상측을 통과 시 상기 걸림돌기(112)가 다시 하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40)의 푸시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상기 걸림부(110)가 상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조작부(140)는 하방, 즉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70 provides elastic force toward the locking portion 110 as the locking portion 110 moves. In detail, the locking portion 110 may be moved upward by contact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112 and the locking rib 240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re is.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70 is compressed with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110, and an elastic force acts downward, causing the locking protrusion ( When 112)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ib 240, it provides elastic forc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12 can move downward again. In addi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a push of the operation unit 140 and the locking unit 110 moves upward, the operation unit 140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member 170, that i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disappears. can be restored.

한편, 상기 걸림부(110)의 상기 제1축(182)에 결합되는 단부는 상기 힘 전달부(142)와 상기 이동부(15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걸림부(110)의 이동은 타 구동력 전달축(142, 15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Meanwhile, since the end coupled to the first axis 182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disposed outside the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2 and the moving portion 150, the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It does not affect other driving force transmission shafts (142, 1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에 장착된 장착부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다.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상기 차량 커넥터(20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의 결합은, 상기 충전단자(250)와 상기 접속단자(124)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장착부(220)에 형성된 장착홀(222)에 상기 장착부(12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5, 8, and 10, first,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200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is performed by us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mounting portion 220 for contact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25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4. The mounting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2 formed in .

이 때, 상기 걸림돌기(112)의 경사면(113)과 상기 걸림리브(240)의 경사면(242)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걸림부(110)는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리브(240)의 후면에 배치되면,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1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돌기(112)와 상기 걸림리브(240)의 걸림 상태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충전 시 고전압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과 상기 차량 커넥터(200)는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110 is moved upward within the housing 130 due to contact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113 of the engaging protrusion 112 and the inclined surface 242 of the engaging rib 240. . The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112 passes through the locking rib 240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ocking rib 240, the locking portion 110 moves down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70. Thus, the engaging state of the engaging protrusion 112 and the engaging rib 240 is formed. Because of this, even if high voltage is generated during charg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and the vehicle connector 200 can be firmly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다음으로, 충전이 완료된 후 상기 차량 커넥터(200)로부터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의 이탈 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0)의 버튼부(141)을 푸쉬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141) 푸쉬로 인해, 상기 힘 전달부(142)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0)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지지축(134)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걸림부(110)의 상방 이동은 상기 걸림돌기(112)가 상기 걸림리브(2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힘 전달부(142)의 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150)와 상기 가압부(160)에 구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가압부(16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부(160)의 일부 영역은 상기 관통홀(138)을 통해 외부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60)의 전방측 단부가 상기 장착홀(222)의 바닥면(252)을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을 밀어내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부(120)는 상기 장착홀(22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Next,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after charging is completed, the user pushes the button portion 141 of the manipulation portion 140. Due to the push of the button portion 141, the force transmitting portion 142 moves downward,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134. is moved upward by In other words,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cking portion 110 can be understood as moving the locking protrusion 112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rib 240. 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ving unit 150 and the pressing unit 160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orce transmitting unit 142, and the pressing unit 160 moves forward. Du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unit 160, a partial area of the pressing unit 160 moves out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Because of this, as shown in FIG. 10,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portion 160 presses the bottom surface 252 of the mounting hole 222. Also, the mounting part 1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222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art 160 pushing the bottom surface 252.

종래에는 사용자가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차량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를 후방으로 당기는 방식으로 외력을 가해야 했으므로, 보다 많은 힘이 들고 번거로움이 있었다. Conventionally, the user had to apply an external force by pulling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backward to separate it from the vehicle connector, which required more force and was inconvenient.

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 접속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상기 차량 커넥터(200)으로부터 분리 시에 상기 가압부(160)이 상기 바닥면(252)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harging connection device 10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connector 200, the pressing portion 160 is pressed to the bottom surface 252. Since it is pressed in a contact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can be easily separated. That is, the user can disconnect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100 by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unit 140 without exerting any additional for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just becaus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제1축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 커넥터와 결합 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걸림부;
일단이 상기 조작부와 제1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타단에 제2축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차량 커넥터 측으로 이동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이동부와 형성하는 상대 각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housing;
a control uni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lock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first axis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vehicle connector when coupled with the vehicle connector;
a moving part whose e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unit through a first axis and whose inclination changes as the operating unit moves; and
A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oving part through a second axis and moving toward the vehicle connector as the moving part move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the locking unit and the moving unit rotate around the first axis,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n which the pressing part moves out of the housing so that a relative angle formed with the moving part about the second axis increases as the moving part rot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걸림부의 양단 중 상대적으로 상기 제1축과 결합되는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nd includes a support shaft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he support shaft is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disposed relatively close to an end coupled to the first shaft among both ends of the engag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2공간부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comprising a second space formed within the housing and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press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wherein the lock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버튼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unit is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ncluding a button pressed by a user and a force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to the locking unit and the mo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wherein the lock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커넥터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vehicle connec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차량 커넥터를 가압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7,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n which the pressing part protrudes further than the connection terminal as the moving part moves and presses the vehicle connec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접속단자 수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 수용홈의 일면에는 상기 가압부가 이동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im 7,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terminal,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essing part moves on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receiving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형성되며, 상기 힘 전달부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공간부를 포함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comprising a first space formed within the housing and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force transmis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충전단자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electric charging plug devi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reciprocates in the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KR1020160161323A 2016-11-30 2016-11-30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KR102647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en) 2016-11-30 2016-11-30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US16/345,412 US2019026775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PCT/KR2017/013850 WO2018101748A1 (en) 2016-11-30 2017-11-29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en) 2016-11-30 2016-11-30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76A KR20180061776A (en) 2018-06-08
KR102647877B1 true KR102647877B1 (en) 2024-03-15

Family

ID=6260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323A KR102647877B1 (en) 2016-11-30 2016-11-30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83B1 (en) 2018-07-10 2023-08-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harging receptacle for electric vehicle
CN109866636A (en) * 2019-03-13 2019-06-11 友邦电气(平湖)股份有限公司 For 7KW with the charging head assembly of vehicle alternating-current charging pile
KR102183709B1 (en) 2019-05-13 2020-11-26 주식회사 피에스엔 Charging plug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6143A (en)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9810B2 (en) * 1993-12-28 1999-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KR101416771B1 (en) * 2012-11-09 2014-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6143A (en) * 2013-04-24 2014-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76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574B2 (en) connector
US20190267758A1 (en) Electricity charging plug device, electricity charging connection device, electricity charging device and electric vehicle
KR101841801B1 (en) Battery pack having bushing for coupling end plate
KR102647877B1 (en) Plu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JP3164959U (en) Charge / discharge device with USB plug that can be stored
JP5531895B2 (en) Charging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vehicle charging port
KR102604797B1 (en) Connecting device for charging electricity and electric car
KR102010288B1 (en)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20120138407A (en)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2013172618A (en) Housing device for cable
KR101806558B1 (en) Interface apparatus for charged up battery of electromobile
EP2614980A1 (en) Contactless connector system for coupling an electric vehicle to a power supply
KR20180126873A (en) Charging connector locking apparatus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CN212587561U (en) Battery replacing cabinet control system for portable battery replacing electric vehicle
KR102182647B1 (en) Integrated electric driv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KR102570265B1 (en) Battery pack
JP2014207121A (en) Connector for electric connection
KR101380573B1 (en) Inlet device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CN107571766B (en) New energy automobile auxiliary fixture that charges
KR102093598B1 (en) Outlet charging plug for electric vehicle
KR20120108167A (en) Connector, charg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onic vehicle
KR101345813B1 (en) High voltage connector with multi contact point
JPH0729639A (en) Connecto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JP5102545B2 (en)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