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693B1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693B1
KR102604693B1 KR1020180118052A KR20180118052A KR102604693B1 KR 102604693 B1 KR102604693 B1 KR 102604693B1 KR 1020180118052 A KR1020180118052 A KR 1020180118052A KR 20180118052 A KR20180118052 A KR 20180118052A KR 102604693 B1 KR102604693 B1 KR 10260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ixing member
transfer unit
st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20A (ko
Inventor
이아영
윤지현
노정준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693B1/ko
Priority to US16/590,988 priority patent/US11390984B2/en
Priority to EP19201117.9A priority patent/EP3636823B1/en
Publication of KR2020003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1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with the conveyor adjustably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or base
    • B65G41/002Pivotably moun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 및 제2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간단한 구조로 한벌 씩 처리실로 이송시키고, 비 사용 시에는 접을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이러한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의류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의류 재생 장치에 수납된 의류는 그 의류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종래의 의류 처리기기는 하나의 큰 처리실 내에 다수 또는 단수의 의류를 수용하고, 의류에 열풍, 스팀, 기계력 등을 가하여 주름을 제거하게 된다. 다만, 연속적으로 많은 수의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의류 이송장치가 필요하다.
아래 특허문헌의 이송장치는 옷걸이를 이송하는 승강장치(3); 옷걸이가 걸려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형상된 가이드 몸체(20); 다수개의 실린더(21); 다수개의 차단바(22~24); 옷걸이 걸이구(10); 이송라인(6); 이송벨트 구동장치(7)등의 복잡한 구성을 가진다. 차단바 앞으로 옷걸이 걸이구(10)가 지나갈 때, 옷걸이가 옷걸이 걸이구(10)에 걸리게 하기 위해서, 차단바에 옷걸이가 걸리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또한 1차단바(22)가 들어올려질 때 다른 옷걸이가 같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차단바(22~24)가 설치되어서 복잡한 시퀀스로 작동된다.
따라서, 종래 의류 이송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제조가 어렵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며, 복잡한 구조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큰 문제점이 존재한다.
아울러, 대량의 의류를 연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류 처리 장치가 비 사용 시에 큰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미국 특허공보 US4512280(198504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많은 수의 의류를 순차적,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 시에 다수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비 사용 시에 공간을 적게 점유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의류를 순차적으로 처리실로 이송하고, 다시 처리실에서 배출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의류를 순차적으로 처리실로 이송하고, 다시 처리실에서 배출하는 이송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프레임의 상면의 형상과 리프터의 상면의 형상을 조합하여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은 구조를 가지고, 제조가 쉬운 이송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후 왕복되는 무버가 리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높이가 낮고 차지하는 공간은 작으며, 의류 처리 용량은 큰 쉬운 이송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이송유닛이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접힘 상태에서, 이송유닛들이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고, 펼침 상태에서 이송유닛의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 및 제2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 상기 가이드 블럭이 슬라이딩되고,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테이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테이 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스테이 링크 및 상기 제2 스테이 링크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각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블럭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럭 힌지는 상기 각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테이 링크와 캐비닛을 연결하는 스테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 힌지는 상기 가이드 레일 보다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테이 링크와 캐비닛을 연결하는 스테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 힌지는 상기 블럭 힌지 보다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테이 링크는 상기 각 스테이 힌지가 결합되는 장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가 각 스테이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부재에서 상기 스테이 링크가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가이드 블럭이 결합되는 위치보다 길이방향에서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 및 제2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상태와, 일부가 상기 처리실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2 상태와, 일부가 상기 처리실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가이드 블럭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테이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테이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스테이 링크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된 스테이 힌지가 결합되는 장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기 스테이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부재의 일면은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각 고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많은 수의 의류를 순차적으로 처리실에 공급하고 처리실에서 배출하는 구조를 가져서, 많은 수의 의류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었을 때 캐비닛의 내부에 수납되고, 폈을 때 이송유닛의 일부가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 시에 다수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비 사용 시에 공간을 적게 점유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에 따라 2개의 이송유닛이 함께 회전하며 펼쳐져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유닛이 펼쳐졌을 때,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링크가 사용되어서, 고정부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무버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면, 리프터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의류를 처리실로 공급하고 처리실에서 배출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조비용일 줄어들고, 간단한 구조로 내구성이 증가하며, 제조가 쉬운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장치는 리프터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리프터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므로, 이송장치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의류를 처리할 공간은 늘어나게 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접히는 구조를 가져서, 의류 처리 장치의 비 사용 시에 크기가 줄어들어서, 비 사용 시에 의류 처리 장치의 보관의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송장치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과 그 주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송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이송장치의 작동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리프터의 작동에 의해 이송물이 이송되는 원리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의류 처리 장치에서 이송유닛들을 제거하고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일 부분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스테이 링크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의류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류 처리 장치(10)는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110)과, 처리실(110) 내로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열부(120)와,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를 포함한다.
처리실(110)은 캐비닛(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처리실(110)은 의류에 열풍이나 스팀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즉,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펴거나,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처리실(110)은 의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면은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가 닫히면 처리실(110)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가 열리면 처리실(110)은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처리실(11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2면이 개구될 수 있다. 개구된 면에는 설치되는 도어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되어 처리실(110)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120)는 처리실(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하여 처리실(110)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거나, 물을 공급받아 열을 가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처리실(110) 내부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물론,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을 함께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열풍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가열부(120)는 열풍 및/또는 스팀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20)는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121)와,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처리실(110) 내부로 토출되는 열풍 토출구(122)와, 처리실(110)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123)를 포함한다.
가열부(1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처리실(110) 내에 수용된 의류에 가해져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즉,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부(1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가열부(120)에 의해 공급된 열풍은 처리실(110) 내에 수납된 의류를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머금게 된다. 습기를 머금은 고온의 공기가 처리실(110) 상부로 유동하게 되고, 처리실(110)의 내벽과 만나면서 응축된다. 특히, 가열부(120)에 의해 처리실(110) 내로 스팀이 공급될 시에는 처리실(110) 내벽에 응축 현상은 더 심해진다. 상기와 같이 처리실(110)의 내벽에 응축된 물이 의류 처리 장치(10)의 작동이 완료된 후 그대로 방치되면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 등이 번식하여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처리실(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처리실(110) 내벽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처리실(110) 내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처리실(110)의 상부에는 옷걸이(미도시)가 걸리고 이송되는 이송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이송장치(200)에 걸린 옷걸이를 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켜서,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하, 의류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송장치(200)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이송장치(200)의 제1 프레임(220)과 제2 프레임(230)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는 프레임(210)과, 리프터(250)와,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프레임(210)의 상면의 빗면 구조와 리프터(250)의 상하운동에 의해 프레임(210)의 걸린 이송물(1)(옷걸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프레임(210)은 의류가 걸린 옷걸이가 걸리고, 리프터(25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프레임(21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프레임(2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준비영역(S1), 처리영역(S2), 배출영역(S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양단이 준비영역(S1)과, 배출영역(S3)이고, 처리영역(S2)이 준비영역(S1)과 배출영역(S3) 사이가 처리영역(S2)이 된다.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은 처리실(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은 처리실(110)의 외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프레임(210)의 배출영역(S3)은 처리실(110)의 외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서, 접힐 수 없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240)를 가지고, 접힐 수(foldable)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10)은 제1 프레임(220)과 제1 프레임(2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240)에 의해 연결되는 제2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20)과 제2 프레임(230)은 상하방향을 축으로 폴딩된다. 따라서, 비 사용시에, 프레임(210)은 접혀서 처리실(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사용 시에 프레임(210)의 양단이 처리실(1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제1 방향(후방에서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2개의 슬라이딩면(211)과, 2개의 슬라이딩면(211)들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면(211)들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는 적어도 2개의 구속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프레임(210)의 상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면(211)과 구속면(212)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슬라이딩면(211)과, 구속면(212)은 프레임(210)의 상면을 정의한다. 슬라이딩면(211)은 슬라이딩면(211) 위에 위치된 이송물(1)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면이다.
슬라이딩면(21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할 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슬라이딩면(211)은 적어도 슬라이딩면(211) 위에 위치된 이송물(1)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될 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면(211)이 제1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은 20° 내지 70° 일 수 있다.
슬라이딩면(211)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방향과 나란하거나, 경사각이 매우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은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어서, 이송물이 걸리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 슬라이딩면(211)의 길이 또는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서로 같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는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 및 프레임(210)의 배출영역(S3)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처리영역(S2) 또는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개수는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a)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배출영역(S3) 및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b)의 개수는 1개이고,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a)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와 개수로, 처리영역(S2)에서 처리되는 의류의 수를 조절할 수 있고, 준비영역(S1)에 준비되는 의류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속면(212)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슬라이딩면(211)들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슬라이딩면(211)들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한다. 즉, 구속면(212)은 슬라이딩면(211)과 경사를 가지는 면으로 이송물(1)이 슬라이딩면(211)의 경사에 의해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구속되어 위치되게 한다.
각 구속면(212)은 서로 인접한 슬라이딩면(211)들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각 구속면(212)의 하단은 서로 인접한 슬라이딩면(211) 들 중 하나의 하단에 연결되고, 각 구속면(212)의 상단은 서로 인접한 슬라이딩면(211) 들 중 하나의 상단에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속면(212)의 하단은 구속면(212)의 후방에 위치된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연결되고, 구속면(212)의 상단은 구속면(212)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프레임(210)의 상면은 구속면(212)과 슬라이딩면(211)에 의해 톱니 모양을 가진다.
구속면(212)은 후방에서 전방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를 가지거나,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속면(212)의 경사가 너무 낮으면 이송물(1)이 구속되지 못하게 되므로, 구속면(21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3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속면(212)의 경사각이 100°를 넘는 경우 리프터(250)에 의해 이송물(1)이 들어올려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송물(1)은 구속면(212)의 후단과 구속면(212)에서 후방에 위치된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이 연결된 구속 영역에 구속된다.
각 슬라이딩면(211) 들은 서로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딩면(211) 들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경우, 리프터(250)가 작동 중일 때, 이송물(1)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각 구속면(212)의 높이 또는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서로 같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구속면(212)의 높이는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에 형성된 구속면(212)의 높이 및 프레임(210)의 배출영역(S3)에 형성된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처리영역(S2) 또는 배출영역(S3)의 구속면(212)의 개수는 준비영역(S1)의 구속면(212a)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배출영역(S3) 및 처리영역(S2)의 구속면(212b)의 개수는 1개이고, 준비영역(S1)의 구속면(212a)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준비영역(S1)은 적어도 2개의 슬라이딩면(211)과 2개의 구속면(212)을 포함하고, 처리영역(S2)은 1개의 슬라이딩면(211)과 1개의 구속면(212)을 포함하고, 배출영역(S3)은 1개의 슬라이딩면(211)과 1개의 구속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20)은 준비영역(S1)과 처리영역(S2)을 포함하고, 제2 프레임(230)에는 배출영역(S3)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제1 프레임(220)과 제1 프레임(220)과 결합된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프레임(220)과 그 주변 구성의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송장치(200)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이송장치(200)의 작동 도시한 작동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이송장치(200)의 작동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220)은 리프터(250)와 후술하는 무버(270)를 수용하고, 상면에 슬라이딩면(211)과 구속면(212)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220)은 서로 마주 보며 이격되게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재(222) 및 제2 부재(223)와, 제1 부재(222) 및 제2 부재(223)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부재(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3) 사이에는 리프터(250)와 무버(270)를 수용하는 채널(221)이 형성된다. 채널(221)은 전후 방향과 상부 방향이 개방될 수 있다. 채널(221)의 후방을 통해 후술하는 리니어 모터(310)가 연결된다. 채널(221)에 리프터(250)와 무버(270)가 수용되는 구조를 가져서, 이송장치(200)를 슬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3)의 상면에는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a)과 구속면(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22)와 제2 부재(223)의 상면에는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b)과 구속면(21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22) 및 제2 부재(223)의 전방 단에는 힌지(240)가 위치될 수 있다.
리프터(250)는 복수 개의 프레임(210)의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프레임(210)에 하나의 리프터(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 리프터(250)는 제1 프레임(220)에 하나의 리프터(2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리프터(250)는 제1 프레임(220)의 준비영역(S1)과 처리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터(250)에 의해 처리영역(S2)에서 들어올려진 이송물(1)이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에 위치되면 자중에 의해 스스로 배출영역(S3)의 전방 단으로 이송되므로, 배출영역(S3)에는 리프터(25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리프터(250)는 구속 영역에 위치된 이송물(1)을 다음 단(段)의 슬라이딩면(211) 상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음 단의 슬라이딩면(211)은 기준이 되는 구속면(212)의 전방 단에 연결된 슬라이딩면(211)이고, 이전 단의 슬라이딩면(211)은 기준이 되는 구속면(212)의 후방 단에 연결된 슬라이딩면(21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리프터(250)는 제1 프레임(220)의 채널(221)에 수용되어서, 전후 이동은 제한되고, 상하이동은 제한된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리프터(250)의 상부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229)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250)의 하부방향 한계는 제3 부재(225)에 의해 정해지고, 리프터(250)의 상부방향 한계는 스탑퍼(229)에 의해 정해진다. 물론, 리프터(250)는 스탑퍼(229)와 결합되는 스탑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리프터(250)는 제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2개의 경사면(251)과, 2개의 경사면(251)들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면(251)들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는 적어도 2개의 교차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리프터(250)의 상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면(251)과 교차면(252)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경사면(251)과, 교차면(252)은 리프터(250)의 상면을 정의한다. 경사면(251)은 경사면(251) 위에 위치된 이송물(1)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면이다.
경사면(251)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할 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다. 경사면(251)은 적어도 경사면(251) 위에 위치된 이송물(1)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될 정도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경사면(251)이 제1 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은 20° 내지 70° 일 수 있다.
각 경사면(251)의 길이 또는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서로 같을 수도 있다. 리프터(250)는 준비영역(S1)과 처리영역(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준비영역(S1)의 경사면(251a)의 길이는 처리영역(S2)의 경사면(251b)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처리영역(S2)의 경사면(251b)의 개수는 준비영역(S1)의 경사면(251a)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처리영역(S2)의 경사면(251b)의 개수는 1개이고, 준비영역(S1)의 경사면(251a)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프터(250)의 준비영역(S1)의 경사면(251a)은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a)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고, 리프터(250)의 처리영역(S2)의 경사면(251b)은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b)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진다.
교차면(252)은 서로 인접한 2개의 경사면(251)들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경사면(251)들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한다. 즉, 교차면(252)은 경사면(251)과 경사를 가지는 면으로 이송물(1)이 경사면(251)의 경사에 의해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구속되어 위치되게 한다.
각 교차면(252)은 서로 인접한 경사면(251)들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각 교차면(252)의 하단은 서로 인접한 경사면(251) 들 중 하나의 하단에 연결되고, 각 교차면(252)의 상단은 서로 인접한 경사면(251) 들 중 하나의 상단에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차면(252)의 하단은 교차면(252)의 후방에 위치된 경사면(251)의 전방 단에 연결되고, 교차면(252)의 상단은 교차면(252)의 전방에 위치된 경사면(251)의 후방 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리프터(250)의 상면은 교차면(252)과 경사면(251)에 의해 톱니 모양을 가진다.
교차면(252)은 후방에서 전방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를 가지거나, 상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교차면(252)의 경사가 너무 낮으면 이송물(1)이 구속되지 못하게 되므로, 교차면(25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3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경사면(251) 들은 서로 상하 방향에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면(251)들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경우, 리프터(250)가 작동 중일 때, 이송물(1)의 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각 교차면(252)의 높이 또는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고 서로 같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준비영역(S1)의 교차면(252)의 높이는 처리영역(S2)의 교차면(252)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처리영역(S2)의 교차면(252)의 개수는 준비영역(S1)의 교차면(252)의 개수 보다 작을 수 있다. 처리영역(S2)의 교차면(252)의 개수는 1개이고, 준비영역(S1)의 교차면(252)의 개수는 5개 내지 10개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준비영역(S1)은 적어도 2개의 경사면(251)과 2개의 교차면(252)을 포함하고, 처리영역(S2)은 1개의 경사면(251)과 1개의 교차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면(211)의 개수는 경사면(25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터(25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경사면(251) 및 교차면(252)의 개수는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 및 구속면(212)의 개수에 대응된다.
각 슬라이딩면(211)의 길이는 각 경사면(25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터(25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경사면(251)의 길이는 프레임(210)의 준비영역(S1)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리프터(250)의 처리영역(S2)에 형성된 경사면(251)의 길이는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에 형성된 슬라이딩면(21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리프터(250)에는 후술하는 무버(2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면(25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254)은 전후 방향으로 왕복하는 무버(270)의 이동으로 리프터(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254)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진행할 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면(254)은 직선 또는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면(254)은 리프터(250)의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가이드면(254)은 무버(270)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리프터(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각 교차면(252)들과 각 슬라이딩면(211) 들은 리프터(250)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송물(1)을 다음 단의 슬라이딩면(211)으로 이동시키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교차면(252)은 각 슬라이딩면(211)과 상하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선 상에 배치된다. 즉, 각 교차면(252)은 각 슬라이딩면(211)과 상하 방향에서 나란한 동일 선 상에 배치된다. 전후 방향에서, 각 교차면(252)은 각 슬라이딩면(211)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0)의 구속면(212)과 리프터(250)의 교차면(252)은 전후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고, 프레임(210)의 슬라이딩면(211)과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은 전후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방 단에 프레임(210)의 구속면(212)이 배치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구속면(212), 교차면(252)이 교대로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 교차면(252)은 각 슬라이딩면(211)과 상하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선 상에 배치되고, 각 구속면(212)은 각 경사면(251)과 상항 방향에 평행한 임의의 선 상에 배치된다.
구동유닛은 리프터(250)를 제1 방향(전후 방향)과 교차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유닛은 프레임(21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도 있고, 프레임(210)이 복수이고, 구동유닛은 1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으로 리프터(2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는 리니어 모터(310)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되는 경우 이송장치(200)의 높이가 너무 커지게 된다.
다른 예로, 구동유닛은 제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리니어 모터(310), 리니어 모터(31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리프터(250)를 상하 이동시키는 무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모터(310)는 프레임(2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리니어 모터(310)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311)를 포함한다. 리니어 모터(310)의 실린더(311)는 무버(270)의 후방 단에 연결된다.
무버(270)는 리니어 모터(310)의 전후 운동을 상하 방향 운동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무버(270)는 제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무빙면(272)과 무빙면(272)이 배치되는 무빙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바디(271)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적어도 제1 프레임(22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무빙면(272)은 적어도 2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빙면(272)은 제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리프터(250)에 형성된 가이드면(254)과 상호작용으로 무버(27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리프터(25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리프터(250)의 가이드면(254)은 무빙면(272)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면(254)과 무빙면(272)은 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무빙면(272)과 가이드면(254)의 접촉을 줄이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가이드면(254)과 무빙면(272)의 이격시켜서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롤러는 무빙면(272)에 회전되게 설치된다.
무버(270)는 프레임(210)의 채널(221)에 수용된다. 무버(270)는 채널(221) 내에서 상하방향의 이동은 제한되고, 전후 방향의 이동은 가능하게 수용된다.
특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초기에 이송물(1)이 구속면(212)에 접하는 구속영역에 위치된다. 이때, 리프터(250)의 상면은 프레임(210)의 상면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송물(1)을 다음 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무버(27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빙면(272)과 가이드면(254)의 상호작용에 의해 리프터(25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물(1)은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에 의해 구속면(212)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이 구속면(212) 보다 높게 위치되면,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의 경사를 따라 이송물(1)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리프터(250)의 교차면(252)에 구속된다. 이후, 리프터(250)가 하강하여 리프터(250)의 상면이 프레임(210)의 상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리프터(250) 교차면(252)에 구속된 이송물(1)이 다음 단의 슬라이딩면(211) 상에 위치하게 되고, 다음 단의 슬라이딩면(211)의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다음 단의 구속면(212)에 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송물(1)은 일 슬라이딩면(211)에서 리프터(250)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리터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어서, 다음 단의 슬라이딩면(211)으로 이송된다.
이하, 이송장치(200)의 작동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리프터(250)의 작동에 의해 이송물(1)이 이송되는 원리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이송물(1)이 준비영역(S1)의 말단의 구속면(212)에 접하는 구속영역에 위치된다. 이때, 리프터(250)의 상면은 프레임(210)의 상면 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이송물(1)을 다음 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무버(27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무빙면(272)과 가이드면(254)의 상호작용에 의해 리프터(25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물(1)은 리프터(250)의 준비영역(S1) 말단의 경사면(251)에 의해 구속면(212)을 따라 상부로 이동된다.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이 구속면(212) 보다 높게 위치되면, 리프터(250)의 경사면(251)의 경사를 따라 이송물(1)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준비영역(S1) 말단의 교차면(252)에 구속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리프터(250)가 하강하여 리프터(250)의 상면이 프레임(210)의 상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리프터(250)의 준비영역(S1)의 교차면(252)에 구속된 이송물(1)이 프레임(210)의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b) 상에 위치하게 되고,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b)의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처리영역(S2)의 구속면(212b)에 접하게 위치된다. 물론 준비영역(S1)에 위치된 다른 이송물(1)들도 한단 씩 전방으로 이송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A)의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A)는 도 2 내지 도 9의 이송장치(200)와 비교하면, 준비영역(S1)의 구성과, 프레임(2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별도의 설명이 없는 구성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예로 프레임(210)이 중간에 폴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의 준비영역(S1)은 하나의 슬라이딩면(211)과 하나의 구속면(212)을 포함하고, 하나의 경사면(251)과, 하나의 교차면(252)을 가질 수 있다. 준비영역(S1)에 복수의 이송물(1)의 걸리는 경우,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서, 준비영역(S1)의 전방 단으로 편중되게 된다.
준비공간에 복수 개의 이송물(1)이 걸리게 되는 경우, 리프터(250)가 하나의 이송물(1)을 처리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준비공간의 구속면(212)과 상하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준비영역(S1)의 교차면(252)의 위치는 준비공간의 구속면(212)에서 후방으로 제1 거리 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 거리가 하나의 이송물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실시예는 도 10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이송물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구성은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본다.
이송물 감지센서는 프레임(210)의 상에 위치되는 이송물을 감지하여 제어유닛(340)에 전달한다. 이송물 감지센서는 준비영역(S1), 처리영역(S2) 및 배출영역(S3)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물 감지센서는 적어도 슬라이딩면(211)들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물 감지센서는 거리 센서, 광 센서 및 스위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송물 감지센서는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여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물 감지센서는 준비영역(S1)에 배치되는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와, 처리영역(S2)에 배치되는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와, 배출영역(S3)에 배치되는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는 준비영역(S1)의 각 구속영역에 걸리는 이송물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유닛(340)에 전달한다. 준비영역(S1)의 이송물 감지센서는 처리영역(S2)과 인접한 슬라이딩면(211)에 하나가 배치되거나, 준비영역(S1)의 각 슬라이딩면(211)(211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는 준비영역(S1)의 각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위치된다. 이는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이송물이 걸리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는 스위치 단자(351)와 스위치 레버(352)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단자(351)는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레버(352)와 접촉 시에 통전되어서, 제어유닛(34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단자(351)는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위치된다.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레버(352)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 단이 슬라이딩면(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레버(352)는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단자(351)와 상하방향에서 중첩되게 배치된다. 준비영역(S1)의 스위치 레버(352)의 전방 단은 각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는 처리영역(S2)의 각 구속영역에 걸리는 이송물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유닛(340)에 전달한다.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는 처리영역(S2)의 각 슬라이딩면(211)(211b)의 전방 단에 위치된다. 이는 처리영역(S2)의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이송물이 걸리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는 스위치 단자(321)와 스위치 레버(322)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단자(321)는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레버(322)와 접촉 시에 통전되어서, 제어유닛(34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단자(321)는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위치된다.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레버(322)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 단이 슬라이딩면(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레버(322)는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단자(321)와 상하방향에서 중첩되게 배치된다. 처리영역(S2)의 스위치 레버(322)의 전방 단은 각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는 배출영역(S3)의 구속영역에 걸리는 이송물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유닛(340)에 전달한다.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는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쌓여서, 배출영역(S3)에 이송물 적재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러한 정보를 제어유닛(340)에 전달한다.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는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 위치된다. 이는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부터 순차적으로 이송물이 쌓이기 때문이다. 즉,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전방 단 부터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물이 쌓이다가 배출영역(S3)에 적재공간이 없는 경우,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 이송물이 걸리게 된다. 이송물이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 걸리게 되면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에 감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는 스위치 단자(331)와 스위치 레버(3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단자(331)는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레버(332)와 접촉 시에 통전되어서, 제어유닛(34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단자(331)는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레버(332)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 단이 배출영역(S3)의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레버(332)는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단자(331)와 상하방향에서 중첩되게 배치된다. 배출영역(S3)의 스위치 레버(332)의 전방 단은 각 슬라이딩면(211)의 후방 단에서 전방으로 이격하여 위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이송물을 감지하는 이송물 감지센서와, 리프터(250)를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이송물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이송물의 위치를 기준으로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40)과, 처리영역(S2)에 열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가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340)은 이송물 감지센서에서 입력된 이송물의 위치를 기준으로 구동유닛 또는 가열부(120)를 제어한다. 제어유닛(340)은 이송물의 위치에 따라 이송물을 처리하거나 이송물을 다음 단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구동유닛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에서 이송물이 감지되면, 리니어 모터(310)를 1회 전 후진시킨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310)의 1회 전 후진에 의해 리프터(250)가 1회 승강하게 되면서, 이송물이 다음 단으로 이동된다. 승강은 상승과 하강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이 존재하지 않고, 준비영역(S1)의 구속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이송물이 처리영역(S2)에 위치될 때까지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에 이송물이 감지되지 않고, 준비영역(S1) 감지센서에 이송물이 감지되면,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에 이송물이 감지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리니어 모터(310)를 작동시킨다.
다른 예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가열부(120)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 구동유닛을 기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에서 이송물이 감지되면, 가열부(120)를 작동시켜서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을 처리한다.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의 처리가 완료되면, 리니어 모터(310)를 1회 전 후진시킨다. 따라서, 처리영역(S2)에서 처리가 완료된 이송물은 배출영역(S3)으로 이동되고, 처리영역(S2)에 이웃한 준비영역(S1)의 이송물이 처리영역(S2)으로 이동된다.
또 다른 예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구동유닛을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에서 이송물이 감지되면, 가열부(120)의 정지시키고, 구동유닛을 정지시킨다. 즉, 제어유닛(340)은 제어유닛(340)에 적재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가열부(120)와 구동유닛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배출공간 부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에서 이송물이 감지되면, 배출공간 부족신호를 출력하고, 의류 처리 기기는 배출공간 부족신호에 따라 시각적 알람 또는/및 시각적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구동유닛을 작동시키지 않고,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구동유닛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다. 즉,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배출영역(S3)에 적재공간이 확보되면, 리니어 모터(310)를 1회 전 후진시켜서, 이송물을 다음 단으로 이동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준비영역(S1)의 이송물을 감지하는 단계,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리프터(250)를 1회 승강시키는 단계,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을 감지하는 단계,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처리영역(S2)에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한 후, 리프터(250)를 1회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영역(S1)의 이송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가 준비영역(S1)의 이송물을 감지한다(S10).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0).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의 존재여부, 준비영역(S1)에 어느 슬라이딩면(211)에 이송물이 위치되는 지를 판단한다.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리프터(250)를 1회 승강시킨다(S3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준비영역(S1)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리니어 모터(310)를 1회 전 후진시킨다. 리니어 모터(310)가 전 후진되면, 리프터(250)가 상하운동하며, 이송물을 다음 단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의 단계는 이송물이 처리영역(S2)에 위치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가 처리영역(S2)의 이송물을 감지한다(S40).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5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이송물을 처리한다(S6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열부(120)를 제어하여서, 처리영역(S2)에 열풍 및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한다.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리프터(250)를 1회 승강시킨다(S7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처리영역(S2)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리니어 모터(310)를 1회 전 후진시킨다. 리니어 모터(310)가 전 후진되면, 리프터(250)가 상하운동하며, 이송물을 다음 단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처리영역(S2)에 처리가 완료된 이송물은 배출영역(S3)으로 이송된다.
또한 실시예는 배출영역 이송물을 감지하는 단계,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리프터(250)의 작동을 멈추는 단계 및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는 경우, 배출공간 부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영역(S3)의 이송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가 배출영역(S3)의 이송물을 감지한다(S80).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9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리프터(250) 또는/및 가열부(120)의 작동을 중지한다(S100).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출영역(S3)에 적재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의류 처리 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가열부(120) 및 리프터(250)를 정지할 수 있다.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하면, 배출공간 부족신호를 출력한다(S110). 구체적으로, 제어유닛(340)은 배출영역(S3)에 이송물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출공간 부족신호를 출력하여서, 사용자가 배출영역(S3)의 적재공간이 없음을 인지토록 한다. 의류 처리장치는 배출공간 부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하거나, 청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은 어느 한 단계가 생략되거나, 서로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C)는 도 1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준비영역(S1)에 배치되는 센서의 수와, 처리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20)가 생략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처리영역(S2)에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므로, 센서가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서, 이송물 감지센서를 생략할 수 있다.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제조비용을 줄이기 위해, 처리영역(S2)과 이웃한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D)는 도 13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가 생략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200E)는 도 11의 이송장치에 추가적으로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와, 배출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30)가 배치된다.
준비영역(S1)의 슬라이딩면(211)이 1개로 구성되므로, 준비영역 이송물 감지센서(350)는 1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의류 처리 장치에서 이송유닛들을 제거하고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20은 도 19의 일 부분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21은 도 18의 스테이 링크 주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술한 이송장치(200)는 비 사용 시에 접혀서 캐비닛(100)의 내부에 수납되고, 사용 시에 펼쳐지고,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송장치(200)는 캐비닛(100)에 접혀서 수납되기 위해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은 도어(미도시)가 열리는 제1 상태에서 결합되고, 도어가 닫히는 제2 상태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이 서로 1자로 배치되고, 일단들이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제2 상태는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의 서로 분리되고, 11자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이송유닛(200-1)은 준비영역(S1)과 처리영역(S2)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220)과, 제1 프레임(220)에 수용된 리프터(250) 및 무버(2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송유닛(200-2)은 배출영역(S3)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230)을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 각 이송유닛에는 프레임, 리프터, 무버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이송유닛(200-1)이 준비영역(S1)을 포함하고, 제2 이송유닛(200-2)이 처리영역(S2)과 배출영역(S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이송유닛(200-1)과 제2 이송유닛(200-2)을 포함하는 이송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17의 이송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이송유닛(200-1)은 준비영역(S1)과 처리영역(S2)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220)과, 제1 프레임(220)에 수용된 리프터(250) 및 무버(2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이송유닛(200-2)은 배출영역(S3)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230)을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110)을 정의하는 캐비닛(100),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200-1) 및 제2 이송유닛(200-2), 제1 이송유닛(200-1)이 고정되고,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411) 및 제2 이송유닛(200-2)이 고정되고,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는 제1 이송유닛(200-1)을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제1 고정부재(411)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411)의 회전에 의해, 제1 이송유닛(200-1)은 처리실(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상태와, 일부가 처리실(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상태에서, 제1 이송유닛(200-1)은 캐비닛(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이송유닛(200-1)은 캐비닛(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0)의 길이방향은 도 18에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상태에서 제1 이송유닛(200-1)은 좌우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이송유닛(200-1)은 전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200-1)의 길이는 캐비닛(100)의 폭(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크고, 캐비닛(100)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유닛이 제1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 상태에서 외부에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이송유닛이 펼쳐졌을 때, 다수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는 하나의 면을 정의하는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강성과 도어의 연결을 고려하여 2개의 면을 정의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부재(411)는 캐비닛(100)의 제1 부분(411a) 및 제1 부분(411a)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는 제2 부분(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411a)은 캐비닛(100)의 상면(111)과 나란한 면을 정의하고, 제2 부분(411b)은 제1 부분(411a)의 일단과 연결되고, 캐비닛(100)의 상면(111)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이송유닛(200-1)은 제1 부분(411a)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제2 부분(411b)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재(411)의 일면은 캐비닛(100)을 개폐하는 도어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의 제2 부분(411b)이 도어를 정의하거나, 제2 부분(411b)이 도어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부분(411b)은 캐비닛(100)의 후방 면(112)을 개폐하는 도어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5)는 제2 이송유닛(200-2)을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제2 고정부재(415)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415)의 회전에 의해, 제2 이송유닛(200-2)은 처리실(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상태와, 일부가 처리실(1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제1 상태에서, 제2 이송유닛(200-2)은 캐비닛(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상태에서, 제2 이송유닛(200-2)은 캐비닛(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0)의 길이방향은 도 18에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즉, 제1 상태에서 제2 이송유닛(200-2)은 좌우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2 상태에서, 제2 이송유닛(200-2)은 전후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00-2)의 길이는 캐비닛(100)의 폭(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크고, 캐비닛(100)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이송유닛(200-2)의 길이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폭(전후 방향의 길이) 보다 크고,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유닛이 제1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제2 상태에서 외부에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이송유닛이 펼쳐졌을 때, 다수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415)는 하나의 면을 정의하는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고, 강성과 도어의 연결을 고려하여 2개의 면을 정의하는 2개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부재(415)는 캐비닛(100)의 제3 부분(415a) 및 제3 부분(415a)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하는 제4 부분(4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415a)은 캐비닛(100)의 상면(111)과 나란한 면을 정의하고, 제4 부분(415b)은 제3 부분(415a)의 일단과 연결되고, 캐비닛(100)의 상면(111)과 교차되는 면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이송유닛(200-2)은 제3 부분(415a)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제4 부분(415b)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부재(415)의 일면은 캐비닛(100)을 개폐하는 도어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재(415)의 제4 부분(415b)이 도어를 정의하거나, 제4 부분(415b)이 도어와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4 부분(415b)은 캐비닛(100)의 전방 면(113)을 개폐하는 도어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 및 제2 고정부재(415)는 캐비닛(100)의 상면(111)과 교차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411) 및 제2 고정부재(415)는 상하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는 별도로 회전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해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다른 하나가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411)는 제2 고정부재(415)와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의 일단이 제1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길이 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길이방향의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의 좌측 단(도 18)이 제1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길이 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가 이러한 회전 및 이동을 하게 되면, 회전만 하게 되는 경우 보다, 큰 길이의 이송유닛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는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를 함께 회전하며,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의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이드 블럭(425)과, 가이드 레일(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1)은 가이드 블럭(425)이 캐비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421)은 가이드 블럭(425)이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이드 레일(421)은 캐비닛(100)의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421)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1)은 캐비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421)의 일단은 캐비닛(100)의 길이방향 일단(좌측 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가이드 레일(421)의 타단은 캐비닛(100)의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이송유닛의 접힘 상태에서는 캐비닛(100)의 길이를 이용하여 최대한 긴 길이의 이송유닛이 설계될 수 있고, 각 이송유닛의 펼침 상태에서는 각 이송유닛이 캐비닛(100)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캐비닛(100)의 폭 방향으로 길게 펼쳐지므로, 다수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421)은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425)에는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블럭(425)은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블럭(425)은 각 고정부재(411, 415)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블럭(425)은 각 고정부재(411, 415)의 회전 시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폭 방향을 연장되고, 가이드 블럭(425)의 폭 방향 양단에 각 고정부재(411, 415)들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럭(425)과 각 고정부재(411, 415)는 각 블럭 힌지(426, 427)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각 블럭 힌지(426, 427)의 결합위치는 제한이 없지만, 각 고정부재(411, 415)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블럭 힌지(426, 427)는 각 고정부재(411, 415)의 폭 방향의 일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각 블럭 힌지(426, 427)는 각 고정부재(411, 415)의 좌측 단 및 내측 단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각 블럭 힌지는 제1 고정부재(411)의 제1 부분(411a)과, 제2 고정부재(415)의 제3 부분(415a)에 결합될 수 있다.
블럭 힌지는 제1 고정부재(411)와 가이드 블럭(425)을 연결하는 제1 블럭 힌지(426)와 제2 블럭 힌지(4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럭 힌지(426)와 제2 블럭 힌지(427)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제1 블럭 힌지(426)와 제2 블럭 힌지(427)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의 대칭이동 면에서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재(411)와 제2 고정부재(415)가 가이드 블럭(425)에 결합되어 이동되면서 함께 회전되어서, 각 고정부재(411, 415)가 대칭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의류의 투입방향 도어만 개방하면, 의류의 배출 방향 도어가 함께 개방되고, 의류의 투입 방향 도어만 폐쇄하면, 의류의 배출 방향 동어가 함께 폐쇄될 수 있다.
실시예는 각 고정부재(411, 415)가 펼침 상태에서 캐비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서, 캐비닛(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 고정부재(411, 415)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스테이 링크(431) 및 제2 스테이 링크(43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스테이 링크(431) 및 제2 스테이 링크(435)는 가이드 블럭(425)과 상호 작용으로 각 고정부재(411, 415)의 이동 및 회전 경로를 정의하게 된다.
제1 스테이 링크(431) 및 제2 스테이 링크(435)와 가이드 블럭(425)에 의해 이송유닛이 펼쳐졌을 때 이송유닛이 캐비닛(100)의 좌측 면과 우측 면 사이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이송유닛에 걸린 의류가 캐비닛(100)의 측면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단순하게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각 고정부재(411, 415)가 회전할 때 보다, 의류의 거치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1 스테이 링크(431)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스테이 링크(431)의 타단은 캐비닛(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 링크(431)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11)의 제1 부분(411a)에 결합되고, 제1 스테이 링크(431)의 타단은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결합된다.
제1 고정부재(411)에서 제1 스테이 링크(431)가 결합되는 위치는 가이드 블럭(425)이 결합되는 위치보다 길이방향에서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1 스테이 링크(431)와 제1 고정부재(411)는 제1 거치 힌지(43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테이 링크(431)와 캐비닛(100)의 상면(111)은 제1 스테이 힌지(433)에 의해 연결되고, 제1 스테이 힌지(433)는 제1 블럭 힌지(426) 보다 캐비닛(10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 힌지(433)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후방 단에 인접하고,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테이 링크(435)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4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스테이 링크(435)의 타단은 캐비닛(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테이 링크(435)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415)의 제3 부분(415a)에 결합되고, 제2 스테이 링크(435)의 타단은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결합된다.
제2 고정부재(415)에서 제2 스테이 링크(435)가 결합되는 위치는 가이드 블럭(425)이 결합되는 위치보다 길이방향에서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2 스테이 링크(435)와 제2 고정부재(415)는 제2 거치 힌지(43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테이 링크(435)와 캐비닛(100)의 상면(111)은 제2 스테이 힌지(437)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스테이 힌지(437)는 제2 블럭 힌지(427) 보다 캐비닛(100)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스테이 힌지(437)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전방 단에 인접하고,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인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테이 링크(431)의 길이와 제2 스테이 링크(435)의 길이는 다를 수도 있지만, 대칭이동 및 회전을 위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테이 힌지(433)와 제2 스테이 힌지(437)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테이 힌지(433)와 제2 스테이 힌지(437)의 위치가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면, 제1 고정부재(411)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제2 고정부재(415)가 움직이지 않거나, 대칭되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각 스테이 링크(431, 435)에는 각 스테이 힌지가 결합되는 장홀(431a, 435a)이 형성될 수 있다. 장홀(431a, 435a)은 각 고정부재(411, 415)의 회전 및 이동 시에 각 스테이 링크(431, 435)에 이동의 자유도를 부가한다. 장홀(431a, 435a)은 상가 각 스테이 링크(431, 43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각 스테이 링크(431, 435)가 각 스테이 링크(431, 435)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장홀(431a, 435a)의 길이는 제한이 없지만, 각 스테이 링크(431, 435)의 길이의 20%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는 도어를 열고 닫을 때마다 각 고정부재(411, 415)의 경로가 달라지고, 동시에 각 고정부재(411, 415) 들이 대칭으로 움직이지 않을 가능성을 제한하기 위해 제1 회전 링크(441) 및 제2 회전 링크(4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링크(441)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회전 링크(441)의 타단은 캐비닛(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 링크(441)의 일단은 제1 고정부재(411)의 제1 부분(41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회전 링크(441)의 타단은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 링크(441)는 캐비닛(100)과 제1 회전 힌지(446)에 의해 연결되고, 제1 고정부재(411)와 제1 고정 힌지(442)에 의해 연결된다. 제1 회전 힌지(446)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중앙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 힌지(446)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에서 가이드 레일(421)의 우측 단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힌지(442)는 제1 고정부재(411) 내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폭 방향에서 전방 단(도 18 기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2 회전 링크(445)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4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 링크(445)의 타단은 캐비닛(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 링크(445)의 일단은 제2 고정부재(415)의 제3 부분(415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 링크(445)의 타단은 캐비닛(100)의 상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 링크(445)는 캐비닛(100)과 제2 회전 힌지(447)에 의해 연결되고, 제2 고정부재(415)와 제2 고정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제2 회전 힌지(447)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의 중앙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 힌지(447)는 캐비닛(100)의 상면(111)에서 가이드 레일(421)의 우측 단에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 힌지(449)는 제2 고정부재(415) 내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폭 방향에서 후방 단(도 18 기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1 회전 링크(441)의 길이와 제1 회전 링크(441)의 길이는 다를 수도 있지만, 대칭이동 및 회전을 위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고정 힌지(442)와 제2 고정 힌지(449)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힌지(442)와 제2 고정 힌지(449)의 위치가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면, 제1 고정부재(411)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제2 고정부재(415)가 움직이지 않거나, 대칭되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힌지(446)와 제2 회전 힌지(447)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힌지(446)와 제2 회전 힌지(447)의 위치가 가이드 레일(42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면, 제1 고정부재(411)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제2 고정부재(415)가 움직이지 않거나, 대칭되게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상술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제1 상태에서, 도어들은 닫힘 상태이고,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11자로 배치되어서,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된다. 물론, 제1 이송유닛과 제2 이송유닛은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11자로 배치되어서,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된다.
도 23을 참고하면, 후방 또는 전방 측 도어를 열면,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가 각 블럭 힌지와, 각 스테이 힌지를 축으로 도어와 함께 회전되면서, 각 고정부재의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 고정부재의 타단은 처리실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의 좌측 단에서 중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어가 전후 방향과 수평하게 완전히 열리게 되면,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동일 선 상에 배치되고, 제1 이송유닛의 일단과 제2 이송유닛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서 하나의 이송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 및 제2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이송유닛이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
    상기 가이드 블럭이 슬라이딩되고,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테이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테이 링크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스테이 링크 및 상기 제2 스테이 링크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결합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각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블럭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럭 힌지는 상기 각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 링크와 캐비닛을 연결하는 스테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 힌지는 상기 가이드 레일 보다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 링크와 캐비닛을 연결하는 스테이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 힌지는 상기 블럭 힌지 보다 상기 캐비닛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 링크는 상기 각 스테이 힌지가 결합되는 장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가 각 스테이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에서 상기 스테이 링크가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가이드 블럭이 결합되는 위치보다 캐비닛의 좌우 길이방향에서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링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의류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 및 제2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2 이송유닛이 고정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상태와, 일부가 상기 처리실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처리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 상태와, 일부가 상기 처리실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블럭; 및
    상기 가이드 블럭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방향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 및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캐비닛의 좌우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스테이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캐비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스테이 링크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 링크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된 스테이 힌지가 결합되는 장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홀은 상기 스테이 링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 처리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의 일면은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를 정의하는 의류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측면을 개폐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80118052A 2018-10-04 2018-10-04 의류 처리 장치 KR10260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2A KR102604693B1 (ko) 2018-10-04 2018-10-04 의류 처리 장치
US16/590,988 US11390984B2 (en) 2018-10-04 2019-10-02 Fabric treating apparatus
EP19201117.9A EP3636823B1 (en) 2018-10-04 2019-10-02 Fabric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52A KR102604693B1 (ko) 2018-10-04 2018-10-04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20A KR20200038620A (ko) 2020-04-14
KR102604693B1 true KR102604693B1 (ko) 2023-11-20

Family

ID=6813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52A KR102604693B1 (ko) 2018-10-04 2018-10-04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90984B2 (ko)
EP (1) EP3636823B1 (ko)
KR (1) KR102604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469A (ko) * 2020-05-25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폴딩 머신 및 의류 폴딩 머신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1452A (en) * 1941-03-26 1943-06-08 Dexdale Hosiery Mills Textile treating apparatus
US3616893A (en) * 1969-04-03 1971-11-02 Athey Products Corp Mobile hydraulically foldable conveyor
US3770148A (en) * 1972-02-18 1973-11-06 Mc Graw Edison Co Screw conveyor system for durable press apparatus
GB1571377A (en) * 1977-03-28 1980-07-16 Nat Mine Service Co Underground mining machine having a conveyor
DE2939870C2 (de) * 1979-10-02 1983-09-08 Andreas 3400 Göttingen Stichnot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dünsten und Trocknen von gewaschenen Formteilen bzw. Bekleidungsstücken aus Gewebe
US4512280A (en) 1981-05-28 1985-04-23 Lee Jr Roy Pipe conveying apparatus
DE4116185C2 (de) * 1991-05-17 1993-11-25 Duerkopp Adler Ag Förderer zum Transport von hängendem Fördergut
US5320873A (en) * 1991-08-29 1994-06-14 American Laundry Machinery,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cellulosic fiber-containing fabric to improve durable press and shrinkage resistance
US5459301A (en) * 1993-03-04 1995-10-17 Miller; Alan E. Cyclic microwave treatment of pressed garments
JP3174881B1 (ja) * 1999-12-06 2001-06-11 アンデックス株式会社 衣類の仕上げ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78295A (ko) 2002-03-29 2003-10-08 주식회사 머큐리 멀티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치 망 내 라우터의 가상 채널머징 장치 및 방법
KR100496925B1 (ko) 2003-11-06 2005-06-23 주식회사 크린토피아 세탁물 이송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US7845037B2 (en) * 2005-05-31 2010-12-07 Leonard Automatics, Inc. Triple pass tunnel finisher
DE102006050015B4 (de) * 2006-08-14 2021-12-02 Herbert Kannegiesser Gmbh Verfahren zum Glätten von Bekleidungsstücken und Tunnelfinisher
DE102008059507B4 (de) * 2008-11-28 2011-06-09 Msg Maschinenbau Gmbh Metallbearbeitungsmaschine mit Zuführvorrichtung für stabförmige Werkstücke
DE102014201301A1 (de) * 2014-01-24 2015-07-30 Dürkopp Fördertechnik GmbH Förd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Fördern von Einzelwaren
AU2014388617B2 (en) * 2014-03-28 2018-02-15 Daifuku Co., Ltd. Transport conveyor and transport unit
CN205062520U (zh) * 2015-10-13 2016-03-02 绍兴托普利包装有限公司 一种蒸汽式隧道烘干整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6823B1 (en) 2023-03-29
KR20200038620A (ko) 2020-04-14
US11390984B2 (en) 2022-07-19
EP3636823A1 (en) 2020-04-15
US20200109511A1 (en)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213B2 (en) Machine for spreading out and loading flat clothing articles
US20090038661A1 (en) Front-loader dishwashing machine with heat recovery
EP1600551A1 (en) Expandable/collapsible enclosure for a clothes refresher
JPWO2007007591A1 (ja) 衣類たたみ機
US11535977B2 (en) Autonomous laundry washing and dry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102604693B1 (ko) 의류 처리 장치
AU202021019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10048343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604692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EP3741907B1 (en) Laundry appliance
US20220333292A1 (en) Drying rack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1708693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CN115812115A (zh) 衣物处理装置
CN113027300A (zh) 多开门式洁净传递窗
KR100595240B1 (ko) 세탁물접이수단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200038619A (ko) 의류 처리 장치
EP2848728A1 (en) A basket
JP7429769B2 (ja) 衣類処理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40200A (ja)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KR101708694B1 (ko) 의류 처리 장치
CN211549434U (zh) 多开门式洁净传递窗
EP2584088A1 (en) Machine for spreading out and loading flat articles of clothing
JP6730097B2 (ja) 布類展開装置
KR20240062002A (ko) 의류처리장치
CN115369619A (zh) 具有洗衣附件的洗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